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5527B1 - 풍하중 대응형 도로표지장치 - Google Patents

풍하중 대응형 도로표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5527B1
KR102305527B1 KR1020190058996A KR20190058996A KR102305527B1 KR 102305527 B1 KR102305527 B1 KR 102305527B1 KR 1020190058996 A KR1020190058996 A KR 1020190058996A KR 20190058996 A KR20190058996 A KR 20190058996A KR 102305527 B1 KR102305527 B1 KR 1023055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 load
indicator
pole
rotat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8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3571A (ko
Inventor
김동규
Original Assignee
김동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규 filed Critical 김동규
Priority to KR1020190058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5527B1/ko
Publication of KR20200133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35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5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55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01F9/61Special features of delineator posts, e.g. with parts cantilevered toward the roadway or fixed vertically on a tilted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7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96Overhead structures, e.g. gantries; Foundation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풍하중 대응형 도로표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표지판에 작용하는 풍하중에 대응하여 표지부를 회전시킴으로써 강풍에 의한 도로표지장치가 손상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풍하중 대응형 도로표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풍하중 대응형 도로표지장치는 설계기준 풍속 이하의 풍하중 작용에 대하여 도로 주행자의 시인성 확보 등 도로표지판의 기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설계기준 풍속 이상의 강한 풍하중에 대해서는 시설물이 손상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간단한 구조를 적용하여 제조 비용이 저렴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풍하중 대응형 도로표지장치{Wind load matching type road sign device}
본 발명은 풍하중 대응형 도로표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표지판에 작용하는 풍하중에 대응하여 표지부를 회전시킴으로써 강풍에 의한 도로표지장치가 손상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표지판에 작용하는 풍하중이 제거되면 표지판을 초기의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는 풍하중 대응형 도로표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주변에는 도로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위험사항을 운전자와 보행자에게 알림으로써 안전하고 원활한 도로교통을 확보하도록 함과 동시에 도로구조의 보전을 도모하기 위해서 도로의 이용에 필요한 각종사항을 알려주는 도로표지와, 운전자와 보행자의 편의를 위해 도로에 관련한 각종 정보, 예컨대 도로의 진행방향이나 거리 또는 장소 등에 대한 위치 정보를 알려주는 안내표지 등의 도로정보시설물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도로정보시설물은 운전자나 보행자가 전달사항을 인식하기 쉽고, 먼 거리에서도 표지판의 종류를 판별하여 단시간 내에 그 내용을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표지판은 통상적으로 도로변에 지주를 적정높이로 설치하여, 이의 상부에 표지판을 설치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러한 도로표지에 적용되는 지주는 그 구조에 따라 분류되는 형식으로 단주식, 복주식, 내민식, 현수식, 문형식, 양편지식, 부착식 등이 있다.
이들 중 내민식은 편지식(片枝式), 측주식이라고도 하는 한쪽 방향으로 내민 형태로 일반적으로 예고표지에 주로 사용되고, 현수식(懸垂式)은 풍압 등의 유동적 상황에 맞도록 지주에 달아매는 형식으로 제작된 표지로서 도시지역 방향표지에 주로 사용된다. 그리고, 문형식(門型式)은 문(門) 형태의 구조를 갖는 형식으로 운전자의 시인성 및 판독성 확보가 중요시되고 주행속도가 높은 도로에 설치되는 형식으로, 차로수, 차량속도, 진출입로 구조 등을 고려하여 고속도로나 대도시 내의 자동차전용도로에 주로 설치된다.
또한, 양편지식(兩片枝式)은 1개의 지주 좌/우 양측에 2개의 판이 부착된 편지식형의 구조로서 중앙에서 분기되는 형태의 도로나 이와 유사한 도로에 원거리부터 시야 확보가 특별히 중요시되는 자동차전용도로 출구/분기지점, 지하, 고가차도 분리지점 등에 주로 설치되고, 복주식(複柱式)은 2개의 낮은 형식의 지주로 사람이나 차량 통행에 지장을 주지 않는 자동자전용도로 또는 도로의 종단부분에서 대부분 방향표지로 설치되고, 단주식(單柱式)은 장소가 협소하여 타 형식의 설치가 어렵거나, 보조기능으로 활용되는 표지에 주로 활용되며, 부착식(附着式)은 도로표지설치가 반드시 필요한 장소임에도 설치위치 선정이 어려운 경우 주변의 타시설물을 이용하여 부착하는 형식으로 일반적으로 육교, 고가 상판 등에 많이 설치된다.
지주를 사용하는 이러한 종래의 도로교통 표지판은 대부분 그 지주 상측에 표지판이 연장되어 설치되고, 지주 하측이 콘크리트 구조물에 고정된 강판부분에 설치되거나 그러한 지주 하측이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설되어 고정되는 방식을 취하기 때문에, 강풍에 의해 표지판에 설계기준 이상의 풍압이 가해져 지주가 좌굴 또는 파손될 수 있고, 그에 따른 2차적인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55902호에는 회전식 도로교통표지판이 게재되어 있다.
상기 회전식 도로교통표지판은 상부기둥에 스프링이 결합되어 하부기둥의 체결볼트에 의해 밀착지지되고 하부기둥의 베어링 받침에는 고정앵커가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90도 회전 가능하며, 상부기둥의 베어링 덮개에 밀착되어 정지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상부에 고정앵커가 형성된 베어링 받침을 구비하고 중앙부에 스프링 고정판 체결볼트를 설치하여 상부기둥의 스프링 고정판에 밀착지지되는 하부기둥과, 중앙부에 베어링 덮개가 구비되고 스프링 고정판 외측에 스프링이 설치되며 스프링 상부가 스프링 고정볼트로 고정되는 상부기둥으로 구성되므로, 그 구조가 비교적 복잡하고 그에 따른 제작시 비용 소모가 크다.
또한, 스프링 구조에 의하여 설계기준 풍속 이하의 풍하중 상태에서도 표지판이 회전하여 도로 주행자의 시인성 저하가 우려되며, 장기적으로 스프링의 탄성력이 감소하여 원상태로의 복원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므로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 제20-2007-001274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095588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5709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설계기준 풍속 이하의 풍하중 작용에 대하여 도로 주행자의 시인성 확보 등 도로표지판의 기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설계기준 풍속 및 풍량 이상의 강한 풍하중에 대해 시설물이 손상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표지부가 회전되고 풍하중이 제거되면 표지부를 초기의 위치로 복귀되며, 간단한 구조를 적용하여 제조 비용이 저렴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풍하중 대응형 도로표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풍하중 대응형 도로표지장치는 지주와; 상기 지주에 지지되어 도로정보를 표시하는 표지부와; 상기 지주와 상기 표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지주에 대해 상기 표지부를 지지하고, 상기 표지부에 설정된 기준 이상의 풍하중이 작용하면 상기 표지부가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지주에 대해 상기 표지부를 상기 지주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표지부에 작용하는 풍하중이 제거되면 상기 표지부가 초기의 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중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풍하중 대응형 도로표지장치의 상기 회전중계부는 상기 지주의 일부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하단에는 길이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사선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경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지주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파이프와, 상기 지주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파이프가 하강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표지부에 작용하는 풍하중에 의해 회전파이프가 회전될 시 상기 경사부에 간섭되어 상기 회전파이프가 상승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풍하중 대응형 도로표지장치는 상기 표지부에 설정된 기준 미만의 풍하중이 작용할 때에는 상기 표지부가 회전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표지부에 설정된 기준 이상의 풍하중이 작용할 때에는 상기 표지부가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된 록킹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풍하중 대응형 도로표지장치의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경사부에 상방으로 인입되어 상기 가이드로드의 상측 일부가 삽입될 수 있게 형성된 록킹홈 또는 상기 경사부로부터 돌출되는 록킹돌기와, 상기 록킹돌기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로드에 형성된 록킹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풍하중 대응형 도로표지장치의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지주를 관통하는 제1록킹홀 및 상기 제1록킹홀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회전파이프를 관통하는 제2록킹홀을 포함하는 록킹홀부와, 상기 록킹홀부와 대응되는 상기 회전파이프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일 측에 일 단이 고정되고 타 단은 상기 록킹홀부에 출입되는 록킹돌기와, 상기 지지판에 타 측에 일 단이 고정되고 타 단은 상기 표지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 캔틸레버와, 상기 캔틸레버에 설치되어 풍하중을 받는 바람판과, 상기 캔틸레버를 상기 회전파이프에 지지 및 상기 캔틸레버가 회전될 시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풍하중 대응형 도로표지장치는 상기 지주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중계부의 최대상승높이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풍하중 대응형 도로표지장치는 상기 지주와 상기 회전중계결합부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이물질유입차단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풍하중 대응형 도로표지장치는 설계기준 풍속 및 풍량 이상의 강한 풍하중에 대해서는 표지부를 회전시킴으로써 시설물이 손상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설계기준 풍속 및 풍량 이하의 풍하중 또는 표지부에 작용하는 풍하중이 제거되면 원위치로 복귀되게 함으로써 도로 주행자의 시인성 확보 등 도로표지판의 기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며, 간단한 구조를 적용하여 제조 비용이 저렴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풍하중 대응형 도로표지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풍하중 대응형 도로표지장치의 작동 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풍하중 대응형 도로표지장치의 작동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풍하중 대응형 도로표지장치의 로킹수단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풍하중 대응형 도로표지장치의 로킹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풍하중 대응형 도로표지장치의 작동 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풍하중 대응형 도로표지장치의 작동 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풍하중 대응형 도로표지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록킹수단이 구비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풍하중 대응형 도로표지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풍하중 대응형 도로표지장치의 록킹수단을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풍하중 대응형 도로표지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풍하중 대응형 도로표지장치(1)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풍하중 대응형 도로표지장치(1)는 지주(100)와, 표지부(200)와, 회전중계부(300)와, 스토퍼(110)를 포함한다.
지주(100)는 도로변 및 지면에 설치된 콘크리트 구조물에 고정된 플랜지부(101)에 하단에 연결 및 고정되며, 상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된다. 지주(100)와 플랜지부(101) 사이에는 보강을 위한 복수의 보강리브(102)들이 더 구비된다.
표지부(200)는 표지판(210)과, 지지프레임(220) 및 연결부재(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표지판(210)은 해당 도로와 관련된 정보 일 예로, 도로번호, 도로의 경유지 및 도착지 정보, 경유지 및 도착지까지의 남은 거리, 교차로 정보 등이 표시된다.
지지프레임(220)은 표지판(210)을 지주(100)에 지지 및 도로 내측 상부에 위치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일 단이 지주(100)에 결합된 회전중계부(300)에 고정되고, 타 단은 도로 내측으로 연장된 가로보를 포함한다. 가로보는 일 단이 후술하는 회전중계부(300)의 회전파이프(320)에 고정되며, 가로보의 일 단과 회전파이프(320) 사이에는 복수의 보강리브(102)가 더 구비되어 회전파이프(320)와 연결된 부분에서 휘어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보강한다.
연결부재(230)는 지지프레임(220) 및 가로보에 표지판(210)을 고정하기 위한 연결부재(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 연결부재(230)는 일 측이 지지프레임(220)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되고 타 측은 표지판(210)에 고정되는 클램프부재를 적용하였다.
회전중계부(300)는 지주(100)와 표지부(200)에 결합되어 지주(100)에 대해 표지부(20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표지부(200)에 설정된 기준 미만의 풍하중이 작용할 시에는 지주에 대해 표지부가 회전되지 않도록 차단하고, 설정된 기준 이상의 풍하중이 작용할 때에는 지주(100)에 대해 표지부(200)를 지주(100)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풍하중이 제거될 때에는 표지부를 원래의 위치 즉 회전되기 이전의 초기 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회전중계부(300)는 보강파이프(310)와, 회전파이프(320)와, 가이드로드(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강파이프(310)는 지주(100) 상부를 감싸도록 설치된 것으로서, 지주(100)의 내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중공이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파이프 구조를 갖고, 지주(100)를 관통하도록 체결되는 고정볼트를 통해 지주(100)에 고정된다.
회전파이프(320)는 보강파이프(310)의 일부를 감싸도록 보강파이프(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지주(100)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회전파이프(320)는 상단이 평평하게 형성되고, 하단에는 길이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사선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경사부(321)가 형성된다.
경사부(321)는 회전파이프(320)를 회전파이프(320)의 길이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사선방향으로 절단하여 형성되고, 회전파이프(320)의 길이방향에 대해 설정된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가이드로드(330)는 원형 단면을 가지며, 보강파이프(31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평상시 회전파이프(320)가 보강파이프(310)를 따라 하강하는 것을 차단하고, 표지부(200)에 작용하는 풍하중에 의해 회전파이프(320)가 회전될 시에는 경사부(321)에 선 접촉 및 간섭되면서 회전파이프(320)가 상승되도록 안내한다. 가이드로드(330)는 일 단이 보강파이프(310) 및 지주(100)를 관통하도록 체결되고, 타 단은 보강파이프(310)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된다.
회전중계부(300)의 경사부(320)에는 표지부(200)에 설정된 기준 미만의 풍하중이 작용할 때에는 표지부(200)가 회전되는 것을 차단하고, 표지부(200)에 설정된 기준 이상의 풍하중이 작용할 때에는 표지부(20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된 록킹수단이 더 구비된다.
도 4를 참고하면, 록킹수단으로서 경사부(321)의 최상단에 대응되는 회전파이프(320)의 하단에 상방으로 일정 깊이 인입되어 가이드로드(330)의 상측 일부가 삽입되는 록킹홈(322)을 적용하였다.
록킹홈(322)은 평상시 가이드로드(330)의 상측 일부가 진입 및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로드(330)의 외주면 형상과 대응되게 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록킹홈과 경사부(321)의 경계에는 록킹홈(322)의 형상에 따라 가이드로드(330) 측으로 첨예하게 돌출되거나 곡면 형상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가이드로드(330)에 간섭되는 간섭돌기부(323)가 구비된다.
록킹홈 및 간섭돌기부는 표지부에 설정된 기준치 이하의 풍하중이 작용함과 동시에 표지부가 회전되지 않도록 가이드로드에 간섭되어 표지부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와 다르게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는 풍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가이드로드가 록킹홈으로부터 인출되면서 회전파이프의 경사면이 가이드로드와 접촉된 상태로 상승하도록 하여 표지부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록킹수단으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오 같이 록킹홈(331)과 록킹돌기(322)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록킹홈(331)은 가이드로드(330)의 상부에 하방으로 인입되게 형성되고, 록킹돌기(322)는 가이드로드(330)의 록킹홈(331)에 대응되는 경사부(321)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록킹홈(331)에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록킹홈(331)은 평상시 경사부(321)의 록킹돌기(322) 일부가 진입 및 삽입될 수 있도록 록킹돌기(322)의 외주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곡면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가이드로드(330)의 록킹홈(331) 가장자리 측에는 록킹돌기(322)를 기준으로 좌우측으로 각각 첨예하게 돌출되거나 곡면 형상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회전파이프(320)가 회전될 때, 경사부(321)의 록킹돌기(322)에 간섭될 수 있도록 되는 간섭돌기부(332)가 구비된다.
록킹홈(331) 및 간섭돌기부(332)는 표지부에 설정된 기준치 이하의 풍하중이 작용함과 동시에 표지부가 회전되지 않도록 가이드로드에 간섭되어 표지부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와 다르게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는 풍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가이드로드가 록킹홈으로부터 인출되면서 회전파이프의 경사면이 가이드로드와 접촉된 상태로 상승하도록 하여 표지부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회전중계부(300)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회전중계부(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지부가 도로의 내측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회전파이프(320)의 경사부(321) 최상단 측이 가이드로드(330)에 접하도록 위치한다.
그리고, 표지부(200)의 후방 측에서 강풍이 불어 표지부에 풍하중이 작용할 때에는 이 풍하중에 의해 표지부(200) 및 표지부(200)에 연결된 가로보에 의해 회전파이프(320)를 회전시키는 토크가 발생한다. 이때, 회전파이프(3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부(321)가 가이드로드(330)에 접한 상태로 가이드로드(330)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방으로 상승함과 동시에 일 측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된다. 이 상태에서 표지부(200)에 작용하는 풍하중이 제거되면, 표지부(200)의 자중에 의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래의 상태로 복귀한다.
이와 다르게 표지부(200)에 큰 풍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파이프(320)의 경사부(321) 최하단이 가이드로드(330)와 인접하는 위치까지 회전될 수 있으며, 경사부(321) 최하단이 가이드로드(330)를 넘어가는 경우에는 표지부(200)의 하중에 의해 회전파이프(320)의 경사부(321)가 가이드로드(330)에 슬라이딩되면서 하강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래의 상태로 복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풍하중 대응형 도로표지장치는 표지부(200)에 작용하는 풍하중의 크기에 따라 표지부(200)가 자동으로 지주(100)에 대해 회전됨으로써 풍하중에 의한 표지부(200) 및 지주(100)에 손상 및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풍하중 대응형 도로표지장치의 회전중계부(300)는 보강파이프(310)를 포함한 구조를 적용하였으나, 지주(100) 외측에 결합되는 보강파이프(310)를 생략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회전중계부(300)는 회전파이프(320) 및 가이드로드(330)로 구성되며, 회전파이프(320)는 지주(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스토퍼(110)는 지주(100)에 결합되어 회전중계부(300)의 최대상승높이를 제한하는 것으로서, 회전파이프(320)의 상부에 배치된다. 스토퍼(110)는 회전파이프(320)의 경사부(321) 하단이 가이드로드(330)의 상에 위치할 때 회전파이프(320)의 상단이 위치하는 높이와 대응되는 높이 또는 이보다 더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회전파이프(320)가 해당 위치(최대상승위치)보다 높은 위치로 상승하는 것을 제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풍하중 대응형 도로표지장치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민식에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6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형식에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표지부(200)는 회전파이프(320)에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풍하중 대응형 도로표지장치의 가이드로드(330)는 지주 또는 보강파이프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회전파이프의 경사부와 구름 마찰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회전파이프의 회전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풍하중 대응형 도로표지장치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록킹수단(60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록킹수단(600)은 설정된 기준풍속보다 작은 풍속하에서는 표지부(200)가 회전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지주(100)에 대해 회전중계부(300)를 회전 잠금 상태로 유지시키고, 기준풍속보다 큰 풍속하에서는 표지부(200)가 회전될 수 있도록 지주(100)에 대한 회전중계부(300)의 회전 잠금 상태를 해제한다.
록킹수단(600)은 록킹홀부(610)와, 지지판(620)과, 록킹돌기(630)와, 캔틸레버(640)와, 바람판(650)과, 탄성지지부(6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록킹홀부(610)는 표지부(200)의 상측에 위치하는 지주(100)의 일 지점을 관통하는 제1록킹홀(611) 및 지주(100)의 제1록킹홀(611)이 형성된 위치와 대응되는 회전파이프(320)의 일 지점을 관통하는 제2록킹홀(612)을 포함한다. 제2록킹홀(612)은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파이프(320)를 관통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고, 이와 다르게 회전파이프(320)의 내측으로 소정 깊이 인입된 홈 형태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지지판(620)은 록킹홀부(610)와 대응되는 위치에 록킹홀부(610)를 폐쇄하도록 회전파이프(320) 외측에 배치된다. 지지판(620)은 후술하는 캔틸레버(640)가 일 측으로 회전될 때에는 양측 단부 중 캔틸레버(640)가 회전되는 방향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는 일 측 단부가 회전파이프(320)의 외주면에 접촉되고, 캔틸레버(640)가 타 측으로 회전될 때에는 양측 단부중 캔틸레버(640)가 회전되는 방향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는 타 측 단부가 회전파이프(320)의 외주면에 접촉된다.
그리고, 지지판(620)의 양측 단부가 위치하는 회전파이프(320)의 일 지점과 타 지점에는 각각 캔틸레버(640)가 회전할 때 지지판(620)의 양단이 일정 부분 진입되어 지지판(620)의 양측 단부가 각각 해당 지점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회전파이프(320) 내측으로 소정 깊이 인입된 이탈방지홈(325) 또는 이탈방지홀이 형성된다.
록킹돌기(630)는 회전파이프(320)를 향하는 지지판(620)의 일 면 또는 록킹홀부(610)와 대응되는 지지판(620)의 중앙 내측에 일 단이 고정되고 타 단은 소정 길이 연장되어 록킹홀부(610)에 출입된다.
록킹돌기(630)는 캔틸레버(640)가 원 위치에 위치 즉, 회전되지 않을 때에는 록킹홀부(610)에 삽입되어 지주(100)에 대해 회전파이프(320)가 회전되는 것을 차단하고, 캔틸레버(640)가 회전될 때에는 록킹홀부(610)로부터 인출되어 지주(100)에 대해 회전파이프(320)를 회전 가능하게 한다.
캔틸레버(640)는 회전파이프(320)와 대향되는 타 면에 일 단이 고정되고 타 단은 표지부(200)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캔틸레버(640)는 바람판(650)에 풍하중이 작용할 때, 지지판(620)의 양측 단부 중 일 측 단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일 측으로 회전된다. 이때, 지지판(620)에 연결된 록킹돌기(630)가 록킹홀부(610)으로부터 인출되면서 비로소 회전파이프(320)가 회전 가능 상태로 전환되며, 표지판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해 회전파이프(320)가 회전된다. 이와 반대로 일 측으로 캔틸레버(640)가 회전된 상태에서 풍하중에 제거되면 캔틸레버(640)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함과 동시에 록킹돌기(630) 또한 제1록킹홀(611)으로 삽입되고, 회전파이프(320)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면 록킹돌기(630)가 제2록킹홀(612)으로 삽입되면서 회전파이프(320)가 회전 잠금 상태로 전환된다.
바람판(650)은 캔틸레버(640)에 설치되어 바람이 불때 캔틸레버(640)가 일 측 또는 타 측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캔틸레버(640)에 모멘트 또는 토크를 제공한다. 바람판(650)은 캔틸레버(64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바람판(650)의 설치 위치에 따라 캔틸레버(640)를 회전시키는 모멘트 또는 토크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예로, 동일한 풍량 또는 풍속하에서는, 지주(100)와 가까운 측의 캔틸레버(640)에 바람판(650)을 설치한 경우보다 지주(100)와 먼 측의 캔틸레버(640)에 바람판(650)을 설치하는 경우가 캔틸레버(640)를 회전시키는 모멘트 또는 토크가 더 크게 발생하므로 바람판(650)의 위치를 조정하여 캔틸레버(640)에 작용하는 모멘트 또는 토크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탄성지지부(660)는 회전파이프(320)에 대해 캔틸레버(640)를 지지 및 캔틸레버(640)가 회전될 시 캔틸레버(640)를 초기의 위치로 복귀시킨다.
탄성지지부(660)의 일 예로 제1스프링과, 제2스프링을 적용할 수 있다. 제1스프링은 일 단이 회전파이프(320)와 인접하는 캔틸레버(640)에 고정되고 타 단은 록킹홀부(610)를 기준으로 좌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회전파이프(320)에 고저된다. 제2스프링은 일 단이 회전파이프(320)와 인접하는 캔틸레버(640)에 고정되고 타 단은 록킹홀부(610)를 기준으로 우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회전파이프(320)에 고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록킹수단(600)은 탄성지지부(660)의 인장력을 조절함으로써 캔틸레버(640)의 회전 시점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예로, 평상시(일 예로, 5m/s 이내)보다 약간 강한 바람(일 예로, 5m/s 초과 10m/s 미만)에도 캔틸레버(640)가 회전될 수 있도록 즉, 약한 풍하중에 대응하여 표지부(200)를 회전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작은 인장력을 갖는 탄성지지부(660)를 적용하고, 평상시보다 매우 강한 바람(일 예로, 10m/s 이상)에만 캔틸레버(640)가 회전될 수 있도록 즉, 센 풍하중에 대응하여 표지부(200)를 회전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큰 인장력을 갖는 탄성지지부(660)를 적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록킹수단(600)을 구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풍하중 대응형 도로표지장치는 탄성지지부(660)의 인장력 또는 캔틸레버(640)에 대한 바람판(650)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표지부(200)의 회전 작동 시점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설정된 풍속 미만에서는 표지부(200)가 회전되는 것을 차단하고, 설정된 풍속 이상에서는 표지부(20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약한 풍속에서 표지부(200)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고, 센 풍속에서는 표지부(20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본 발명에 따른 풍하중 대응형 도로표지장치는 이물질차단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물질차단부는 지주(100)와 회전중계부(300)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으로서, 회전파이프(320)의 상측 지주(100)에 일단이 고정되고, 지주(100)의 외측을 감싸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물질차단부는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이 형성된 파이프 구조로 형성되되, 상측은 지주(100)와 연결되어 폐쇄되며, 내측에는 회전파이프(320)를 수용 및 회전파이프(320)가 하방에서 출입할 수 있게 중공의 내경이 회전파이프(32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물질차단부는 지주(100)와 회전중계부(300) 사이로 빗물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이물질이 지주(100)와 회전중계부(300) 즉 회전파이프(320) 사이에 끼어 회전파이프(320)가 원활하게 회전하지 못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회전중계부(300)의 동작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본 발명에 따른 풍하중 대응형 도로표지장치는 표지부에 설정된 기준 이하의 풍하중이 작용할 시 표지부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방지부로서 회전파이프에 하중을 부가하거나 회전파이프를 상부에서 가압하거나, 회전파이프를 하부에서 잡아당기는 탄성부재를 적용할 수 있다.
탄성부재의 일 예로, 지주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하단이 회전파이프의 상부에 접하도록 배치하며 상단은 위치 이동이 불가능하도록 지주에 지지된 상태로 회전파이프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코일스프링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코일스프링은 표지부에 설정된 기준 이하의 풍하중이 작용할 시 표지부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표지부가 일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원래의 위치로 신속하게 복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도 함께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풍하중 대응형 도로표지장치는 함은 물론 풍하중에 의해 표지부가 회전된 상태에서 풍하중이 제거되면, 표지부를 원래의 위치로 신속하게 복귀시키기 위한 위치복원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위치복원부의 일 예로, 일 단이 지주나 보강파이프에 고정되고 타 단은 회전파이프에 고정되는 스프링부재나 탄성을 갖는 신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스프링부재 또는 신축부재는 회전파이프가 회전될 때 즉, 표지부에 풍하중이 작용할 때에는 인장되고, 풍하중이 제거되면 압축되면서 표지부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킨다.
위치복원부의 다른 예로, 지주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일 단이 지주나 보강파이프에 고정되고 타 단은 회전파이프에 고정되는 코일스프링을 적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코일스프링은 회전파이프가 회전될 때 직경이 감소하거나 확장되게 변형되고, 풍하중이 제거되면 자체가 가진 탄력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직경이 확장되거나 압축되면서 표지부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토크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풍하중 대응형 도로표지장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풍하중 대응형 도로표지장치
100 : 지주
101 : 플랜지부
102 : 보강리브
110 : 스토퍼
200 : 표지부
210 : 표지판
220 : 지지프레임
230 : 연결부재
300 : 회전중계부
310 : 보강파이프
320 : 회전파이프
321 : 경사부
330 : 가이드로드
400 : 회전방지부
401 : 제1걸림홈
402 : 제2걸림홈
403 : 걸림돌기부
500 : 이물질차단부
600 : 록킹부
610 : 록킹홀부
620 : 지지판
630 : 록킹돌기
640 : 캔틸레버
650 : 바람판
660 : 탄성지지부

Claims (5)

  1. 지주와;
    상기 지주에 지지되어 도로정보를 표시하는 표지부와;
    상기 지주와 상기 표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지주에 대해 상기 표지부를 지지하고, 상기 표지부에 설정된 기준 이상의 풍하중이 작용하면 상기 표지부가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지주에 대해 상기 표지부를 상기 지주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표지부에 작용하는 풍하중이 제거되면 상기 표지부가 초기의 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중계부와;
    상기 표지부에 설정된 기준 미만의 풍하중이 작용할 때에는 상기 표지부가 회전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표지부에 설정된 기준 이상의 풍하중이 작용할 때에는 상기 표지부가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된 록킹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중계부는 상기 지주의 일부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하단에는 길이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사선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경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지주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파이프와, 상기 지주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파이프가 하강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표지부에 작용하는 풍하중에 의해 회전파이프가 회전될 시 상기 경사부에 간섭되어 상기 회전파이프가 상승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경사부에 상방으로 인입되어 상기 가이드로드의 상측 일부가 삽입될 수 있게 가이드로드의 외주면 형상과 대응되게 호 형상으로 형성된 록킹홈 또는 상기 경사부로부터 돌출되는 록킹돌기와 상기 록킹돌기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로드에 형성되고 상기 록킹돌기의 외주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곡면형으로 형성된 록킹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하중 대응형 도로표지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지주와;
    상기 지주에 지지되어 도로정보를 표시하는 표지부와;
    상기 지주와 상기 표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지주에 대해 상기 표지부를 지지하고, 상기 표지부에 설정된 기준 이상의 풍하중이 작용하면 상기 표지부가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지주에 대해 상기 표지부를 상기 지주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표지부에 작용하는 풍하중이 제거되면 상기 표지부가 초기의 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중계부와;
    상기 표지부에 설정된 기준 미만의 풍하중이 작용할 때에는 상기 표지부가 회전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표지부에 설정된 기준 이상의 풍하중이 작용할 때에는 상기 표지부가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된 록킹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중계부는 상기 지주의 일부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하단에는 길이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사선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경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지주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파이프와, 상기 지주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파이프가 하강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표지부에 작용하는 풍하중에 의해 회전파이프가 회전될 시 상기 경사부에 간섭되어 상기 회전파이프가 상승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지주를 관통하는 제1록킹홀 및 상기 제1록킹홀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회전파이프를 관통하는 제2록킹홀을 포함하는 록킹홀부와, 상기 록킹홀부와 대응되는 상기 회전파이프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일 측에 일 단이 고정되고 타 단은 상기 록킹홀부에 출입되는 록킹돌기와, 상기 지지판에 타 측에 일 단이 고정되고 타 단은 상기 표지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 캔틸레버와, 상기 캔틸레버에 설치되어 풍하중을 받는 바람판과, 상기 캔틸레버를 상기 회전파이프에 지지 및 상기 캔틸레버가 회전될 시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하중 대응형 도로표지장치.
KR1020190058996A 2019-05-20 2019-05-20 풍하중 대응형 도로표지장치 KR1023055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8996A KR102305527B1 (ko) 2019-05-20 2019-05-20 풍하중 대응형 도로표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8996A KR102305527B1 (ko) 2019-05-20 2019-05-20 풍하중 대응형 도로표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3571A KR20200133571A (ko) 2020-11-30
KR102305527B1 true KR102305527B1 (ko) 2021-09-24

Family

ID=73642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8996A KR102305527B1 (ko) 2019-05-20 2019-05-20 풍하중 대응형 도로표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55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2702B1 (ko) * 2021-12-10 2023-07-05 장현실 교통표지판용 양방향 회동식 스프링밴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308Y1 (ko) * 2013-06-21 2014-06-26 석상문 교통표지판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8726B1 (ko) 2006-03-22 2009-11-27 유니크인터네셔널 주식회사 아토피성 피부 질환 치료용 천연 특수 한방 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GB0618165D0 (en) 2006-09-15 2006-10-25 Imi Vision Ltd Improvements in fluid contro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308Y1 (ko) * 2013-06-21 2014-06-26 석상문 교통표지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3571A (ko) 2020-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35555A (en) Breakaway post coupling
US6457895B1 (en) Flush mount breakaway post coupler
KR102139375B1 (ko) 시선유도봉
US3335534A (en) Highway replaceable post
KR102305527B1 (ko) 풍하중 대응형 도로표지장치
KR101196702B1 (ko) 충격흡수형 표지판
NO324580B1 (no) Ettergivende forbindelsesanordninger for mast og baerestruktur
US20140042379A1 (en) Barrier system
EA025553B1 (ru) Съемное основание для вертикальных элементов малых архитектурных форм
KR100921250B1 (ko) 도로용 표지장치
KR20190142621A (ko) 가드레일용 교통안전 표지판 설치장치
KR100543117B1 (ko) 회동식 교통표지판 지주
KR200412608Y1 (ko) 도로 교통표지판 전도방지구조
JP3170430U (ja) 交通遮断機
AU764084B2 (en) Improved removable barrier construction
KR100864461B1 (ko) 도로정보시설물의 전도방지장치
KR102476879B1 (ko) 신속 시공이 가능한 싱글데크 회전형 비상회차장치
JP3076217U (ja) 道路用衝撃吸収装置
AU2022200702A1 (en) Pole support
CN213092690U (zh) 一种翻转式标识牌
CN110644391B (zh) 一种市政交通防撞柱
CN211173370U (zh) 一种公路桥梁施工基坑防护装置
KR200298746Y1 (ko) 맨홀 보호 덮개
KR100607238B1 (ko) 풍량 조정판이 설치된 도로교통 표지판
AU2022200135A1 (en) Multi Message Sign (MMS) Panel Sepa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