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3657B1 - 표지판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표지판 어셈블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73657B1 KR100873657B1 KR1020070013116A KR20070013116A KR100873657B1 KR 100873657 B1 KR100873657 B1 KR 100873657B1 KR 1020070013116 A KR1020070013116 A KR 1020070013116A KR 20070013116 A KR20070013116 A KR 20070013116A KR 100873657 B1 KR100873657 B1 KR 10087365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gn
- fixing
- fixing member
- support unit
- elastic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87—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including movable parts, e.g. movable by the wind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01F9/61—Special features of delineator posts, e.g. with parts cantilevered toward the roadway or fixed vertically on a tilted surfac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01F9/627—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self-righting after deflection or displacement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01F9/627—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self-righting after deflection or displacement
- E01F9/629—Traffic guidance, warning or control posts, bollards, pillars or like upstanding bodies or structur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01F9/6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with rotatable, swingable or adjustable signs or signal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7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09F7/22—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for rotatably or swingably mounting, e.g. for boards adapted to be rotated by the wi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회전되고, 외력이 제거되면 자동으로 원상태로 복귀 가능한 표지판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표지판 어셈블리는, 일정한 정보를 나타내는 표지판(20)과; 상기 표지판(2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유니트(30)와; 상기 지지유니트(30)가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58)와; 상기 표지판(20)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표지판(20)의 설치상태가 원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가중부재(80); 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표지판 어셈블리에 의하면, 강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표지판의 파손이 방지되고 쉽게 원상태로 복귀 가능한 이점이 있다.
표지판, 회전, 원상, 복귀, 바람, 차량, 충돌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표지판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설치된 상태의 개략적인 좌측면도.
도 2a는 본 발명에 의한 표지판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표지판의 배면도.
도 2b는 도 2a의 I-I'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표지판의 하측 배면 구성을 보인 부분 절결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지지유니트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지지유니트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에 의한 표지판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표지판의 다른 실시예 구성을 보인 배면도.
도 6b는 도 6a의 J-J'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표지판 어셈블리 12. 가로대
20. 표지판 30. 지지유니트
32. 고정부재 34. 연질부재
36. 결합부재 46. 부재힌지축
54. 회동힌지축 58. 탄성부재
60. 고정레일 70. 보조탄성부재
80. 가중부재
본 발명은 표지판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회전되고, 외력이 제거되면 자동으로 원상태로 복귀 가능한 표지판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교통 표지판은 도로에 설치되어서 통행자에게 교통상황이나, 통행조건을 알려줌으로써 안전하게 통행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교통표지판은 차량의 운행에 도움을 주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형태로 설치된다. 즉, 도로의 모서리에 세워지는 세로대의 상단으로부터 좌우로 수직 연장되는 가로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 있고, 도로의 가장자리에 세워지는 세로대에 직접 설치되어 운전자 및 보행자에게 직접 도움을 주는 형태도 있다.
그런데 상기 표지판은 차량의 충돌과 같은 외부의 충격이나, 강한 풍압에 의해서 파손되는 경우가 잦다. 즉, 종래의 표지판 어셈블리는 각 부품이 모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으며, 각 부품이 탄성도 가지지 못한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표지판이나 지지대 등이 휘어지 거나, 파손될 수밖에 없다. 즉, 외력을 수용하는 완충구조를 가지지 못하므로, 일정 정도의 힘이 외부로 가해지면, 표지판 어셈블리는 파손이 불가피하였다.
이처럼 종래의 표지판 어셈블리는 서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외력에 의해 휘어지거나 파손되면, 표지판의 원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되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서, 지지유니트에 의해 표지판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표지판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표지판의 유동이 탄성부재 및 보조탄성부재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 가능한 표지판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표지판어셈블리의 하단에는 가중부재가 구비되어 표지판의 설치상태가 원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표지판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표지판 어셈블리는,
일정한 정보를 나타내는 표지판과, 상기 표지판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유니트와, 상기 지지유니트가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유니트는, 가로대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며, 상기 표지판에 일단이 체결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재와 가로대 사이에는, 탄성을 가지는 연질부재가 더 구비되어, 상기 가로대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유니트의 일측에는, 지지유니트가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보조탄성부재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표지판 어셈블리는,
일정한 정보를 나타내는 표지판과; 상기 표지판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유니트와; 상기 지지유니트가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표지판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표지판의 설치상태가 원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가중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유니트는, 가로대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며, 상기 표지판에 일단이 체결되는 결합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와 가로대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 재질의 연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유니트의 일측에는, 지지유니트가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보조탄성부재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부재는, 탄성스프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측에 구비되는 상고정부재와, 하측에 구비되는 하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상고정부재와 하고정부재의 일단은 힌지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표지판 어셈블리는,
일정한 정보를 나타내는 표지판과; 상기 표지판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유니트와; 상기 표지판에 구비되어, 상기 표지판의 설치상태가 원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가중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가중부재는, 상기 표지판의 하단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표지판 어셈블리에 의하면,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표지판의 파손이 방지될 뿐 아니라, 회전된 표지판이 저절로 원상으로 복귀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표지판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가로대에 설치된 상태의 좌측면도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2a에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표지판의 배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b에는 도 2a의 I-I'부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3에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표지판의 하측을 보인 부분 절결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지지유니트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표지판 어셈블리(10)는 도로의 가장자리나 도로의 상측에 설치되는 가로대(12)에 고정 설치된다. 즉, 일반적으로 도로의 가장자리에는 상하로 길게 세로대(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되고, 이러한 세로대의 상단부에는 가로대(12)가 도로와 수평을 유지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이러한 가로대(12)에는 표지판 어셈블리(10)가 고정 설치되어, 차량 운전자나 보행자에게 통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표지판 어셈블리(10)는, 일정한 정보를 나타내어 운전자나 보행자에게 운행 또는 보행 정보를 제공하는 표지판(20)과, 상기 표지판(2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유니트(30)와, 상기 지지유니트(30)가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58)와, 상기 표지판(20)의 하단에 구비되어 표지판(20)의 설치상태가 원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가중부재(8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표지판(20)은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인쇄필름 등과 같은 다수의 판으로 이루어지기도 한다. 그리고, 이러한 표지판(20)은 문자나 도안 등에 의해 운전 정보 또는 보행 정보 등을 나타내도록 하는 것으로, 원형이나 삼각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표지판(20)이 사각형의 평판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지지유니트(30)는 상기 표지판(20)이 도로에 설치되는 가로대(12)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 다수의 부품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가로대(12)는 일반적으로 소정 굵기의 환봉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지지유니트(30)는 이러한 가로대(12)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일단에는 상기 표지판(20)이 고정된다.
한편, 상기 표지판(20)은 상기 지지유니트(3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이러한 표지판(20)은 탄성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표지판(20)은 차량의 충돌이나 바람과 같은 외력에 의해 일정 부분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또한 외력이 제거된 다음에는 표지판(20)이 원래의 설치상태로 복귀 가능한 구조를 이루어진다.
상기 표지판(20)의 후면(도 1에서는 좌측면)에는 상기 지지유니트(30)의 일단(도 1에서는 우측단)이 상기 표지판(20)의 임의 위치에 결합되도록 하는 고정레일(60)이 상하로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도 2a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레일(60)은 상기 표지판(20)의 후면(도 2a에서는 전면) 상반부에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좌우에 쌍으로 설치된다.
상기 고정레일(60)은 전방(도 2a에서)이 개구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고정레일(60)에는 각각 한 쌍의 고정볼트(62)가 삽입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레일(60)의 상단부근과 하단부근에는 각각 고정볼트(62)의 머리부(62')가 삽입된다.
그리고, 이러한 고정볼트(62)의 나사부(62")는 상기 고정레일(60)의 전방(도 2b에서는 좌측방)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이러한 고정볼트(62)의 나사부(62")에는 고정너트(64)가 체결된다. 즉, 상기 고정볼트(62)의 나사부(62")는 아래에서 설명할 결합부재(36)를 관통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고정너트(64)가 상기 고정볼트(62)의 나사부(62")에 체결된다.
상기 고정볼트(62)의 머리부(62')는 상기 고정레일(60)의 상방 또는 하방으로부터 슬라이딩 삽입되어, 임의의 위치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고정레일(60)의 내부에는 상기 고정볼트(62)의 머리부(62')가 걸려지도록 하는 걸림턱이 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지판(20)의 후면(도 1에서는 좌측면) 하단에는 상기 가중부재(80)가 구비된다. 상기 가중부재(80)는 상기 표지판(20)의 하단부 무게를 가중시키기 위한 것으로, 금속과 같이 무거운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중부재(80)는 상기 표지판(20)의 하단에 선택적으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표지판(20)의 하단에는 상기 가중부재(80)가 선택적으로 수용 가능한 가중브라켓(82)이 설치된다.
상기 가중브라켓(82)은, 도 1과 같이 'ㄴ'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가중부재(80)가 상방 또는 측방(도 1에서는 전후방)으로부터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중부재(80)의 하단은 상기 표지판(20)의 하단에 다수의 체결스크류(84)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가중브라켓(82)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고정스크류(86)가 설치된다. 상기 고정스크류(86)는 상기 가중브라켓(82)에 수용된 가중부재(80)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가중브라켓(82)에는 상기 고정스크류(86)가 체결되는 다수의 스크류공(86')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유니트(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지판(20)의 좌측에 구비되어 표지판(20)를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가로대(12)에 고정되는 고정부재(32)와, 상기 고정부재(32)와 가로대(12)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 재질의 연질부재(34)와, 상기 표지판(20)에 일단이 체결되는 결합부재(36)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부재(32)는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가로대(12)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된다. 상기 고정부재(32)는 상기 가로대(12)의 상측을 감싸는 상고정부재(32')와, 상기 가로대(12)의 하측을 감싸는 하고정부재(32")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고정부재(32')는 상기 가로대(12)의 상측 외면을 감싸는 상측가로대고정부(32'a)와, 상기 상측가로대고정부(32'a)의 우측단으로부터 우측으로 연장된 연장부(32'b)와, 상기 상측가로대고정부(32'a)의 좌측단으로부터 좌측으로 연장 형성된 상측부재체결부(32'c)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고정부재(32")는 상기 가로대(12)의 하측 외면을 감싸는 하측가로대고정부(32"a)와, 상기 하측가로대고정부(32"a)의 좌측단으로부터 좌측으로 연장 형성된 하측부재체결부(32"b)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측가로대고정부(32'a)와 하측가로대고정부(32"a)는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가진다. 즉, 상기 상측가로대고정부(32'a)와 하측가로대고정부(32"a)는 상기 가로대(12)의 상반부 또는 하반부와 대응되도록 반원 형상을 가진다.
상기 상측부재체결부(32'c) 및 하측부재체결부(32"b)는, 상기 상고정부재(32')와 하고정부재(32")의 좌측단이 서로 결합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부분으로, 이러한 상하의 부재체결부(32'c,32"b)는 체결볼트(38)와 체결너트(38')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상측부재체결부(32'c)에는 체결볼트(38)가 관통되는 상측체결공(32'd)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하측부재체결부(32"b)에는 체결볼트(38)가 관통되는 하측체결공(32"c)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하고정부재(32")는 상기 상고정부재(32')와 힌지결합된다. 즉, 상기 하고정부재(32")의 우측단은 상기 상고정부재(32')에 힌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체결된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고정부재(32')의 연장부(32'b) 저면 좌측 단에는 부재힌지부(40)가 형성되고, 상기 하고정부재(32")의 우측단에는 상기 부재힌지부(40) 사이에 삽입되는 부재관통부(4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부재힌지부(40)와 부재관통부(42) 내부에는 소정 크기의 부재힌지공(44)이 관통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부재힌지공(44)에는 소정 길이의 부재힌지축(46)이 삽입되어 끼워진다. 상기 부재힌지축(46)은 상기 하고정부재(32")의 회전 중심이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하고정부재(32")가 상기 상고정부재(32')에 힌지결합되면, 상기 상고정부재(32')와 하고정부재(32")가 상기 가로대(12)를 감싸도록 설치하는 것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즉, 상기 하고정부재(32")가 상기 부재힌지축(46)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하고정부재(32")와 상고정부재(32') 사이에 상기 가로대(12)가 위치되도록 한 다음, 상기 체결볼트(38)와 체결너트(38')를 사용하여 상기 상고정부재(32')와 하고정부재(32")의 좌측단을 고정하면 된다.
상기 상고정부재(32')와 하고정부재(32") 사이에는 상기 연질부재(34)가 삽입된다. 상기 연질부재(34)는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가로대(12)의 외주면을 감싸게 된다. 상기 연질부재(34)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환형의 링(ring) 형상이나,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분(도 4에서는 좌측 부분)이 절개된 고리 형상을 가진다.
상기 연질부재(34)는, 상기 고정부재(32)가 상기 가로대(12)에 미끄럼 없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상기 가로대(12)의 직경 크기에 무관하게 상기 고정부재(32)가 가로대(12)에 고정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결합부재(36)는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표지판(20)과 체결되는 표지판결합부(36')와, 상기 표지판결합부(36')의 중앙부로부터 좌측으로 수직 연장 형성되는 연결부(36") 등으로 이루어진다.
엄밀하게 말하면, 상기 표지판결합부(36')는 상기 표지판(20)의 후면(도 1에서는 좌측면)에 형성되는 고정레일(60)과 결합된다. 즉, 상기 표지판결합부(36')는 상기 고정레일(60)에 밀착 고정되어 상기 표지판(20)를 고정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표지판결합부(36')의 상반부와 하반부의 중앙에는 상기 고정볼트(62)의 나사부(62")가 관통되는 표시판체결공(36'a)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재(36)는 상기 고정부재(32)의 우측(도 1에서)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재(32)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결합부재(36)의 좌측단과 상기 고정부재(32)의 우측단은 힌지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상고정부재(32')의 우측단에는 도시된 바와 같은 회동힌지부(50)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36")의 좌측단에는 상기 회동힌지부(50) 사이에 위치되는 힌지관통부(52)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회동힌지부(50)와 힌지관통부(52)에는 소정 길이를 가지는 회동힌지축(54)이 삽입되어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회동힌지부(50)와 힌지관통부(52)의 중앙부분에는 상기 회동힌지축(54)이 삽입하여 관통하는 회동힌지공(56)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회동힌지축(54)은 상기 결합부재(36) 및 표지판(20)이 회전되는 회전 중심이 되는 것으로, 원기둥 형상으로 성형되며, 양단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 방 지를 위해 중앙부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재(58)는 상기 회동힌지축(54)을 감싸도록 설치된다. 상기 탄성부재(58)는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탄성부재(58)의 양단은 상기 고정부재(32)와 결합부재(36)에 각각 고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탄성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탄성부재(58)의 우측단은 상기 결합부재(36)의 연결부(36") 저면에 부착 고정되고, 상기 탄성부재(58)의 좌측단은 상기 상고정부재(32')의 연장부(32'b) 저면에 부착 고정된다. 물론, 상기 탄성부재(58)의 양단이 상기 고정부재(32)와 결합부재(36)의 상면에 고정되거나, 고정부재(32)와 결합부재(36) 내부에 삽입 고정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지지유니트(30)에는 보조탄성부재(70)가 더 구비된다. 상기 보조탄성부재(70)는 상기 탄성부재(58)와 같이 상기 지지유니트(30)가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것으로, 상기 탄성부재(58)의 기능을 보조하게 된다.
상기 보조탄성부재(7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보조부재(72)와 하측보조부재(74)로 이루어지며,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보조탄성부재(70)는 집게와 같은 형상을 가져, 상기 고정부재(32)에 고정되어 상기 결합부재(36)를 지지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탄성부재(70)의 좌측단은 상기 상고정부재(32')의 연장부(32'b) 상하면에 각각 용접 등에 의해 부착 고정되고, 상기 보조탄성부재(70)의 우측단은 상기 결합부재(36)의 연결부(36") 상 하면에 각각 접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보조탄성부재(70)의 우측단은 상기 결합부재(36)의 연결부(36") 상하면에 고정되지 않고 접촉된다. 따라서, 이러한 보조탄성부재(70)의 우측단은 상기 결합부재(36)의 연결부(36") 상하면과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탄성부재(70)는 금속과 같이 자체적으로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보조탄성부재(70)는 상기 탄성부재(58)과 같이 형상 및 재질 특성에 의한 탄성력으로, 상기 결합부재(36)의 상하 이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상기 결합부재(36)가 상하 이동한 다음에는 원상으로 복귀되도록 탄성력을 가하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작용을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상기와 같은 표지판(20)과 지지유니트(30)는 각각 서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즉, 사각평판 형상의 상기 표지판(20)이 제작되고, 이러한 표지판(20)의 후면에는 상기 고정레일(60)이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32)와 결합부재(36)는 상기 회동힌지축(54)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이러한 회동힌지축(54)에는 상기 탄성부재(58)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지지유니트(30)의 상하면에는 상기 보조탄성부재(70)가 설치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고정부재(32)와 결합부재(36)는 상기 탄성부재(58)와 보조탄성부재(70)의 힘에 의해 좌우로 평형을 유지하게 된다.(도 1 참조) 물론, 필요에 따라 상가 보조탄성부재(70)는 설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표지판(20)과 지지유니트(30)가 제작된 다음에는, 이러한 표지판(20)와 상기 지지유니트(30)를 결합한다. 이때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볼트(62)와 고정너트(64)에 의해 상기 표지판(20)와 지지유니트(30)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고정볼트(62)의 머리부(62')를 상기 고정레일(60)에 상방 또는 하방으로부터 삽입한다. 그런 다음, 상기 고정볼트(62)의 나사부(62")가 상기 고정부재(32)의 표시판체결공(36'a)을 관통하도록 한 다음, 상기 고정너트(64)를 상기 고정볼트(62)의 나사부(62")에 체결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표지판(20)과 상기 고정부재(32)의 결합이 완료된다.
다음으로는, 상기 지지유니트(30)를 상기 가로대(12)에 고정한다.
이때에는 먼저 상기 연질부재(34)가 상기 가로대(12)를 감싸도록 한 다음, 상기 연질부재(34)의 외측을 상기 상고정부재(32')와 하고정부재(32")가 감싸도록 씌운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하고정부재(32")는 상기 상고정부재(32')에 힌지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체결볼트(38)와 체결너트(38')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하고정부재(32")가 상기 부재힌지축(46)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하측으로 드리워진다.
따라서, 이때 상기 연질부재(34)에 의해 감싸여진 가로대(12)가 상기 하고정부재(32")의 상측가로대고정부(32'a) 하측에 위치되도록 한 다음, 상기 하고정부재(32")의 좌측단을 들어올려, 상기 상고정부재(32')와 하고정부재(32")의 좌측단 이 서로 근접하도록 한다. 그리고는, 상기 체결볼트(38)를 상기 부재체결공(32c')에 삽입한 다음, 상기 체결볼트(38)과 체결너트(38')를 결합시킨다.
이렇게 되면, 상기 체결볼트(38)와 체결너트(38')의 결합력에 의해 상기 상고정부재(32')와 하고정부재(32")가 상기 가로대(12)를 강한 힘으로 조이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본 발명에 의한 표지판 어셈블리(10)의 설치가 완료되고, 이때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지판(20)은 지면에 대하여 수직을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가중부재(80)가 설치된다. 상기 가중부재(80)는 상기 가중브라켓(82)의 상방 또는 전후방(도 1에서)으로 삽입되어 수용되며, 상기 가중브라켓(82)에 수용된 가중부재(80)는 상기 고정스크류(86)에 의해 고정된다.
이와 같이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표지판(20)에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표지판(20)이 상기 회동힌지축(54)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고정부재(32)는 상기 가로대(12)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표지판(20)과 상기 결합부재(36)는 상기 고정부재(32) 우측단에 힌지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표지판(20)이 상기 회동힌지축(54)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표지판(20)이 작은 외력(바람이나 차량의 충돌 등)에는 회전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상기 지지유니트(30)에는 상기 탄성부재(58)와 보조탄성부재(7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탄성부재(58)와 보조탄성부재(70)가 상기 표지판(20) 및 결합부재(36)의 회전을 방해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일정 크기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표지판(20)이 상기 회동힌지축(54)을 축으로 좌우(도 1에서)로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표지판(20)에 가해지는 외력이 상기 탄성부재(58) 및 보조탄성부재(70)의 힘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표지판(20)이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 다음, 상기 표지판(20)에 가해진 외력이 제거된 경우에는, 상기 표지판(20)은 상기 탄성부재(58)와 보조탄성부재(70)의 탄성력에 의해 원상으로 복귀하게 된다.
한편, 상기 표지판(20)의 회전 및 원상 복귀는 상기 가중부재(80)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게 된다. 즉, 상기 가중부재(80)는 소정의 무게를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상기 표지판(20)에 상기 가중부재(80)가 설치되면, 상기 표지판(20)의 하단 무게는 상대적으로 커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표지판(20)은 하단의 무게 때문에 도 1과 같이 수직으로 세워지려고 하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표지판(20) 하반부에 좌우(도 1에서)로부터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상기 표지판(20)은 원래의 설치상태(수직)를 유지하려 하게된다.
그러다가, 상대적으로 큰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표지판(20)이 회전하게 되는데, 이러한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표지판(20)은 상기 가중부재(80)의 하중에 의해 빠르게 원상을 회복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 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지지유니트의 다른 실시예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상기 상고정부재(32')와 하고정부재(32")는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하고정부재(32")의 하측가로대고정부(32"a) 우측단은 우측으로 연장되어, 하측연장부(32"d)를 형성한다. 상기 하측연장부(32"d)는 상기 상고정부재(32')의 연장부(32'b)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서로 접하게 된다.
상기 하측연장부(32"d)의 우측단에는 한 쌍의 하측힌지부(33)가 형성된다. 상기 하측힌지부(33)는 상기 회동힌지부(50)와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하측힌지부(33) 중앙 부분에는 상기 회동힌지공(56)과 동일한 크기의 하측힌지공(33')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하측힌지부(33) 사이에는 상기 회동힌지부(50)와 힌지관통부(52)가 위치되고, 이러한 하측힌지부(33)와 회동힌지부(50) 그리고, 힌지관통부(52)에는 상기 회동힌지축(54)이 삽입되어 체결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상고정부재(32')와 하고정부재(32")는 상기 회동힌지축(54)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고정부재(32')와 하고정부재(32")가 상기 가로대(12)를 감싸도록 설치하는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가능하다.
한편, 도 6a 및 도 6b에는 상기 가중부재(80)의 설치 상태에 대한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중부재(80)는 상기 가중브라켓(82)에 의해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고정레일(60)에 고정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고정레일(60)은 하측으로 더 연장되고, 이러한 고정레일(60)의 하단에 상기 가중부재(80)가 설치된다. 따라서, 이러한 가중부재(80)의 하단에는 상기 가중부재(80)를 고정하기 위한 부재볼트(66) 및 부재너트(68)가 구비된다.
상기 부재볼트(66)는 상기 고정볼트(62)와 같이 머리부(66')가 상기 고정레일(60) 내부에 삽입되고, 나사부(66")가 상기 가중부재(80)를 관통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나사부(66")의 좌측단(도 6b에서)에는 상기 부재너트(68)가 체결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가중부재(80)가 상기에서와 같은 별도의 가중브라켓(82) 없이 설치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표지판 어셈블리는, 일정한 정보를 나타내는 표지판과, 표지판을 지지하는 지지유니트 등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지지유니트는 표지판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바람이나 차량 충돌과 같은 외력이 표지판에 가해지는 경우에는, 표지판이 회전함으로써 표지판의 파손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표지판 어셈블리에는, 유동(회전)된 표지판이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 및 보조탄성부재가 더 구비된다. 따라서, 작은 크기의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표지판이 원상태를 유지하려 함은 물론, 표지판이 큰 힘의 외력에 의해 회전된 경우에도 탄성부재 및 보조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 해 원상으로 저절로 복귀되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한 표지판 어셈블리에는, 표지판 하중을 더 크게하는 가중부재가 선택적으로 구비된다. 따라서, 표지판 하단의 하중이 증가하여, 표지판이 외력에 의해 쉽게 유동되지 않게 됨은 물론, 표지판이 회전한 경우에도 외력이 제거되면, 빠르게 원상태로 회복하려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바람이나 차량 충돌에 의해 강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표지판이 회전하게 됨으로써 표지판의 파손이 방지되고, 외력이 제거되고 나면 표지판은 다시 원상태로 빠르게 복귀하게 되므로, 비용 절감은 물론, 도로 표지판의 원래 기능이 안정적으로 유지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11)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일정한 정보를 나타내는 표지판과;상기 표지판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유니트와;상기 표지판에 구비되어, 상기 표지판의 설치상태가 원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가중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상기 지지유니트의 일측에는,상기 지지유니트가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지지유니트가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보조탄성부재가 더 구비되며;상기 지지유니트는,가로대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며, 상기 표지판에 일단이 체결되는 결합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와 가로대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 재질의 연질부재를 포함하고;상기 고정부재는,상측에 구비되는 상고정부재와, 하측에 구비되는 하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상고정부재와 하고정부재의 일단은 힌지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표지판 어셈블리.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13116A KR100873657B1 (ko) | 2007-02-08 | 2007-02-08 | 표지판 어셈블리 |
CN200880004321A CN101627164A (zh) | 2007-02-08 | 2008-02-11 | 布告板组件 |
US12/526,498 US20100275480A1 (en) | 2007-02-08 | 2008-02-11 | Assembly of a sign board |
JP2009549002A JP2010518287A (ja) | 2007-02-08 | 2008-02-11 | 表示板アセンブリー |
PCT/KR2008/000784 WO2008097063A1 (en) | 2007-02-08 | 2008-02-11 | Assembly of a sign boar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13116A KR100873657B1 (ko) | 2007-02-08 | 2007-02-08 | 표지판 어셈블리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50734A Division KR100891011B1 (ko) | 2008-05-30 | 2008-05-30 | 표지판 어셈블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74295A KR20080074295A (ko) | 2008-08-13 |
KR100873657B1 true KR100873657B1 (ko) | 2008-12-11 |
Family
ID=39681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13116A KR100873657B1 (ko) | 2007-02-08 | 2007-02-08 | 표지판 어셈블리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20100275480A1 (ko) |
JP (1) | JP2010518287A (ko) |
KR (1) | KR100873657B1 (ko) |
CN (1) | CN101627164A (ko) |
WO (1) | WO2008097063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2535899B (en) * | 2011-03-28 | 2017-02-22 | Simmonsigns Ltd | Resilient mounting for use in a signage mounting system |
DE102015215780A1 (de) * | 2015-08-19 | 2017-02-23 | Siemens Aktiengesellschaft | Haptische Haltestangenabdeckung |
KR101726510B1 (ko) * | 2015-09-03 | 2017-04-13 | 박중식 | 완충장치가 구비된 표지판 |
KR101721642B1 (ko) * | 2016-11-30 | 2017-03-30 | 주식회사김스애드 | 도로표지판 |
CN112049041B (zh) * | 2020-08-24 | 2022-09-06 | 广东泓璐科技发展有限公司 | 一种智慧城市用路口信号灯支撑装置 |
KR102552702B1 (ko) * | 2021-12-10 | 2023-07-05 | 장현실 | 교통표지판용 양방향 회동식 스프링밴드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565466A (en) | 1984-06-21 | 1986-01-21 | Daggs Paul R | Return jointed sign post pedestal |
JP2004197480A (ja) | 2002-12-20 | 2004-07-15 | Hoan Kogyo Kk | 標識固定具 |
KR200400225Y1 (ko) * | 2005-08-02 | 2005-11-03 | 김기룡 | 자동복귀 기능을 가지는 도로교통표지판 어셈브리 |
KR100633557B1 (ko) * | 2004-01-27 | 2006-10-13 | 서윤산업주식회사 | 도로표지판 및 이를 이용한 도로표지판의 풍하중 대응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309130A (en) * | 1965-02-19 | 1967-03-14 | Hubert L Arrowood | Reversible tubing elevator |
US5551178A (en) * | 1995-01-19 | 1996-09-03 | Flexsign Inc. | Collapsible sign |
US5788405A (en) * | 1996-05-13 | 1998-08-04 | Lucy Caroline Beard | Vertical highway marker |
-
2007
- 2007-02-08 KR KR1020070013116A patent/KR10087365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8
- 2008-02-11 CN CN200880004321A patent/CN101627164A/zh active Pending
- 2008-02-11 US US12/526,498 patent/US20100275480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8-02-11 WO PCT/KR2008/000784 patent/WO2008097063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8-02-11 JP JP2009549002A patent/JP2010518287A/ja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565466A (en) | 1984-06-21 | 1986-01-21 | Daggs Paul R | Return jointed sign post pedestal |
JP2004197480A (ja) | 2002-12-20 | 2004-07-15 | Hoan Kogyo Kk | 標識固定具 |
KR100633557B1 (ko) * | 2004-01-27 | 2006-10-13 | 서윤산업주식회사 | 도로표지판 및 이를 이용한 도로표지판의 풍하중 대응방법 |
KR200400225Y1 (ko) * | 2005-08-02 | 2005-11-03 | 김기룡 | 자동복귀 기능을 가지는 도로교통표지판 어셈브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10518287A (ja) | 2010-05-27 |
KR20080074295A (ko) | 2008-08-13 |
WO2008097063A1 (en) | 2008-08-14 |
US20100275480A1 (en) | 2010-11-04 |
CN101627164A (zh) | 2010-01-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73657B1 (ko) | 표지판 어셈블리 | |
CA2616964A1 (en) | Road traffic-control signboard assembly having automatic return function | |
KR100891011B1 (ko) | 표지판 어셈블리 | |
US8137130B2 (en) | Foldable patch panel | |
KR20090009012U (ko) | 도로 교통 표지판 | |
US20050204599A1 (en) | Vehicle alert kit | |
JP4705890B2 (ja) | 信号灯器の腕金用取付金具 | |
KR200287747Y1 (ko) | 도로안내표지판 | |
US20100126051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mounting signs | |
JP2005043774A (ja) | 標識取り付け装置 | |
KR200473308Y1 (ko) | 교통표지판 | |
JP2016085312A (ja) | 看板吊り具 | |
US7509921B2 (en) | Flag holder for warning signs | |
KR101181404B1 (ko) | 안내표지판 설치장치 | |
KR100769554B1 (ko) | 교통안전 표시판 | |
KR101726510B1 (ko) | 완충장치가 구비된 표지판 | |
KR200298089Y1 (ko) | 도로표지판 | |
KR200252791Y1 (ko) | 도로공사 작업표시용 간판설치장치 | |
JP2005256523A (ja) | 柵ブラケットとその取付構造 | |
KR200423829Y1 (ko) | 현수막게시대 | |
KR200453238Y1 (ko) | 교통 안전 표지판 | |
JP4965505B2 (ja) | 道路用反射器及びその取付枠体 | |
EP3825463B1 (en) | Signage with a collapsible securing element mounted to a vertical signage plate | |
KR20100010545U (ko) | 배너 게시대 | |
JPH09151419A (ja) | 遮音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205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120 Year of fee payment: 6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