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1708B1 - 차량 이탈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이탈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1708B1
KR102411708B1 KR1020210042186A KR20210042186A KR102411708B1 KR 102411708 B1 KR102411708 B1 KR 102411708B1 KR 1020210042186 A KR1020210042186 A KR 1020210042186A KR 20210042186 A KR20210042186 A KR 20210042186A KR 102411708 B1 KR102411708 B1 KR 102411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ision control
vehicle
present
control tube
vacu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2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연
이용희
Original Assignee
주용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용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용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42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17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1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1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8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walls or wall-like elements ; Cable-linked b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5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 E01F15/146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fixed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이탈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로 가장자리에 상하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상측 및 하측 가이드(100)(200)과, 상측 및 하측 가이드(100)(200) 사이에 세워져 등간격 배열되며 각각 상하단이 회전축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충돌제어관(300)과, 충돌제어관(300)의 내측에 제공되어 충격력을 순차적으로 흡수하는 진공흡수수단(400) 및 충돌제어관(300)의 회전력을 제어하는 회전제어수단(50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주행 차량의 부딪힘시 충격력을 회전함과 동시에 순차적으로 흡수하도록 하여 주행 차량이 차도를 이탈하지 못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차량 이탈 방지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vehicles from deviating}
본 발명은 차량 이탈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의 양쪽 가장자리 또는 코너링 부분과 같이 차량 이탈이 우려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주행 차량의 부딪힘시 충격력을 순차적으로 흡수하도록 하여 차량이 뒤집히거나 도로를 벗어나지 못하도록 함은 물론 운전자를 최대한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이탈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교통수단의 발달 그리고 차량을 이용한 휴식 등으로 인하여 차량 이용이 급격하게 증가되고 있고 더불어 차량의 대형화 및 다양화 되는 현상으로 교통사고가 빈번해지면서 재산과 인명의 막대한 손실이 발생되고 있다.
종래 주행 차량의 차선 이탈을 방지하거나 차량을 강제적으로 제어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도로 가장자리에 석재로 이루어진 도로연석 또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가드레일(Guardrail)이 설치되고 있다.
가드레일은, 고가도로 및 커브길 또는 고속도로와 같이 차량이 고속으로 주행하는 구간 등의 도로변에 설치되어 운전 부주의로 인한 차선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가드레일은 도로의 중앙 또는 가장자리에 다수의 지주를 설치한 후 금속 패널을 상기 지주에 결합시켜 가드레일을 설치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한 가드레일은, 단순히 휀스 또는 난간 형태로 설치되어 있어 차량 충격력 발생시 차량의 충격을 견디지 못하고 찌그러지거나, 심한 경우 파손되어 가드레일 본래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였고 이로인해 차량이 가드레일로부터 벗어나 다리 밑이나 낭떠러지로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종래 커브길 도로 설치용 차량 이탈 방지장치가 특허등록 제10-0606206호로 제시된 바 있다.
이는, 차량이 커브길에서 과속으로 주행시에 원심력으로 인하여 도로의 외측으로 쏠리는 경우에 측면보강콘크리트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발판으로 차량의 바퀴가 구동할 수 있게 하여 차량의 이탈을 방지하며, 차체가 외부로 더욱 기울어지게 되면, 차체가 도로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탈방지대가 설치되게 되며, 차체의 충격은 이탈방지대의 배면에 설치된 지지체가 사면의 마찰력으로 인해 흡수되도록 한 것이다.
하지만 상기한 장치의 경우 구조가 복잡하여 설치 불편은 물론 비용이 크게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예로, 완충력 제공과 충돌시 충격방향을 굴절시켜 충격력을 분산시키도록 하는 기술이 실용신안등록 제20-0102434호로 제시된 바 있다.
이는, 폐타이어의 내부에 쿠션재 부스러기를 충전하여 링으로 막고 링내의 삼각형 공에 중심공, 돌출봉 및 홈을 가진 삼각형 봉체을 삽입하여 설치하며 이를 받침구 위에 다단층으로 포개어서 중심봉으로 결합하여서 된 것을 하나의 결합 구성체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결합 구성체를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하지만, 상기한 경우 쿠션을 위해 내부에 쿠션재 부스러기를 채워야 함에 따라 사고 등이 발생되어 훼손되는 경우 오히려 주변을 지저분하게 하고 이를 통해 2차 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배경기술 또는 종래기술은 본 발명자가 보유하거나 본 발명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습득한 정보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의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KR 특허등록 제10-0816303호 등록일 2008.03.18 KR 특허등록 제10-0606206호 등록일 2006.07.21 KR 실용신안등록 제20-0229394호 등록일 2001.04.21 KR 실용신안등록 제20-0102434호 공고일 1996.07.22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함과 동시에 기존의 기술이 지닌 기술적 한계 및 문제점들을 해결하려는 발상에서, 주행 차량이 부주의한 운전에도 불구하고 도로를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새로운 구조의 휀스, 가이드레일, 난간 등을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주행 차량의 부딪힘시 충격력을 순차적으로 흡수하도록 하여 주행 차량이 차도를 이탈하지 못하도록 제어하는 차량 이탈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착상을 구체화하면서 특정의 기술적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구체적인 수단은, 도로 가장자리에 상하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상측 및 하측 가이드와, 상측 및 하측 가이드 사이에 세워져 등간격 배열되며 각각 상하단이 회전축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충돌제어관과, 충돌제어관의 내측에 제공되어 충격력을 순차적으로 흡수하는 진공흡수수단과, 충돌제어관의 회전력을 제어하는 회전제어수단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흡수수단은, 상기 충돌제어관을 이루는 외통체의 내측에 복수개의 진공공간을 형성하여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공간은, 상기 외통체의 외측 수직라인을 기준으로 하여 중심축선 방향으로 외경이 점차적으로 축소되는 복수의 중공관 사이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제어수단은, 상기 상측 가이드에 회전 방지 상태로 고정되며, 마주보는 한 쌍으로 상기 회전축을 감싼 상태에서 양단 체결구의 조임력에 따라 조임력이 발생되는 마찰플레이트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상측 및 하측 가이드 사이의 내벽에 직사각형 형상의 충돌제어프레임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충돌제어프레임의 내측에 2 내지 20개의 충돌제어관이 배열되도록 한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은 도로의 가장자리 등에 설치한 상태에서 차량 충돌이 발생되면 차량 충돌을 굴절로 그리고 충격력을 다단으로 흡수하여 제어할 수 있는 새로운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특유한 해결 수단이 기초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술에 따르면, 주행 차량의 부딪힘시 충격력을 회전함과 동시에 순차적으로 흡수하도록 하여 주행 차량이 차도를 이탈하지 못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이탈 방지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서 충돌제어관이 설치된 상태의 상하측 가이드빔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충돌제어관의 단면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평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서 충돌제어관의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제어수단을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이탈 방지장치의 다른 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이탈 방지장치의 또 다른 예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 및 형태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하는 의미이며,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즉,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설시(說示)하는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그리고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상측, 하측, 전후, 좌우 등의 용어는 각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편의상 사용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로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거나 지칭하고, 길이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폭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명명하거나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즉,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에서 제2 구성요소로 명명할 수 있고, 또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로의 가장자리, 중앙선, 코너링선 등에 설치되어 차량의 차도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차량 이탈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이탈 방지장치는, 도 1 내지 도 6의 도시에 의하여 도로 가장자리에 상하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상측 및 하측 가이드(100)(200)와, 상측 및 하측 가이드(100)(200) 사이에 세워져 등간격 배열되며 각각 상하단이 회전축(310)(320)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충돌제어관(300)과, 충돌제어관(300)의 내측에 제공되어 충격력을 순차적으로 흡수하는 진공흡수수단(400)과, 충돌제어관(300)의 회전력을 제어하는 회전제어수단(500)을 포함하고 있다.
하측 가이드(200)는, 금속 관 또는 금속 패널 소재로 이루어진 것이 적용될 수 있으며, 도로 가장자리에서 도로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상기에서 설치위치를 도로 가장자리를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도로의 가장자리 뿐만아니라 도로의 중앙선 라인, 난간, 휀스 등이 설치된 곳이 가능하며 차량이 주행하는 차도 측면 어디든지 설치될 수 있다.
상측 가이드(100)는, 상기 하측 가이드와 동일한 소재가 적용되며 상기 하측 가이드의 상측에 평행하게 설치된다.
상기 충돌제어관(300)은, 외형이 원통관 형상의 외통체로 이루어지며 상하측에 회전축(310)(320)이 돌출 구비되어 상기 상측 및 하측 가이드(100)(200)의 내벽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이에따라 상기 충돌제어관(300)에 부딪힘력이 발생되면 충돌제어관(300)이 회전되면서 충격력을 흡수하게 된다.
즉, 차량이 충돌하게 되면 충돌제어관(300)이 회전축(310)(320)에 의해 회전되도록 결합되어 있고, 또한 외관에 호형을 이루고 있어 부딪히면서 굴절되어 차량의 충격을 완화함과 동시에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진공흡수수단(400)은, 상기 충돌제어관(300)의 내측에 진공공간(410)(420)(430)을 다수개 형성시켜 차량 부딪힘시 진공공간(410)(420)(430)이 충격력을 다단으로 흡수하게 된다.
즉, 원통관 형상의 외통체(330)에 상기 외통체(330)에 대해 상하 높이는 동일하되, 외경이 작게 형성된 원통관 형상의 진공관이 복수개 설치되도록 한 것이고, 상기 중공관은 외통체(330)의 외측 수직라인을 기준으로 하여 상하 회전축(310)(320)을 연결하는 중심축선 방향으로 외경이 점차적으로 축소되는 복수의 중공관으로 형성된다.
다시말해, 상기 외통체(330)의 내측에 제1진공관(340)을 그리고 제1진공관(340) 내측에 제2진공관(350)을 그리고 제2진공관(350)의 내측에 제3진공관(360)을 위치시켜 사이사이에 진공공간(410)(420)(430)이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이에따라, 충돌제어관(300)을 이루는 외통체(330)의 내측에 설치된 제1 내지 제3진공관(340)(350)(360) 그리고 이들 사이에 형성되는 진공공간(410)(420)(430)이 차량 충돌을 순차적으로 흡수하여 차량을 보호하게 된다.
한편, 상기 외통체(330)에 상기 진공공간(410)(420)(430)으로 통하는 에어홀이 형성되고, 상기 에어홀에 에어밸브(700)가 설치된다.
상기 에어밸브(700)는, 에어홀에 끼워져 고정되는 패드, 에어홀에 끼워져 고정되며 중심에 일방향 밸브판이 형성된 것 등이 가능하며 에어홀을 차단 상태에서 일정 압력이 발생되면 개방하여 내부 압력이 해소되도록 하게 된다.
이를 통해 차량 충격력이 크게 발생되면 내부 진공압력이 해소되도록 하여 차량 충격력을 흡수 또는 2차 피해를 방지하도록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진공공간(410)(420)(430)의 내부 압력은 에어밸브(700)를 통한 에어의 공급과 배출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회전제어수단(500)은, 상기 상측 및 하측 가이드(100)(20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회전축(310)(320)이 상측 가이드(100) 또는 하측 가이드(200)에 대해 회전 방지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마주보는 한 쌍으로 상기 회전축(310)(320)을 감싼 상태에서 양단 체결구(510)(520)의 조임력에 따라 조임력이 발생되는 마찰플레이트(530)(540)로 이루어진 것을 적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찰플레이트(530)(540)의 마주보는 내측에 호형의 회전축삽입홈(532)(542)이 대응되게 각각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마찰플레이트(530)(540)의 양단이 서로 접하며 체결구(510)(520)로 고정되도록 한 상태에서 양단이 상기 상측 가이드(100)에 제어되도록 하면 된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마찰플레이트(530)(540)의 적어도 한 쪽단이 상기 상측 가이드(100)에 구비된 브래킷에 걸림상태 또는 용접 등으로 고정되도록 하면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이탈 방지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측 가이드빔(100)이 위험 등을 감안하는 설치 위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짐이 가능함을 보인 것이다.
즉, 상측 가이드(100)를 호형으로 굴곡되게 형성하고, 상기 충돌제어관(300)의 길이가 상기 상측 가이드(100)에 대응하는 길이로 설치됨이 가능함을 보인 것이다.
상기한 경우 도로의 코너링 부분에 설치하여 차량 부딪힘에 따른 차량의 뒤집히는 현상을 방지하거나, 대형 차량의 부딪힘시 이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이탈 방지장치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것으로, 공장 등에서 미리 제조한 후 현장에 설치됨을 보인 것이다.
즉, 공장 등지에서 직사각 형상의 충돌제어프레임(600) 내측 공간(620)에 충돌제어관(300)이 회전축(310)(320)을 통해 고정되도록 미리 조립 한 후 현장에 설치 할 수 있다.
설치시 상측 및 하측 가이드(100)(200) 사이의 내벽에 직사각형 형상의 충돌제어프레임(600)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면 된다.
또한, 상기 충돌제어프레임(600)은, 상기 상측 가이드(100)의 상면에 올려져 설치되어 다단으로 설치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충돌제어프레임(600)을 이격되게 위치시켜 사이사이에 투시 또는 다른 구조물 설치가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embodiment)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로 다양하게 변형하고 응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각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변형하고 응용하는 것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0: 상측 가이드
200: 하측 가이드
300: 충돌제어관
310,320: 회전축 330: 외통체
340: 제1진공관 350: 제2진공관
360: 제3진공관
400: 진공흡수수단
410,420,430: 진공공간
500: 회전제어수단
510,520: 체결구 530,540: 마찰플레이트
600: 충돌제어프레임
700: 밸브

Claims (6)

  1. 도로 가장자리에 상하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상측 및 하측 가이드;
    상측 및 하측 가이드 사이에 세워져 등간격 배열되며 각각 상하단이 회전축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충돌제어관;
    충돌제어관의 내측에 제공되어 충격력을 순차적으로 흡수하는 진공흡수수단;
    상기 상측 가이드에 회전 방지 상태로 고정되며, 마주보는 한 쌍으로 상기 회전축을 감싼 상태에서 양단 체결구의 조임력에 따라 조임력이 발생되는 마찰플레이트로 이루어져 상기 충돌제어관의 회전력을 제어하는 회전제어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이탈 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흡수수단은,
    상기 충돌제어관을 이루는 외통체의 내측에 복수개의 진공공간을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이탈 방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공간이,
    상기 외통체의 외측 수직라인을 기준으로 하여 중심축선 방향으로 외경이 점차적으로 축소되는 복수의 중공관 사이사이에 형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이탈 방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체에 상기 진공공간으로 통하는 에어홀이 형성되고, 상기 에어홀에 에어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이탈 방지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및 하측 가이드 사이의 내벽에 직사각형 형상의 충돌제어프레임이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충돌제어프레임의 내측에 2 내지 20개의 충돌제어관이 배열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이탈 방지장치.
KR1020210042186A 2021-03-31 2021-03-31 차량 이탈 방지장치 KR102411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2186A KR102411708B1 (ko) 2021-03-31 2021-03-31 차량 이탈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2186A KR102411708B1 (ko) 2021-03-31 2021-03-31 차량 이탈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1708B1 true KR102411708B1 (ko) 2022-06-22

Family

ID=82216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2186A KR102411708B1 (ko) 2021-03-31 2021-03-31 차량 이탈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170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9394Y1 (ko) 2001-01-20 2001-07-19 주식회사 삼보기술단 차량이탈 방지용 도로연석
KR20060054136A (ko) * 2004-11-15 2006-05-22 최원혁 도로의 차량 충돌 완화장치
KR100606206B1 (ko) 2005-12-31 2006-07-28 동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커브길도로 설치용 차량이탈방지장치
KR100816303B1 (ko) 2006-09-11 2008-03-27 엔 하이테크 주식회사 정적구동방식에 의해 led전광판에 복수의 문자를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회로
KR101003368B1 (ko) * 2009-12-31 2010-12-22 (주) 금성산업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9394Y1 (ko) 2001-01-20 2001-07-19 주식회사 삼보기술단 차량이탈 방지용 도로연석
KR20060054136A (ko) * 2004-11-15 2006-05-22 최원혁 도로의 차량 충돌 완화장치
KR100606206B1 (ko) 2005-12-31 2006-07-28 동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커브길도로 설치용 차량이탈방지장치
KR100816303B1 (ko) 2006-09-11 2008-03-27 엔 하이테크 주식회사 정적구동방식에 의해 led전광판에 복수의 문자를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회로
KR101003368B1 (ko) * 2009-12-31 2010-12-22 (주) 금성산업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82082B2 (en) Impact absorbing barrier assembly
US4423854A (en) Roadway barrier
US6010275A (en) Compression Guardrail
US3881697A (en) Roadside safety apparatus
ES2357034T3 (es) Sistema de absorción de energía de explosión montado en remolque.
AU753702B2 (en) Safety bollard
NZ532471A (en) Energy absorption apparatus with collapsible modules, in the form of truncated cones that become pleated on collapse
EP3040480A1 (en) Collision shock-absorbing device
EP1612334A1 (en) A road crash barrier
EP1612333A1 (en) Post
KR102411708B1 (ko) 차량 이탈 방지장치
KR100603511B1 (ko) 도로 터널입구 충격흡수시설
KR20110043005A (ko) 슬라이딩 빔을 이용한 충격완화 고성능 가드레일
KR100844210B1 (ko) 도로용 충격흡수장치
KR101613275B1 (ko) 가드 레일의 회전식 충격 완충 장치
JPH08158334A (ja) 道路用防護装置
ES2301730T3 (es) Sistema de retencion de vehiculos.
KR100710053B1 (ko) 도로의 차량 충돌 완화장치
KR100386860B1 (ko) 폐타이어를 이용한 충격흡수장치
EP1387008A2 (en) Front impact damper
KR101771134B1 (ko) 봉형 플라스틱 가드레일
KR101181429B1 (ko) 충격흡수가드레일
KR100457890B1 (ko) 충격완화 되는 도로용 가드 레일
KR200180181Y1 (ko) 충격흡수용 가이드레일
US20090196689A1 (en) Collapsible traffic barrica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