KR102370194B1 - 보행공간을 확장한 h빔 구조 데크로드 시스템 - Google Patents

보행공간을 확장한 h빔 구조 데크로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0194B1
KR102370194B1 KR1020210175337A KR20210175337A KR102370194B1 KR 102370194 B1 KR102370194 B1 KR 102370194B1 KR 1020210175337 A KR1020210175337 A KR 1020210175337A KR 20210175337 A KR20210175337 A KR 20210175337A KR 102370194 B1 KR102370194 B1 KR 102370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rail
coupled
vertical coupling
walking space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5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편인철
Original Assignee
합자회사 세가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합자회사 세가온 filed Critical 합자회사 세가온
Priority to KR1020210175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01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0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0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7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 E04F15/02183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for outdoor use, e.g. in decks, patios, terraces, veranda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04F2015/0205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 E04F2015/02066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flooring elements

Abstract

보행공간을 확장한 H빔 구조 데크로드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보행공간을 확장한 H빔 구조 데크로드 시스템은 각각의 H빔과, 상기 H빔의 상면에 배치되는 각각의 각관으로 이루어진 프레임; 상기 각관의 상면에 연이어 설치되어 보행공간을 형성하는 각각의 데크재; 및 금속재로 된 내부기둥과 상기 내부기둥을 감싸면서 결합되는 한 쌍의 외부기둥으로 이루어진 각각의 난간기둥과, 각각의 상기 난간기둥을 연결하여 마련되는 난간대를 포함하는 난간을 포함하고, 상기 난간기둥이 상기 보행공간의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상부에는 상기 난간기둥이 결합되고 하부는 상기 H빔에 결합되는 기둥 설치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행공간을 확장한 H빔 구조 데크로드 시스템{H-beam structure deck road system with expanded walking space}
본 발명은 보행공간을 확장한 H빔 구조 데크로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천연목재로 된 난간을 데크로드의 보행공간 바깥쪽에 배치하여 보행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난간기둥을 기준으로 난간의 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는 보행공간을 확장한 H빔 구조 데크로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데크로드는 공원이나 호수 등의 산책로나 등산로 등에 나무를 이용하여 만들어지는 보행로를 말하는 것으로, 사람들이 안전하게 걸어다닐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사람들의 통행으로 인하여 자연환경이나 데크로드가 설치된 공간에 서식하는 동식물에게 피해를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데크로드는 환경훼손을 최소화하면서 사람들이 자연에 좀더 가깝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장애우나 어린아이들이 안전하고 용이하게 자연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최근에는 그 설치예가 급증하고 있다.
데크로드는 사람들이 동식물을 가까이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동식물에게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지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높이로 설치되며, 한꺼번에 많은 사람이 통행하더라도 안전하도록 튼튼하게 설치되어야 한다.
전술한 데크로드의 종래기술은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53729호(공고일 : 2011.05.27)에 개시된 바와 같다. 종래기술에 의한 데크로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H빔(10)의 상부에는 보행자가 밟고 다니는 데크재(11)가 설치되고, 상기 H빔(10)에 난간대(20)의 난간기둥(21)이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데크로드는, 각 난간기둥(21)이 데크재(11)의 양쪽 가장자리 내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됨으로써 보행자의 보행공간이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난간기둥(21)이 데크재(11)의 가장자리 안쪽에 설치됨으로써 양쪽의 난간기둥(21) 사이의 공간만 보행이 가능하게 되어 보행공간이 현저하게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53729호(공고일 : 2011.05.27)
본 발명의 목적은, 난간을 지지하는 난간기둥을 데크로드의 보행공간 바깥쪽에 배치하여 보행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난간의 결속력을 높일 수 있으며, 난간기둥을 기준으로 난간의 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는 보행공간을 확장한 H빔 구조 데크로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각각의 H빔과, 상기 H빔의 상면에 배치되는 각각의 각관으로 이루어진 프레임; 상기 각관의 상면에 연이어 설치되어 보행공간을 형성하는 각각의 데크재; 및 금속재로 된 내부기둥과 상기 내부기둥을 감싸면서 결합되는 한 쌍의 외부기둥으로 이루어진 각각의 난간기둥과, 각각의 상기 난간기둥을 연결하여 마련되는 난간대를 포함하는 난간을 포함하고 상기 난간기둥이 상기 보행공간의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상부에는 상기 난간기둥이 결합되고 하부는 상기 H빔에 결합되는 기둥 설치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공간을 확장한 H빔 구조 데크로드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기둥 설치수단은, 상기 H빔을 감싸면서 결합되는 프레임 결합부; 및 상기 프레임 결합부의 상단 한쪽에 저면 한쪽이 외팔보 구조로 결합되어 상기 난간기둥을 상기 보행공간의 바깥쪽에 위치시키는 기둥 결합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기둥 결합부는, 평편하게 형성된 기둥 지지판; 상기 내부기둥과 결합되도록 상기 기둥 지지판의 상면 중앙에서 직립하여 마련되는 끼움 결합단; 및 상기 내부기둥과 상기 끼움 결합단이 끼움 결합되고 상기 외부기둥의 하단부가 상기 기둥 지지판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기둥의 하단부를 장식하고 커버하도록 상기 기둥 지지판의 상면에 마련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결합부는, 상기 기둥 지지판의 저면 한쪽과 상단이 결합되고 안쪽면이 상기 H빔의 바깥쪽에 밀착되는 제1 수직 결합단; 상기 제1 수직 결합단과 직각이 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 수직 결합단의 바깥면과 상기 기둥 지지판의 저면을 연결하여 상기 제1 수직 결합단과 상기 기둥 지지판을 지지하는 제1 보강편; 상기 제1 수직 결합단의 안쪽면에서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기 H빔의 상면에 지지되는 수평 지지단; 상기 제1 수직 결합단과 마주보도록 상기 수평 지지단에서 직하방으로 연장 절곡되어 상기 H빔의 안쪽에 지지되고, 상기 제1 수직 결합단 및 상기 수평 지지단과의 사이에 하향으로 개방되는 결합부를 형성하는 제2 수직 결합단; 및 상기 결합부로 상기 H빔을 감싼 상태에서 상기 제1 수직 결합단과 상기 H빔 및 상기 제2 수직 결합단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결합볼트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수직 결합단의 안쪽면 상단과 상기 수평 지지단의 상면 사이에는, 상기 제1 수직 결합단과 상기 수평 지지단에 각 일단이 결합되어 상기 제1 수직 결합단과 상기 수평 지지단을 지지하도록 수평단과 수직단으로 이루어진 제2 보강편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수직 결합단과 상기 H빔의 수직부 사이 및 상기 제2 수직 결합단과 상기 수직부 사이에는, 상기 제1 수직 결합단과 상기 제2 수직 결합단이 상기 H빔을 감싼 상태에서 상기 결합볼트들이 체결될 때 상기 제1 수직 결합단과 상기 제2 수직 결합단을 지지하기 위한 제3 보강편이 상기 제1 수직 결합단 및 상기 제2 수직 결합단과는 직각이 되도록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난간은 상기 난간기둥에 대하여 상기 난간대의 각도를 조절하고, 조절된 각도를 고정하기 위한 각도조절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부재는, 상기 난간대의 단부에 결합되는 난간대 결합부; 상기 난간대 결합부의 한쪽에서 연장되고 단부영역에는 체결단이 형성된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중앙에 마련되어 양쪽 상기 외부기둥에 형성되는 각 반구형의 지지홈에 회전 지지되도록 안착되는 구형의 회전 지지부; 및 상기 체결단이 상기 내부기둥에 형성되는 관통공을 통과한 상태에서 상기 체결단에 체결되는 너트의 풀림을 방지하도록 상기 체결단에 마련되는 판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판 스프링은, 상기 내부기둥의 관통공 주변에 밀착되도록 양쪽에 마련되는 각각의 지지단; 양쪽 상기 지지단에서 원호형으로 볼록하게 돌출 형성되어 탄성을 발생시키고 상기 너트의 위치변경을 허용하기 위한 만곡부; 및 상기 만곡부의 중앙에 상기 체결단이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체결단 관통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부재는, 상기 회전 지지부를 관통하여 상기 외부기둥에 체결되어 상기 회전 지지부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나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구형의 지지홈은, 한쪽에 상기 내부기둥이 수용되는 수용홈과 연통되는 내부 연통홈이 형성되고, 반대쪽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외부 연통홈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 연통홈과 상기 외부 연통홈은, 상기 난간대의 각도 조절을 위한 상기 연장부의 회전에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연장부의 외경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데크로드의 난간대를 지지하는 각각의 난간기둥이 기둥 설치수단에 의해 데크로드의 보행공간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H빔의 외측에 설치됨으로써 난간기둥이 보행공간을 차지하지 않게 되어 같은 규격의 데크로드에 비하여 넓은 보행공간을 확보활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기둥 설치수단이 H빔을 감싸면서 결합되고 각각의 보강편을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난간기둥이 보다 견고한 상태로 H빔의 바깥쪽에 외팔보 구조로 설치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각 난간대를 난간기둥에 결합하는 각도조절부재에 의해 난간기둥을 기준으로 난간대의 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각도조절부재의 회전 지지부가 반구형의 지지홈에 안착되어 각도가 조절된 후에 고정나사로 회전 지지부를 외부기둥에 고정함으로써 통행자가 난간대를 잡았을 때 회전하거나 유격이 발생하지 않고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데크로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공간을 확장한 H빔 구조 데크로드 시스템의 기둥 설치수단과 난간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부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본 발명에 따른 보행공간을 확장한 H빔 구조 데크로드 시스템의 기둥 설치수단과 난간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부재를 도시한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기둥 설치수단과 난간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부재가 적용된 보행공간을 확장한 H빔 구조 데크로드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보행공간을 확장한 H빔 구조 데크로드 시스템을 도시한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2에 도시된 각도조절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6에 도시된 각도조절부재의 이용하여 난간대의 각도를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4에 도시된 보행공간을 확장한 H빔 구조 데크로드 시스템에 의해 확장된 보행공간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2에 도시된 보행공간을 확장한 H빔 구조 데크로드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공간을 확장한 H빔 구조 데크로드 시스템의 기둥 설치수단과 난간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부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본 발명에 따른 보행공간을 확장한 H빔 구조 데크로드 시스템의 기둥 설치수단과 난간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부재를 도시한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기둥 설치수단과 난간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부재가 적용된 보행공간을 확장한 H빔 구조 데크로드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보행공간을 확장한 H빔 구조 데크로드 시스템을 도시한 결합상태 단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도 2에 도시된 각도조절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행공간을 확장한 H빔 구조 데크로드 시스템(100)은, 다수개의 수직 프레임(410)과 각 수직 프레임(410)에 수평으로 배치되는 각각의 H빔(420)과 양쪽의 H빔(420) 상면에 각각 설치되는 각관(430)으로 이루어진 프레임(400)과, 각관(430)의 상면에 연이어 설치되어 보행공간(A)을 형성하는 각각의 데크재(300)와, 금속재로 된 내부기둥(212)과, 내부기둥(212)을 감싸면서 결합되는 한 쌍의 외부기둥(214)으로 이루어진 각각의 난간기둥(210)과 각 난간기둥(210) 사이를 연결하는 각각의 난간대(230)로 이루어진 난간(200)과, 난간기둥(210)이 보행공간(A)의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상부에는 난간기둥(210)이 결합되고 하부는 H빔(420)에 결합되는 기둥 설치수단(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데크로드 시스템(100)의 프레임(400)은,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크로드 시스템(100)의 하부 골격을 이루면서 보행공간(A)을 형성하는 각각의 데크재(300)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각각의 수직 프레임(410)과 각각의 H빔(420) 및 H빔(420)의 상면에 결합되는 각각의 각관(430)으로 구성된다. 수직 프레임(410)은 H빔(420)을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면서 받쳐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H빔(420)은 각 수직 프레임(410)을 연결하도록 마련된다. H빔(420)의 상면 한 쪽에는 각관(430)이 설치된다. 각관(430)은 데크재(300)를 H빔(420)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한 것으로, 양쪽의 H빔(420) 및 양쪽의 H빔(420)을 연결하는 중앙의 H빔 상면에도 각각 고정 설치된다. 각관(430)의 상면에는 각각의 데크재(300)가 수평으로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H빔(420)의 상면에 각관(430)이 설치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H빔(420)의 상면에 데크재(300)가 직접 설치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크재(300)는, 보행공간(A)을 형성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천연목재(방부목)로 이루어지며, 경우에 따라 합성수지재나 금속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데크재(300)는 H빔(420)에 구비된 각관(430)의 상면에 연이어 설치되며, 상면에는 미끄럼 방지돌기들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각각의 데크재(300)는 나사못에 의해 각관(430)에 고정 설치될 수도 있고, 각관(430)에 결합되는 클립에 끼움 결합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클립은 양쪽의 가압편 사이에 끼움부가 형성되는 것으로 이 끼움부에 데크재(300)가 끼움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각각의 데크재(300)를 각관(430)의 상면에 결합하는 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난간(20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간기둥(210)이 보행공간(A)의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기둥 설치수단(500)에 의해 H빔(420)의 바깥쪽에 외팔보 구조로 설치되는 것으로, 난간기둥(210)과, 각 난간기둥(210)들을 연결하여 보행공간(A)으로부터 보행자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난간대(230)을 포함한다.
난간기둥(2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간대(230)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서로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여 각각 배치되며, 각 난간기둥(210) 사이에 난간대(230)의 각 단부가 각도조절부재(250)에 의해 각각 결합된다. 난간기둥(210)은, 원형이나 다각형(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합성수지재, 천연목재, 금속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난간기둥(210)은 단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고, 금속재로 된 내부기둥(212)과 내부기둥(212)을 감싸는 한 쌍의 외부기둥(214)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난간기둥(210)은, 합성수지재, 천연목재 또는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수직방향으로 분할되어 한 쌍을 이루는 외부기둥(214)과, 외부기둥(214)의 내부에 결합되고 금속재로 이루어진 내부기둥(2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내부기둥(212)과 외부기둥(214)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기둥 설치수단(500)에 의해 H빔(420)의 바깥쪽에 외팔보 구조로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내부기둥(212)은 "ㄷ"형상으로 된 소정 길이의 금속 파이프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와 같이 내부기둥(212)을 "ㄷ"으로 형성되어 길이방향 한 쪽이 개방됨으로써 후술할 각도조절부재(250)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질 수 있다. 그리고, "ㄷ" 형상으로 형성된 내부기둥(212)의 양쪽 결합단(212A) 또는 어느 한 쪽의 결합단(212A)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결합공(212B)들이 길이방향으로 등간격 또는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 각각 형성된다. 이 결합공(212B)에는 후술할 각도조절부재(250)가 결합되기 위한 것이다.
외부기둥(214)은, 내부기둥(212)을 양쪽에 감싸 커버하면서 난간기둥(210)의 외관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맞닿게 결합되도록 수직방향으로 분할되어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중앙에는 내부기둥(212)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214A)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양쪽의 외부기둥(214)은 내부기둥(212)을 감싼 상태에서 외부기둥(214)과 내부기둥(212)을 관통하는 다수개의 체결볼트와 너트 등에 의해 상호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외부기둥(214)의 서로 마주보는 각각의 면에는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구형의 지지홈(214B)이 형성된다. 이러한 양쪽의 지지홈(214B)은 양쪽의 외부기둥(214)이 결합되면 속이 빈 구형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지지홈(214B)의 한쪽(내측)에는 수용홈(214A)과 연통되는 내부 연통홈(214A-1)이 형성되며, 반대쪽(외측)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외부 연통홈(214A-2)이 형성된다. 내부 연통홈(214A-1) 및 외부 연통홈(214A-2)은 난간대(230)가 구형의 회전 지지부(256)를 기준으로 각도 조절될 때 연장부(255)의 회전에 간섭되지 않도록 연장부(255)의 외경보다 적어도 1.5배 이상 더 크게 형성된다. 이러한 내부 연통홈(214A-1) 및 외부 연통홈(214A-2)은 안쪽보다 바깥쪽이 더 넓은 나팔관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난간대(230)는, 각도조절부재(250)에 의해 난간기둥(210)에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난간대(230)는 난간기둥(210)의 높이에 따라 1-4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수직방향으로 설정된 거리를 유지하여 양쪽의 난간기둥(210)에 각 단부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1개 상부에 2개로 이루어진 수평 난간대와 하부와 중간 수평 난간대에 수직방향으로 배열되는 수직 난간대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각각의 수평 난간대가 난간기둥(210)에 결합된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수평 난간대 사이에 다수개의 수직 난간대가 등간격으로 배치된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각도조절부재(250)는, 도 2,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간대(230)의 단부에 결합되는 난간 결합부(252)와, 난간 결합부(252)의 한쪽에서 연장되고 단부영역에는 체결단(254C)이 형성된 연장부(254)와, 연장부(254)의 중앙에 마련되어 양쪽 외부기둥(214)에 형성되는 각 반구형의 지지홈(214B)에 안착되어 회전 지지되도록 결합되는 구형의 회전 지지부(256)와, 체결단(254C)이 내부기둥(212)에 형성되는 관통공(212B)을 통과한 상태에서 체결단(254C)에 체결되는 너트(257)의 풀림을 방지하도록 체결단(254C)에 마련되는 판 스프링(259)을 포함한다.
전술한 구형으로 된 회전 지지부(256)는, 양쪽 외부기둥(214)의 반구형 지지홈(214B)에 안착되어 회전 지지되는 것으로 연장부(254)의 중간에 구형으로 형성된다. 연장부(254)는 회전 지지부(256)를 기준으로 난간 결합부(252)와 회전 지지부(256)를 연결하는 환봉 형상의 제1 연장부(254A)와 회전 지지부(256)와 체결단(254C) 사이의 제2 연장부(254B)로 이루어진다. 제1 연장부(254A)는 외부 연통홈(214A-2)에 위치하고 제2 연장부(254B)는 내부 연통홈(214A-1)에 위치한다.
그리고 체결단(254C)은 관통공(212B)을 관통하는 길이로 형성되며, 체결단(254C)이 관통공(212B)을 관통하면, 판 스프링(259)이 끼워지고 너트(257)가 체결된다. 판 스프링(259)은 너트(257)의 풀림을 방지함은 물론, 연장부(254)가 기울어질 때 너트(257)를 탄력 지지하면서 위치가 변경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판 스프링(259)은, 도 2 및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기둥(212)의 관통공(212B) 주변에 밀착되도록 양쪽에 마련되는 각각의 지지단(259A)과, 양쪽 지지단(259A)에서 원호형으로 볼록하게 돌출 형성되어 탄성을 발생시키고 너트(257)의 위치변경을 허용하기 위한 만곡부(259C)와, 만곡부(259C)의 중앙에 체결단(254C)이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체결단 관통공(259B)으로 이루어진다.
체결단 관통공(259B)은 장공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는 연결부(254)가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질 때 체결단(254C)이 간섭없이 기울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체결단 관통공(259B)은 장공형태로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 연결부(254)가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질 때 양쪽 지지단(259A)이 결합단(212A)의 안쪽면에서 슬립이 이루어지므로 연결부(254)의 기울어짐(난간대의 각도조절)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만곡부(259C)는 체결단(254C)에 체결되는 너트(257)를 탄력 지지하도록 탄성을 발생시켜 너트(257)의 풀림을 방지한다. 또한, 난간대(230)가 난간기둥(210)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조절되어 연장부(254,254A,254B) 및 체결단(254C)이 내부기둥(212)에 대하여 기울어질 때 너트(257)가 항상 만곡부(259C)에 밀착 지지되어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판 스프링(259)에 의해 난간대(230)가 난간기둥(210)에 대하여 경사지게 설치되어 연장부(254,254A,254B) 및 체결단(254C)이 회전 지지부(256)를 기준으로 기울어진 상태(각도가 조절된 상태)에서도 너트(257)가 판 스프링(259)의 만곡부(259C)에 밀착되어 체결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양쪽의 외부기둥(214)이 서로 결합되어 외부 연통홈(214B)과 내부 연통홈(214A-1)이 원형을 이룰 때 외부 연통홈(214A-2)과 내부 연통홈(214A-1)의 내경은, 회전 지지부(256)를 기준으로 난간대(230)의 각도가 조절될 때 양쪽 연장부(254A,254B)의 회전반경에 간섭되지 않도록 연장부(254A,254B)의 외경보다 2-4배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외부 연통홈(214A-2)과 내부 연통홈(214A-1)의 내경이 연장부(254A,254B)의 외경보다 더 크게 형성됨으로써 회전 지지부(256)가 지지홈(214B)에 회전 지지된 상태에서 난간대(230)의 각도가 조절되더라도 연장부(254A,254B)가 외부 연통홈(214A-2)과 내부 연통홈(214A-1)의 내경에 간섭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난간대(230)는 외부 연통홈(214A-2)과 내부 연통홈(214A-1)의 내경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방향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외부 연통홈(214A-2)과 내부 연통홈(214A-1)의 내경은 지지홈(214B)에서 외측을 향하여 확장되는 나팔관 구조(지지홈 쪽은 작고 반대쪽은 큰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부 연통홈(214A-2)과 내부 연통홈(214A-1)의 내경이 나팔관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난간대(230)는 외부 연통홈(214A-2)과 내부 연통홈(214A-1)의 내경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방향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각도조절부재(250)는, 도 2 내지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형의 회전 지지부(256)를 관통하여 외부기둥(214)에 체결되어 구형의 회전 지지부(256)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나사(259)를 더 포함한다.
고정나사(259)는 회전 지지부(256)를 관통하여 외부기둥(214)에 체결되므로 난간대(230)의 각도 조절시 회전 지지부(256)가 고정나사(259)를 축으로 한 회전은 허용하고, 그 외의 회전은 허용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즉, 난간대(230)의 각도가 조절된 후에는 고정나사(719)를 회전 지지부(256)를 관통하여 외부기둥(214)에 체결함으로써 회전 지지부(256)가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고, 따라서 통행자가 난간을 잡았을 때 회전하거나 유격이 발생하지 않고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각도조절부재(250)를 이용하여 난간대(230)의 각도를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간대(230)의 단부가 난간 결합부(252)에 끼움 결합되어 나사로 고정된 상태에서 구형의 회전 지지부(256)를 한쪽 외부기둥(214)의 지지홈(214B)에 삽입하여 양쪽의 연장부(254A,254B)가 외부 연통홈(214A-2)과 내부 연통홈(214A-1)에 지지되도록 한다. 이어서, 체결단(254C)이 결합공(222B)를 관통한 상태에서 난간대(230)을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각도로 조절한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간기둥(210)을 기준으로 난간대(230)의 각도를 조절하면, 난간대(230)는 지지홈(214B)에 구형의 회전 지지부(256)가 안착되어 있으므로 회전 지지부(256)를 중심으로 다양한 방향로 원활하게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이때 체결단(254C)에 판 스프링(259)을 끼운 후 너트(257)를 헐겁게 체결한 상태로 난간대(230)의 각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너트(257)의 일면이 판 스프링(259)의 만곡부(259C) 외측면에 밀착된 상태이므로 난간대(230)의 각도를 조절하여 체결단(254C)이 기울어지더라도 너트(257)는 만곡부(259C)에 밀착된 상태를 계속 유지할 있다.
전술한 과정으로 난간대(230)의 각도 조절이 완료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공(222A)를 관통한 체결단(254C)에 판 스프링(259)를 끼운 후 너트(257)를 체결한다. 이와 같이 너트(257)를 체결단(254C)에 체결하여 조임으로써 체결단(254C)은 내부기둥(212)의 결합단(212A)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때, 너트(257)를 조임에 따라 판 스프링(259)의 만곡부(259C)가 탄성을 발생시키면서 변형되므로 너트(257)는 탄력 지지되어 풀림이 방지될 수 있다.
이어서, 고정나사(719)를 회전 지지부(256)로 관통시킨 후 외부기둥(214)에 체결한다. 고정나사(719)가 회전 지지부(256)를 관통하여 외부기둥(214)에 체결됨으로써 회전 지지부(256)의 각도 조절된 상태가 고정될 수 있고, 따라서 난간대(230)는 각도가 조절된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구조에 의해 난간대(230)가 난간기둥(210)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통행자가 난간대(230)을 잡고 보행하더라도 난간대(230)이 회전되거나 흔들리지 않게 된다.
한편, 난간대(230)의 각도를 조절하는 과정을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고정나사(259)로 회전 지지부(256)를 관통하여 외부기둥(214)에 체결하되 조이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고 체결단(254C)에 판 스프링(259)을 끼운 후 너트(257)를 체결하여 조이지 않은 상태에서, 난간대(230)의 설치 각도를 조절한다. 이때, 난간대(230)는 고정나사(259)를 축으로 한 회전만 가능하게 된다. 이어서 난간대(230)의 각도가 조절되면 고정나사(259)를 조여 구형의 회전 지지부(256)를 외부기둥(214)에 견고하게 고정하고, 너트(257)를 조여 체결단(254C)을 고정한다. 이 과정으로도 난간대(230)의 각도는 조절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도가 조절된 후 견고한 고정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전술한 과정으로 고정나사(259)가 회전 지지부(256)에 체결되면, 양쪽의 외부기둥(214)을 서로 결합한다. 이 과정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기둥(212)이 수용홈(214A)에 수용되고 회전 지지부(256)는 양쪽의 지지홈(214B)에 수용된 상태가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회전 지지부(256)가 구형으로 이루어지고, 각도조절부재(250)의 회전 지지부(256)가 난간기둥(210)에 회전 지지됨으로써 난간대(230)을 난간기둥(210)에 대하여 다양한 각도로 조절할 수 있게 되고, 특히 난간대(230)의 각도가 조절된 상태에서 고정나사(259)로 체결함으로써 난간대(230)의 각도 조절상태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난간기둥(210)은, 데크재(300)의 상면이 이루는 보행공간(A)의 바깥쪽에 위치하여 보행공간(A)이 확장되도록, 기둥 설치수단(500)에 의해 H빔(420)에 외팔보 구조로 결합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기둥 설치수단(500)는, 난간기둥(210)을 데크재(300)의 상면이 이루는 보행공간(A)의 바깥쪽에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즉, 난간기둥(210)이 데크재(300)를 벗어난 위치에 설치되도록 하여 기존 데크로드의 난간기둥이 차지하였던 공간을 보행공간(A)으로 확보하여 보행공간(A)이 실질적으로 확장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기둥 설치수단(50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H빔(420)을 감싸면서 결합되는 프레임 결합부(520)와, 프레임 결합부(420)의 상단 한쪽에 저면 한쪽이 외팔보 구조로 결합되고 내부기둥(212) 및 외부기둥(214)의 하부가 결합되어 난간기둥(210)을 보행공간(A)의 바깥쪽에 위치시키는 기둥 결합부(510)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기둥 결합부(510)는, 난간기둥(210)의 하부가 수직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평편하게 형성되고 소정의 두께와 면적으로 형성되어 수평으로 배치되는 기둥 지지판(512)과, 난간기둥(210)의 내부기둥(210)과 끼움 결합되도록 기둥 지지판(512)의 상면 중앙에서 직립하여 마련되는 끼움 결합단(514)과, 내부기둥(210)과 끼움 결합단(514)이 끼움 결합되고 난간기둥(210)의 하단부가 기둥 지지판(512)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난간기둥(210)의 하단부를 장식하고 결합부위를 커버하도록 기둥 지지판(512)의 상면에 마련되는 사각 링형상의 커버부재(5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커버부재(516)는 천연목재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다수개의 나사 체결공들이 외측에서 내측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나사 체결공을 통하여 체결나사가 커버부재(516) 또는 외부기둥(214)에 체결됨에 따라 커버부재(516)는 난간기둥(210)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여 임의 이탈이 방지된다.
그리고, 끼움 결합단(514)이 내부기둥(212)의 내부로 끼움 결합될 수도 있고, 내부기둥(212)이 끼움 결합단(514)의 내부로 끼움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끼움 결합단(514)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도록 수직 방향으로 분할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탄성이 발생되어 내부기둥(212)과의 결합이 보다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프레임 결합부(520)는, 기둥 지지판(512)을 H빔(420)에 견고하게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기둥 지지판(512)의 저면 한쪽과 상단이 결합되고 안쪽면(H빔과 마주보는 면)이 H빔(420)의 바깥쪽에 밀착되는 제1 수직 결합단(522)과, 제1 수직 결합단(522)과 직각이 되도록 배치되어 제1 수직 결합단(522)의 바깥면과 기둥 지지판(512)의 저면을 연결하여 제1 수직 결합단(522)과 기둥 지지판(512)을 지지하는 제1 보강편(523)과, 제1 수직 결합단(522)의 안쪽면에서 수평으로 연장되어 H빔(420)의 상면에 지지되는 수평 지지단(524)과, 제1 수직 결합단(522)과 마주보도록 수평 지지단(524)에서 직하방으로 연장 절곡되어 H빔(420)의 안쪽에 밀착되어 지지되고, 제1 수직 결합단(522) 및 수평 지지단(524)과의 사이에 하향으로 개방되는 "
Figure 112021142693585-pat00001
"형상의 결합부(525)를 형성하는 제2 수직 결합단(526)과, 결합부(525)로 H빔(420)을 감싼 상태에서 제1 수직 결합단(522)과 H빔(420) 및 제2 수직 결합단(526)을 관통한 후 체결되어 제1 수직 결합단(522)과 제2 수직 결합단(526)를 H빔(420)에 견고하게 결합시키는 결합볼트(528)들을 포함한다.
제1 수직 결합단(522)과 수평 지지단(524) 및 제2 수직 결합단(526)은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갖는 금속판재로 구성되며, 제1 보강편(523)은 삼각형을 이룬다.
결합볼트(528)들에는 체결너트(528A)들이 풀림방지용 스프링(528B)을 구비하여 각각 체결된다. 풀림방지용 스프링(528B)에 의해 진동이나 보행충격으로 인한 각 체결너트(528A)들의 풀림이 방지될 수 있다.
제1 수직 결합단(522)의 안쪽면 상단과 수평 지지단(524)의 상면 사이에는, 제1 수직 결합단(522)과 수평 지지단(524)에 각 일단이 결합되어 제1 수직 결합단(522)과 수평 지지단(524)을 지지하도록 수평단(527A)과 수직단(527B)으로 이루어진 제2 보강편(527)이 마련된다. 제2 보강편(527)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크기는 각관(430)의 크기와 같도록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2 보강편(527)의 수직단(527B) 양쪽에는 연장 보강편이 마련될 수 있다. 연장 보강편은 수평 지지단(524)이 H빔(420)의 상면에 안착되어 결합되면 수직단(527B)의 양쪽을 양쪽의 각관(430) 외측면에 볼트 또는 용접으로 결합시켜 결합력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수평 지지단(524)은 제1 수직 결합단(522)의 상단부에 결합될 수도 있고, 제2 보강편(527)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제1 수직 결합단(522)과 H빔(420)의 수직부(422) 바깥면 사이 및 제2 수직 결합단(526)과 수직부(422)의 안쪽면 사이에는, 제1 수직 결합단(522)과 제2 수직 결합단(526)이 H빔(420)을 감싼 상태에서 결합볼트(528)들이 체결될 때 제1 수직 결합단(522)과 제2 수직 결합단(526)을 보강하여 지지하기 위한 제3 보강편(529)이 각각 마련된다. 각각의 제3 보강편(529)은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갖는 금속판재로 이루어지며, 수직부(422)와 각 제1,2 수직 결합단(522,526)이 형성하는 공간의 형상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3 보강편(529)은 각 제1,2 수직 결합단(522,526)과 수직부(422) 양쪽의 결합력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제1 수직 결합단(522) 및 제2 수직 결합단(526)과는 직각이 되도록 각각 마련되고, 각 제3 보강편(529)들은 용접이나 볼트의 체결에 의해 제1 수직 결합단(522), H빔(420) 및 제2 수직 결합단(526)에 결합될 수 있다. 볼트로 체결할 경우에, 각 제3 보강편(529)에는 절곡된 체결편이 체결공들을 구비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제3 보강편(529)들은 체결공들을 구비한 체결편이 양쪽에 각각 형성되도록 "
Figure 112021142693585-pat00002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볼트 결합구조에 의해 추후 프레임 결합부(520)를 H빔(420)에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각의 제3 보강편(529)이 제1 수직 결합단(522)과 H빔(420)의 수직부(422) 바깥면 사이 그리고, 제2 수직 결합단(526)과 수직부(422)의 안쪽면 사이에 구비됨으로써 제1 수직 결합단(522)과 제2 수직 결합단(526)이 H빔(420)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고 결합 강성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기둥 설치수단(500)을 이용하여 난간기둥(210)을 보행공간(A)의 바깥쪽에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각관(430)의 일부분을 프레임 결합부(520)의 폭만큼 절단하여 설치부를 형성한다.
각관(430)의 일부가 절단되어 설치부가 형성되면, 수평 지지단(524)을 설치부에 삽입하여 H빔(420)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한다. 즉, 제1 수직 결합단(522)과 수평 지지단(524) 및 제2 수직 결합단(526)으로 구성된 프레임 결합부(520)를 H빔(420)에 결합한다.
다시 설명하면, 제1 수직 결합단(522)과 수평 지지단(524) 및 제2 수직 결합단(526) 사이에 하향으로 개방된 "
Figure 112021142693585-pat00003
" 형상의 결합부(529)가 형성되므로, 프레임 결합부(520)를 하향으로 이동시키면 결합부(529) 내부로 H빔(420)이 삽입되어 결합부(520)로 H빔(420)을 감싸게 된다.
이때, 제1 수직 결합단(522)은 H빔(420)의 바깥쪽에 밀착되고 제2 수직 결합단(526)은 안쪽에 밀착되며, 수직 지지단(524)은 H빔(420)의 상면에 밀착된다.
이어서, 결합부(529)가 H빔(420)을 감싸면서 결합되면, 다수개의 결합볼트(528)들을 제1 수직 결합단(522)과 H빔(420)의 수직부(422) 및 제2 수직 결합단(526)으로 관통시킨 후 너트로 체결한다.
이때, 제1 수직 결합단(522)과 수직부(422)의 바깥쪽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제3 보강편(529)을 끼운 후 고정하고, 제2 수직 결합단(526)과 수직부(422)의 안쪽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보강편(529)을 끼운 후 고정한다.
이 과정으로 프레임 결합부(520)는 H빔(420)의 바깥쪽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어서, 기둥 결합부(510)에 난간기둥(210)의 하단부를 결합하되, 내부기둥(212)을 끼움 결합단(514)에 결합하고 외부기둥(214)으로 내부기둥(212)을 감싼 후 외부기둥(214)과 내부기둥(212)를 결합한다.
난간기둥(210)의 하단부를 기둥 결합편(512)의 상면에 고정 결합함으로써 난간기둥(210)은 H빔(420)의 바깥쪽, 즉 보행공간(A)의 바깥쪽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둥 설치수단(500)의 기둥 결합부(510)가 프레임 결합부(520)에 의해 외팔보 구조로 H빔(420)에 결합되고, 난간기둥(210)이 기둥 결합부(510)에 수직으로 세워져 결합됨으로써, 도 3 내지 도 5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간기둥(210)이 데크재(300)의 상면 면적이 형성하는 보행공간(A) 밖에 위치하게 되어 보행공간(A)에 간섭되지 않게 되고 그 면적이 기존 데크로드에 비하여 확장된다.
즉, 기존의 데크로드는 난간기둥(210)이 데크재(300)의 가장자리 영역을 관통하여 설치됨으로써 난간기둥(210)을 설치하기 위하여 데크재(300)를 절개하는 작업을 해야만 했을 뿐만 아니라, 난간기둥(210)이 데크재(300)를 관통하여 설치됨으로써 난간기둥(210)이 차지하는 공간 만큼 보행공간(A)이 좁아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난간기둥(210)이 보행공간(A)에 위치함으로써 보행자의 통행에 간섭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나, 본 발명에서는 난간기둥(210)을 지지하는 기둥 설치수단(500)이 외팔보 구조로 H빔(420)에 결합됨으로써 난간기둥(210)이 데크재(300)의 바깥쪽에 위치하게 되어 보행공간(A)을 침범하지 않게 되고, 따라서 넓은 보행공간(A)이 확보될 수 있다.
특히, 같은 규격의 데크로드(100)에 비하여 현저하게 확장된 보행면적(A)을 제공할 수 있고 작업의 용이성이 확보될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데크로드 시스템
200 : 난간 210 : 난간기둥
230 : 난간대 300 : 데크재
400 : 프레임 410 : 수직 프레임
420 : H빔 430 : 각관
500 : 기둥 설치수단 510 : 기둥 설치부
520 : 프레임 결합부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각각의 H빔과, 상기 H빔의 상면에 배치되는 각각의 각관을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각관의 상면에 연이어 설치되어 보행공간을 형성하는 각각의 데크재; 및
    금속재로 된 내부기둥과 상기 내부기둥을 감싸면서 결합되는 한 쌍의 외부기둥으로 이루어진 난간기둥과, 각 상기 난간기둥을 연결하는 난간대를 포함하는 난간을 포함하고,
    상기 난간기둥이 상기 보행공간의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상부에는 상기 난간기둥이 결합되고 하부는 상기 H빔에 결합되는 기둥 설치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둥 설치수단은,
    상기 H빔을 감싸면서 결합되는 프레임 결합부; 및
    상기 프레임 결합부의 상단 한쪽에 저면 한쪽이 외팔보 구조로 결합되어 상기 난간기둥을 상기 보행공간의 바깥쪽에 위치시키는 기둥 결합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기둥 결합부는,
    평편하게 형성된 기둥 지지판;
    상기 내부기둥과 결합되도록 상기 기둥 지지판의 상면 중앙에서 직립하여 마련되는 끼움 결합단; 및
    상기 내부기둥과 상기 끼움 결합단이 끼움 결합되고 상기 외부기둥의 하단부가 상기 기둥 지지판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기둥의 하단부를 장식하고 커버하도록 상기 기둥 지지판의 상면에 마련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공간을 확장한 H빔 구조 데크로드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결합부는,
    상기 기둥 지지판의 저면 한쪽과 상단이 결합되고 안쪽면이 상기 H빔의 바깥쪽에 밀착되는 제1 수직 결합단;
    상기 제1 수직 결합단과 직각이 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 수직 결합단의 바깥면과 상기 기둥 지지판의 저면을 연결하여 상기 제1 수직 결합단과 상기 기둥 지지판을 지지하는 제1 보강편;
    상기 제1 수직 결합단의 안쪽면에서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기 H빔의 상면에 지지되는 수평 지지단;
    상기 제1 수직 결합단과 마주보도록 상기 수평 지지단에서 직하방으로 연장 절곡되어 상기 H빔의 안쪽에 지지되고, 상기 제1 수직 결합단 및 상기 수평 지지단과의 사이에 하향으로 개방되는 결합부를 형성하는 제2 수직 결합단; 및
    상기 결합부로 상기 H빔을 감싼 상태에서 상기 제1 수직 결합단과 상기 H빔 및 상기 제2 수직 결합단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결합볼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공간을 확장한 H빔 구조 데크로드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직 결합단의 안쪽면 상단과 상기 수평 지지단의 상면 사이에는,
    상기 제1 수직 결합단과 상기 수평 지지단에 각 일단이 결합되어 상기 제1 수직 결합단과 상기 수평 지지단을 지지하도록 수평단과 수직단으로 이루어진 제2 보강편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공간을 확장한 H빔 구조 데크로드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직 결합단과 상기 H빔의 수직부 사이 및 상기 제2 수직 결합단과 상기 수직부 사이에는,
    상기 제1 수직 결합단과 상기 제2 수직 결합단이 상기 H빔을 감싼 상태에서 상기 결합볼트들이 체결될 때 상기 제1 수직 결합단과 상기 제2 수직 결합단을 지지하기 위한 제3 보강편이 상기 제1 수직 결합단 및 상기 제2 수직 결합단과는 직각이 되도록 각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공간을 확장한 H빔 구조 데크로드 시스템.
  7. 삭제
  8. 각각의 H빔과, 상기 H빔의 상면에 배치되는 각각의 각관을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각관의 상면에 연이어 설치되어 보행공간을 형성하는 각각의 데크재; 및
    금속재로 된 내부기둥과 상기 내부기둥을 감싸면서 결합되는 한 쌍의 외부기둥으로 이루어진 난간기둥과, 각 상기 난간기둥을 연결하는 난간대를 포함하는 난간을 포함하고,
    상기 난간기둥이 상기 보행공간의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상부에는 상기 난간기둥이 결합되고 하부는 상기 H빔에 결합되는 기둥 설치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난간은
    상기 난간기둥에 대하여 상기 난간대의 각도를 조절하고, 조절된 각도를 고정하기 위한 각도조절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각도조절부재는,
    상기 난간대의 단부에 결합되는 난간대 결합부;
    상기 난간대 결합부의 한쪽에서 연장되고 단부영역에는 체결단이 형성된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중앙에 마련되어 양쪽 상기 외부기둥에 형성되는 각 반구형의 지지홈에 회전 지지되도록 안착되는 구형의 회전 지지부; 및
    상기 체결단이 상기 내부기둥에 형성되는 관통공을 통과한 상태에서 상기 체결단에 체결되는 너트의 풀림을 방지하도록 상기 체결단에 마련되는 판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판 스프링은,
    상기 내부기둥의 관통공 주변에 밀착되도록 양쪽에 마련되는 각각의 지지단; 양쪽 상기 지지단에서 원호형으로 볼록하게 돌출 형성되어 탄성을 발생시키고 상기 너트의 위치변경을 허용하기 위한 만곡부; 및 상기 만곡부의 중앙에 상기 체결단이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체결단 관통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공간을 확장한 H빔 구조 데크로드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재는,
    상기 회전 지지부를 관통하여 상기 외부기둥에 체결되어 상기 회전 지지부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나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공간을 확장한 H빔 구조 데크로드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반구형의 지지홈은,
    한쪽에 상기 내부기둥이 수용되는 수용홈과 연통되는 내부 연통홈이 형성되고, 반대쪽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외부 연통홈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 연통홈과 상기 외부 연통홈은, 상기 난간대의 각도 조절을 위한 상기 연장부의 회전에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연장부의 외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공간을 확장한 H빔 구조 데크로드 시스템.

KR1020210175337A 2021-12-09 2021-12-09 보행공간을 확장한 h빔 구조 데크로드 시스템 KR102370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5337A KR102370194B1 (ko) 2021-12-09 2021-12-09 보행공간을 확장한 h빔 구조 데크로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5337A KR102370194B1 (ko) 2021-12-09 2021-12-09 보행공간을 확장한 h빔 구조 데크로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0194B1 true KR102370194B1 (ko) 2022-03-04

Family

ID=80813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5337A KR102370194B1 (ko) 2021-12-09 2021-12-09 보행공간을 확장한 h빔 구조 데크로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019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4426B1 (ko) * 2022-03-08 2022-06-29 (주)세인환경디자인 데크로드의 난간 결합구조
KR102499605B1 (ko) * 2022-10-05 2023-02-14 주식회사 알티스멀티 시공오차 보정이 가능한 접지력 강화 말뚝 및 이를 이용한 데크로드
KR102527150B1 (ko) * 2022-09-20 2023-04-28 주식회사 서원비에스티 평면선형이 자유롭고 보행환경이 개선된 데크로드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729Y1 (ko) 2010-08-10 2011-05-27 (주)이레이앤엘 데크로드시스템의 난간기둥 고정장치
KR101490495B1 (ko) * 2014-04-28 2015-02-11 노상욱 유격방지장치를 구비한 조립식 목구조물
KR101708671B1 (ko) * 2016-07-13 2017-02-22 휴인 주식회사 프리스트레스 긴장재가 도입된 데크로드 구조물
KR101777374B1 (ko) * 2017-06-05 2017-09-12 (유)송원이엔지 난간 일체형 데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729Y1 (ko) 2010-08-10 2011-05-27 (주)이레이앤엘 데크로드시스템의 난간기둥 고정장치
KR101490495B1 (ko) * 2014-04-28 2015-02-11 노상욱 유격방지장치를 구비한 조립식 목구조물
KR101708671B1 (ko) * 2016-07-13 2017-02-22 휴인 주식회사 프리스트레스 긴장재가 도입된 데크로드 구조물
KR101777374B1 (ko) * 2017-06-05 2017-09-12 (유)송원이엔지 난간 일체형 데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4426B1 (ko) * 2022-03-08 2022-06-29 (주)세인환경디자인 데크로드의 난간 결합구조
KR102527150B1 (ko) * 2022-09-20 2023-04-28 주식회사 서원비에스티 평면선형이 자유롭고 보행환경이 개선된 데크로드 시스템
KR102499605B1 (ko) * 2022-10-05 2023-02-14 주식회사 알티스멀티 시공오차 보정이 가능한 접지력 강화 말뚝 및 이를 이용한 데크로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0194B1 (ko) 보행공간을 확장한 h빔 구조 데크로드 시스템
AU2005211415B2 (en) Suspended storage shelf
KR102374283B1 (ko) 탄성결합 클립형 데크로드와 결속력 강화 확장형 난간 및 h빔 구조를 갖는 데크로드 시스템
KR102348293B1 (ko) 폐타이어칩 충진 각관과 확장형 모듈난간 데크로드 시스템
US20100205875A1 (en) Pole assembly and mounting thereof
CA2401007A1 (en) Portable fencing system and components therefor
KR200484993Y1 (ko) 지주와 난간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결합시키기 위한 휀스용 연결조립체
KR101515371B1 (ko) 데크로드용 데크판 받침골조 고정장치
KR101006536B1 (ko) 표지판 고정장치
KR102447799B1 (ko) 양방향 각도 조절 가능한 십자형 안전난간
KR200492378Y1 (ko) 경사지 지주 설치용 체결밴드
KR200350282Y1 (ko) 조립식 지주가 구비된 펜스
KR102439268B1 (ko) 각도 조절이 용이한 확장형 천연목재 모듈난간
KR102486824B1 (ko) 경사지에 설치가 용이한 확장형 천연목재 난간 시스템
KR20090007770U (ko) 난간의 고정구조
KR200400991Y1 (ko) 접근방지용 안전 휀스 지지구
JP2006057399A (ja) 手摺り柵
KR102414426B1 (ko) 데크로드의 난간 결합구조
JP2829819B2 (ja) 落石等の防護柵
JP3186611B2 (ja) 格子材取付構造
KR101759651B1 (ko) 데크로드의 교각 연결구조
KR200216256Y1 (ko) 펜스
JP2882988B2 (ja) 雪庇発生防止装置
JP3818443B2 (ja) 忍び返し付きフェンス
KR100375128B1 (ko) 펜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