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3308Y1 - 교통표지판 - Google Patents

교통표지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3308Y1
KR200473308Y1 KR2020130005034U KR20130005034U KR200473308Y1 KR 200473308 Y1 KR200473308 Y1 KR 200473308Y1 KR 2020130005034 U KR2020130005034 U KR 2020130005034U KR 20130005034 U KR20130005034 U KR 20130005034U KR 200473308 Y1 KR200473308 Y1 KR 2004733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ign
connecting rod
rotary pipe
ro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50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석상문
Original Assignee
석상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상문 filed Critical 석상문
Priority to KR20201300050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3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3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30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01F9/6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with rotatable, swingable or adjustable signs or signa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7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교통표지판이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각종 교통안내정보가 기입되는 플레이트 형태의 표지판; 표지판과 체결되어 표지판을 고정 지지하고, 하단이 개구된 중공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회전파이프; 회전파이프 내측으로 삽입 체결되는 파이프체결봉; 및 파이프체결봉 하단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단에 회전파이프의 하단이 안착 지지되는 지지봉;을 포함하되, 회전파이프의 하단에는 제 1 경사부가 마련되고, 지지봉의 상단에는 제 1 경사부에 대응되는 제 2 경사부가 마련되어, 제 1 경사부가 제 2 경사부에 안착 지지되며, 표지판에 설정치 이상의 풍하중이 작용되면, 표지판 및 회전파이프가 파이프체결봉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교통표지판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교통표지판 {TRAFFIC SIGN BOARD}
본 고안은 교통표지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변 등에 설치되어 각종 교통안내정보 등을 제공하기 위한 교통표지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변 등에는 차량의 운전자나 보행자의 주의를 환기시키거나 각종 교통안전수칙, 지시사항 등이 기재된 교통표지판이 설치되고 있다. 이와 같은 교통표지판은 원형, 삼각형, 사각형 등의 플레이트로 형성된 표지판을 강관 등의 지주를 통해 도로변의 일정높이에 세우는 형태로 설치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교통표지판은 그 형태상(즉, 플레이트나 판형) 풍하중을 받게 되는바, 강풍 등에 의해 휨 변형되거나 지주에서 이탈되는 되는 등의 손상이나 파손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또한, 도로변에 설치되는 특성상, 주행중의 차량에 부딪히는 사고도 발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도 교통표지판이 쉽게 휘거나 파손되게 된다. 나아가, 태풍 등의 발생된 경우에는 표지판에 작용되는 풍하중에 의해 지주가 바닥에서 뽑히는 사례도 발생되고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콘크리트 등의 기초 공사(즉, 기초를 크고 무겁게 형성하여야 함)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강풍, 차량의 충돌 등으로 인한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교통표지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각종 교통안내정보가 기입되는 플레이트(plate) 형태의 표지판; 상기 표지판과 체결되어 상기 표지판을 고정 지지하고, 하단이 개구된 중공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회전파이프; 상기 회전파이프 내측으로 삽입 체결되는 파이프체결봉; 및 상기 파이프체결봉 하단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단에 상기 회전파이프의 하단이 안착 지지되는 지지봉;을 포함하되, 상기 회전파이프의 하단에는 제 1 경사부가 마련되고, 상기 지지봉의 상단에는 상기 제 1 경사부에 대응되는 제 2 경사부가 마련되어, 상기 제 1 경사부가 상기 제 2 경사부에 안착 지지되며, 상기 표지판에 설정치 이상의 풍하중이 작용되면, 상기 표지판 및 상기 회전파이프가 상기 파이프체결봉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교통표지판이 제공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교통표지판은 표지판에 설정치 이상의 바람이나 풍하중이 작용되는 경우, 표지판 및 이에 체결된 회전파이프가 회전 작동되게 되며, 따라서 태풍이나 강풍 등이 발생된 경우에도 교통표지판의 파손이나 손상을 막을 수 있게 되며, 나아가, 도로변에 설치된 교통표지판에 차량이 충돌되는 경우에도, 표지판이 회전되어 휨 변형 등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교통표지판은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저비용으로도 구현이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제 1, 2 경사부의 각도를 변경함으로써 풍속에 따른 표지판의 회전 여부 등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덧붙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교통표지판은 표지판의 회전을 통해 지지봉이나 기초 등에 작용되는 풍하중을 저감시키게 되는바, 종래에 비해 작고 가벼운 기초로도 충분한 지지가 가능하며, 이로 인해, 콘크리트 기초 공사 등을 위한 비용 또한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표지판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표지판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표지판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변형예들에 따른 교통표지판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불필요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기술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표지판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표지판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교통표지판(100)은, 각종 교통안내정보 등이 기입되는 표지판(110), 표지판(110)에 체결되는 회전파이프(120), 회전파이프(120) 내로 삽입되는 파이프체결봉(130), 파이프체결봉(130) 하단에 형성되는 지지봉(1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표지판(110)에는 각종 교통안내정보가 기입될 수 있다. 예컨대, 표지판(110)에는 운전자나 보행자를 위한 각종 안전규칙, 도로상황정보, 기타안내정보 등이 기입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예시한바 이외에도 표지판(110)에는 필요에 따른 다양한 교통안내정보가 기입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경우 표지판(110)에 기입되는 교통안내정보의 내용 등에는 한정되지 않음을 밝혀둔다.
또한, 표지판(110)은 플레이트(plate) 형태 또는 판(板)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도 1 및 2에서 표지판(110)이 대략 직사각형 형태의 플레이트로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였다. 다만, 표지판(110)은 교통안내정보의 내용 등에 따라 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의 플레이트 또는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 참고).
한편, 표지판(110)의 일측에는 회전파이프(120)가 체결될 수 있다. 회전파이프(120)는 용접 등을 통해 표지판(110)에 고정 체결되어 표지판(110)을 지지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직사각형 형태의 표지판(110) 일측단에 회전파이프(120)가 고정 체결되어 회전파이프(120)가 표지판(110)을 지지하도록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였다. 다만, 필요에 따라, 회전파이프(120)는 표지판(110)의 다양한 위치에 체결될 수 있으며, 고정바 등을 매개로 표지판(110)과 체결될 수도 있다 (도 4 참고).
또한, 회전파이프(120)는 상하부가 개구된 중공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파이프(120)의 내측 공간으로는 후술할 파이프체결봉(130)이 삽입 체결되게 된다. 이때, 회전파이프(120)의 하단은 소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회전파이프(120)의 하단에는 수평선에 대해 소정각도 경사를 이루는 제 1 경사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제 1 경사부(121)는 후술할 제 2 경사부(141)에 안착되어 표지판(110)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에 대하여는 하기에서 부연하기로 한다.
한편, 파이프체결봉(130)은 상하방향으로 소정정도 연장된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중공 원통형인 회전파이프(120)의 내측으로 삽입 체결되게 된다. 이를 위해, 파이프체결봉(130)의 외경(D2)은 회전파이프(120)의 내경(D1)과 동일하거나 소정정도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파이프체결봉(130)의 외경(D2)은 회전파이프(120)의 내경(D1)보다 작게 형성되어, 파이프체결봉(130)과 회전파이프(120) 간에 소정정도 유격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바람 등에 의한 회전파이프(120)의 회전이 보다 원활히 일어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대하여는, 본 실시예의 작동에 대한 설명에서 부연하기로 한다.
또한, 파이프체결봉(130)의 상하방향 길이(L2)는 회전파이프(120)의 상하방향 길이(L1)보다 소정정도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파이프체결봉(130)은 회전파이프(120)에 삽입 체결시 상단이 회전파이프(120) 상부 측으로 소정정도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 참고). 이는 회전파이프(120)의 회전시, 제 1, 2 경사부(121, 141)로 인해 회전파이프(120)가 상부 측으로 소정정도 이동되게 되는바, 회전 과정에서 회전파이프(120)가 파이프체결봉(13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대하여는, 본 실시예의 작동에 대한 설명에서 부연하기로 한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회전파이프(120)는 하단만이 개구되고 상단이 막힌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으며, 파이프체결봉(130)과 회전파이프(120)는 상하방향 길이가 동일 또는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회전파이프(120)의 이탈 방지 효과는 다소 저감될 수 있으나, 파이프체결봉(130)의 상단이 회전파이프(120) 내에 수용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바, 외관상 심미감을 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지지봉(140)은 파이프체결봉(130)의 하단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봉(140)은 파이프체결봉(130)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필요에 따라, 별개로 부재로 형성되어 파이프체결봉(13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지지봉(140)의 외경(D3)은 파이프체결봉(130)의 외경(D2)보다 소정정도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파이프(120)의 내경(D1)보다도 소정정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지지봉(140) 상단에 회전파이프(120)의 하단이 안착 지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보다 바람직하게, 지지봉(140)의 외경(D3)은 회전파이프(120)의 외경(D1)과 동일 또는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외관상 돌출된 부위를 최대한 줄여 일체감이나 심미감을 주기 위함이다.
또한, 지지봉(140)은 회전파이프(120)가 안착 지지되는 상단이 소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지지봉(140)의 상단에는 수평선에 대해 소정각도 경사를 이루는 제 2 경사부(141)가 마련될 수 있다. 제 2 경사부(141)는 회전파이프(120) 하단의 제 1 경사부(121)에 대응되며, 제 1, 2 경사부(121, 141)는 상호 동일 또는 대응되는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회전파이프(120)는 제 1 경사부(121)가 제 2 경사부(141)에 안착되어 지지봉(140) 상단에 지지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제 1, 2 경사부(121, 141)는 바람 등에 의해 회전파이프(120) 및 표지판(110)이 회전되는 경우, 회전파이프(120)나 표지판(110)을 원위치로 복귀시키게 된다. 이에 대하여는, 본 실시예의 작동에 대한 설명에 부연하기로 한다.
한편, 지지봉(140)은 콘크리트 등의 기초(150)를 통해 도로변 등의 바닥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지지봉(140)은 말뚝박기 등을 통해 바닥에 직접 매설되거나, 기타 공지된 다양한 방식으로 바닥에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예시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교통표지판의 작동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표지판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교통표지판(100)은 파이프체결봉(130)이 회전파이프(120) 내측으로 삽입 체결되고, 회전표지판(110)의 하단이 지지봉(140) 상단에 안착 지지된 상태로 도로변 등에 설치되게 된다. 이때, 회전파이프(120) 하단의 제 1 경사부(121)는 지지봉(140) 상단의 제 2 경사부(141) 위에 안착 지지되어, 회전파이프(120) 및 표지판(110)의 회전을 소정정도 구속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제 1, 2 경사부(121, 141)는 서로 완전히 접촉되어 회전파이프(120)나 표지판(110)이 파이프체결봉(130)을 중심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구속 지지하게 된다. 설명의 편의상, 이와 같은 상태를 '원위치(S0)'로 지칭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원위치(S0) 상태에서, 바람 등이 설정치 이상 표지판(110)에 작용하게 되면, 표지판(110) 및 회전파이프(120)가 파이프체결봉(130)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일반적으로 표지판(110)은 운전자의 시인성 확보 등을 위해 도로를 향해 차량의 주행방향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넒은 플레이트나 판형으로 형성되게 되는바, 차량의 주행풍이나 외부환경의 바람 등에 의해 풍하중을 받게 된다. 이와 같은 풍하중은 표지판(110) 및 이에 결합된 회전파이프(120)에 회전력을 발생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회전력은 설정치 이하엔 경우에는 제 1, 2 경사부(121, 141)가 맞물리는 힘에 의해 지지 되었다가, 설정치 이상이 되면 표지판(110) 및 회전파이프(120)를 회전시키게 된다. 즉, 태풍 등으로 인해 표지판(110)에 설정치 이상의 풍하중이 가해지게 되면, 표지판(110) 및 회전파이프(120)는 파이프체결봉(130)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되며, 이때, 제 1, 2 경사부(121, 141)로 인해 표지판(110) 및 회전파이프(120)가 소정정도 상부 측으로 이동됨과 병행하여 회전이 일어나게 된다. 도 3의 경우, 표지판(110) 및 회전파이프(120)가 원위치(S0)에서 180도 회전된 상태(S1)를 가상적으로 도시하였다.
한편, 표지판(110) 및 회전파이프(120)가 소정정도 회전된 상태(S1)에서 바람이나 풍하중 등의 외력이 사라지게 되면, 표지판(110) 및 회전파이프(120)의 자중에 의해 제 1, 2 경사부(121, 141)가 다시 맞물림 또는 접촉되면서, 원위치(S0)로의 복귀가 이뤄지게 된다. 즉, 제 1, 2 경사부(121, 141)의 경사에 의해, 표지판(110) 및 회전파이프(120)가 파이프체결봉(130)을 중심으로 다시 회전되면서, 초기 상태인 원위치(S0)로 복귀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바, 본 실시예에 따른 교통표지판(100)은 표지판(110)에 설정치 이상의 바람이나 풍하중이 작용되는 경우, 표지판(110) 및 이에 체결된 회전파이프(120)가 회전 작동되게 된다. 따라서 태풍이나 강풍 등이 발생된 경우, 표지판(110)이 회전되어 교통표지판(100)의 파손이나 손상을 막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설정치 이하의 바람 등이 작용된 경우에는, 제 1, 2 경사부(121, 141)에 의해 표지판(110) 등의 회전이 구속되게 되므로, 평상시 교통표지판(100)으로서의 기능이나 사용에는 특별한 무리가 없게 된다.
덧붙여, 본 실시예의 교통표지판(100)은 제 1, 2 경사부(121, 141) 등의 제작이 용이하여 저비용으로도 쉽게 구현이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제 1, 2 경사부(121, 141)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표지판(110) 등이 회전되는 설정 풍속 등을 쉽게 변경 설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제 1, 2 경사부(121, 141)의 각도를 크게 형성하여 비교적 큰 풍속에서만 표지판(110) 등이 회전되도록 하거나, 제 1, 2 경사부(121, 141)의 각도를 작게 형성하여 보다 작은 풍속에서도 표지판(110) 등이 회전되도록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 따른 교통표지판(100)의 경우, 설정치 이상의 풍하중이 작용되면, 표지판(110)이 회전되는바, 표지판(110)으로 인해 지지봉(140)이나 기초(150)에 지나친 외력이 작용될 염려가 없게 된다. 즉, 지지봉(140)이나 기초(150)에 작용되는 풍하중 또는 외력이 줄어들게 되며, 이로 인해, 기초(150) 등을 위한 공사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는 본 고안의 변형예들에 따른 교통표지판을 도시한 것으로, 도 4를 참고하면, 다양한 형태 및 내용의 표지판(110)이 고정바 등에 의해 회전파이프(120)에 장착될 수 있으며,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달리, 표지판(110)의 중앙부 등이 회전파이프(120)에 체결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상,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교통표지판 110: 표지판
120: 회전파이프 130: 파이프체결봉
140: 지지봉 150: 기초

Claims (3)

  1. 각종 교통안내정보가 기입되는 플레이트(plate) 형태의 표지판(110);
    상기 표지판(110)과 체결되어 상기 표지판(110)을 고정 지지하고, 하단이 개구된 중공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회전파이프(120);
    상기 회전파이프(120) 내측으로 삽입 체결되는 파이프체결봉(130); 및
    상기 파이프체결봉(130) 하단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단에 상기 회전파이프(120)의 하단이 안착 지지되는 지지봉(140);을 포함하되,
    상기 회전파이프(120)의 하단에는 제 1 경사부(121)가 마련되고, 상기 지지봉(140)의 상단에는 상기 제 1 경사부(121)에 대응되는 제 2 경사부(141)가 마련되어, 상기 제 1 경사부(121)가 상기 제 2 경사부(141)에 안착 지지되며,
    상기 표지판(110)에 설정치 이상의 풍하중이 작용되면, 상기 표지판(110) 및 상기 회전파이프(120)가 상기 파이프체결봉(13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교통표지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파이프(120)는, 상단이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파이프체결봉(130)은, 상하방향 길이(L2)가 상기 회전파이프(120)의 상하방향 길이(L1)보다 소정정도 크게 형성되어, 상단이 상기 회전파이프(120)의 상단 외측으로 소정정도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교통표지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체결봉(130)의 외경(D2)은, 상기 회전파이프(120)의 내경(D1)보다 소정정도 작게 형성되며,
    상기 지지봉(140)의 외경(D3)은, 상기 회전파이프(120)의 내경(D1)과 동일 또는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교통표지판.
KR2020130005034U 2013-06-21 2013-06-21 교통표지판 KR2004733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5034U KR200473308Y1 (ko) 2013-06-21 2013-06-21 교통표지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5034U KR200473308Y1 (ko) 2013-06-21 2013-06-21 교통표지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3308Y1 true KR200473308Y1 (ko) 2014-06-26

Family

ID=51490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5034U KR200473308Y1 (ko) 2013-06-21 2013-06-21 교통표지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30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74132A (zh) * 2019-08-16 2019-09-24 南京陶特思软件科技有限公司 一种智慧工地综合安全运行信息化监管平台
KR20200133571A (ko) * 2019-05-20 2020-11-30 김동규 풍하중 대응형 도로표지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5902A (ko) * 2003-12-09 2005-06-14 안계홍 회전식 도로 교통 표지판
KR100543117B1 (ko) 2005-03-22 2006-01-20 영신산업 주식회사 회동식 교통표지판 지주
KR20080057476A (ko) * 2006-12-20 2008-06-25 주승식 도로교통표지판
KR20090089738A (ko) * 2008-02-19 2009-08-24 성산건설 주식회사 자동 복귀기능을 갖는 교통안전표지판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5902A (ko) * 2003-12-09 2005-06-14 안계홍 회전식 도로 교통 표지판
KR100543117B1 (ko) 2005-03-22 2006-01-20 영신산업 주식회사 회동식 교통표지판 지주
KR20080057476A (ko) * 2006-12-20 2008-06-25 주승식 도로교통표지판
KR20090089738A (ko) * 2008-02-19 2009-08-24 성산건설 주식회사 자동 복귀기능을 갖는 교통안전표지판 지지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3571A (ko) * 2019-05-20 2020-11-30 김동규 풍하중 대응형 도로표지장치
KR102305527B1 (ko) * 2019-05-20 2021-09-24 김동규 풍하중 대응형 도로표지장치
CN110274132A (zh) * 2019-08-16 2019-09-24 南京陶特思软件科技有限公司 一种智慧工地综合安全运行信息化监管平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3308Y1 (ko) 교통표지판
KR100661758B1 (ko) 튜브식 차단바를 구비한 안전차단장치
KR20090009012U (ko) 도로 교통 표지판
JP2019112767A (ja) 誤発進車止め
JP2009052242A (ja) 自動復帰式道路標識
KR101196702B1 (ko) 충격흡수형 표지판
US7264219B2 (en) Breakaway banner support assembly
KR20130000173U (ko) 통합형 도로교통 시설물
KR101143981B1 (ko) 가로보 각도 조절장치
KR100942760B1 (ko) 자동 복귀기능을 갖는 교통안전표지판 지지장치
KR200401228Y1 (ko) 차량용 안전 삼각대
KR102278927B1 (ko) 차선규제봉
KR101571817B1 (ko) 표지판의 각도 조정장치
KR200463249Y1 (ko) 도로교통 표시장치용 회전식 지주대
KR100647518B1 (ko) 도로의 교통표지판 설치용 지주
CN207659868U (zh) 一种道路施工用临时指示牌
KR101197144B1 (ko) 충격 흡수형 회동식 교통표지판
JP2022111421A (ja) 車輌用走行規制表示装置
KR100543117B1 (ko) 회동식 교통표지판 지주
KR100586626B1 (ko) 교통표지판을 회동시키기 위한 수평지지대 구조.
CN208415133U (zh) 一种可调节式市政警示牌
KR200349901Y1 (ko) 회동식 교통 표지판 고정장치.
KR100586627B1 (ko) 회동식 교통 표지판 고정장치.
KR100607238B1 (ko) 풍량 조정판이 설치된 도로교통 표지판
KR200448675Y1 (ko) 안전펜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