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2702B1 - 교통표지판용 양방향 회동식 스프링밴드 - Google Patents

교통표지판용 양방향 회동식 스프링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2702B1
KR102552702B1 KR1020210176302A KR20210176302A KR102552702B1 KR 102552702 B1 KR102552702 B1 KR 102552702B1 KR 1020210176302 A KR1020210176302 A KR 1020210176302A KR 20210176302 A KR20210176302 A KR 20210176302A KR 102552702 B1 KR102552702 B1 KR 102552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spring
support
fixing plate
traff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6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87777A (ko
Inventor
장현실
Original Assignee
장현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현실 filed Critical 장현실
Priority to KR1020210176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2702B1/ko
Publication of KR20230087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77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2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2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01F9/61Special features of delineator posts, e.g. with parts cantilevered toward the roadway or fixed vertically on a tilted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01F9/627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self-righting after deflection or displac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해진 높이에 설치된 지지대에 설치되어 교통표지판을 지탱하는 것으로서, 상기 지지대의 외주면 일부를 감쌀 수 있는 원호 형상을 가진 제1 홀더; 일단이 힌지부에 의해 상기 제1 홀더의 일단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지지대의 외주면 다른 일부와 접촉되는 제2 홀더; 상기 제1 홀더의 타단과 상기 제2 홀더의 타단을 서로 체결하는 체결부재; 상기 힌지부에 의해 상기 제1 홀더와 힌지 결합되고 일부가 상기 교통표지판에 장착되는 고정 플레이트;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일면과 상기 제1 홀더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홀더가 서로 당겨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스프링; 및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타면과 상기 제2 홀더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홀더가 서로 당겨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스프링;을 포함하는 교통표지판용 양방향 회동식 스프링밴드를 개시한다.

Description

교통표지판용 양방향 회동식 스프링밴드{BIDIRECTIONAL SWIVEL TYPE SPRING BAND FOR TRAFFIC INFORMAION BOARD}
본 발명은 교통표지판용 양방향 회동식 스프링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바람 등과 같은 외력에 의해 교통표지판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교통표지판용 양방향 회동식 스프링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로시설물은 차도와 보도를 포함하는 도로, 공원, 골목길에 설치된 CCTV 카메라, 가로등, 신호등, 전주, 표지판 등이다. 가로시설물은 사람이나 차량의 통행에 불편을 주지 않은 범위에서 설치된다. 더욱이 CCTV 카메라, 가로등이나 신호등은 사람이나 차량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통상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의 고소에 설치된다. 이를 위하여 소정 높이를 갖는 지주대 등을 이용하여 가로시설물이 설치된다.
기존의 일반적인 지주대는 단순히 CCTV 카메라, 가로등, 신호등, 표지판 등을 개별적으로 구비하여 설치가 되었다.
근래에 들어 가로시설물과 관련된 기술은, 도심 곳곳의 협소한 공간에 복잡하게 설치되어 있는 여러 종류의 가로시설물들을 하나로 통합 설치하여 이른바 '종합폴' 형태의 시스템(이하, '종합폴 시스템'이라 함)을 구성하고, 사물인터넷(IoT), 지능형 CCTV, 스마트 횡단보도 안내, LED 조명, 공공와이파이 등의 옵션도 추가한 지능형 플랫폼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종합폴 시스템은 스마트 시티, 즉 첨단 정보통신기술(ICT)을 도시 교통, 환경, 안전, 주거, 복지 서비스 등에 적용한 첨단도시의 구축에 매우 중요한 플랫폼 기술이므로 현재 전세계적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종합폴 시스템에는 기본적으로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교통표지판이 설치가 된다. 그런데 기존의 교통표지판은 차량의 충돌과 같은 외부의 충격이나, 강한 풍압에 의해서 파손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교통표지판에 강한 충격이 가해지면 표지판이 휘거나 설치 위치가 변경되거나, 가로대에서 떨어지는 등의 현상이 발생됨으로써, 표지판으로서의 원래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대안으로, 특허문헌 1은 표지판에 장착되고, 일정 높이의 지지대에 설치되는 고정 어셈블리와, 상기 고정 어셈블리와 상기 지지대의 접촉부에 끼워지는 적어도 반원을 넘는 원호형상의 연질마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어셈블리에는, 상기 표지판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연질마찰부재를 실질적으로 안아서 압박하는 원호형의 제1 잡음판과, 상기 고정판과 상기 제1 잡음판이 서로 당겨지는 힘을 제공하는 스프링과, 상기 제1 잡음판과 체결되는 제2 잡음판과, 상기 고정판과 상기 제1 잡음판과 상기 제2 잡음판이 서로 힌지 운동가능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를 구비한 표지판의 지지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도로의 한쪽 방향(예컨대, 차량의 진행방향)으로 부는 바람에 회동되었다가 탄성 복원되도록 구성되므로 그 반대방향으로 강한 바람이 부는 경우에는 완충작용이 불충분하여 개선이 요구된다.
특허문헌 1: 등록특허공보 제10-0740695호(2007.07.18.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교통표지판의 전,후 양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대응하여 회동 및 복원되어 충격을 완화하는 구조를 가진 교통표지판용 양방향 회동식 스프링밴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프링의 장력 조절 구조가 개선된 교통표지판용 양방향 회동식 스프링밴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정해진 높이에 설치된 지지대에 설치되어 교통표지판을 지탱하는 교통표지판용 스프링밴드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외주면 일부를 감쌀 수 있는 원호 형상을 가진 제1 홀더; 일단이 힌지부에 의해 상기 제1 홀더의 일단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지지대의 외주면 다른 일부와 접촉되는 제2 홀더; 상기 제1 홀더의 타단과 상기 제2 홀더의 타단을 서로 체결하는 체결부재; 상기 힌지부에 의해 상기 제1 홀더와 힌지 결합되고 일부가 상기 교통표지판에 장착되는 고정 플레이트;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일면과 상기 제1 홀더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홀더가 서로 당겨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스프링; 및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타면과 상기 제2 홀더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홀더가 서로 당겨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스프링;을 포함하는 교통표지판용 양방향 회동식 스프링밴드를 제공한다.
상기 고정 플레이트는, 상기 힌지부로부터 정해진 거리만큼 연장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로부터 정해진 각도로 밴딩되어 상기 교통표지판에 장착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에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정해진 길이의 서포트 부재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제1 스프링의 일단과 상기 제2 스프링의 일단이 각각 상기 서포트 부재의 양편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서포트 부재는 볼트로 구성되고, 상기 볼트에 상기 제1 스프링의 일단과 상기 제2 스프링의 일단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볼트에 체결되어 상기 볼트의 위치를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너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프링의 타단과 상기 제2 스프링의 타단은 각각 상기 제1 홀더의 일측과 상기 제2 홀더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스프링은 상기 제2 스프링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스프링은 일부가 상기 제1 홀더의 외주면 일부에 감겨서 지탱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제1 홀더의 안쪽면에 배치되는 원호 형상의 연질마찰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로의 양방향으로 가해지는 바람이나 물리적 충돌 등의 외력에 대응하여 교통표지판과 함께 스프링밴드가 회동 및 탄성복원되어 교통표지판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통표지판용 양방향 회동식 스프링밴드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사용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통표지판용 양방향 회동식 스프링밴드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사용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통표지판용 양방향 회동식 스프링밴드는 정해진 높이에 설치된 지지대(1)에 장착되어 소정의 교통표지판(22)을 지탱하는 것으로서, 힌지부(12)에 의해 일단이 서로 힌지 결합된 제1 홀더(10) 및 제2 홀더(11)와, 제1 홀더(10)와 제2 홀더(11)의 타단에 결합되는 체결부재(13)와, 힌지부(12)에 체결된 고정 플레이트(14)와, 고정 플레이트(14)의 일면과 제1 홀더(10) 사이에 설치된 제1 스프링(18)과, 고정 플레이트(14)의 타면과 제2 홀더(11) 사이에 설치된 제2 스프링(19)을 포함한다.
제1 홀더(10)는 지지대(1)의 외주면 일부를 감쌀 수 있는 원호 형상의 금속체로 구성된다. 여기서, 지지대(1)는 각종 교통정보나 교통신호 등을 안내하는 교통표지판(22)을 지지하는 봉 형태의 폴대로서 통상의 가로등이나, 신호등, 전주 등과 같은 교통시설물에 설치된 가로 지지대(1)일 수 있다. 대안으로, 지지대(1)는 종합폴 시스템의 가로 지지대일 수 있다. 다른 대안으로, 지지대(1)는 지면에 수직으로 세워지게 설치된 세로 지지대일 수도 있다.
제2 홀더(11)는 일단이 힌지부(12)에 의해 제1 홀더(10)의 일단에 힌지 결합되고 지지대(1)의 외주면 다른 일부와 접촉된다.
체결부재(13)는 제1 홀더(10)의 타단과 제2 홀더(11)의 타단을 서로 체결한다. 체결부재(13)는 소정의 너트가 체결되는 볼트로 구성될 수 있다. 그밖에, 체결부재(13)는 다양한 공지의 체결수단에 의해 구성될 수도 있다.
고정 플레이트(14)는 제1 홀더(10)의 일단에 힌지 결합되고 일부가 장착부재(21,23)를 통하여 교통표지판(22)에 장착된다. 고정 플레이트(14)는 힌지부(12)로부터 정해진 거리만큼 연장된 연장부(14a)와 상기 연장부(14a)로부터 정해진 각도(바람직하게, 90도)로 밴딩되어 장착부재(21,23)에 고정되는 체결부(14b)를 포함한다.
연장부(14a)에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홀(16)이 형성되고 이 홀(16)에는 정해진 길이의 서포트 부재(15)가 삽입되어 설치된다. 제1 스프링(18)의 일단과 제2 스프링(19)의 일단은 각각 서포트 부재(15)의 양편에 연결된다. 즉, 제1 스프링(18)의 일단과 제2 스프링(19)의 일단은 연장부(14a)를 사이에 두고 서포트 부재(15)의 길이방향 양편에 각각 연결된다. 이때, 제1 스프링(18)의 타단과 상기 제2 스프링(19)의 타단은 각각 제1 홀더(10)의 일측과 제2 홀더(11)의 일측에 각각 절개 및 절곡되어 형성된 얇은 고리 형상의 고정부(10a,11a)에 연결된다. 대안으로, 고정부(10a,11a)는 측면에 통공이 형성된 금속봉으로 구성되어 제1 홀더(10)의 일측이나 제2 홀더(11)의 일측에 용접되는 것도 가능하다.
체결부(14b)에는 교통표지판(22)을 체결부(14b)에 고정시키기 위한 볼트(25)가 끼워질 수 있는 홀(17)이 형성되어 있다. 장착부재(23)에 체결용 레일(24)이 구비되어 있는 경우 볼트(25)의 머리 부위는 체결용 레일(24)의 홈 내에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트 부재(15')는 볼트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스프링(18)의 일단과 제2 스프링(19)의 일단은 각각 서포트 부재(15')의 양편에 위치하도록 볼트에 끼워지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너트(26)에 의해 이탈이 방지된다. 따라서, 너트(26)에 대하여 볼트를 조이거나 풀어서 제1 스프링(18)의 일단과 제2 스프링(19)의 일단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실질적으로 스프링 장력의 조절이 가능하다. 제1 스프링(18)과 제2 스프링(19)의 장력 조절은 서포트 부재(15,15')의 길이 조절을 통해서도 수행될 수 있다.
제1 스프링(18)은 고정 플레이트(14)의 일면과 상기 제1 홀더(1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 플레이트(14)와 상기 제1 홀더(10)가 서로 당겨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제1 스프링(18)은 제2 스프링(19)에 비해 상대적으로 지지대(1)의 상측에 배치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프링(18)은 일부가 제1 홀더(10)의 외주면 일부에 감겨서 지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스프링(18)의 일부가 제1 홀더(10)의 외주면 일부에 감기면 중량이 상대적으로 많이 나가는 대형 교통표지판(22)도 견고하게 지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2 스프링(19)은 고정 플레이트(14)의 타면과 제2 홀더(11) 사이에 설치되어 고정 플레이트(14)와 제2 홀더(11)가 서로 당겨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제1 스프링(18)의 일부가 제1 홀더(10)의 외주면 일부에 감기도록 배치되는 경우, 제2 스프링(19)은 연장부(14a)에 비해 길이를 짧게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동 시 발생하는 연장부(14a)와 제2 스프링(19) 간의 간섭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질마찰블록(20)은 제1 홀더(10)의 안쪽면에 배치되는 원호 형상의 비금속체이다. 풍압이 교통표지판(22)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부터 가해지는 경우, 어느 정도까지는 지지대(1)와 연질마찰블록(20) 간의 접촉면의 마찰력에 의해서 풍압에 대하여 저항하는 힘을 제공하기 때문에 보다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풍압이 정해진 한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연질마찰블록(20)이 지지대(1)의 외주면 상에서 슬립(slip) 되면서 소정 각도로 회전하게 된다. 즉, 풍압에 의해 교통표지판(22)이 스프링에 의해 지탱되지 못할 정도에 이르면 교통표지판(22)에 가하여지는 풍압에 의해서 연질마찰블록(20)이 지지대(1)에 대하여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교통표지판(22)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교통표지판(22)용 양방향 회동식 스프링밴드는 가로등이나, 신호등, 전주 등과 같은 교통시설물이나 종합폴, 전용폴대 등에 마련된 지지대(1)에 설치되어 다양한 교통정보나 교통신호 등을 안내하는 교통표지판(22)을 지탱한다.
도 3을 참조할 때, 교통표지판(22)에 대형차량이 충돌하거나 어느 정도 이상의 강한 바람이 불어서 차량의 진행방향으로 교통표지판(22)에 외력이 가해지면(실선 화살표 참조) 교통표지판(22)은 스프링밴드에 의해 지지대(1)에 대하여 예컨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이와 동시에 제1 스프링(18)이 늘어나면서 충격을 흡수한다. 이후, 상기 외력이 소멸되면 교통표지판(22)은 제1 스프링(18)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한편, 차량이 진행하는 반대방향으로 강한 바람이 불어서 교통표지판(22)에 외력이 가해지면(점선 화살표 참조) 교통표지판(22)은 스프링밴드에 의해 지지대(1)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이와 동시에 제2 스프링(19)이 늘어나면서 충격을 흡수한다. 이후, 상기 외력이 소멸되면 교통표지판(22)은 제2 스프링(19)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제1 홀더 11: 제2 홀더
12: 힌지부 13: 체결부재
14: 고정 플레이트 15,15': 서포트 부재
18: 제1 스프링 19: 제2 스프링
20: 연질마찰블록 21,23: 장착부재
22: 교통표지판

Claims (6)

  1. 정해진 높이에 설치된 지지대에 설치되어 교통표지판을 지탱하는 교통표지판용 스프링밴드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외주면 일부를 감쌀 수 있는 원호 형상을 가진 제1 홀더;
    일단이 힌지부에 의해 상기 제1 홀더의 일단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지지대의 외주면 다른 일부와 접촉되는 제2 홀더;
    상기 제1 홀더의 타단과 상기 제2 홀더의 타단을 서로 체결하는 체결부재;
    상기 힌지부에 의해 상기 제1 홀더와 힌지 결합되고 일부가 상기 교통표지판에 장착되는 고정 플레이트;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일면과 상기 제1 홀더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홀더가 서로 당겨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스프링; 및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타면과 상기 제2 홀더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홀더가 서로 당겨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는, 상기 힌지부로부터 정해진 거리만큼 연장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로부터 정해진 각도로 밴딩되어 상기 교통표지판에 장착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에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정해진 길이의 서포트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스프링의 일단과 상기 제2 스프링의 일단이 상기 연장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서포트 부재의 길이방향 양편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서포트 부재는 볼트로 구성되고,
    상기 볼트에 상기 제1 스프링의 일단과 상기 제2 스프링의 일단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볼트에 체결되어 상기 볼트의 위치를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표지판용 양방향 회동식 스프링밴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프링의 타단과 상기 제2 스프링의 타단은 각각 상기 제1 홀더의 일측과 상기 제2 홀더의 일측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표지판용 양방향 회동식 스프링밴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프링은 상기 제2 스프링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스프링은 일부가 상기 제1 홀더의 외주면 일부에 감겨서 지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표지판용 양방향 회동식 스프링밴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더의 안쪽면에 배치되는 원호 형상의 연질마찰블록;을 더 포함하는 교통표지판용 양방향 회동식 스프링밴드.
KR1020210176302A 2021-12-10 2021-12-10 교통표지판용 양방향 회동식 스프링밴드 KR102552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302A KR102552702B1 (ko) 2021-12-10 2021-12-10 교통표지판용 양방향 회동식 스프링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302A KR102552702B1 (ko) 2021-12-10 2021-12-10 교통표지판용 양방향 회동식 스프링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7777A KR20230087777A (ko) 2023-06-19
KR102552702B1 true KR102552702B1 (ko) 2023-07-05

Family

ID=86988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6302A KR102552702B1 (ko) 2021-12-10 2021-12-10 교통표지판용 양방향 회동식 스프링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270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25Y1 (ko) 2005-08-02 2005-11-03 김기룡 자동복귀 기능을 가지는 도로교통표지판 어셈브리
KR100740695B1 (ko) * 2006-07-28 2007-07-18 김기룡 표지판 지지장치
JP2009052242A (ja) 2007-08-24 2009-03-12 Kashimura:Kk 自動復帰式道路標識
KR200462879Y1 (ko) 2012-04-16 2012-10-09 박종근 완충체가 구비된 도로표지판 연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1688Y2 (ja) * 1991-09-24 1997-07-16 株式会社渡辺製作所 標識・看板状体の取付金具
KR0126082B1 (ko) * 1995-03-31 1998-04-10 김태구 자동차 트렁크리드의 코일스프링 장력 조정장치
KR19980019542U (ko) * 1996-10-04 1998-07-15 정몽규 페달 리턴 스프링
KR19980041461A (ko) * 1996-11-30 1998-08-17 배순훈 인장스프링
KR19990010899A (ko) * 1997-07-18 1999-02-18 김영귀 클러치 부스터의 리턴 스프링 장력 조절 구조
KR100873657B1 (ko) * 2007-02-08 2008-12-11 김기룡 표지판 어셈블리
KR101066463B1 (ko) * 2008-11-11 2011-09-21 김기룡 표지판 지지구조
KR101110120B1 (ko) * 2009-10-28 2012-01-31 주식회사 케이아이테크놀로지 표지판 완충장치
KR101229662B1 (ko) * 2010-05-07 2013-02-04 박대근 안내표지판 고정장치
KR102357481B1 (ko) * 2015-03-31 2022-02-04 코웨이 주식회사 탄성계수 조절이 가능한 스프링댐퍼
KR20160132549A (ko) * 2015-05-11 2016-11-21 (주) 마운틴캠핑 길이조절이 가능한 양방향 인장스프링
KR101727209B1 (ko) * 2015-07-02 2017-04-14 오영일 유연성을 구비한 안전펜스 지지장치
KR101726510B1 (ko) * 2015-09-03 2017-04-13 박중식 완충장치가 구비된 표지판
KR102305527B1 (ko) * 2019-05-20 2021-09-24 김동규 풍하중 대응형 도로표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25Y1 (ko) 2005-08-02 2005-11-03 김기룡 자동복귀 기능을 가지는 도로교통표지판 어셈브리
KR100740695B1 (ko) * 2006-07-28 2007-07-18 김기룡 표지판 지지장치
JP2009052242A (ja) 2007-08-24 2009-03-12 Kashimura:Kk 自動復帰式道路標識
KR200462879Y1 (ko) 2012-04-16 2012-10-09 박종근 완충체가 구비된 도로표지판 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7777A (ko) 2023-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2702B1 (ko) 교통표지판용 양방향 회동식 스프링밴드
KR101213761B1 (ko) 충격 완화용 보행자 방호 울타리
CN208415097U (zh) 一种道路桥梁用的缓冲防护栏
CN214497172U (zh) 一种桥梁防护栏
KR20110031554A (ko) 완충기능을 갖는 가드펜스
CN105276474A (zh) 一种弹性防护的路灯
CN216379217U (zh) 一种用于阻挡边坡滚石的围栏
CN212005329U (zh) 一种防止滚落的防摔型航标灯
CN114000450A (zh) 一种市政施工用道路护栏安装结构
CN210420952U (zh) 一种智能语音识别的自动无人岗位机
CN220977698U (zh) 一种城市桥梁用永久隔离护栏
CN210658114U (zh) 一种钢结构人行天桥限位装置
JP2906013B2 (ja) ガードフェンス
CN217233018U (zh) 一种公路工程施工用安全防护架
CN217518364U (zh) 一种道路施工安全护栏
KR101197144B1 (ko) 충격 흡수형 회동식 교통표지판
CN211079998U (zh) 一种道路桥梁限高装置
CN216786944U (zh) 一种配置调节式支撑机构的闸道栏杆
JP3689654B2 (ja) 遮断機の阻止棒
KR200389738Y1 (ko) 가이드레일의 델리네이터고정용 클립
CN219951753U (zh) 一种etc车道提示器
CN216238281U (zh) 一种公路桥梁用防碰撞伸缩装置
CN2539770Y (zh) 高架桥桥头保护器
CN217923237U (zh) 一种用于市政道路的限高架
CN209907193U (zh) 一种市政桥梁的防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