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6536B1 - 표지판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표지판 고정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06536B1 KR101006536B1 KR1020100087942A KR20100087942A KR101006536B1 KR 101006536 B1 KR101006536 B1 KR 101006536B1 KR 1020100087942 A KR1020100087942 A KR 1020100087942A KR 20100087942 A KR20100087942 A KR 20100087942A KR 101006536 B1 KR101006536 B1 KR 10100653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rizontal bar
- fixing
- bolt
- hole
- sig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2—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frames therefor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8—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panel clamping or fastening mea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37—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supported by a post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09F7/22—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for rotatably or swingably mounting, e.g. for boards adapted to be rotated by the wind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09F2007/1804—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for fastening to a post
- G09F2007/1821—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for fastening to a post the post having slots or flanges to fasten the sign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09F2007/1847—Brackets to grip the sign boar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주에 표지판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지주가 기울어지더라도 표지판의 수평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각도의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표지판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표지판 고정장치는, 지주에 표지판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지주에 결합고정되는 수평바 고정모듈과, 이 수평바 고정모듈에 상방 또는 하방으로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중공을 갖는 수평바와, 이 수평바의 하면에 장착되며, 표지판이 결합고정되는 표지판 고정모듈을 포함하며, 수평바 고정모듈은 지주를 감싸 고정될 수 있도록 테두리의 일부가 절개된 속이 빈 원기둥 형상을 갖되 절개부에서 각각 지주의 외측방향으로 절곡 연장되고 수직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볼트관통공을 갖는 연장부가 형성되는 고정브래킷과, 수평바의 일단부가 관통할 수 있도록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된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양단에는 지주와 맞닿도록 각각 직각으로 절곡되고 고정브래킷의 볼트관통공과 대응되는 볼트관통공을 갖는 절곡부가 형성되며 절곡부가 고정브래킷의 연장부의 내측에 접촉되도록 삽입되는 지지브래킷을 포함하고, 수평바의 일단부의 양측면에는 고정브래킷의 연장부 및 지지브래킷의 절곡부의 볼트관통공 중 중앙부의 볼트관통공을 관통하는 볼트에 회전가능하게 결합 될 수 있도록 제1샤프트공이 형성되고, 지주가 기울어진 경우 수평바의 각도를 조절하여 표지판의 수평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지판 고정장치는, 지주에 표지판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지주에 결합고정되는 수평바 고정모듈과, 이 수평바 고정모듈에 상방 또는 하방으로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중공을 갖는 수평바와, 이 수평바의 하면에 장착되며, 표지판이 결합고정되는 표지판 고정모듈을 포함하며, 수평바 고정모듈은 지주를 감싸 고정될 수 있도록 테두리의 일부가 절개된 속이 빈 원기둥 형상을 갖되 절개부에서 각각 지주의 외측방향으로 절곡 연장되고 수직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볼트관통공을 갖는 연장부가 형성되는 고정브래킷과, 수평바의 일단부가 관통할 수 있도록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된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양단에는 지주와 맞닿도록 각각 직각으로 절곡되고 고정브래킷의 볼트관통공과 대응되는 볼트관통공을 갖는 절곡부가 형성되며 절곡부가 고정브래킷의 연장부의 내측에 접촉되도록 삽입되는 지지브래킷을 포함하고, 수평바의 일단부의 양측면에는 고정브래킷의 연장부 및 지지브래킷의 절곡부의 볼트관통공 중 중앙부의 볼트관통공을 관통하는 볼트에 회전가능하게 결합 될 수 있도록 제1샤프트공이 형성되고, 지주가 기울어진 경우 수평바의 각도를 조절하여 표지판의 수평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지주에 표지판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지주가 기울어지더라도 표지판의 수평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각도의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표지판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지판은 사람들에게 정보를 시각적으로 보여주기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서, 주로 도로안내용이나 광고용 표지판(이하 '표지판'으로 통칭함) 등으로 활용되고 있다. 특히, 도로변에 설치되는 표지판은 보행자 또는 운행자에게 목적지나 현재위치 등과 같은 정보를 제공하며, 복잡한 도심이나 처음 방문하는 지역을 지나는 경우에 매우 유용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표지판은 지주에 고정된 가로바의 하부에 필요한 정보 내지 크기로 마련되어 고정되며, 수평하게 설치되는 가로바의 하부에 고정되기 때문에 보행자 또는 운행자에 대해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큰 어려움 없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가로바가 설치된 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지주가 기울어지는 경우에는 표지판도 동시에 기울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표지판이 수평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게 되어 정보확인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좋지 않은 미관을 제공하게 되는데, 종래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이 개시된 바가 없다.
그리고 종래에는 가로바에 표지판을 연결하기 위하여 필요한 연결수단이 가로바에 용접으로 고정되었는데, 이처럼 용접으로 고정하게 되면 비나 습기에 의해 용접부위가 부식되어 약화될 수 있으며 표지판의 하중으로 인해 용접부위가 떨어져 나가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이는 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표지판이 낙하하여 사고가 발생할 위험도 존재한다.
또한, 종래의 표지판은 가로바에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되는데, 강풍이 부는 경우 바람에 대한 저항력이 커서 표지판과 가로바의 연결수단에 손상이 생기게 되고, 그에 따라 표지판이 가로바로부터 낙하하거나 가로바가 휘어져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지주가 기울어지더라도 표지판의 수평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각도의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표지판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접에 의하지 않고 간단하게 표지판을 수평바에 설치할 수 있는 표지판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바람에 대한 저항력이 감소되도록 하여 강풍이 불더라도 표지판과 수평바의 고정상태가 해제되지 않도록 하는 표지판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주에 표지판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지주에 결합고정되는 수평바 고정모듈과, 이 수평바 고정모듈에 상방 또는 하방으로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중공을 갖는 수평바와, 이 수평바의 하면에 장착되며, 표지판이 결합고정되는 표지판 고정모듈을 포함하며, 수평바 고정모듈은 지주를 감싸 고정될 수 있도록 테두리의 일부가 절개된 속이 빈 원기둥 형상을 갖되 절개부에서 각각 지주의 외측방향으로 절곡 연장되고 수직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볼트관통공을 갖는 연장부가 형성되는 고정브래킷과, 수평바의 일단부가 관통할 수 있도록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된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양단에는 지주와 맞닿도록 각각 직각으로 절곡되고 고정브래킷의 볼트관통공과 대응되는 볼트관통공을 갖는 절곡부가 형성되며 절곡부가 고정브래킷의 연장부의 내측에 접촉되도록 삽입되는 지지브래킷을 포함하고, 수평바의 일단부의 양측면에는 고정브래킷의 연장부 및 지지브래킷의 절곡부의 볼트관통공 중 중앙부의 볼트관통공을 관통하는 볼트에 회전가능하게 결합 될 수 있도록 제1샤프트공이 형성되고, 지주가 기울어진 경우 수평바의 각도를 조절하여 표지판의 수평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지판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삭제
이 경우, 상기 고정브래킷은 상기 지주의 일부를 감쌀 수 있는 원호 형상의 판으로 이루어지되 양단에 제1 및 제2연장부가 절곡 형성되는 제1고정브래킷과, 상기 제1고정브래킷과 대칭되게 형성되는 제2고정브래킷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고정브래킷의 제1연장부는 서로 접촉되어 볼트결합되고 제2연장부가 서로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브래킷의 연장부 및 상기 지지브래킷의 절곡부의 볼트관통공 중 중앙부의 볼트관통공은 볼트가 결합고정되는 높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원호 형상의 장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수평바는 상기 제1샤프트공과 수평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제2샤프트공을 가져 상기 제2샤프트공을 관통하는 볼트를 축으로 회전가능하며, 상기 수평바 고정모듈은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일측에 상기 고정브래킷의 볼트관통공에 대응되는 볼트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브래킷의 연장부의 외측에 접촉결합되며 타측에 상기 수평바의 제2샤프트공을 관통하는 볼트가 관통고정될 수 있도록 각도고정홀이 형성되는 한 쌍의 각도조절 브래킷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수평바는 상기 제1샤프트공과 수평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제2샤프트공을 가져 상기 제2샤프트공을 관통하는 볼트를 축으로 회전가능하며, 상기 고정브래킷의 연장부는 상기 수평바의 길이방향으로 더 연장되고 상기 수평바의 제2샤프트공을 관통하는 볼트가 관통고정될 수 있는 각도고정홀을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수평바에는 상기 제1샤프트공과 수평으로 이격된 위치에 제1각도조절홀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바 고정모듈은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일측에 상기 고정브래킷의 볼트관통공에 대응되는 볼트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브래킷의 연장부의 외측에 접촉결합되며 타측에 상기 수평바의 제1각도조절홀을 관통하는 볼트의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샤프트공을 중심으로 한 원호 형상의 제2각도조절홀이 형성되는 한 쌍의 각도조절 브래킷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수평바에는 상기 제1샤프트공과 수평으로 이격된 위치에 제1각도조절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브래킷의 연장부는 상기 수평바의 길이방향으로 더 연장되고 상기 수평바의 제1각도조절홀을 관통하는 볼트의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상기 수평바의 제1샤프트공을 중심으로 한 원호 형상의 제2각도조절홀을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수평바 고정모듈은, 상기 각도조절 브래킷의 외측에 접촉결합되며 대응되는 볼트관통공이 표면에 형성되는 판 형상의 제1고정부와 상기 제1고정부의 양단에서 직각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2고정부를 갖는 보조브래킷과, 양단이 상기 보조브래킷의 제2고정부의 외측에 각각 결합고정되어 아치형상을 이루는 측면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표지판 고정모듈은, 상기 수평바의 하면에 형성되는 결합공에 삽입될 수 있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단부에서 직각으로 절곡되되 상기 수평바의 결합공을 관통하지 않도록 확장형성되어 상기 수평바의 하방으로 노출되는 지지부를 가져 상기 삽입부가 상기 수평바의 결합공에 끼워진 후 상기 수평바의 내측 하면에 접촉되도록 회동되면 이탈이 방지되며 서로 소정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사이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하부에 표지판이 결합고정되는 표지판 고정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와 표지판 고정부재를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평바의 결합공은 장공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지지부재의 삽입부 및 지지부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부가 상기 삽입부의 폭보다 큰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지지부재의 지지부 및 상기 표지판 고정부재의 상단부를 관통하는 볼트와 상기 볼트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볼트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는 너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부재의 지지부 및 상기 표지판 고정부재의 상단부에는 볼트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표지판 고정부재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볼트관통공은 상기 볼트의 바디의 외직경보다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표지판 고정부재가 상기 볼트를 축으로 회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지판 고정부재는 상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형성되어 표지판의 상단이 끼워질 수 있도록 삽입홈을 형성하는 파지부를 가지며, 상기 파지부의 표면에는 상기 표지판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볼트결합이 가능하도록 관통홀이 대향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표지판 고정모듈은 상기 표지판 고정부재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볼트관통공의 내면과 상기 결합수단의 볼트의 사이에 개재되는 중공을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보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지판 고정장치에 의하면, 수평바의 각도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지주가 수평바의 설치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기울어지더라도 표지판의 수평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표지판 고정모듈을 용접에 의하지 않고 간단하게 수평바에 결합시킬 수 있기 때문에, 그 설치가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용접부의 부식 등에 의한 표지판의 낙하 등의 문제가 해소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표지판 고정모듈의 표지판 고정부재와 이에 고정된 표지판이 회동될 수 있어 바람에 대한 저항력이 감소하게 되므로, 강풍이 불더라도 표지판 고정모듈의 손상이 발생할 염려가 없고, 이에 따라 표지판의 낙하사고에 대한 위험이 없어진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표지판 고정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지판 고정장치의 수평바 고정모듈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표지판 고정장치의 수평바 고정모듈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표지판 고정장치의 수평바 고정모듈에 대한 다른 실시예들을 보인 단면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표지판 고정장치의 표지판 고정모듈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표지판 고정모듈의 지지부재의 결합과정을 보인 단면도.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표지판 고정모듈의 사용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지판 고정장치의 수평바 고정모듈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표지판 고정장치의 수평바 고정모듈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표지판 고정장치의 수평바 고정모듈에 대한 다른 실시예들을 보인 단면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표지판 고정장치의 표지판 고정모듈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표지판 고정모듈의 지지부재의 결합과정을 보인 단면도.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표지판 고정모듈의 사용상태를 보인 측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표지판 고정장치는 수평바 고정모듈(100), 수평바(200) 및 표지판 고정모듈(300)을 포함하며, 지주(P)가 기울어진 경우 표지판(S)의 수평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수평바(200)의 각도조절을 가능하게 하는데에 가장 큰 기술적 특징이 있는 것이다.
수평바 고정모듈(100)은 지주(P)에 결합고정되어 수평바(200)가 지주에 수평 고정되도록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브래킷(110a, 110b)과 지지브래킷(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각도조절 브래킷(13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보조브래킷(140)과 측면커버(15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수평바(2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을 갖는 바(bar)로 이루어지는데, 그 일단이 지주(P)에 고정되는 수평바 고정모듈(100)에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하면에는 표지판 고정모듈(300)이 장착된다.
수평바 고정모듈(100)과의 결합을 위해 수평바(200)의 일단 양측면에는 제1샤프트공(210)이 형성된다. 제1샤프트공(210)은 수평바 고정모듈(100)의 고정브래킷(110a, 110b)과 지지브래킷(120)의 볼트관통공 중 중앙부의 볼트관통공(114', 126')을 관통하는 볼트가 관통되도록 형성되며, 이에 따라 수평바(200)는 제1샤프트공(210)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볼트를 축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표지판 고정모듈(300)의 결합을 위해 수평바(200)의 하면에는 결합공(240)이 형성되는데, 결합공(240)은 장공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8 참조).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바(200)에는 제1샤프트공(210)과 소정거리로 이격되도록 제2샤프트공(22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샤프트공(210)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수평바(2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고정브래킷(110a, 110b)과 지지브래킷(120)에 의해 수평 고정되지만, 그 고정력을 더욱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별도로 제2샤프트공(220)을 형성하여 후술하는 각도조절 브래킷(130)이나 고정브래킷(110a, 110b)의 연장부분과 볼트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필요에 따라 제2샤프트공(220)을 더 형성하거나 또는 제1샤프트공(210)만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수평바(200)에 대하여는 수평바 고정모듈(100)과 표지판 고정모듈(300)에 대한 설명을 하면서 관련되는 부분에서 부연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수평바 고정모듈(100)의 고정브래킷(110a, 110b), 지지브래킷(120), 각도조절 브래킷(130), 보조브래킷(140) 및 측면커버(15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고정브래킷은 지주(P)의 외면을 감싸 고정될 수 있도록 테두리의 일부가 절개된 속이 빈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절개부에서 각각 지주의 외측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연장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일체형 고정브래킷의 경우 탄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면 지주에 결합시키는데 큰 어려움은 없다.
고정브래킷에 연장부를 형성하는 이유는 각 연장부 사이에서 수평바가 결합고정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도록 하기 위함이며, 연장부에는 지지브래킷 및 수평바와의 결합을 위해 복수의 볼트관통공이 수직으로 배열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고정브래킷의 연장부는 서로 평행을 이루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일체형으로 된 고정브래킷 외에도,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P)를 감싸도록 결합될 수 있는 제1고정브래킷(110a)과 제2고정브래킷(110b)을 포함하는 고정브래킷이 이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고정브래킷(110a)과 제2고정브래킷(110b)은 상호 대칭되는 형상을 갖는데, 지주(P)의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원호형상의 판으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양단에 제1연장부(111a, 111b)와 제2연장부(112a, 112b)가 절곡 형성된다.
제1 및 제2고정브래킷(110a, 110b)는 지주를 감싼 후 제1연장부(111a, 111b)가 서로 접촉되어 볼트결합됨으로써 고정되며, 제2연장부(112a, 112b)는 지지브래킷(120) 및 수평바(200)와의 결합고정을 위한 공간이 확보되도록 서로 소정간격으로 이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연장부(112a, 112b)는 서로 평행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고정브래킷과 관련하여 주로 제1고정브래킷(110a)과 제2고정브래킷(110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대상으로 설명할 것이지만, 전술한 일체형 고정브래킷과는 일체형이냐 분리결합형이냐의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기술적 특징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일체형으로 된 고정브래킷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고정브래킷(111a, 111b)의 제2연장부(112a, 112b)의 표면에는 복수의 볼트관통공(114, 114')이 형성되는데, 볼트관통공(114, 114')은 수직으로 배열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볼트관통공 중 중앙부의 볼트관통공(114')은 수평바(200)의 각도조절을 보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지지브래킷(12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브래킷(111a, 111b)의 제2연장부(112a, 112b) 사이에 설치되어 수평바(2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지지브래킷(120)은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양단에는 직각으로 절곡되는 절곡부(124)가 형성된다. 즉, 대략 'ㄷ'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지지브래킷(120)은 절곡부(124)의 외측이 고정브래킷(111a, 111b)의 제2연장부(112a, 112b)의 내측에 접촉되어 결합되며, 절곡부(124)의 단부는 지주(P)에 맞닿는다.
그리고 지지브래킷(120)의 전면 중앙부에는 수평바(200)가 관통할 수 있도록 사각형상의 개구부(122)가 형성되는데, 개구부(122)는 밑변이 수평바(200)의 폭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야 하고 높이가 수평바(200)의 높이보다 크게 형성되어야 한다. 전자는 지지브래킷(120)의 개구부(122)를 관통하는 수평바(200)의 테두리 양측면이 지지브래킷(120)의 절곡부(124)의 내측면에 접촉되어 결합고정되도록 하기 위함이며, 후자는 수평바(200)가 수직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만일, 수평바가 도시된 바와 같은 사각기둥 형상이 아니라,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지지브래킷(120)의 개구부(122)의 밑변이 수평바의 밑면의 지름과 대응되게 하고 그 높이는 수평바의 밑면의 지름보다 크게 하면 된다.
그리고 지지브래킷(120)의 절곡부(124)에는 고정브래킷(111a, 111b)의 제2연장부(112a, 112b)의 볼트관통공(114, 114')에 대응되는 볼트관통공(126, 126')이 형성되며, 이에 따라 고정브래킷(111a, 111b)과 지지브래킷(120)은 볼트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고정브래킷(111a, 111b)과 지지브래킷(120)을 관통하는 볼트를 너트로 조이게 되면 지지브래킷(120)의 절곡부(124)가 내측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되고 그에 따라 지지브래킷(120)의 절곡부(124) 사이로 삽입되는 수평바(200)가 흔들림없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브래킷(110a, 110b)의 제2연장부(112a, 112b)에 형성되는 볼트관통공과 지지브래킷(120)의 절곡부(124)에 형성되는 볼트관통공 중 중앙부의 볼트관통공(114', 126')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원호형의 장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것은 볼트가 결합고정되는 높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이에 따라 수평바(200)를 다양한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고정브래킷(110a, 110b)과 지지브래킷(120)을 지주(P)에 장착한 후 수평바(200)를 고정브래킷(110a, 110b)과 지지브래킷(120)에 결합고정시키는 것만으로 수평바(200)의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지만, 수평바(200)의 일단부만이 지지브래킷(120)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되기 때문에, 자칫 고정력이 약화되어 설치된 수평바(200)가 원하지 않는 상황에서도 회전되어 기울어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로 각도조절 브래킷(130)이 마련될 수 있다. 각도조절 브래킷(130)은 수평바(2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각도조절을 보조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각도조절 브래킷(130)은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에 고정브래킷(110a, 110b)의 볼트관통공(114, 114')에 대응되는 볼트관통공(132, 132')이 형성되어 고정브래킷(110a, 110b)의 제2연장부(112a, 112b)의 외측에 접촉되도록 결합고정된다. 각도조절 브래킷(130)은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각도조절 브래킷(130)의 타측에는 각도고정홀(134)이 형성되는데, 수평바(200)의 제2샤프트공(220)을 관통하는 볼트가 각도고정홀(134)을 관통하게 되고 이를 너트로 조임으로써 수평바(200)와 각도조절 브래킷(130)을 고정시킬 수 있어, 수평바(200)이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더욱이, 고정브래킷(110a, 110b) 및 지지브래킷(120), 그리고 각도조절 브래킷(130)의 볼트관통공 중 중앙부의 볼트관통공(114', 126', 132')이 원호 형상의 장공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수평바(200)의 제2샤프트공(220)을 중심으로 한 원호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수평바(200)가 제2샤프트공(220)을 축으로 회전될 때 제1샤프트공(210)을 관통하는 볼트가 볼트관통공(114', 126', 132')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데, 이에 따라 수평바(200)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최초 수평바(200)를 수평상태로 고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바(200)의 제1샤프트공(210)이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브래킷(120)의 볼트관통공(126')의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하면 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바(200)가 설치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지주(P)가 기울어진 경우에는, 수평바(200)를 고정하고 있는 볼트에 대한 너트를 약간 풀어 그 고정상태를 해제하고 제2샤프트공(220)을 관통하는 볼트를 축으로 수평바(200)를 하방으로 회전시켜 수평상태가 되게 한 후에 다시 너트를 조여 수평바(200)를 고정시키면 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바(200)가 설치된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지주(P)가 기울어진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수평바(200)의 고정상태를 해제하고 제2샤프트공(220)을 관통하는 볼트를 축으로 수평바(200)를 상방으로 회전시켜 수평상태가 되게 한 후에 다시 수평바(200)를 고정시키면 된다.
이와 같이, 지주(P)가 어느 쪽으로 기울어지더라도 수평바(200)의 각도를 조절하여 언제든지 수평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수평바 고정모듈(100)에 대한 다른 실시예들이 도 6 및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수평바 고정모듈(100)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수평바 고정모듈에서 각도조절 브래킷(130)을 제거하고 고정브래킷(110a, 110b)의 제2연장부(111a, 111b)에 각도고정홀(도면부호 표시되지 않음)을 형성한 것이다.
즉, 별도의 각도조절 브래킷(130)을 결합시키지 않고, 고정브래킷(110a, 110b)의 제2연장부(111a, 111b)를 더 연장시키고 수평바(200)의 제2샤프트공(220)을 관통하는 볼트가 관통고정되도록 각도고정홀을 형성한 것이다.
이에 의하더라도, 도 3 내지 도 5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수평바(200)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수평바 고정모듈(100)과 관련하여,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수평바 고정모듈과 차이점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바(100)에는 제1샤프트공(210)과 수평으로 이격된 위치에 제1각도조절홀(도면부호 표시되지 않음)이 형성되는데, 제1각도조절홀은 원형의 홀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각도조절 브래킷(130')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각도조절 브래킷(130)과 대략 동일한 형상과 기능을 갖도록 형성되지만, 각도조절 브래킷(130')의 타측에 수평바(200)의 제1샤프트공(도면부호 표시되지 않음)을 중심으로 한 원호 형상의 제2각도조절홀(136)이 형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에 따라, 수평바(200)의 제1각도조절홀을 관통하는 볼트가 각도조절 브래킷(130')의 제2각도조절홀(136)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될 수 있기 때문에, 수평바(200)가 제1샤프트공을 축으로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참고로, 이 경우에는 고정브래킷(110a, 110b), 지지브래킷(120) 및 각도조절 브래킷(130)의 볼트관통공 중 중앙부의 볼트관통공(114', 126', 132')이 원호 형상의 장공으로 이루어지지 않아도 무방하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7에 도시된 수평바 고정모듈에서 각도조절 브래킷(130')을 제거하고 고정브래킷의 제2연장부를 더 연장시키고 거기에 원호 형상의 제2각도조절홀을 형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보조브래킷(140)과 측면커버(150)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보조브래킷(140)은 각도조절 브래킷(130), 고정브래킷(110a, 110b), 지지브래킷(120) 및 수평바(200)의 결합고정력을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것으로서, 각도조절 브래킷(130)의 외측에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판 형상의 제1고정부(142), 제1고정부(142)의 양단에서 직각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2고정부(144)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제1고정부(142)의 표면에는 각도조절 브래킷(130)의 볼트관통공(132, 132')에 대응되는 형상의 볼트관통공(143, 143')이 형성되고, 제2고정부(144)의 표면에는 후술하는 측면커버(150)와의 결합을 위한 볼트관통공(도면부호 표시되지 않음)이 형성된다
측면커버(150)는 각도조절 브래킷(130)과 보조브래킷(140)의 외부를 감쌀 수 있도록 마련되어 볼트 및 너트 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이에 따라 좋은 외관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커버(150)는 양단이 보조브래킷(140)의 제2고정부(144)의 외측에 각각 볼트결합되며, 특히 노출되는 볼트의 단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아치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표지판 고정장치의 표지판 고정모듈에 대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표지판 고정모듈의 지지부재의 결합과정을 보인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표지판 고정모듈의 사용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표지판 고정모듈은 수평바의 하면에 장착되며, 표지판(S)을 고정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이다. 표지판 고정모듈을 수평바에 장착하는 방법으로는 통상의 용접방식이 이용될 수 있지만, 용접방식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별도의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표지판 고정모듈(300)은 지지부재(310), 표지판 고정부재(320) 및 결합수단(3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보강부재(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표지판 고정모듈(300)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수평바(200)의 하면에 결합공(240)이 형성되어야 한다.
지지부재(310)는 일부가 수평바(200)의 결합공(240)에 삽입되고 일부는 수평바(200)의 하방으로 노출되는데, 수평바(200)의 결합공(240)에 삽입될 수 있는 삽입부(312)와, 삽입부(312)의 단부에서 직각으로 절곡되는 지지부(314)를 갖는다. 즉, 대략 'ㄱ'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다만, 지지부(314)는 수평바(200)의 결합공(240)을 관통하지 않도록 확장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수평바(200)의 결합공(240)은 장공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지지부재(310)의 삽입부(312)와 지지부(314)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지지부(314)가 삽입부(312)의 폭보다 큰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지지부(314)의 단부는 원호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부재(310)를 수평바(200)에 결합시키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지지부재(310)의 삽입부(312)를 수평바(200)의 결합공에 끼워넣은 후 수평바(200)의 내측 하면에 접촉되도록 회동시키면, 지지부(314)는 수평바(200)의 하방으로 수직방향으로 노출이 되고 삽입부(312)에 의해 그 이탈이 방지된다. 따라서 용접에 의할 필요없이 간단하게 지지부재(310)를 수평바(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재(310)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데, 수평바(200)의 하면에 서로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지지부재(310)의 지지부(314)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볼트결합을 위한 볼트관통공(315)이 형성된다.
표지판 고정부재(320)는 지지부재(310)의 사이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부재로서 하부에 표지판을 고정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된다.
표지판 고정부재(320)를 지지부재(310)에 결합시키기 위해 결합수단(330)이 필요한데, 결합수단(330)은 지지부재(310)의 지지부(314)에 형성되는 볼트관통공(315)과 표지판 고정부재(32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볼트관통공(322)을 관통하는 볼트(332)와, 볼트(332)의 단부에 결합되어 볼트(332)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는 너트(334)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표지판 고정부재(32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볼트관통공(322)은 볼트(332)의 바디의 외직경보다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지판 고정부재(320)가 볼트(332)를 축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이에 따라 강풍이 부는 경우 표지판이 바람이 부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동하게 되어 바람에 대한 저항력이 감소하게 되므로 손상이 예방될 수 있다.
그리고 표지판 고정부재(320)가 표지판을 고정할 수 있는 수단으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지판 고정부재(320)에 파지부(324)를 형성할 수 있다. 파지부(324)는 표지판 고정부재(320)의 상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는데, 특히 표지판(S)의 상단이 끼워질 수 있도록 삽입홈(326)을 형성하게 된다.
더욱이, 파지부(324)의 표면에는 표지판(S)이 삽입된 상태에서 볼트결합이 가능하도록 관통홀(325)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표지판(S)에도 볼트관통공(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야 하며, 볼트(도면부호 표시되지 않음)를 이용해 표지판(S) 자체 또는 표지판(S)과 파지부(324)를 함께 결합시키면 표지판(S)이 파지부(324)에서 이탈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보강부재(340)는 결합수단(330)의 볼트(332)를 축으로 한 표지판 고정부재(320)의 잦은 회동으로 인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표지판 고정부재(32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볼트관통공(322)의 내면과 결합수단(330)의 볼트(332)의 사이에 개재된다.
따라서 보강부재(340)는 중공을 갖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결합수단(330)의 볼트(332)의 외직경에 대응되는 내직경을 갖고, 표지판 고정부재(32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볼트관통공(332)에 대응되는 외직경을 가지면 된다.
그리고 보강부재(340)는 표지판 고정부재(320)에 끼워진 경우 외부로 약간 돌출되록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것은 표지판 고정부재(320)가 지지부재(310)의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회동하는데 제약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참고로, 보강부재(340)의 외직경은 지지부재(310)의 볼트관통공(315)보다는 커야 한다.
이상과 같은 표지판 고정모듈의 결합과정을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310)의 삽입부(312)를 수평바(200)의 결합공(240)에 삽입하고 지지부재(310)의 삽입부(312)가 수평바(200)의 내측 하면에 접촉되도록 지지부재(310)를 회동시킨다. 그리고 표지판 고정부재(320)의 상단부에 형성된 볼트관통공(332)에 보강부재(340)를 끼워넣은 후에 한 쌍의 지지부재(310)의 사이에 표지판 고정부재(320)를 위치시킨다. 그러고 나서, 볼트(332)와 너트(334)를 이용하여 지지부재(310)에 표지판 고정부재(320)를 결합시킨다. 표지판 고정모듈은 하나만으로도 표지판을 고정할 수 있겠으나, 통상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모듈로 이루어진다.
도 10에는 표지판 고정모듈이 바람의 영향으로 회동될 수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강풍이 불 경우 (a) 또는 (b)의 상태로 표지판 고정부재(320)와 표지판(S)이 회동될 수 있어 바람에 대한 저항력이 감소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표지판 고정모듈의 손상이 예방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만일 아주 심한 강풍이 불어 표지판 고정부재(320)가 수평바(200)에까지 이르게 되더라도 수평바(200)가 일종의 스토퍼 역할을 하게 되며, 표지판(S)은 수평바(200)에 부딪힐 염려가 없으므로 그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100 : 수평바 고정모듈 110a, 110b : 고정브래킷
111a, 111b : 제1연장부 112a, 112b : 제2연장부
120 : 지지브래킷 122 : 개구부
124 : 절곡부 130 : 각도조절 브래킷
134 : 각도고정홀 136 : 제2각도조절홀
140 : 보조브래킷 142 : 제1고정부
144 : 제2고정부 150 : 측면커버
200 : 수평바 210 : 제1샤프트공
220 : 제2샤프트공 230 : 제1각도조절홀
240 : 결합공 300 : 표지판 고정모듈
310 : 지지부재 312 : 삽입부
314 : 지지부 320 : 표지판 고정부재
324 : 파지부 325 : 관통홀
326 : 삽입홈 330 : 결합수단
340 : 보강부재
111a, 111b : 제1연장부 112a, 112b : 제2연장부
120 : 지지브래킷 122 : 개구부
124 : 절곡부 130 : 각도조절 브래킷
134 : 각도고정홀 136 : 제2각도조절홀
140 : 보조브래킷 142 : 제1고정부
144 : 제2고정부 150 : 측면커버
200 : 수평바 210 : 제1샤프트공
220 : 제2샤프트공 230 : 제1각도조절홀
240 : 결합공 300 : 표지판 고정모듈
310 : 지지부재 312 : 삽입부
314 : 지지부 320 : 표지판 고정부재
324 : 파지부 325 : 관통홀
326 : 삽입홈 330 : 결합수단
340 : 보강부재
Claims (14)
- 지주에 표지판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주에 결합고정되는 수평바 고정모듈;
상기 수평바 고정모듈에 상방 또는 하방으로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중공을 갖는 수평바; 및
상기 수평바의 하면에 장착되며, 표지판이 결합고정되는 표지판 고정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수평바 고정모듈은 상기 지주를 감싸 고정될 수 있도록 테두리의 일부가 절개된 속이 빈 원기둥 형상을 갖되 절개부에서 각각 상기 지주의 외측방향으로 절곡 연장되고 수직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볼트관통공을 갖는 연장부가 형성되는 고정브래킷과, 상기 수평바의 일단부가 관통할 수 있도록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된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양단에는 상기 지주와 맞닿도록 각각 직각으로 절곡되고 상기 고정브래킷의 볼트관통공과 대응되는 볼트관통공을 갖는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절곡부가 상기 고정브래킷의 연장부의 내측에 접촉되도록 삽입되는 지지브래킷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바의 일단부의 양측면에는 상기 고정브래킷의 연장부 및 상기 지지브래킷의 절곡부의 볼트관통공 중 중앙부의 볼트관통공을 관통하는 볼트에 회전가능하게 결합 될 수 있도록 제1샤프트공이 형성되고,
상기 지주가 기울어진 경우 상기 수평바의 각도를 조절하여 표지판의 수평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지판 고정장치.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래킷은 상기 지주의 일부를 감쌀 수 있는 원호 형상의 판으로 이루어지되 양단에 제1 및 제2연장부가 절곡 형성되는 제1고정브래킷과, 상기 제1고정브래킷과 대칭되게 형성되는 제2고정브래킷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고정브래킷의 제1연장부는 서로 접촉되어 볼트결합되고 제2연장부가 서로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지판 고정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래킷의 연장부 및 상기 지지브래킷의 절곡부의 볼트관통공 중 중앙부의 볼트관통공은 볼트가 결합고정되는 높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원호 형상의 장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지판 고정장치.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수평바는 상기 제1샤프트공과 수평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제2샤프트공을 가져 상기 제2샤프트공을 관통하는 볼트를 축으로 회전가능하며, 상기 수평바 고정모듈은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일측에 상기 고정브래킷의 볼트관통공에 대응되는 볼트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브래킷의 연장부의 외측에 접촉결합되며 타측에 상기 수평바의 제2샤프트공을 관통하는 볼트가 관통고정될 수 있도록 각도고정홀이 형성되는 한 쌍의 각도조절 브래킷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지판 고정장치.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수평바는 상기 제1샤프트공과 수평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제2샤프트공을 가져 상기 제2샤프트공을 관통하는 볼트를 축으로 회전가능하며, 상기 고정브래킷의 연장부는 상기 수평바의 길이방향으로 더 연장되고 상기 수평바의 제2샤프트공을 관통하는 볼트가 관통고정될 수 있는 각도고정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지판 고정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바에는 상기 제1샤프트공과 수평으로 이격된 위치에 제1각도조절홀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바 고정모듈은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일측에 상기 고정브래킷의 볼트관통공에 대응되는 볼트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브래킷의 연장부의 외측에 접촉결합되며 타측에 상기 수평바의 제1각도조절홀을 관통하는 볼트의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샤프트공을 중심으로 한 원호 형상의 제2각도조절홀이 형성되는 한 쌍의 각도조절 브래킷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지판 고정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바에는 상기 제1샤프트공과 수평으로 이격된 위치에 제1각도조절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브래킷의 연장부는 상기 수평바의 길이방향으로 더 연장되고 상기 수평바의 제1각도조절홀을 관통하는 볼트의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상기 수평바의 제1샤프트공을 중심으로 한 원호 형상의 제2각도조절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지판 고정장치. - 청구항 5 또는 7에 있어서,
상기 수평바 고정모듈은, 상기 각도조절 브래킷의 외측에 접촉결합되며 대응되는 볼트관통공이 표면에 형성되는 판 형상의 제1고정부와 상기 제1고정부의 양단에서 직각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2고정부를 갖는 보조브래킷과, 양단이 상기 보조브래킷의 제2고정부의 외측에 각각 결합고정되어 아치형상을 이루는 측면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지판 고정장치.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지판 고정모듈은, 상기 수평바의 하면에 형성되는 결합공에 삽입될 수 있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단부에서 직각으로 절곡되되 상기 수평바의 결합공을 관통하지 않도록 확장형성되어 상기 수평바의 하방으로 노출되는 지지부를 가져 상기 삽입부가 상기 수평바의 결합공에 끼워진 후 상기 수평바의 내측 하면에 접촉되도록 회동되면 이탈이 방지되며 서로 소정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사이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하부에 표지판이 결합고정되는 표지판 고정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와 표지판 고정부재를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지판 고정장치.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수평바의 결합공은 장공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지지부재의 삽입부 및 지지부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부가 상기 삽입부의 폭보다 큰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지판 고정장치.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지지부재의 지지부 및 상기 표지판 고정부재의 상단부를 관통하는 볼트와 상기 볼트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볼트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는 너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부재의 지지부 및 상기 표지판 고정부재의 상단부에는 볼트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표지판 고정부재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볼트관통공은 상기 볼트의 바디의 외직경보다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표지판 고정부재가 상기 볼트를 축으로 회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지판 고정장치.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표지판 고정부재는 상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형성되어 표지판의 상단이 끼워질 수 있도록 삽입홈을 형성하는 파지부를 가지며, 상기 파지부의 표면에는 상기 표지판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볼트결합이 가능하도록 관통홀이 대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지판 고정장치.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표지판 고정모듈은 상기 표지판 고정부재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볼트관통공의 내면과 상기 결합수단의 볼트의 사이에 개재되는 중공을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지판 고정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87942A KR101006536B1 (ko) | 2010-09-08 | 2010-09-08 | 표지판 고정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87942A KR101006536B1 (ko) | 2010-09-08 | 2010-09-08 | 표지판 고정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06536B1 true KR101006536B1 (ko) | 2011-01-07 |
Family
ID=43615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87942A KR101006536B1 (ko) | 2010-09-08 | 2010-09-08 | 표지판 고정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06536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4658Y1 (ko) * | 2012-07-27 | 2013-01-14 | 유미경 | 표찰지지프레임 |
KR101235009B1 (ko) * | 2012-07-26 | 2013-02-21 | 주식회사 선진정밀 | 조립성이 향상된 도로표지판의 행거 고정장치 |
WO2013154249A1 (ko) * | 2012-04-12 | 2013-10-17 | 주식회사포앤텍 | 체결강도가 강화된 안내판 브라켓 |
KR102556858B1 (ko) * | 2023-01-25 | 2023-07-19 | (주)인프라텍 | 광섬유 표지판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30001585Y1 (ko) * | 1981-12-08 | 1983-08-25 | 정종민 | 위치 표시판 괘착장치 |
KR20040036770A (ko) * | 2002-10-24 | 2004-05-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Lcd 백 라이트 컬러를 이용한 배터리 방전 상태 표시방법 |
KR200436770Y1 (ko) * | 2007-07-27 | 2007-10-04 | 한양프레임주식회사 | 표지판/도로명판 행거 고정장치 |
-
2010
- 2010-09-08 KR KR1020100087942A patent/KR10100653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30001585Y1 (ko) * | 1981-12-08 | 1983-08-25 | 정종민 | 위치 표시판 괘착장치 |
KR20040036770A (ko) * | 2002-10-24 | 2004-05-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Lcd 백 라이트 컬러를 이용한 배터리 방전 상태 표시방법 |
KR200436770Y1 (ko) * | 2007-07-27 | 2007-10-04 | 한양프레임주식회사 | 표지판/도로명판 행거 고정장치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3154249A1 (ko) * | 2012-04-12 | 2013-10-17 | 주식회사포앤텍 | 체결강도가 강화된 안내판 브라켓 |
KR101235009B1 (ko) * | 2012-07-26 | 2013-02-21 | 주식회사 선진정밀 | 조립성이 향상된 도로표지판의 행거 고정장치 |
KR200464658Y1 (ko) * | 2012-07-27 | 2013-01-14 | 유미경 | 표찰지지프레임 |
KR102556858B1 (ko) * | 2023-01-25 | 2023-07-19 | (주)인프라텍 | 광섬유 표지판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41003B1 (ko) | 표지판/도로명판 행거 고정장치 | |
KR101006536B1 (ko) | 표지판 고정장치 | |
KR200436770Y1 (ko) | 표지판/도로명판 행거 고정장치 | |
KR102370194B1 (ko) | 보행공간을 확장한 h빔 구조 데크로드 시스템 | |
JP2011032829A (ja) | 傾倒式支柱を備えた防護柵 | |
KR101797911B1 (ko) | 도로표지판 및 신호등 설치용 회전식 지주 | |
KR100873657B1 (ko) | 표지판 어셈블리 | |
KR101358426B1 (ko) | 교통신호등 지주구조체 | |
KR20090001176U (ko) | 회전식 도로표지판 및 교통신호등 | |
KR101544122B1 (ko) |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 장치 | |
JP6228773B2 (ja) | 落石防止柵 | |
KR101197144B1 (ko) | 충격 흡수형 회동식 교통표지판 | |
KR100968860B1 (ko) | 수평지지장치 및 제작방법 | |
KR20120085449A (ko) | 충격흡수형 표지판 | |
KR200465191Y1 (ko) | 표지판로드 고정구 | |
JP2014105460A (ja) | 雪崩減勢工 | |
KR100891011B1 (ko) | 표지판 어셈블리 | |
KR101181404B1 (ko) | 안내표지판 설치장치 | |
KR200279420Y1 (ko) | 절첩이 가능한 가로등의 지주받침기구 | |
KR200479924Y1 (ko) | 도로표지판용 브라켓 | |
KR200341550Y1 (ko) | 현수식 다방향 교차로 신호등장치 | |
KR20120001924U (ko) | 표지판 고정모듈 | |
JP4072590B2 (ja) | 横梁と標識用板材との取付構造、道路標識及び標識雪庇防止板 | |
KR101219200B1 (ko) | 시공이 용이한 밴드형 교통시설물 철주 | |
EP2537983B1 (fr) | Dispositif de sécurité pour la signalisation routiè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2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119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