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3368B1 -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 - Google Patents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3368B1
KR101003368B1 KR1020090136281A KR20090136281A KR101003368B1 KR 101003368 B1 KR101003368 B1 KR 101003368B1 KR 1020090136281 A KR1020090136281 A KR 1020090136281A KR 20090136281 A KR20090136281 A KR 20090136281A KR 101003368 B1 KR101003368 B1 KR 1010033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shock absorbing
delete delete
support
roll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6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종술
Original Assignee
(주) 금성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금성산업 filed Critical (주) 금성산업
Priority to KR1020090136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3368B1/ko
Priority to EP10741340.3A priority patent/EP2431526B1/en
Priority to PCT/KR2010/000217 priority patent/WO2010093122A2/ko
Priority to CN2010800005611A priority patent/CN102027173B/zh
Priority to US13/521,373 priority patent/US8434965B2/en
Priority to MYPI2010003251 priority patent/MY15268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3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33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92Provisions for guiding in combination with rails, e.g. tire-gut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07Metal rails
    • E01F15/0438Spacers between rails and posts, e.g. energy-absorb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84Installing; Repairing; Adjus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7/00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 sand drifts, side-wind effects,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Anti-dazzle arrangements ; Sight-screens for roads, e.g. to mask accident site
    • E01F7/06Anti-dazzle arrangements ; Securing anti-dazzle means to crash-b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with reflectors; with means for keeping reflectors clea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 중앙, 도로변, 나들목 분기점, 터널이나 지하 차도의 입구, 교각, 교명주 보호는 물론, 고속도로 분기점에 설치를 통해 차량의 충돌에 따른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충돌된 차량이 받는 충격을 흡수하거나 충돌시 속도를 감속시키는 동시에 도로의 반대차선이나 도로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차량을 정상 진행 방향으로 유도하여 복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에 관한 것이다.
도로, 충격, 완충, 롤러, 지주, 회전지지관, 안전레일, 충격부재, 충격흡수판, 완충스프링, 콘크리트, 블록

Description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Stand for absorbing impact of a car for a road}
본 발명은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 중앙, 도로변, 나들목 분기점, 터널이나 지하 차도의 입구, 교각, 교명주 보호는 물론, 고속도로 분기점에 설치를 통해 차량의 충돌에 따른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충돌된 차량이 받는 충격을 흡수하거나 충돌시 속도를 감속시키는 동시에 도로의 반대차선이나 도로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차량을 정상 진행 방향으로 유도하여 복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충격흡수시설물은 차량이 고정된 구조물과 충돌시, 차량을 정지시키거나 방향을 교정하여 탑승자의 안정을 확보하며, 부차적으로는 차량과 장애물의 충돌 후 발생할 수 있는 2차 사고를 예방하고, 교각 등과 같은 도로의 주요 구조물을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되게 된다.
주요 설치장소로는 도로의 중앙선 또는 도로변 상 즉, 분기부, 단부, 교각, 고속도로 톨게이트, 터널 및 지하차도 입구, 옹벽, 곡선 주로의 내리막 구배 구간과 같이 차량과의 충돌로 인해 인명과 시설을 보호해야 할 필요가 있는 장소에 설치되게 된 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도로의 중앙선 또는 도로변 상에 매설시키는 충격흡수시설물의 경우 차량의 충돌시 그 충격을 흡수하여 분산시킴으로써 사고의 규모를 축소시켜 인명의 상해를 줄여주는 효과가 있지만, 폐타이어와 스티로풀과 같은 인공흡수재와 같은 충격흡수부재의 회전력에 의해 차량의 속도가 감소되지 않고, 충돌시 순간적으로 증가되어 주행선을 이탈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다른 차선의 주행 차량과 2차적인 충돌이 야기되어 대형사고로 이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더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도로의 중앙선 또는 도로변 상에 매설시키는 충격흡수시설물은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이에 따른 원가 상승의 원인이 됨과 아울러 현장의 조립시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조립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는 커다란 문제점도 있다. 특히, 곡선도로나 오르막길 조로 등 도로 여건상 전방 차량이 주시되지 않는 경우 차량의 충돌에 따른 사고의 발생시 그대로 주행하게 되어 보다 큰 대형사고의 위험이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기존의 특허등록 제0740552호의 충격흡수용 도로 방호대에 있어 차량충돌시 가속된 차량의 속도를 그대로 유지시켜 차량의 충돌시 속도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동시에 충격흡수통체 또한 회전속도가 그대로 유지하여 차량의 충돌이 발생하여 차량은 전복 또는 도로로 튕겨나가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이는 충격흡수통체의 회전속도가 차량의 충돌시 충격속도와 비례하여 충격흡수통체의 회전속도가 일어나기 때문에 차량의 점진적인 저속으로 인해 안전사고를 예방하기는 커녕 전복 또는 도로의 이탈 등 2차 교통사고를 발생할 우려가 극히 높게 나타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자외선 차단, 먼지부착방지, 빛반사성 및 야광성을 가지도록 코팅되고, 고무나 합성수지 등 충격 흡수할 수 있는 재질의 탄성부재가 설치된 충격흡수시설물에 차량의 충돌시 차량이 받는 충격을 흡수하여 충격을 완화시킴과 동시에 충돌시 차량의 속도를 감소시키면서 차량이 진행방향으로 유도하여 운전자가 핸들을 바로 잡아 정상 궤도로 진입할 수 있는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을 제공하는 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차량의 나들목 분기점, 터널이나 지하 차도의 입구, 교각, 교명주 보호는 물론, 고속도로 분기점에 설치된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에 충돌시 그에 따른 충격을 감소시킴은 물론 중앙선을 침범하거나 도로변 밖으로 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대형사고의 위험성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훼손은 물론 인명의 상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에 목적이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의 구조를 분리 가능한 조립식 형태로 제조하여 차량의 충돌에 따른 파손시 파손된 부분을 보다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관리가 용이하도록 하며, 야간 운전시 졸음 또는 부주의에 의한 사고를 예방하고자 충격흡수시설물의 지주 상단부에 태양전지가 내장된 자동으로 점등제어되는 LED솔라셀이 설치되어 야간에 LED램프가 발광되어 사전에 사고를 예방하고자 함을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의 완충롤러부재의 제조시 충격에 따른 완 화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발포용 고분자물질로 충진되도록 하였으며, 이러한 완충롤러부재의 중앙 결속구 형태가 원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내속시키는 보강파이프의 구조가 외주면에 숫나사선이 형성되도록 하여 발포 성형과정을 거쳐 상기 결속구 내주면에 암나사선이 형성되어 보강파이프와의 결속이 견고히 조립되어 발포성 고분자물질의 수축 팽창에도 결속구의 변형을 최소화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도로의 중앙선이나 도로변 상에 설치되어지되 차량의 충돌시 그 충격을 흡수 분산시키는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에 있어서,
도로의 중앙선이나 도로변 상에 일정 간격으로 매설되어 고정되는 기둥 형태의 지주와,
상기 지주를 통해 내속되어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회전지지관과,
상기 회전지지관 외주면에 내속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결속구가 형성되며 내/외부가 일체형의 탄성고무재로 원통 형상을 가지며 외부는 고휘도 반사띠가 설치되어 복수개로 설치되는 완충롤러부재와,
상기 완충롤러부재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 설치되어 상기 각 지주의 상/하부 양측에 각각 일체의 수평으로 설치되는 안전레일과,
상기 완충롤러부재가 설치된 회전지지관 외주면 상/하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지지관 일면에 제1고정홈이 형성되어 제1고정핀에 의해 고정되도록 결속공 내주면 일부에 제2고정홈이 형성되고 일면에 상향 돌출된 방사상의 돌출부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제1회전차단판;및,
상기 회전지지관 상/하단부에 설치된 제1회전차단판 상/하부면에 안착되도록 상기 지주의 상/하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지주 일면에 제3고정홈이 형성되어 제2고정핀에 의해 고정되도록 결속공 내주면 일부에 제4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회전차단판의 돌출부가 형성된 일면과 맞물려 형성되도록 일면에 상향 돌출된 방사상의 돌출부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제2회전차단판;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의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지주의 양측으로 형성된 각 안전레일의 외측면에 대해 볼트결합되어 판상의 곡선형을 가지는 보호편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복수개의 완충롤러부재 대신에 일체형의 완충롤러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제1회전차단판 또는 제2회전차단판 중 어느 하나는 일면이 돌출부 대신에 제1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각 지주 일면에 상기 안전레일 일면이 면접됨에 있어 상기 안전레일 일면과 면접되도록 양측이 관통된 사면체 형태의 충격흡수판이 더 포함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사각파이프의 충격흡수판이 상기 안전레일의 길이방향으로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사각파이프 상/하면에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의 제1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사각파이프 상/하면의 각 양단부에 “V”형의 절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사각파이프 양측단 내부에 일면에 삽입구가 형성된 사면체형의 고무재질을 가진 완충판과, 상기 삽입구에 일부 내속되도록 완충스프링으로 구성되는 제1충격부재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사각파이프 대신에 일면에 삽입구가 형성된 원통형의 고무재질을 가진 완충판과, 상기 삽입구에 일부 내속되도록 완충스프링 및 상기 완충스프링 전단부에 설치되는 와셔로 구성되는 제2충격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제2충격부재 대신에 일면이 곡면형태로 수직의 길이방향으로 제1요철편 이 형성되고, 타면은 상/하부에 돌출된 다수의 제2요철편이 형성되며, 일면과 타면을 관통하는 체결구가 형성된 제3충격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안전레일의 양측단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연장편이 더 형성되고, 상기 각 연장편과 연장되어 절곡된 각각의 단턱부가 형성되어 상기 단턱부에 끼움결합되도록 “ㄷ”형상의 끼움편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끼움편 상/하면 단부에 톱니형태의 톱니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안전레일 대신에 지주의 일면에 곡면형태의 지지부가 볼트결합되면서 상기 지지부 양측으로 수평지게 면접부가 연장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면접부에 대해 볼트결합되며 양단 지주와 지주 길이방향으로 판상의 인장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완충롤러부재의 표면에 액상의 에폭시 계열 또는 액상의 아크릴 계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투입되는 결속재에 경화제를 투입하되 상기 결속재와 경화제는 900:0.8~1.2wt% 비율로 혼합된 코팅재를 상온에서 코팅하여 상기 완충롤러 부재의 표면에 코팅층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코팅층 표면에 발광도료에 2~3초 이내로 침수시켜 0.5mm 이상 0.7mm 이내 두께의 발광코팅층과, 상기 발광코팅층 표면에 에폭시도료를 2~3초 이내 동안 침수시켜 0.2mm 이상 0.5mm 이내 두께의 보호층을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보호층이 형성하기 전에 상기 발광코팅층 표면에 액상의 자외선차단코팅액을 도포하여 자외선차단코팅(UV coating)층을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코팅층이 야간에 빛반사를 위해 글라스비드 또는 유리분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투입되는 반사재를 상기 결속재에 투입하되 상기 결속재와 반사재는 1 : 0.7~1wt% 비율로 더 혼합하여 상기 완충롤러부재의 표면에 반사코팅층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완충롤러부재 내부의 속이 빈 공간부를 가지며, 상기 완충롤러부재 상면의 일부에 마개로 밀폐되도록 투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투입구를 통해 상온 발포용 우레탄을 주입시켜 상기 공간부에 우레탄 발포물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지주 상부의 제2회전차단과 하부의 제1회전차단판을 제외하되, 상기 완충롤러부재 상/하면에 상향 돌출된 방사상의 돌출부가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돌출부가 형성된 완충롤러부재 대신에 완충롤러부재 상/하면에 하향 함몰된 방사상의 제2걸림홈이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완충롤러부재의 결속구 내면에 돌출되며 상기 결속구의 수직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제1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지지관 외면에 수직의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제2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완충롤러부재의 제1걸림돌기 대신에 결속구 내면에 함몰된 형태를 가진 제3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회전지지관 외면에 형성된 제2걸림돌기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지그재그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지주의 외주면에 수직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제3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지지관 내주면에 수직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제2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지주를 지면에 고정하는 대신에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 하부에 다수의 콘크리트 블록을 설치하여 지주를 고정시키며, 상기 다수의 콘크리트 블록을 연결시 상기 콘크리트 블록 하부에 관통된 체결공을 통해 와이어로프를 연결하고, 상기 와이어로프 끝단을 아이볼트(Eye Bolt)에 고정하고, 상기 아이볼트에 와셔와 너트를 체결하여 다수의 콘크리트를 밀착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콘크리트 블록의 저면부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걸이홈이 형성되고, 상기 걸이홈에 삽입되며 지면에 고정되는 단면이 “L”형태의 이탈방지고정편이 서로 대칭되게 한쌍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을 제공한다.
한편, 도로상에 제1, 2회전차단판이 설치된 1개의 충격흡수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충격흡수부재 후부에 제1, 2회전차단판이 설치된 서로 대면하는 한쌍의 충격흡수부재가 연속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충격흡수부재의 지주 상/하부의 외측면을 서로 연결하도록 사각파이프의 충격흡수판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지주의 상단면에 자동으로 제어되는 LED솔라셀이 설치되며, 상기 LED솔라셀을 커버하여 지주 외주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구물형태의 커버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의 충돌시 그에 따른 충격을 감소시킴은 물론 중앙선을 침범하거나 도로변 밖으로 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사고 차량을 정상 진행방향으로 복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의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을 통해 대형사고의 위험성을 최소화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효과로는 차량의 충돌시 그에 따른 충격을 감소시킴은 물론 중앙선을 침범하거나 도로변 밖으로 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사고 차량을 정상 진행방향으로 복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의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을 통해 대형사고의 위험성을 최소화시켜 차량의 훼손은 물론 인명의 상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의 구조를 분리 가능한 조립식 형태로 제조하여 차량의 충돌에 따른 파손시 파손된 부분을 보다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관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 명한다.
도 1에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로의 중앙선이나 도로변 상에 설치되어지되 차량의 충돌시 그 충격을 흡수 분산시키는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에 있어서, 도로의 중앙선이나 도로변 상에 일정 간격으로 매설되어 고정되는 기둥 형태의 지주(10);와, 상기 지주(10)를 통해 내속되어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회전지지관(20);와, 상기 회전지지관(20) 외주면에 내속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결속구(201)가 형성되며 내/외부가 일체형의 탄성고무재질로 원통 형상을 가지며 외부는 고휘도 반사띠(205)가 설치되어 복수개로 설치되는 완충롤러부재(200a);와, 상기 완충롤러부재(200a)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 설치되어 상기 각 지주(10)의 상/하부 양측에 각각 일체의 수평으로 설치되는 안전레일(300a);과, 상기 완충롤러부재(200a)가 설치된 회전지지관(20) 외주면 상/하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지지관(20) 일면에 제1고정홈(21)이 형성되어 제1고정핀(22)에 의해 고정되도록 결속공(601) 내주면 일부에 제2고정홈(602)이 형성되고 일면에 상향 돌출된 방사상의 제1돌출부(603)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제1회전차단판(600a); 및 상기 회전지지관(20) 상/하단부에 설치된 제1회전차단판(600a) 상/하부면에 안착되도록 상기 지주(10)의 상/하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지주(10) 일면에 제3고정홈(11)이 형성되어 제2고정핀(12)에 의해 고정되도록 결속공(601) 내주면 일부에 제4고정홈(602)이 형성되고 상기 제1회전차단판(600a)의 제1돌출부(603)가 형성된 일면과 맞물려 형성되도록 일면에 상향 돌출된 방사상의 제1돌출부(603)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제2회전차단판(600b);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100)을 제공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완충롤러부재(200a)는 내/외부가 일체형의 탄성고무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외부는 금속의 고휘도 반사띠(205)가 체결되어 있으며, 상기 고휘도 반사띠(205) 대신에 반사시트 또는 형광페이트 중 택일하여 상기 완충롤러부재(200a)의 외부에 구비되어 제공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낸 상기 안전레일은 수직단면을 90도 역회전시 “M”형태를 가지는 안전레일을 기본적으로 적용하고 있지만 도로 교통상에 사용되는 다른 안전레일, 안전바, 가드레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회전차단판(600a)에 있어, 상기 회전지지관(20) 외주면 상/하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지지관(20) 일면에 제1고정홈(21)이 형성되어 상기 제1회전차단판(600a)의 중앙에 형성된 결속공(601)을 통해 상기 회전지지관(20)을 삽입시켜 상기 결속공(601) 내부면 일부에 형성된 제2고정홈(602)과 상기 회전지지관(20)의 제1고정홈(21)을 면접시켜 상기 제1, 2고정홈(21, 602)에 제1고정핀(22)을 박아 넣어 제1회전차단판(600a)을 고정시킨다.
또한, 도 5와 같이 상기 제2회전차단판(600b)도 상기 지주(10)에 삽입시켜 제1회전차단판(600a)과 같은 원리로 상기 지주(10)에 제2회전차단판(600b)을 고정시킨다.
물론, 도 6과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회전차단판(600a)을 회전지지관(20) 내부면에 고정하기 전에 이미 완충롤러부재(200a)를 상기 회전지지관(20)에 삽입시켜 준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주(10)에 제2회전차단판(600b)을 고정하기 전에 이미 상기 완충롤러부재(200a)와 제1회전차단판(600a)이 설치된 회전지지관(20)을 상기 지주(10)에 삽입시켜 준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지주(10)에 제1, 2회전차단판(600a, 600b)이 설치되게 되며, 이때 상기 제1, 2회전차단판(600a, 600b) 일면에 형성된 제1돌출부(603)가 각각 맞물려 마주보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100)의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지주(10)의 양측으로 형성된 각 안전레일(300a)의 외측면에 대해 볼트(45)결합되어 판상의 곡선형을 가지는 보호편(40)이 더 형성됨에 따라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100)의 전방에 차량이 충돌시 어느 정도의 완충역할에 도움을 주도록 제공된다.
그리고, 도 1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100)의 지주(10)에 있어, 지면에 고정되는 지주(10)는 상기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100)의 양측에 설치된 완충롤러부재(200a)가 설치된 지주(10)가 지면에 고정되며, 상기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100)의 양측 지주(10)를 제외한 나머지 지주(10)는 지면에 고정되지 않고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차량 충돌시 충격흡수부재(40)의 구조물을 교체 하여야 할 경우 지면에 고정된 지주(10)를 제거하여야 하는 번거러움에 따라 철거비용의 증가 및 교체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이에 상기 도로상 충격흡수시설물(100)의 양측에 설치된 지주(10)만 지면에 고정하게 되며, 상기 양측의 지주(10)를 제외한 나머지 지주(10)는 지면에 고정하지 않고 회전지지관(20)에 내속된 완충롤러부재(200a) 및 제1, 2회전차단판(600a, 600b)을 지지하는 역할로 수행하게 된다.
또한, 도 8과 같이 상기 지주(10)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완충롤러부재(200a) 대신에 일체형의 완충롤러부재(200b)가 형성됨에 따라 차량충돌시 충격흡수가 증가하며, 충돌되는 회전속도가 단시간에 빠르게 저감되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또한, 도 9에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완충롤러부재(200c) 내부의 속이 빈 공간부(230)를 가지며, 상기 완충롤러부재(200c) 상면의 일부에 마개(232)로 밀폐되도록 투입구(231)가 형성되며, 상기 투입구(231)를 통해 상온 발포용 우레탄(233)을 주입시켜 상기 공간부(230)에 우레탄 발포물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내부에 공간부(230)를 가진 완충롤러부재(200c)의 투입구(231)를 통해 상온 발포용 우레탄(233)을 주입시켜 일정시간이 지나면 상기 공간부(230)에 주입된 우레탄(233)이 발포하여 공간부(230)에 밀집된 상태로 존재하여 현장 시공시 손쉽게 설치함과 아울러 제작비용의 감소를 위해 제공하게 된다. 상기 내부에 공간부(230)를 가진 완충롤러부재(200c)는 플라스틱 성형물에 의해 일체형으로 제작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2에 나타낸 상기 제1회전차단판(600a) 또는 제2회전차단판(600b) 중 어느 하나는 일면이 제1돌출부(603) 대신에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걸림홈(604)이 형성되는 것에 있어, 상기 제1걸림홈(604)은 제1, 2회전차단판(600a, 600b) 일면에 함몰된 홈형태로 방사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제1회전차단판(600a) 일면에 형성된 제1돌출부(603)가 상기 제2회전차단판(600b) 일면에 형성된 제1걸림홈(604)에 맞물려 회전함에 있어 제1걸림홈(604)에 돌출부(603)가 삽입과 탈착의 연쇄 회전운동을 함에 회전속도를 더욱 감속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한편,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각 지주(10) 일면에 상기 안전레일(300a) 일면이 면접됨에 있어 상기 안전레일(300a) 일면과 면접되도록 양측이 관통된 사면체 형태의 충격흡수판(400a)이 구비됨에 있어 상기 지주(10) 일면과 안전레일(300a) 사이에 설치되는 양측이 관통된 사면체 형태의 충격흡수판(400a)이 상기 지주(10)의 폭을 커버할 수 있는 소정의 크기를 가지게 되며, 이에 상기 지주(10) 일면에 충격흡수판(400a)과 안전레일(300a) 순으로 볼트(45)결합되어 체결되게 된다.
상기 볼트(45)결합으로 체결시 상기 볼트(45)는 지주(10)의 타측 일면에 또다른 충격흡수판(400a)과 안전레일(300a)까지 체결될 수 있도록 장공볼트(45)가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100)의 지주(10) 방향으로 차량충돌시 상기 지주의 충격흡수판(400a)에 의해 충돌에 따른 완충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안전레일(300a) 후면에 지주(10)의 폭정도로 길이를 가진 양측이 관통된 사면체 형태의 충격흡수판(400a) 대신에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파이프 형태의 충격흡수판(400b)이 상기 안전레일(300a)의 길이방향으로 더 설치됨에 따라 차량 충돌시 지주뿐만 아니라 안전레일(300a)상에 충돌시에도 상기 충격흡수판(400b)에 의해 충격의 완화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도 16의 (a)와 같이 상기 사각파이프 형태의 충격흡수판(400b) 상/하면에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의 제1통공(401)이 형성됨으로서 차량 충돌시 사각파이프가 찌그러지는 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것으로 즉, 상기 충격흡수판(400b) 상/하면에 제1통공(401)을 형성됨에 충돌시 밀려오는 힘과 압력이 분사되는 것을 하나로 집중하여 순간적인 완충과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6의 (b)와 같이 상기 사각파이프 형태의 충격흡수판(400b) 상/하면의 각 양단부에 “V”형의 절개홈(402)이 형성되는 것도 상기 충격흡수판(400b) 상/하면에 제1통공(401)을 형성하게 된 원리와 작용효과가 동일하다.
한편,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사각파이프 형태의 충격흡수판(400b) 양측단 내부에 일면에 삽입구(502a)가 형성된 사면체형의 고무재질을 가진 완충판(501a)과, 상기 삽입구(502a)에 일부 내속되도록 완충스프링(503)으로 구성되는 제1충격부재(500a)가 형성됨에 있어, 상기 충격흡수판(400b) 양측단 내부에 설치된 제1충 격부재(500a)가 설치됨으로서 차량 충돌시 상기 충격흡수판(400b)에 제1차 충격완화에 이어 상기 제1충격부재(500a)의 완충스프링(503)과 고무재질의 완충판(501a)에 의해 제2차 충격완화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한편,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충격흡수판(400a, 400b) 대신에 일면에 삽입구(502b)가 형성된 원통형의 고무재질을 가진 완충판(501b)과, 상기 삽입구(502b)에 일부 내속되도록 완충스프링(503) 및 상기 완충스프링(503) 전단부에 설치되는 판상의 와셔(504)로 구성되는 제2충격부재(500b)가 형성됨은 상기 안전레일(300a)에 차량 충돌시 안전레일(300a)의 충격이 완화되도록 상기 안전레일(300a) 후면에 완충스프링(503)과 고무재질의 완충판(501b)에 의해 충격완화 역할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2충격부재(500b) 대신에 도 19과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면이 곡면형태로 수직의 길이방향으로 제1요철편(505)이 형성되고, 타면은 상/하부에 돌출된 다수의 제2요철편(506)이 형성되며, 일면과 타면을 관통하는 체결구(507)가 형성된 제3충격부재(500c)가 형성됨으로서, 상기 안전레일(300a)상에 차량 충돌시 지주(10)와 지주(10) 사이의 안전레일(300a) 일부가 충돌방향으로 밀리게 되며, 이때 상기 다른 지주(10)와 지주(10) 사이에 상기 안전레일(300a)과 연결된 안전레일(300a)이 원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3충격부재(500c)의 제1요철편(505)이 형성된 일면이 지주(10)의 일면에 설치됨으로서 상기 안전레일(300a)로 전달되는 충격력을 저항할 수 있도록 상기 제3충격부재(500c)의 일면에 수직형 제1요철편(505)이 형성되어 제공된다.
그리고, 충돌시 안전레일(300a)상에 충격력을 완화하기 위해 상기 제3충격부재(500c)의 타면의 상/하부에 제2요철편(506)이 안전레일(300a) 일면과 직접적인 면접이 아닌 상기 제2요철편(506)에 의한 일부 면접으로 인해 충격력을 소실 또는 완화하는 역할로 작용하게 된다.
한편,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안전레일(300a)을 설치하지 않고, 전방에 충격흡수판(400b)이 노출되도록 설치하는 것으로, 상기 충격흡수판(400b)을 지주 일면에 고정시 볼트와 너트로 체결되기 위해 상하면에 타원형의 제2볼트공(511)이 형성되며 상기 지주(10) 일면에 고정되기 위해 일면에 제3볼트공(512)이 형성된 단면이 “ㄷ”형상의 체결고정대(510)가 구비되고, 상기 “ㄷ”형상의 체결고정대(510)에 내속되는 완충스프링(503)이 구비되는 제4충격부재(500d)가 구성되며, 상기 완충스프링(503)이 설치된 체결고정대(510)에 상기 충격흡수판(400b)이 내속되어 상기 체결고정대(510) 상/하면이 상기 충격흡수판(400b)의 상하면에 노출되는 덮어씌워진 형태로 체결되어 지주(10) 일면에 고정되도록 제공된다.
한편, 도 22와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안전레일(300a)의 양측단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연장편(301)이 더 형성되고, 상기 각 연장편(301)과 연장되어 절곡된 각각의 단턱부(302)가 형성되어 상기 단턱부(302)에 끼움결합되도록 “ㄷ” 형상의 끼움편(310)이 형성됨에 있어, 안전레일(300a)상에 차량 충돌시 상기 안전레일(300a)의 충동방향으로 밀림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지주(10) 일면에 안전레일(300a)이 체결됨에 더욱 강한 결속뿐만 아니라 안전레일(300a)의 밀림방지를 위해 상기 안전레일(300a)의 각 연장편(301)에 의해 절곡된 각 단턱부(302)에 끼움결합된 끼움편(310)을 상기 지주 일면에 볼트(45)결합되게 되며, 이때 상기 볼트(45)에 의해 체결시 상기 끼움편(310)이 단턱부(302)를 수용/면접한 상태에서 지주 일면에 강하게 밀착되게 되어 안전레일(300a)의 밀림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도 22와 같이 상기 끼움편(310) 상/하면 단부에 톱니형태의 톱니부(311)를 가짐으로서 상기 안전레일(300a)의 단턱부(302)에 상기 끼움편(310) 상/하면 단부에 형성된 톱니부(311)가 강하게 밀착하고 있어 안전레일(300a)의 밀림현상을 보다 강하게 저항하게 된다.
또한, 도 24와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안전레일(300a)의 양측단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연장편(301)이 더 형성되고, 상기 상/하부에 형성된 연장편(301) 후면에 면접되도록 판상의 보강판(320)이 형성되어 볼트와 너트로 결합되어 체결되는 것으로, 상기 보강판(320)이 체결된 안전레일(300a) 후면에 충격흡수판(400a, 400b)을 면접하여 지주(10)에 결속한 후 볼트(45)로 체결하여 고정시키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보강판(320)이 체결된 안전레일(300a)에 충돌시 상기 안전레일(300a)이 좌/우측 방향으로 밀려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5에 나타낸 지주(10)와 안전레일(300a) 사이에 충격흡수판(400a, 400b)을 설치할 수 있지만, 충 격흡수판(400a, 400b) 없이 지주(10) 양측면에 보강판(320)이 결속된 안전레일(300a)을 설치 할 수 있다.
한편, 도 26과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안전레일(300a) 대신에 지주(10)의 일면에 곡면형태의 지지부(403)가 볼트(45)결합되면서 상기 지지부(403) 양측으로 수평지게 면접부(404)가 연장되는 탄성부재(400c)와, 상기 탄성부재(400c)의 면접부(404)에 대해 볼트(45)결합되며 양단 지주(10)와 지주(10) 길이방향으로 판상의 인장부재(300b)가 형성됨에 있어, 상기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100)의 완충롤러부재(200a)에 의해 흡수되지 못한 차량의 충격은 다시 상기 인장부재(300b)와 탄성부재(400c)에 의해 계속해서 흡수되어 상쇄하게 되는데, 상기 인장부재(300b)의 충돌변형에 의해 1차 흡수되는 차량의 충격은 계속해서 상기 탄성부재(400c)를 중심으로 상기 인장부재(300b)로 자연스럽게 충격이 전달되면서 인장변형이 발생되며, 동시에 상기 인장부재(300b)와 함께 상기 탄성부재(400c)의 면접부(404)가 순간적으로 뒤로 휘어졌다가 원위치로 탄발 복귀되면서 차량의 충격을 흡수하여 상쇄시키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의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100)로 충돌되어 전달되는 차량의 충격은 기본적으로 완충롤러부재(200a)의 충돌변형에 의해 자연스럽게 흡수되며, 상대적으로 강한 충격이더라도 상기 완충롤러부재(200a)와 함께 인장변형되는 인장부재(300b) 및 탄성변형되는 탄성부재(400c)에 의해 추가적으로 충격을 흡수하여 상쇄시킴으로서, 차량 충돌시에 발생되는 충격에 대해 구조적으로 보다 확실하게 흡 수하여 상쇄시킬 수 있어 차량의 보호는 물론 도로 밖으로의 차량의 이탈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28과 도 29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완충롤러부재(200a)의 표면에 액상의 에폭시 계열 또는 액상의 아크릴 계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투입되는 결속재에 경화제를 투입하되 상기 결속재와 경화제는 900:0.8~1.2wt% 비율로 혼합된 코팅재를 상온에서 코팅하여 상기 완충롤러부재(200a)의 표면에 1mm 이상 5mm 이내 두께의 코팅층(210a)이 형성됨에 있어, 먼저 코팅층(210a)이 형성은 태양열에 의해 상기 완충롤러부재(200a)의 부식 또는 파손 등과 같은 노화방지를 막고, 매연 또는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쌓여 완충롤러부재(200a) 표면에 달라붙어 제거할 수 없는 상태를 사전에 막기 위해 코팅층(210a)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코팅층(210a)에 있어 결속재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결속재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에폭시 계열, 불포화폴리에스테르계열 및 아크릴 계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경화제에 있어서 결속재와 상기 경화제 900:0.8~1.2 비율로 혼합되는 경우 비율 1.2를 초과할 시는 속경화로 인한 강도가 저하될 수 있으며 비율 0.8 미만인 경우에는 경화시간이 지연이 될 수 있음을 시험예에서 보여주었다.
한편, 도 29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코팅층(210a) 표면에 발광도료에 2~3초 이내로 침수시켜 0.5mm 이상 0.7mm 이내 두께의 발광코팅층(220a)과, 상기 발광 코팅층(220a) 표면에 에폭시도료를 2~3초 이내 동안 침수시켜 0.2mm 이상 0.5mm 이내 두께의 보호층(220b)을 형성함에 있어, 상기 발광코팅은 물질에 빛을 쬘 때 그 물질에서 발하는 형광코팅과 빛을 제거해도 발광 상태를 유지하는 인광코팅 또는 인광체가 빛을 흡수하면 이를 구성하는 물질의 전자가 들뜬 상태에서 준안정 상태를 거쳐 다시 바닥상태로 돌아가면서 빛을 방출시키는 야광코팅중 어느 하나의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알칼리 토금속의 황화물이나 황화아연에 중금속을 함유시킨 것 또는 구리를 함유한 황화아연에 미량의 라듐이 섞어 넣어 발광도료로써 사용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발광코팅층(220a)을 보호할 수 있도록 에폭시도료에 2초 이상 3초 이내 동안 침수시켜 0.5mm 이상 1mm 이내 두께의 보호층(220b)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30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보호층(220b)이 형성하기 전에 상기 발광코팅층(220a) 표면에 액상의 자외선차단코팅액을 도포하여 자외선차단코팅(UV coating)층(220c)을 형성함으로서, 상기 코팅층(210a) 뿐만 아니라 완충롤러부재(200a)의 표면이 부식 또는 클랙이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30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코팅층(210a)이 야간에 빛반사를 위해 글라스비드 또는 유리분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투입되는 반사재를 상기 결속재에 투입하되 상기 결속재와 반사재는 1 : 0.7~1 비율로 더 혼합하여 상기 완충롤러부재(200a)의 표면에 반사코팅층(210b)이 형성됨에 있어, 상기 야간에 운전자로 하여금 차량의 조명이 상기 완충롤러부재(200a)에 반사되어 식별이 가능하도록 상기 반사재를 결속재에 투입하여 빛반사를 목적으로 제공하게 된다.
한편, 도 31과 도 3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주(10) 상부의 제2회전차단판(600b)과 하부의 제1회전차단판(600a)을 제외하되, 상기 완충롤러부재(200a) 상/하면에 상향 돌출된 방사상의 제2돌출부(203)가 다수개 형성됨에 상기 지주(10)의 상부에는 제1회전차단판(600a)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제2회전차단판(600b)이 형성되게 되며, 이때 상기 완충롤러부재(200a) 상/하면에 돌출된 방사상의 제2돌출부(203)가 형성되어 상기 제1, 2회전차단판(600a, 600b)의 제1돌출부(603)와 완충롤러부재(200a)의 상/하면 제2돌출부(203)가 맞물려 있어 차량 충돌시 회전속도를 저감하는 역할로 작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돌출부(203)가 형성된 완충롤러부재(200a) 대신에 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완충롤러부재(200a) 상/하면에 하향 함몰된 방사상의 제2걸림홈(204)이 다수개 형성됨으로서 상기 제1, 2회전차단판(600a, 600b) 일면에 형성된 제1돌출부(603)가 상기 완충롤러부재(200a) 상/하면에 형성된 제2걸림홈(204)에 맞물려 회전함에 있어 제2걸림홈(204)에 제1돌출부(603)가 삽입과 탈착의 연쇄 회전운동을 함에 회전속도를 더욱 감속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한편, 도 34와 도 3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완충롤러부재(200a)의 결속구(201) 내면에 돌출되며 상기 결속구(201)의 수직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제1걸림돌기(202) 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지지관(20) 외면에 수직의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제2걸림돌기(23a)가 형성됨으로서, 차량 충돌시 상기 회전지지관(20)의 외면에 형성된 제2걸림돌기(23a)와 상기 완충롤러부재(200a) 결속구(201)의 내면에 형성된 제1걸림돌기(202)가 서로 맞물려 회전하여 회전속도를 보다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3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완충롤러부재(200a)의 제1걸림돌기(202) 대신에 결속구(201) 내면에 함몰된 형태를 가진 제3걸림홈(206)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지지관(20) 외면에 형성된 제2걸림돌기(23a)와 상기 완충롤러부재(200a) 결속구(201) 내면의 제3걸림홈(206)에 삽입과 탈착의 반복적인 회전에 의해 완충롤러부재(200a)의 회전속도를 저감시켜 충돌된 차량의 충격완화와 차량의 정상궤도에 진입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또한, 도 3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회전지지관(20) 외면에 형성된 제2걸림돌기(23a)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지그재그로 설치됨으로서 완충롤러부재(200a)의 결속구(201) 내면에 제1걸림돌기(202) 또는 제3걸림홀(206)이 상기 회전지지관(20)의 외면에 형성된 지그재그형 제2걸림돌기(23a)와 맞물리거나 부딪치게 될 때 회전을 차단하는 주기가 짧아질 뿐만 아니라 완충롤러부재(200a)의 상/하부 회전속도의 차이를 주어 빠르게 회전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3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주(10)의 외주면에 수직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제3걸림돌기(13)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지지관(20) 내주면에 수직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제2걸림돌기(23b)가 형성됨으로서, 상기 회전지지관(20)의 회전속도를 둔화하기 위해 지주 외면에 제3걸림돌기(13)가 상기 회전지지관(20)의 내면에 형성된 제2걸림돌기(23b)와 충돌하면서 회전지지관(20)의 속도를 저감하게 된다.
한편, 도 39와 4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강파이프(240)가 완충롤러부재(200a)의 결속구(201)에 결속된 상태로 형성되는 종래의 기술구성으로서, 회전지지관(20) 또는 지주(10)와의 마찰력을 증대시켜 완충롤러부재(200a)의 회전력을 향상함과 아울러 완충롤러부재(200a)의 결속구(201)의 완전한 성형성을 형성하기 위해 보강파이프(240)를 설치하게 되며, 상기 보강파이프(240)는 완충롤러부재(200a)의 제조시 즉, 완충롤러부재 성형틀에 보강파이프(240)가 설치된 후 발포용 고분자물질을 상기 성형틀에 유입하여 발포된 완충롤러부재(200a)가 형성되게 되며, 이때 상기 완충롤러부재(200a)의 중앙에 보강파이프(240)로 인해 결속구(201)가 형성되게 된다.
상기 결속구(201)에 외주면에는 보강파이프(240)가 더 형성되어 있는 완충롤러부재(200a)에 있어, 상기 보강파이프(200a) 내주를 통해 회전지지관(20) 또는 지주(10)가 삽입되어 설치되며, 태양광에 의해 상기 고분자물질이 발포되어 충진된 완충롤러부재(200a)가 수축 또는 팽창작용을 하게 되어 상기 보강파이프(240) 외주면과 결속구(201) 내주면 사이에 이러한 주기적인 수축 또는 팽창작용으로 인해 공극이 발생하여 보강파이프(201)가 이탈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로 인해 충돌시 완충롤러부재(200a)의 회전에 대한 반발력이 형성되며,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없는 상태까지 도달되게 되어 운전자로 하여금 사고를 예방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이에 도 41과 도 4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완충롤러부재(200a)의 결속구(201)에 보강파이프(240)가 더 형성되며, 상기 보강파이프(240) 외주면에 숫나사선(241)을 형성하고, 상기 완충롤러부재(200a)의 결속구(201)에 암나사선(207)이 형성됨으로서, 상기 외주면에 숫나사선(241)이 형성된 보강파이프(240)가 암나사선(207)이 형성된 완충롤러부재(200a)의 결속구(201)를 통해 결속되어 더욱 강한 밀착력과 결속력으로 인해 상기 완충롤러부재(200a)를 구성하는 발포된 고분자물질의 수축 또는 팽창에도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완충롤러부재(200a)의 결속구(201)에 형성된 암나사선(207)의 형성은 완충롤러부재(200a) 성형틀에 발포용 고분자물질을 주입하기 전(前)에 상기 숫나사선(241)이 형성된 보강파이프(240)를 먼저 설치하고, 상기 발포용 고분자물질을 주입하여 성형하게 되면 상기 보강파이프(240)의 숫나사선(241)에 의해 상기 결속구(201) 내주면에 암나사선(207)이 형성되게 되어 상기 보강파이프(240) 외주면과 결속구(201) 내주면이 암/수나사선(207, 241)에 의해 체결되어 강력한 결속력을 가진 완충롤러부재(200a)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완충롤러부재(200a)를 제조시, 먼저 완충롤러부재(200a) 성형틀에 숫나사선(241)이 형성된 보강파이프(240)를 설치는 단계와, 상기 보강파이프(240)가 설치된 후 발포용 고분자물질을 유입하는 단계와, 상기 발포용 고분자물질을 발포 성형 하는 단계를 거쳐 성형틀을 제거하여 완충롤러부재(200a)를 제조하게 된다.
또한, 도 4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보강파이프(240) 외주면에 관통된 제2통공(243)이 더 형성됨으로서, 상기 결속구(201) 내주면과 더 강한 결속력과 밀착력을 향상시켜 보강파이프(240)의 이탈을 저하하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도 4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보강파이프(240) 상/하부 내주면에 나사선(242)이 형성되어 완충롤러부재(200a) 결속구(201)에 체결되며, 상기 완충롤러부재(200a) 상/하면에 체결되며, 상기 보강파이프(240) 내주면의 나사선(242)에 체결되도록 외주면에 나사선(253)이 형성되고, 내부가 관통된 관통공(252)이 형성되는 보강턱(251)이 구비된 보강캡(250)이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보강캡(250)이 상기 보강파이프(240)에 결속됨으로서 상기 보강파이프(240)의 이탈을 완전히 차단하는 역할로 제공하게 된다.
또한, 도 4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보강캡(250) 상면에 방사상의 제3돌출부(254)가 형성되어 지주(10) 상부에 설치된 제1회전차단판(600a)과 상기 지주(10) 하부에 설치된 제2회전차단판(600b)에 의해 완충롤러부재(200a)의 회전속도를 감쇄시키는 작용으로 제공되었다.
또한, 도 4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완충롤러부재(200a)의 보강파이프(240)를 설치하지 않고, 상기 완충롤러부재(200a)의 결속구(201) 내주면 상/하부에 나사선 (①)을 형성하여 상기 결속구(201)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선(①)을 통해 상기 보강캡(250)을 체결하도록 하여 마찬가지로 결속구(201)의 형상인 파이프형상 그대로 유지하도록 함과 아울러 지주(10) 또는 회전지지관(20)의 마찰을 증대하여 회전력을 향상하는 데 있다.
또한, 도 48과 도 4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완충롤러부재(200c) 내부의 속이 빈 공간부(230)를 가지며, 상기 완충롤러부재(200c) 상면의 일부에 마개(232)로 밀폐되도록 투입구(231)가 형성된 내부가 공간부(230)를 가진 버블형 완충롤러부재(200c)에 있어, 상기 완충롤러부재(200c) 결속구(201)에 암나사선(207)이 형성되며, 상기 결속구(201)에 형성된 암나사선(207)을 통해 체결되도록 외주면에 숫나사선(241)이 형성된 보강파이프(240)를 설치하여 차량충돌시 완충롤러부재(200C)의 회전력 향상과 결속구(201)의 변형을 예방하는 역할로 제공하게 된다.
또한, 도 5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버블형 완충롤러부재(200c)에 있어, 상기 완충롤러부재(200c)의 결속구(201) 내주면 상/하부에 나사선(①)이 형성되고, 상기 결속구(201)의 나사선(①)을 통해 체결되도록 보강캡(250)이 설치됨으로서, 상기 결속구(201)의 변형방지와 지주(10) 또는 회전지지관(20)과의 회전력을 향상하도록 제공된다.
또한, 도 51과 도 5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완충롤러부재(200a)의 하면에 수결합구(208b)가 형성되며, 다른 완충롤러부재(200a)의 상면에 암결합구(208a)가 형성되어 지주(10) 또는 회전지지관(20)에 삽입시 상기 각각의 완충롤러부재(200a)의 암/수결합구(208a, 208b)의 체결로 인해 더욱 견고한 결속력과 아울러 차량 충돌시 일체로 회전하게 되어 더 보강된 충격완화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도 5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완충롤러부재(200a) 외주면이 방사형으로 다수의 돌기부(209)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다수의 돌기부(209)가 형성된 완충롤러부재(200a)가 도로에 설치시 완충롤러부재(200a)가 결속된 지주(10)에 상기 또다른 완충롤러부재(200a)가 설치되어 도로상에 완충롤러부재(200a)가 설치된 지주(10)가 한쌍씩 설치되고, 설치시 각각의 상기 완충롤러부재(200a)가 서로 면접되게 하며, 즉, 돌기부(209)가 서로 맞물려 있는 톱니기어형태와 같은 원리로 인해 차량충돌시 상기 다수의 돌기부(209)로 인해 회전력을 감쇄시키는 작용으로 제공되어 충격에 대한 완화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그리고, 도 5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주(10)를 지면에 고정시 지주 하단부에 베이스판(14)을 설치하고, 상기 베이스판(14) 중앙에 지주(10)의 하단부를 고정시켜 상기 지주(10) 하부 외주면과 베이스판(14) 일면과 연계되도록 보강리브(15)를 지주(10) 외주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개 설치하여 보강하게 된다.
상기 지주(10)가 고정된 베이스판(14)을 지면에 설치하고 상기 베이스판(14) 가장자리를 통해 앵커볼트(16)를 사용하여 지면에 고정시킨다.
한편, 도 55에서 도 5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주(10)를 지면에 고정하는 대신에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100) 하부에 다수의 콘크리트 블록(700)을 설치하여 지주(10)를 고정시키며, 상기 다수의 콘크리트 블록(700)을 연결시 상기 콘크리트 블록(700) 하부에 관통된 체결공(701)을 통해 와이어로프(702)를 연결하고, 상기 와이어로프(702) 끝단을 아이볼트(Eye Bolt)(703)에 고정하고, 상기 아이볼트(703)에 와셔(704)와 너트(705)를 체결하여 다수의 콘크리트 블록(700)을 밀착고정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블록(700)을 설치하는 것은 도로의 중앙분리대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다수의 콘크리트 블록(700) 상면에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100)을 설치하게 된다.
이때, 도 58과 도 5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 블록(700)을 설치함에 있어 상기 콘크리트 블록(700) 하부에 관통된 체결공(701)을 통해 와이어로프(702)를 연결하고, 상기 와이어로프(702) 끝단을 아이볼트(Eye Bolt)(703)에 고정하고, 상기 아이볼트(703)에 와셔(704)와 너트(705)를 체결하여 다수의 콘크리트 블록(700)을 밀착고정하게 되며, 상기 와셔(704)는 체결공(701)을 통과하지 못하는 형태의 와셔(704)를 사용하게 되고, 상기 와이어로프(702)가 고정된 아이볼트(703)에 너트(705)를 채워줌으로서 콘크리트 블록(700)간 강한 밀착력을 제공하게 될 뿐만 아니라 차량 충돌시 콘크리트 블록(700)의 이탈을 막는 역할로 작용하게 된다.
또한, 도 5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 블록(700)의 저면부 중앙에 길이방 향으로 걸이홈(706)이 형성되고, 상기 걸이홈(706)에 삽입되며 지면에 고정되는 단면이 “L”형상의 이탈방지고정편(710)이 서로 대칭되게 한쌍이 구비됨으로서 상기 콘크리트 블록(70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되며, 상기 이탈방지고정편(710)이 서로 대칭되게 한쌍이 설치되는 것은 상기 콘크리트 블록(700)의 걸이홈(706) 폭과 도로상의 선로형태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대칭된 한쌍의 이탈방지고정편(710)의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즉, 상기 걸이홈(706)의 폭이 넓을 경우 상기 한쌍의 이탈방지고정편(710) 외측면이 걸이홈(706) 내부 양측면에 면접될 수 있도록 상기 이탈방지고정편(710)이 서로 면접되는 사이를 띄워줌으로서 걸이홈(706)의 폭에 따라 상기 이탈방지고정편(710)의 폭을 조절하여 지면으로부터 콘크리트 블록(700)의 견고한 결속뿐만 아니라 차량 충돌시 콘크리트 블록(700)의 이탈에 저항력을 주어 사고예방에 일익을 하게 된다.
또한, 도 6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 블록(700)을 지면에 설치시 이미 준비된 콘크리트 블록(700)을 지면에 설치할 수 있지만, 시공 현장에서 콘크리트 블록을 제조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콘크리트 블록용 거푸짚(720)을 소정의 길이로 도로상 지면에 설치하여 상기 거푸짚(720) 내부로 콘크리트 타설물(721)을 유입시켜 콘크리트 양생과정을 거쳐 거푸짚(720)을 탈형 후, 콘크리트 타설물이 경화된 콘크리트 블록(700)을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콘크리트 블록용 거푸짚(720)은 도로상의 지면에 소정의 길이로 길게 설치되는 즉, 상기 콘크리트 블록(700)을 다수개 연결된 크기의 일체형 거푸 짚(720)을 도로상에 설치하여 상기 거푸짚(720) 내부로 콘크리트 타설물(721)을 유입하여 길이가 긴 콘크리트 블록을 제조하게 된다.
또한, 도 6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주(10)의 상단면에 자동으로 제어되는 LED솔라셀(17)이 설치되며, 상기 LED솔라셀(17)을 커버하여 지주(10) 외주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그물형태의 커버부(18)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을 제공한다.
한편, 도 6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로상에 전방에 제1, 2회전차단판(600a, 600b)과 완충롤러부재(200a)가 지주(10)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설치된 지주(10) 후부에 제1, 2회전차단판(600a, 600b)과 완충롤러부재(200a)가 설치된 지주(10)가 서로 대면하도록 한쌍이 후방에 연속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지주(10) 상/하부의 외측면을 서로 연결하도록 사각파이프의 충격흡수판(400b)이 일체로 형성되는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100)을 제공한다.
또한, 도 63와 도 6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주(10)의 하부에 제2회전차단판(600b)이 내속된 후, 상기 지주(10)에 상/하면이 제2돌출부(203) 또는 제2걸림홈(204b)이 형성된 완충롤러부재(200a)가 설치된 회전지지관(20)이 삽입되어 스케이트장, 스키장 등과 같은 레저시설의 안전시설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안전시설물이 설치됨으로서 인명 피해를 줄이는 역할로 작용하게 된다.
한편, 도 65와 도 6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100) 양측의 각각의 지주(10) 상단부를 연결하는 차광망(30a)의 설치함에 있어, 상기 지주(10)의 상단부에 수직단면이 “┌┐”형태의 클램프(19)가 안전레일(300a)과 충격흡수판(400a)과 설치시 함께 볼트(45)에 의해 체결되도록 하며, 상기 클램프(19) 상면에 차광망 지주(31)가 고정되며, 상기 차광망 지주(31) 일측으로 차광망(30a)이 설치되어 상기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100)의 양측 지주(10)를 연결하는 차광망(30a)이 설치되게 된다.
상기 차광망(30a)이 설치된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100)은 도로의 중앙분리대로서 사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차광망(30a) 대신에 도 6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공된 차광판(30b)이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의 각각의 지주 모두에 설치되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도 6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주(10)에 설치되는 안전레일(300a)이 상/하단부에 설치됨과 아울러 완충롤러부재(200a) 사이에도 안전레일(300a)이 더 설치되어 가속중인 차량과의 충돌시 더욱 견고하며,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100)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의 이탈을 방지하여 차량의 파손 및 운전자의 피해를 최소화하도록 제공되며, 상기 안전레일(300a)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로 설치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안전레일(300a) 간에 완충롤러부재(200a)를 설치하여 제공되게 된다.
또한, 도 69와 도 7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완충롤러부재(200a)가 삽입된 회전지지관(20)이 지주(10)에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지주(10)의 상/하단부 양측으로 안전레일(300c)이 설치됨에 있어, 상기 안전레일(300c)은 일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오목들어간 형태를 가지는 레일가이드(303)와 타측면은 상/하면이 수직으로 연장되어 연결된 접촉가이드(304)로 형성되고, 상기 안전레일(300c)의 레일가이드(303)에 소정의 간격으로 장착홈(30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장착홈(305)에 레일캡(330a)이 결속되는 것으로서, 상기 안전레일(300c)이 지주(10)와의 체결시 상기 접촉가이드(304)에 볼트(45)를 체결하여 지주(10) 후측면에 형성된 다른 안전레일(300c)의 접촉가이드(304)를 통과하여 상기 안전레일(300c) 내측면에서 너트에 의해 결속하여 체결하게 된다.
이에 상기 안전레일(300c) 상에 충돌시 볼트(45)가 접촉가이드(304)에서 레일가이드(303) 외측에 돌출되어 있어 차량 충돌시 충격완화에 탄성력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어 상기 안전레일(300c) 상에 충격완화 효과를 가지기 위해 지주(10)와의 결속을 안전레일(300c)의 접촉가이드(304)에 결속하도록 하였다.
도 7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안전레일(300c)의 장착홈(305)에 결속되는 레일캡(330a)은 헤드부(331)와 헤드부(331)의 저면에서 하방향으로 일체로 연장 형성된 결합부(332)로 구성되며, 상기 결합부(332) 끝단에 걸림턱(333)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헤드부(331)는 다양한 형상 및 모양으로 제조 가능하며, 예로서 도 72의 (b)와 같이 헤드부(331)가 타원형을 가진 레일캡(330b)을 형성할 수 있으며, 헤드부(331)의 정면에 별도의 반사지(50)를 부착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식별력을 강화하도록 하였다.
여기서, 상기 레일캡(330a)의 형성됨에 있어 걸림턱(333)은 결합부(332)를 헤드부(331)와 함께 일체로 사출하여 제조하게 된다.
또한, 도 71에 나타낸 상기 지주(10)의 상부 외주면에 반사지(50)를 부착하였으며, 상기 안전레일(300c)이 결착되어 상향으로 노출된 지주(10) 상부 외주면에 반사지(50)를 부착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도로용 충격완화장치(100)를 식별할 수 있게 하였다.
상기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은 다양하게 설계변경하여 제작할 수 있는 것으로 상시 실시예를 통하여 그 원리를 본 발명의 구성으로 한정하여 제작하되 그 원리를 통한 기구에 있어서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설계변경으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는 것을 밝힌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을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의 완충롤러부재에 고휘도 반사띠를 부착하는 결합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의 지주와 회전지지관에 제1, 2회전차단판의 조립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의 회전지지관에 완충롤러부재 - 제1, 2회전차단판 조립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의 제1, 2회전차단판과 완충롤러부재가 부착된 상태에서 지주에 결합되는 조립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의 일체형 완충롤러부재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에 내부에 공간부를 가진 완충롤러부재의 구성도.
도 10은 도 9의 본 발명에 따른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의 완충롤러부재 내부 구조도.
도 11은 도 9의 본 발명에 따른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의 완충롤러부재 공간부에 우레탄을 충진하는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의 제1, 2회전차단판의 구조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의 제1, 2회전차단판 상면에 제1걸림홈이 형성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에 충격흡수판(400a)가 설치되는 조립 구성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에 충격흡수판(400b)가 설치되는 조립 구성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의 충격흡수판(400b)에 제1통공(a)과 절개홈(b)을 나타낸 형성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의 충격흡수판(400b)에 제1충격부재가 조립되는 구성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에 제2충격부재가 설치되는 조립 구성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에 제3충격부재가 설치되는 조립 구성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의 제3충격부재를 나타낸 구조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에 제4충격부재가 설치되는 조립 구성도.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의 안전레일과 끼움편 조립 구성도.
도 23은 도 22의 본 발명에 따른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의 안전레일과 끼움편 조립상태 단면도.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의 안전레일과 보강판 조립 구성도.
도 25는 도 24의 본 발명에 따른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의 안전레일과 보강판 조립상태 단면도.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에 인장부재와 탄성부재가 설치되는 조립 구성도.
도 27은 도 26의 본 발명에 따른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에 탄성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의 완충롤러부재 표면에 코팅층이 코팅된 상태의 단면도.
도 29는 도 28의 본 발명에 따른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의 완충롤러부재에 코팅되는 “A”부위의 확대(a, b) 구성도.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의 완충롤러부재에 또다른 소재에 의해 코팅되는 “A”부위의 확대(c, d) 구성도.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에서 제2돌출부가 형성된 완충롤러부재가 조립되는 구성도.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의 완충롤러부재 상면에 제2돌출부가 형성된 부분 확대도.
도 33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의 완충롤러부재 상면에 제2걸림홈이 형성된 부분 확대도.
도 34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의 완충롤러부재 결속구에 제1걸림 돌기가 형성된 부분 확대도.
도 35는 도 34의 완충롤러부재에 제2걸림돌기가 형성된 회전지지관과의 결합 구성도.
도 36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의 완충롤러부재 결속구에 제3걸림홈이 형성된 부분 확대도.
도 37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의 회전지지관에 제2걸림돌기(a, b)가 형성된 구조도.
도 38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에서 제3걸림돌기가 형성된 지주에 제2걸림돌기가 형성된 회전지지관과의 조립 구성도.
도 39는 일반적인 완충롤러부재의 결합구에 보강파이프가 설치되는 조립 구성도.
도 40은 도 39의 보강파이프가 완충롤러부재의 결합구에 설치된 내부 단면도.
도 41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에서 숫나사선이 형성된 보강파이프가 완충롤러부재의 결합구에 설치되는 조립 구성도.
도 42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에서 보강파이프의 숫나사선에 의해 완충롤러부재 결합구에 암나사선이 형성된 내부 단면도.
도 43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에서 보강파이프가 설치된 완충롤러부재가 제조되는 것을 도면으로 나타낸 공정도.
도 44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에서 제2통공이 형성된 보강파이프가 완충롤러부재가 설치되는 조립 구성도.
도 45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에서 보강파이프가 설치되는완충롤 러부재 상/하면에 보강캡이 설치되는 조립 구성도.
도 46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에서 보강캡 상면에 제3돌출부가 형성된 구성도.
도 47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에서 완충롤러부재의 결합구에 형성된 나사선에 보강캡이 설치되는 조립 구성단면도.
도 48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에서 내부에 공간부를 가진 완충롤러부재의 결합구에 보강파이프가 설치되는 조립 구성도.
도 49는 도 48의 본 발명에 따른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에서 완충롤러부재의 사시도와 내부 단면도.
도 50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에서 내부에 공간부를 가진 완충롤러부재의 결합구에 형성된 나사선에 보강캡이 설치되는 조립 구성단면도.
도 51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에서 암/수결합구를 가진 완충롤러부재 조립 구성도.
도 52는 도 51에 따라 조립되는 상태의 정면도.
도 53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에서 외주면에 돌기부가 형성된 완충롤러부재 사시도.
도 54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에서 지면에 고정되는 지주 하단부의 조립 구성도.
도 55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을 지주 하부에 콘크리트 블록을 사용하여 고정된 사시도.
도 56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과 콘크리트 블록간의 분해 사시도.
도 57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에서 콘크리트 블록간 연결시키는 와이어로프 구성도.
도 58은 도 57의 “B”부위의 콘크리트 블록의 체결공에 결속되는 조립 구성도.
도 59는 콘크리트 블록 하부에 형성된 걸이홈에 이탈방지고정편이 조립되는 구성도.
도 60은 콘크리트 블록을 제조하기 위해 현장에 거푸짚을 설치하여 콘크리트 타설물을 유입하는 구성도.
도 61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의 지주 상단부에 LED솔라셀과 커버부를 조립하는 구조도.
도 62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의 또다른 조립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63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에서 완충롤러부재가 조립된 회전지지관이 지주에 설치되는 구조체의 조립 구성도.
도 64는 도 63의 조립 구조체를 지면에 설치되는 구성도.
도 65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에 차광망이 설치된 사시도.
도 66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에 차광망이 설치된 분해 사시도.
도 67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에 차광판이 설치된 사시도.
도 68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에 안전레일이 3단으로 설치되는 사시도.
도 69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에서 안전레일(300c)와 레일캡이 설치된 사시도.
도 70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에서 지주-안전레일(300c)-레일캡과의 조립 구성도.
도 71은 도 70의 지주-안전레일(300c)-레일캡과의 조립된 상태의 단면도.
도 72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의 안전레일(300c)에 조립되는 레일캡(a, b)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지주 : 10, 제3고정홈 : 11, 제2고정핀 : 12, 제3걸림돌기 : 13, 베이스판 : 14, 리브살 : 15, 앵커볼트 : 16. LED솔라셀 : 17, 커버부 : 18, 클램프 : 19, 회전지지관 : 20, 제1고정홈 : 21, 제1고정핀 : 22, 제2걸림돌기 : 23a, 23b, 차광망 : 30a, 차광판 : 30b, 차광망 지주 : 31,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 : 100, 완충롤러부재 : 200a, 200b, 200c, 200d, 결속구 : 201, 제1걸림돌기 : 202, 제2돌출부 : 203, 제2걸림홈 : 204, 고휘;도 반사띠 : 205, 암나사선 : 207, 암결합구 : 208, 수결합구 : 209, 코팅층 : 210a, 반사코팅층 : 210b, 발광코팅층 : 220a, 보호층 : 220b, 자외선차단코팅층 : 220c. 공간부 : 230, 투입구 : 231, 마개 : 232, 우레탄 : 233, 보강파이프 : 240, 숫나사선 : 241, 나사선 : 242, 제2통공 : 243, 보강캡 : 250, 보강턱 : 251, 관통공 : 252, 나사선 : 253, 제3돌출부 : 254, 안전레일 : 300a, 300b, 300c, 연장편 : 301, 단턱부 : 302, 레일가이드 : 303, 접촉가이드 : 304, 끼움편 : 310, 톱니부 : 311, 보강판 : 320, 레일캡 : 330a, 330b, 헤드부 : 331, 결속부 : 332, 걸림턱 : 333, 충격흡수판 : 400a, 400b, 탄성부재 : 400c, 제1통공 : 401, 절개홈 : 402, 지지부 : 403, 면접부 : 403, 제1볼트공 : 405, 제1, 2, 3충격부재 : 500a, 500b, 500c, 500d, 완충판 : 501a, 501b, 삽입구 : 502a, 502b, 완충스프링 : 503, 와셔 : 504, 제1요철편 : 505, 제2요철편 : 506, 체결구 : 507, 제1, 2회전차단판 : 600a, 600b, 결속공 : 601, 제2고정홈 : 602, 제1돌출부 : 603, 제1걸림홈 : 604, 콘크리트 블록 : 700, 체결공 : 701, 와이어로프 : 702, 아이볼트 : 703, 와셔 : 704, 너트 : 705, 걸이홈 : 706, 이탈방지고정편 : 710, 거푸짚 : 720, 콘크리트 타설물 : 721

Claims (51)

  1. 도로의 중앙선이나 도로변 상에 일정 간격으로 매설되어 고정되는 기둥 형태의 지주(10);와, 상기 지주(10)를 통해 내속되어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회전지지관(20);와, 상기 회전지지관(20) 외주면에 내속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결속구(201)가 형성되며 원통 형상을 가진 완충롤러부재(200a);와, 상기 완충롤러부재(200a)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 설치되어 상기 각 지주(10)의 상/하부 양측에 각각 일체의 수평으로 설치되는 안전레일(300a);과, 상기 완충롤러부재(200a)가 설치된 회전지지관(20) 외주면 상/하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지지관(20) 일면에 제1고정홈(21)이 형성되어 제1고정핀(22)에 의해 고정되도록 결속공(601) 내주면 일부에 제2고정홈(602)이 형성되고 일면에 상향 돌출된 방사상의 제1돌출부(603)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제1회전차단판(600a); 및 상기 회전지지관(20) 상/하단부에 설치된 제1회전차단판(600a) 상/하부면에 안착되도록 상기 지주(10)의 상/하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지주(10) 일면에 제3고정홈(11)이 형성되어 제2고정핀(12)에 의해 고정되도록 결속공(601) 내주면 일부에 제4고정홈(602)이 형성되고 상기 제1회전차단판(600a)의 제1돌출부(603)가 형성된 일면과 맞물려 형성되도록 일면에 상향 돌출된 방사상의 제1돌출부(603)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제2회전차단판(600b);으로 구성되는 공지의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에 있어서,
    상기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100)의 양측단에 형성되며, 상기 지주(10)의 양측으로 형성된 각 안전레일(300a)의 외측면에 대해 볼트(45)결합되어 판상의 곡선형을 가지는 보호편(40)이 형성되고,
    상기 각 지주(10) 일면에 상기 안전레일(300a) 일면이 면접됨에 있어 상기 안전레일(300a) 일면과 면접되도록 양측이 관통된 사면체 형태의 충격흡수판(400a)이 형성되고,
    상기 안전레일(300a)의 양측단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연장편(301)과 연장되어 절곡된 각각의 단턱부(302)에 끼움결합되며, 상/하면 단부에 톱니형태의 톱니부(311)가 형성된 “ㄷ”형상의 끼움편(310)이 설치되고,
    상기 완충롤러부재(200a)의 결속구(201)에 보강파이프(240)가 형성하되, 상기 보강파이프(240) 외주면에 숫나사선(241)을 형성되고, 상기 완충롤러부재(200a)의 결속구(201)에 암나사선(207)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판(400a) 대신에 안전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사각파이프 형태의 충격흡수판(400b)이 설치하되, 상기 충격흡수판(400b) 상/하면에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의 제1통공(401)이 형성되며, 상기 충격흡수판(400b) 상/하면의 각 양단부에 “V”형의 절개홈(40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판(400a) 대신에 일면이 곡면형태로 수직의 길이방향으로 제1요철편(505)이 형성되고, 타면은 상/하부에 돌출된 다수의 제2요철편(506)이 형성되며, 일면과 타면을 관통하는 체결구(507)가 형성된 제3충격부재(500c)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레일(300a) 대신에 판상의 인장부재(300b)가 설치되고, 상기 인장부재(300b) 후면에 설치되는 지주(10)의 일면에 곡면형태의 지지부(403)와 볼트(45)결합되면서 상기 지지부(403) 양측으로 수평지게 면접부(404)가 연장되어 인장부재(300b)에 의해 볼트결합되는 탄성부재(400c)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롤러부재(200a)의 표면에 액상의 에폭시 계열 또는 액상의 아크릴 계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투입되는 결속재에 경화제를 투입하되 상기 결속재와 경화제 900:0.8~1.2 비율로 혼합된 코팅재를 상온에서 코팅하여 상기 완충롤러부재(200a)의 표면에 1mm 이상 5mm 이내 두께의 코팅층(210a)과,
    상기 코팅층(210a) 표면에 발광도료에 2~3초 이내로 침수시켜 0.5mm 이상 0.7mm 이내 두께의 발광코팅층(220a)과,
    상기 발광코팅층(220a) 표면에 액상의 자외선차단코팅액을 도포하여 자외선차단코팅(UV coating)층(220c)과,
    상기 자외선차단코팅층(220c) 표면에 에폭시도료를 2~3초 이내 동안 침수시켜 0.2mm 이상 0.5mm 이내 두께의 보호층(220b)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
  20. 삭제
  21. 삭제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210a)이 야간에 빛반사를 위해 글라스비드 또는 유리분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투입되는 반사재를 상기 결속재에 투입하되 상기 결속재와 반사재는 1 : 0.7~1 비율로 더 혼합하여 상기 완충롤러부재(200a)의 표면에 반사코팅층(210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지지관(20)과 상기 회전지지관(20)에 체결된 제1회전차단판(600a) 없이 보강파이프(240) 상/하부 내주면에 나사선(242)이 더 형성되어 완충롤러부재(200a) 결속구(201)에 체결되고, 상기 완충롤러부재(200a) 상/하면에 체결되며 상기 보강파이프(240) 내주면의 나사선(242)에 체결되도록 외주면에 나사선(253)이 형성되고, 내부가 관통된 관통공(252)이 형성되는 보강턱(251)이 구비되고, 상면에 방사상의 제3돌출부(254)가 형성되는 보강캡(250)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10)를 지면에 고정하는 대신에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100) 하부에 다수의 콘크리트 블록(700)을 설치하여 지주(10)를 고정시키며, 상기 콘크리트 블록(700)의 저면부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걸이홈(706)이 형성되고, 상기 걸이홈(706)에 삽입되며 지면에 고정되는 단면이 “L”형상의 이탈방지고정편(710)이 서로 대칭되게 한쌍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100) 양측의 각각의 지주(10) 상단부를 연결하는 차광망(30a)의 더 설치하되, 상기 지주(10)의 상단부에 수직단면이 “┌┐”형태의 클램프(19)가 안전레일(300a)과 충격흡수판(400a)과 설치시 함께 볼트(45)에 의해 체결되도록 하며, 상기 클램프(19) 상면에 차광망 지주(31)가 고정되며, 상기 차광망 지주(31) 일측으로 차광망(30a)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
  47. 삭제
  48. 삭제
  4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10)의 상/하단부 양측으로 안전레일(300c)이 설치하되, 상기 안전레일(300c)은 일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오목들어간 형태를 가지는 레일가이드(303)와 타측면은 상/하면이 수직으로 연장되어 연결된 접촉가이드(304)로 형성되고, 상기 안전레일(300c)의 레일가이드(303)에 소정의 간격으로 장착홈(30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장착홈(305)에 결속되며 헤드부(331)와 헤드부(331)의 저면에서 하방향으로 일체로 연장 형성된 결합부(332)로 구성되며, 상기 결합부(332) 끝단에 걸림턱(333)이 형성된 레일캡(330)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
  50. 삭제
  51. 삭제
KR1020090136281A 2009-02-10 2009-12-31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 KR1010033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6281A KR101003368B1 (ko) 2009-12-31 2009-12-31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
EP10741340.3A EP2431526B1 (en) 2009-02-10 2010-01-13 Shock-absorbing installation for roadway
PCT/KR2010/000217 WO2010093122A2 (ko) 2009-02-10 2010-01-13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
CN2010800005611A CN102027173B (zh) 2009-02-10 2010-01-13 一种道路冲击吸收设施
US13/521,373 US8434965B2 (en) 2009-02-10 2010-01-13 Impact absorption facility for road
MYPI2010003251 MY152689A (en) 2009-02-10 2010-01-13 Impact absorption facility for roa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6281A KR101003368B1 (ko) 2009-12-31 2009-12-31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3368B1 true KR101003368B1 (ko) 2010-12-22

Family

ID=43513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6281A KR101003368B1 (ko) 2009-02-10 2009-12-31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3368B1 (ko)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5059B1 (ko) 2011-04-06 2011-12-19 주식회사 경천산업 무단횡단방지 분리대
CN103572721A (zh) * 2013-10-04 2014-02-12 黄昌庆 防撞滚动式防护栏
KR101426656B1 (ko) * 2013-05-13 2014-08-06 정석원 폐타이어이용 충격흡수 가이드레일 통돌이
KR101516920B1 (ko) * 2014-07-07 2015-05-04 빙인섭 도로 방호대
CN104912011A (zh) * 2015-06-23 2015-09-16 李竟儒 一种能防止汽车行驶时冲出公路的装置
WO2016195240A1 (ko) * 2015-06-01 2016-12-08 정도산업 주식회사 충격흡수용 가드레일
CN108221765A (zh) * 2018-03-14 2018-06-29 浙江力源新材料有限公司 一种采用再生橡胶制备的防撞旋转筒及其制备方法
CN109183685A (zh) * 2018-10-26 2019-01-11 四川龙鸟智能交通科技有限公司 一种公路匝道口防撞装置
KR101985477B1 (ko) * 2018-08-31 2019-06-03 채상원 테러 방지용 가드레일
KR102075012B1 (ko) * 2019-08-27 2020-02-10 (주)로드키네마틱스 지주 보호 충격흡수장치
KR102085907B1 (ko) * 2019-04-08 2020-03-06 채상원 도로용 충격 흡수 방호구조물
KR102083904B1 (ko) 2019-09-18 2020-05-12 (주)한길산업 충격흡수롤러가 포함된 가드레일
KR20200123740A (ko) 2019-04-22 2020-10-30 정도산업 주식회사 롤링 가드 베리어 및 그 제조방법
KR102355305B1 (ko) * 2021-09-18 2022-02-08 채기원 태양광 발전을 겸한 주차장 구조물
KR102388403B1 (ko) 2021-11-27 2022-04-19 조정임 충격흡수 방호구조를 가진 가드레일
KR102411708B1 (ko) * 2021-03-31 2022-06-22 주용산업 주식회사 차량 이탈 방지장치
KR102497713B1 (ko) 2022-07-21 2023-02-08 (주) 한길산업 다단 충격흡수 롤러를 구비한 차량방호울타리
CN116356620A (zh) * 2023-03-22 2023-06-30 河南长基教育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高速交通安全防护障碍系统及其施工方法
KR102632545B1 (ko) * 2023-05-09 2024-02-05 래오케미칼 주식회사 스프링롤러형 충격흡수용 가드 레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5938Y1 (ko) 2001-05-15 2001-10-15 강승구 철재 중앙분리대의 충격흡수 완충구조
KR200423330Y1 (ko) 2006-05-24 2006-08-07 김요섭 완충력을 갖춘 차량통제용 볼라드
KR100673306B1 (ko) 2005-03-02 2007-01-24 채종술 도로용 중앙분리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5938Y1 (ko) 2001-05-15 2001-10-15 강승구 철재 중앙분리대의 충격흡수 완충구조
KR100673306B1 (ko) 2005-03-02 2007-01-24 채종술 도로용 중앙분리대
KR200423330Y1 (ko) 2006-05-24 2006-08-07 김요섭 완충력을 갖춘 차량통제용 볼라드

Cited B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5059B1 (ko) 2011-04-06 2011-12-19 주식회사 경천산업 무단횡단방지 분리대
KR101426656B1 (ko) * 2013-05-13 2014-08-06 정석원 폐타이어이용 충격흡수 가이드레일 통돌이
CN103572721A (zh) * 2013-10-04 2014-02-12 黄昌庆 防撞滚动式防护栏
KR101516920B1 (ko) * 2014-07-07 2015-05-04 빙인섭 도로 방호대
WO2016195240A1 (ko) * 2015-06-01 2016-12-08 정도산업 주식회사 충격흡수용 가드레일
CN104912011A (zh) * 2015-06-23 2015-09-16 李竟儒 一种能防止汽车行驶时冲出公路的装置
CN108221765A (zh) * 2018-03-14 2018-06-29 浙江力源新材料有限公司 一种采用再生橡胶制备的防撞旋转筒及其制备方法
WO2020045715A1 (ko) * 2018-08-31 2020-03-05 채상원 테러 방지용 가드레일
KR101985477B1 (ko) * 2018-08-31 2019-06-03 채상원 테러 방지용 가드레일
CN109183685B (zh) * 2018-10-26 2024-03-15 四川龙鸟智能交通科技有限公司 一种公路匝道口防撞装置
CN109183685A (zh) * 2018-10-26 2019-01-11 四川龙鸟智能交通科技有限公司 一种公路匝道口防撞装置
KR102085907B1 (ko) * 2019-04-08 2020-03-06 채상원 도로용 충격 흡수 방호구조물
KR102305780B1 (ko) * 2019-04-22 2021-09-30 정도산업 주식회사 롤링 가드 베리어 및 그 제조방법
KR20200123740A (ko) 2019-04-22 2020-10-30 정도산업 주식회사 롤링 가드 베리어 및 그 제조방법
KR102075012B1 (ko) * 2019-08-27 2020-02-10 (주)로드키네마틱스 지주 보호 충격흡수장치
KR102083904B1 (ko) 2019-09-18 2020-05-12 (주)한길산업 충격흡수롤러가 포함된 가드레일
KR102411708B1 (ko) * 2021-03-31 2022-06-22 주용산업 주식회사 차량 이탈 방지장치
KR102355305B1 (ko) * 2021-09-18 2022-02-08 채기원 태양광 발전을 겸한 주차장 구조물
KR102388403B1 (ko) 2021-11-27 2022-04-19 조정임 충격흡수 방호구조를 가진 가드레일
KR102497713B1 (ko) 2022-07-21 2023-02-08 (주) 한길산업 다단 충격흡수 롤러를 구비한 차량방호울타리
CN116356620A (zh) * 2023-03-22 2023-06-30 河南长基教育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高速交通安全防护障碍系统及其施工方法
CN116356620B (zh) * 2023-03-22 2024-02-09 长基教育科技(浙江)有限公司 一种高速交通安全防护障碍系统及其施工方法
KR102632545B1 (ko) * 2023-05-09 2024-02-05 래오케미칼 주식회사 스프링롤러형 충격흡수용 가드 레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3368B1 (ko)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
CN102027173B (zh) 一种道路冲击吸收设施
KR100912376B1 (ko) 도로용 충격흡수시설물
CA2690047C (en) Impact absorbing barrier assembly
NZ536574A (en) Crash cushions absorbing energy of impacting vehicle by shredding lands
KR101095059B1 (ko) 무단횡단방지 분리대
US6113307A (en) Highway delineator
KR101209815B1 (ko) 충격흡수가드레일
KR100969810B1 (ko) 트러스 구조의 완충부를 구비한 차량안전 방호책
US9051699B2 (en) Pedestrian and vehicle barrier
KR100727058B1 (ko) 충격흡수용 가드레일
US3194537A (en) Safety barrier for road traffic
KR101131438B1 (ko) 단부용 충격흡수시설물
CN115288513A (zh) 一种混凝土临时护栏结构
KR100582022B1 (ko) 충격흡수장치가 구비된 도로 중앙분리대
KR200464371Y1 (ko) 도로 중앙분리대
KR200207038Y1 (ko) 충격완화용 중앙분리대
RU171282U1 (ru) Вертикальная стойка тросового дорожного ограждения
RU219238U1 (ru) Дорожное сигнальное оград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200431687Y1 (ko) 충격 흡수가 가능한 교량난간
KR200350869Y1 (ko) 곡선파이프를 이용한 도로 교량용 가드레일
KR100533053B1 (ko) 가드레일 겸용 난간
KR200405953Y1 (ko) 충격흡수장치가 구비된 도로 중앙분리대
KR200287820Y1 (ko) 안전 유도대
KR200327669Y1 (ko) 가드레일 겸용 난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