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8675Y1 - 안전펜스 - Google Patents

안전펜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8675Y1
KR200448675Y1 KR2020070020342U KR20070020342U KR200448675Y1 KR 200448675 Y1 KR200448675 Y1 KR 200448675Y1 KR 2020070020342 U KR2020070020342 U KR 2020070020342U KR 20070020342 U KR20070020342 U KR 20070020342U KR 200448675 Y1 KR200448675 Y1 KR 2004486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fence
display unit
support
displa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203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6208U (ko
Inventor
류강환
Original Assignee
류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강환 filed Critical 류강환
Priority to KR20200700203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8675Y1/ko
Publication of KR200900062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62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86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867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2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free-standing; portable, e.g. for guarding open manholes ; Portable signs or signa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 portable barriers
    • E01F13/028Flexible barrier members, e.g. cords; Means for rendering same conspicuous; Adapted supports, e.g. with storage ree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01F9/65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in the form of three-dimensional bodies, e.g. cones; capable of assuming three-dimensional form, e.g. by inflation or erection to form a geometric bod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16Signs formed of or incorporating reflecting elements or surfaces, e.g. warning signs having triangular or other geometrical shape
    • G09F13/165Signs formed of or incorporating reflecting elements or surfaces, e.g. warning signs having triangular or other geometrical shape rotatably or swingatly mounted reflecting elements or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안전펜스에 대한 고안이 개시된다. 본 고안의 안전펜스는: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배경기술의 고안과 달리,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좁은 장소에도 설치가 가능하며, 표시부를 반으로 접어 작업자가 쉽게 들 수 있다.
안전펜스

Description

안전펜스{SAFETY FENCE}
본 고안은 안전펜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이 용이하고, 외부충격에 의해 쉽게 쓰러지지 않으며, 좁은 공간에도 설치할 수 있는 안전펜스에 관한 것이다.
안전펜스는 도로, 건설 현장, 사고 현장 또는 주차장 등의 각종 작업현장 및 안전을 요하는 곳에 설치되어, 주입로와 금지구역의 경계를 용이하게 구분시키며, 주변을 통행하는 보행자에게 공사중인 상황을 인지시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한다.
안전펜스에는 대부분 안전이나 위험 등을 강조하는 경고문구가 표기되어 있으며, 보행자나 운전자는 이 경고문구를 통해 안전에 주위를 기울이게 된다.
일반적인 안전펜스의 일 예로는 철재 프레임으로 된 표시부와 표시부의 양단에 용접되어 고정되는 2개의 지지부로 이루어진다. 지지부의 바닥에는 철재가 용접되어 있어, 안전펜스가 설치장소의 바닥에 지지된다.
그리고 일반적인 안전펜스의 다른 예로, 표시부의 양단에 지지부가 결합되는 구조의 플라스틱 안전펜스가 있다. 이하에서는, 배경기술에 따른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안전펜스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배경기술에 따른 안전펜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안전펜스(1)는 표시부(10) 및 지지부(20)를 구비한다.
안전펜스(1)는 다수의 작업현장에서 사용되어 반복적으로 조립 및 분해된다.
표시부(10)는 "안전제일"과 같은 문구가 표시되어 보행자에게 안전구역임을 인지시키며, 지지부(20)는 표시부(10)의 양단에 구비되어, 표시부(10)를 지지하게 된다. 표시부(10)와 지지부(20)는 표시부의 홈(미도시)과 지지부의 돌기(미도시)가 억지 끼움되어 결합된다.
배경기술의 일 예에 따른 안전펜스는 표시부 및 지지부가 용접결합되므로 용이하게 분해되지 않으며, 철재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운반하기에는 상당한 무게를 가지게 된다. 분해가 쉽지 않으며 무게가 상당하여, 안전펜스의 운반 및 보관이 어렵다.
그리고 배경기술의 다른 예에 따른 안전펜스는 표시부의 홈과 지지부의 돌기가 억지끼움으로 결합되어 조립이 어려우며, 결합지점이 협소하여 가압지점이 집중되므로, 연결부분의 파손 및 변형이 쉽게 발생한다. 이에 따라, 의도하지 않게 안전펜스가 분해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또한, 배경기술의 안전펜스는 지면과 맞닿는 지지부의 면적이 협소하여 안전펜스의 지지가 불안하며, 이러한 안전펜스는 보행자가 부딪히거나 바람 등과 같은 외부충격에 의해 넘어지기가 쉽다. 외부충격에 의해 쉽게 넘어지지 않도록 벽돌과 같은 자재를 별도로 사용하여 지지대를 고정하게 된다.
또한, 배경기술의 안전펜스는 표시부의 길이가 항상 고정되어 표시부의 길이에 비하여 좁은 길에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면서도, 연결부분의 파손 및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어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용이하게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한 안전펜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 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벽돌과 같은 별도의 자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외부충격에 의해 쉽게 쓰러지지 않으며, 좁은 길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안전펜스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안전펜스는: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표시부는 상기 지지부에 삽입되며, 삽입된 상기 표시부와 상기 지지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부 또는 상기 표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손잡이가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부에는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중공과 연통되도록 상기 지지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표시부에는 반사면이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표시부는 제1표시부와, 상기 제1표시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2표시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부는 원뿔대 또는 원기둥 형상이며, 상기 지지부의 외측 둘레면에 상기 표시부의 내측 둘레면이 맞닿도록 형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안전펜스는 배경기술의 고안과 달리, 안전펜스를 이동 및 설치할 경우에 표시부가 지지부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으므로, 커브 길과 같이 굴곡지게 형성되는 작업현장에서 한 측의 길을 공사 후 표시부의 일단부를 용이하게 회전시켜 다른 측의 길로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안전펜스를 전체적으로 이동시키지 않고 표시부의 일단부가 장착된 하나의 지지부만을 이동시키므로, 안전펜스의 배치작업이 수월하게 되어, 적은 인력으로 빠른 시간에 재배치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제1표시부와 제2표시부가 접혀져 가로길이가 조절되므로, 장소에 구애되지 않고, 안전펜스가 완전히 펼쳐진 수평길이에 비하여 좁은 장소에도 설치가 가능하며, 표시부를 반으로 접어 작업자가 쉽게 들 수 있으므로 휴대가 편리해진다.
본 고안은, 지지부의 상단으로 표시부가 삽입되어 체결되므로,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는 것에 비하여 용이하게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여 설치 및 철거에 많은 인력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되며, 억지끼움 방식으로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억지끼움을 하지않고 지지부에 표시부가 삽입되어 고정부로 볼트결합되는 것으로, 결합면이 넓게 형성되어 가압면이 분산되므로 연결되는 부분의 파손 및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지지부의 지지면적이 배경기술의 안전펜스에 대비하여 넓게 형성되며, 모래 또는 액체와 같은 물질로 무게를 증가시키게 되므로, 외부충격에 의해 쉽게 쓰러지지 않고, 지면이 고르지 않은 비포장 길에 설치되어도 흔들림없이 안정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지면에 안전펜스를 안정적으로 설치하기 위하여 벽돌을 지지부에 걸치거나 하는 등의 별도의 고정장치가 배경기술의 안전펜스처럼 요구되지 않으므로, 설치작업이 용이하여 인력과 자제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표시부에 반사경이 구비되므로, 안전펜스가 설치된 지역에 근접하지 않더라도 안전펜스를 쉽게 알아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안전펜스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펜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펜스의 표시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펜스의 지지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펜스의 고정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안전펜스(100)는 표시부(110)와, 지지부(120) 및 고정부(130)를 구비한다. 표시부(110)와, 지지부(120) 및 고정부(130)는 가벼우면서 내구성이 강한 PVC 등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재질은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표시부(110)의 좌우 양단부는 원뿔대 형상이며, 좌우 양단부의 내측으로는 원뿔대 형상의 홀이 형성된다. 표시부(110)의 중앙부는 널빤지 형상으로, 상하 양단부가 완만한 곡선을 이루며 좌우 대칭이 되고, 주입로와 금지구역의 경계를 구분하도록 공간을 양분한다. 표시부(110)의 중앙 상단부에는 손잡이(113)가 구비되어 작업자가 쉽게 들 수 있다. 손잡이(113)는 표시부(110)의 상단부에 홀이 형성되어 홀로 작업자의 손을 삽입하여 홀의 상단을 쉽게 잡을 수 있게 된다.
표시부(110)의 외측 전방에는 "안전제일", "진입금지"와 같은 문구가 기재되어 위험이나 접근 금지 등의 경고문을 통행자에게 알리며, 반사면(115)이 부착되어 안전펜스(100)로부터 멀리 떨어진 거리에서도 통행자가 전방에 물체가 있음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 반사면(115)은 반사시트, 반사페인트와 같이 빛에 의해 반사되는 재질로 금속의 재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지지부(120)의 상단부는 표시부(110)의 원뿔대 형상의 홈에 대응되며, 지지부(120)의 좌우 양단부가 한 쌍의 지지부(120)의 상단부에 삽입되어. 지지부(120)의 외측 둘레면과 표시부(110)의 내측 둘레면이 대향하여 맞닿게 된다. 지지부(120)에 끼워진 표시부(110)는 수직의 상태로 서 있을 수 있게 된다.
표시부(110)는 좌우 양단의 지지부(120) 중에서 어느 하나를 회전축으로 하여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으므로, 커브 길 또는 쌍갈랫길과 같이 굴곡지게 형성되 는 작업현장에서 한 측의 길을 공사한 후 표시부의 일단부를 용이하게 회전시켜 다른 측의 길로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안전펜스를 전체적으로 이동시키지 않고 표시부의 일단부가 장착된 하나의 지지부만을 이동시키므로, 안전펜스의 배치작업이 수월하여 적은 인력으로 빠른 시간에 재배치할 수 있다.
지지부(120)의 하단부는 상단부의 외측 둘레면보다 크게 형성되어 단을 형성하게 되므로, 지지부(120)의 상단부에 삽입되는 표시부(110)가 하단부로 이동되지 않게 방지한다.
지지부(120)의 하단부는 원기둥 형상으로 표시부(1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해주며, 내측으로 중공(123)이 형성되어 모레 또는 액체와 같은 물질이 적재될 수 있어, 필요에 따라 안전펜스(100)의 무게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충격에 의해 쉽게 쓰러지지 않게 할 수 있다.
물질은 지지부(12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관통공(125)을 통해 출입한다.
결합부(124)는 내측 둘레면으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고정부(130)의 외측 둘레면으로 형성되는 나사산이 결합부(124)의 내측으로 회전하며 삽입되어 결합된다.
고정부(130)는 표시부(110)의 좌우 양단부의 상부 외주면에 대응되는 지름의 원판형상의 중앙부를 포함하고 상부에는 "∩"형상의 손잡이(133)를 구비하며, 하부에는 지지부(120)로 삽입되는 돌출부(135)를 포함한다.
돌출부(135)는 결합부(124)와 나사 결합하여, 표시부(110)와 지지부(120)를 결합시킨다. 고정부(130)의 원판형상이 표시부(110) 및 지지부(120)와 밀착되어 관통공(125)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표시부(110)가 외부충격에 의해 쓰러지더라도 지 지부(1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지지부(120)에 표시부(110)가 삽입되어 체결되므로,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는 것에 비하여 용이하게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며, 조립 및 분해를 자주 함으로써 억지끼움 방식의 배경기술 안전펜스가 쉽게 변형되어 의도하지 않게 분해되는 것을 본 고안은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펜스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펜스의 표시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여기서,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120)와 고정부(130)의 동작 및 작용효과는 상기 일 실시예의 동작 및 작용효과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표시부(210)는 제1표시부(213)와 제2표시부(215)를 포함한다. 제1표시부(213)와 제2표시부(215) 각각의 일단부는 원뿔대 형상의 내측홀이 형성되는 원뿔대 형상으로 일 실시예와 동일하게 지지부(120)의 상단부에 결합된다. 제1표시부(213)와 제2표시부(215) 각각의 타단부는 힌지 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다.
제1표시부(213)와 제2표시부(215)의 타단부가 결합되어, 일렬로 정렬하여 펼쳐지면 중앙부가 널빤지 형상의 푯말을 형성하게 되며, 전방으로 "안전제일"과 같은 문구가 기재되어 주입로와 금지구역의 경계를 구분하여, 통행자에게 진입금지 등의 경고문을 알린다.
제1표시부(213)와 제2표시부(215) 각각의 타단부를 축으로 회전하여 접어질 수 있어, 가로길이가 조절되므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안전펜스(100)가 완전히 펼쳐진 수평길이에 비하여 좁은 장소에도 설치가 가능하며, 표시부(210)를 반으로 접어 작업자가 쉽게 들 수 있으므로 휴대가 편리해진다.
또한, 지지부(120)의 하단에는 내측으로 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배경기술에 따른 안전펜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펜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펜스의 표시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펜스의 지지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펜스의 고정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펜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펜스의 표시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200: 안전펜스 110, 210: 표시부
113. 133: 손잡이 115: 반사면
120: 지지부 123: 중공
124: 결합부 125: 관통공
130: 고정부 135: 돌출부
217: 제1표시부 218: 제2표시부

Claims (7)

  1.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지지부에 삽입되며, 삽입된 상기 표시부와 상기 지지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펜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 또는 상기 표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손잡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펜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는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중공과 연통되도록 상기 지지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펜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는 반사면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펜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제1표시부와, 상기 제1표시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2표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펜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원뿔대 또는 원기둥 형상이며, 상기 지지부의 외측 둘레면에 상기 표시부의 내측 둘레면이 맞닿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펜스.
KR2020070020342U 2007-12-18 2007-12-18 안전펜스 KR2004486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342U KR200448675Y1 (ko) 2007-12-18 2007-12-18 안전펜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342U KR200448675Y1 (ko) 2007-12-18 2007-12-18 안전펜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208U KR20090006208U (ko) 2009-06-23
KR200448675Y1 true KR200448675Y1 (ko) 2010-05-07

Family

ID=41290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20342U KR200448675Y1 (ko) 2007-12-18 2007-12-18 안전펜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867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4206B1 (ko) 2020-12-10 2022-04-08 라온구조안전기술(주) 4등분 분리가 가능한 라바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4047A (ja) * 1994-10-18 1996-05-07 Masayuki Sawazaki 工事の保安装置
KR200172099Y1 (ko) * 1998-12-31 2000-03-15 황선주 조립식 경계판넬
KR200268037Y1 (ko) 2001-11-23 2002-03-15 최상목 조립식안전휀스
KR200353299Y1 (ko) * 2004-03-15 2004-06-22 홍영곤 안전콘용 벨트 지지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4047A (ja) * 1994-10-18 1996-05-07 Masayuki Sawazaki 工事の保安装置
KR200172099Y1 (ko) * 1998-12-31 2000-03-15 황선주 조립식 경계판넬
KR200268037Y1 (ko) 2001-11-23 2002-03-15 최상목 조립식안전휀스
KR200353299Y1 (ko) * 2004-03-15 2004-06-22 홍영곤 안전콘용 벨트 지지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4206B1 (ko) 2020-12-10 2022-04-08 라온구조안전기술(주) 4등분 분리가 가능한 라바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208U (ko) 2009-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84719A (ko) 신호등 지지용 지주장치
KR200448675Y1 (ko) 안전펜스
KR20100003742U (ko) 조립식 안전휀스
KR102611716B1 (ko) 어린이보호구역 도로 난간용 led지주
KR101440604B1 (ko) 보행자용 방호 울타리
KR102189664B1 (ko) 엘이디가 탑재된 중앙 분리대
KR20120085449A (ko) 충격흡수형 표지판
KR200357076Y1 (ko) 안전 펜스
KR101143981B1 (ko) 가로보 각도 조절장치
KR102278927B1 (ko) 차선규제봉
CN211524350U (zh) 一种泡沫轻质土路面施工防护装置
KR200473308Y1 (ko) 교통표지판
KR101197144B1 (ko) 충격 흡수형 회동식 교통표지판
KR102155577B1 (ko) 중앙 분리대
KR102662706B1 (ko) 전도방지를 위한 공사안내판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공사안내판
KR101554935B1 (ko) 접이식 가판 난간
CN210597140U (zh) 一种用于市政建设的工程路障
CN219690384U (zh) 一种公路养护用安全保护围栏
KR101839694B1 (ko) 횡방향 하중에 대한 회전 유도 수단을 구비한 도로 기둥 구조물
KR102411708B1 (ko) 차량 이탈 방지장치
KR200348802Y1 (ko) 안전펜스
KR101917836B1 (ko) 부품 간소화로 생산성 향상과 충격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도록 개선한 앙카고정 이동식 볼라드
KR101053103B1 (ko) 스틸지주속에 케이블을 삽입하여 등주가 전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분리형 가로등 지주
KR102284054B1 (ko) 설치 편리성과 이동성이 향상된 안내 표시판
KR101111029B1 (ko) 탈착식 중앙 분리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