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1642B1 - 도로표지판 - Google Patents

도로표지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1642B1
KR101721642B1 KR1020160161671A KR20160161671A KR101721642B1 KR 101721642 B1 KR101721642 B1 KR 101721642B1 KR 1020160161671 A KR1020160161671 A KR 1020160161671A KR 20160161671 A KR20160161671 A KR 20160161671A KR 101721642 B1 KR101721642 B1 KR 101721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 board
sign
backward
wind
str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1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김스애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김스애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김스애드
Priority to KR1020160161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16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1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16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7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01F9/61Special features of delineator posts, e.g. with parts cantilevered toward the roadway or fixed vertically on a tilted surface

Abstract

본 발명은 시인성이 향상된 새로운 구조의 도로표지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표지판은 상기 표지판본체(20)의 하단에는 전방으로 연장된 연장부(21)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21)의 선단부에는 무게추(22)가 구비되어, 표지판본체(20)의 중심이 표지판본체(20)의 전방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표지판본체(20)가 후방으로 회동되어 표지판본체(20)의 전면이 전방하측을 향하게 됨으로써, 시인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도로표지판{traffic sign}
본 발명은 시인성이 향상된 새로운 구조의 도로표지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표지판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로의 일측에 구비된 지주(10)와, 상기 지주(10)에 구비되며 전면에 다양한 정보가 표시된 표지판본체(2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지주(1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하단이 도로의 일측에 고정된 수직바(11)와, 상기 수직바(11)의 상단 일측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된 수평바(12)로 구성된다.
상기 표지판본체(2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사각의 금속판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단에 구비된 결속구(30)에 의해 상기 수평바(12)의 하측에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표지판본체(20)가 자중에 의해 수직을 이루도록 상기 수평바(12)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운전자가 상기 표지판본체(20)의 전면에 표시된 정보를 읽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강한 바람이 불어오면, 상기 결속구(30)를 중심으로 상기 표지판본체(20)의 하단이 적절히 전후방향으로 회동됨으로써, 바람에 의해 표지판본체(20)나 결속구(3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도로표지판은 상기 표지판본체(20)가 도로의 상측에 위치됨으로,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운전자가 표지판본체(20)를 볼 경우, 시선이 상측을 향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표지판본체(20)는 자중에 의해 수직을 이루도록 연장됨으로, 표지판본체(20)의 전면이 운전자의 시선방향과 다르게 전방을 향하게 되며, 이에 따라, 표지판본체(20)의 시인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실용신안 20-0436770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시인성이 향상된 새로운 구조의 도로표지판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로의 일측에 구비된 지주(10)와, 상기 지주(10)에 구비되며 전면에 다양한 정보가 표시된 표지판본체(20)로 구성되며, 상기 지주(1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하단이 도로의 일측에 고정된 수직바(11)와, 상기 수직바(11)의 상단 일측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된 수평바(12)로 구성되고, 상기 표지판본체(20)는 상단에 구비된 결속구(30)에 의해 상기 수평바(12)의 하측에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도로표지판에 있어서, 상기 표지판본체(20)의 하단에는 전방으로 연장된 연장부(21)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21)의 선단부에는 무게추(22)가 구비되어, 상기 무게추(22)의 무게에 의해 상기 표지판본체(20)가 후방으로 회동되어 표지판본체(20)의 전면이 전방하측을 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표지판본체(2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사각의 금속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연장부(21)는 상기 표지판본체(20)의 하단부를 전방으로 벤딩하여 구성되며, 상기 연장부(21)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배수구(21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결속구(30)는 상기 수평바(12)에 구비된 제1 결속부재(31)와, 상기 표지판본체(20)의 상단에 구비되며 측방향으로 연장된 회동축(32b)에 의해 상기 제1 결속부재(31)에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결속부재(32)를 포함하며, 상기 표지판본체(20)에 연결되어 바람에 의해 표지판본체(20)가 전후방향으로 회동되는 속도를 감쇄시키는 댐퍼(41)와, 상기 표지판본체(20)의 후측면에 구비된 브라켓(23)에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선단부에는 보조무게추(42a)가 구비된 회동아암(42)과, 상기 회동아암(42)에 연결되어 회동아암(42)을 전후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회동구동수단(43)과, 상기 회동축(32b)에 연결되어 상기 표지판본체(20)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기울기측정수단(44)과, 상기 기울기측정수단(44)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회동구동수단(43)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48)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48)은 상기 기울기측정수단(44)의 신호를 수신하여 바람에 의해 상기 표지판본체(2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동되어 표지판본체(20)의 기울기가 미리 설정된 기울기를 벗어나면 상기 회동구동수단(43)을 제어하여 상기 회동아암(42)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동시켜 보조무게추(42a)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표지판본체(2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동되어 설정된 기울기를 유지하도록 각도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주(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지주(10)의 전후방향에서 불어오는 바람의 풍속을 측정하는 전후방향 풍속측정수단(45)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48)은 상기 전후방향 풍속측정수단(45)의 신호를 수신하여 전후방향의 풍속이 설정된 속도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표지판본체(20)의 기울기가 설정된 기울기를 벗어나더라도 회동구동수단(43)을 구동시키지 않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주(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지주(10)의 측방향에서 불어오는 바람의 풍속을 측정하는 측방향 풍속측정수단(46)과, 상기 지주(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측방향 풍속측정수단(46)에 의해 측정된 측방향 바람의 풍속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수단(47)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판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표지판은 상기 표지판본체(20)의 하단에는 전방으로 연장된 연장부(21)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21)의 선단부에는 무게추(22)가 구비되어, 표지판본체(20)의 중심이 표지판본체(20)의 전방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표지판본체(20)가 후방으로 적절히 회동되어 표지판본체(20)의 전면이 전방하측을 향하게 됨으로써, 표지판본체(20)가 향하는 방향과 운전자의 시선방향이 일치되어 시인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도로표지판을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종래의 도로표지판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다른 도로표지판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다른 도로표지판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다른 도로표지판의 표지판본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다른 도로표지판의 변형예를 도시한 참기도,
도 8은 본 발명에 다른 도로표지판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다른 도로표지판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다른 도로표지판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회로구성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다른 도로표지판의 제2 실시예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표지판을 도시한 것으로, 도로의 일측에 구비된 지주(10)와, 상기 지주(10)에 구비되며 전면에 다양한 정보가 표시된 표지판본체(20)로 구성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지주(1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하단이 도로의 일측에 고정된 수직바(11)와, 상기 수직바(11)의 상단 일측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된 수평바(1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표지판본체(2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사각의 금속판으로 구성되며, 상단에 구비된 결속구(30)에 의해 상기 수평바(12)의 하측에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결속구(30)는 상기 수평바(12)에 구비된 제1 결속부재(31)와, 상기 표지판본체(20)의 상단에 구비되며 측방향으로 연장된 회동축(32b)에 의해 상기 제1 결속부재(31)에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결속부재(32)로 구성된다.
상기 제1 결속부재(31)는 수평바(12)의 둘레부에 결합된 링형태의 고정부재(31a)와, 금속판을 U자 형태로 벤딩하여 구성되며 상단이 상기 고정부재(31a)의 하측면에 용접결합된 지지부재(31b)로 구성된다.
상기 제2 결속부재(32)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금속판의 양단을 하측으로 벤딩하여 구성되며 하단이 상기 표지판본체(20)의 전후면에 고정결합된 회동부재(32a)와, 상기 측방향으로 연장된 원봉형태로 구성되어 회동부재(32a)의 상단에 결합고정된 회동축(32b)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31b)의 하측면에는 개구부(31c)가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회동부재(32a)는 상단이 상기 개구부(31c)의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회동축(32b)은 상기 지지부재(31b)와 회동부재(32a)에 동시에 결합되어 상기 회동부재(32a)와 표지판본체(20)가 전후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지지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표지판본체(20)의 하단에는 전방으로 연장된 연장부(21)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21)에는 무게추(22)가 구비되어, 상기 무게추(22)의 무게에 의해 상기 표지판본체(20)가 후방으로 회동됨으로써, 표지판본체(20)의 전면이 전방하측을 향하도록 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연장부(21)는 사각형으로 구성된 표지판본체(20)의 하단부를 전방으로 벤딩하여 구성되며, 상기 연장부(21)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배수구(21a)가 형성된다.
상기 배수구(21a)는 복수개로 구성되어 상기 연장부(21)에서 가장 낮은 부분에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도로표지판은 상기 표지판본체(20)의 하단에는 전방으로 연장된 연장부(21)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21)의 선단부에는 무게추(22)가 구비되어, 표지판본체(20)의 중심이 표지판본체(20)의 전방에 형성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표지판본체(20)가 후방으로 적절히 회동되어 표지판본체(20)의 전면이 전방하측을 향하게 됨으로써, 표지판본체(20)의 전면이 향하는 방향과 운전자의 시선방향이 일치되어 시인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21)는 상기 표지판본체(20)의 하단부를 전방으로 벤딩하여 구성되며, 상기 연장부(21)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배수구(21a)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연장부(21)의 구조가 간단하여 연장부(21)의 강도가 향상될 수 있으며, 상기 연장부(21)에 고인 빗물이 상기 배수구(21a)를 통해 신속하게 배출되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 결속부재(31)는 상기 제1 결속부재(31)는 수평바(12)의 둘레부에 결합된 링형태의 고정부재(31a)와, 금속판을 U자 형태로 벤딩하여 구성되며 상단이 상기 고정부재(31a)의 하측면에 용접결합된 지지부재(31b)로 구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제1 결속부재(31)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평바(12)의 둘레부에 결합되는 링형태로 구성되며 일측에는 상기 회동축(32b)이 결합되는 결합부(31d)가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부(31d)는 측방향으로 연장되며 하측에 개구부(31e)가 형성된 관체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회동축(32b)은 상기 회동부재(32b)의 상측에 일체로 연결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회동축(32b)이 상기 결합부(31d)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결속부재(32)가 전후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 결속부재(31)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평바(12)의 둘레면에 대응되는 호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수평바(12)의 하측면에 용접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표지판본체(20)에 연결되어 바람에 의해 표지판본체(20)가 전후방향으로 회동되는 속도를 감쇄시키는 댐퍼(41)와, 상기 표지판본체(20)의 후측면에 구비된 브라켓(23)에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선단부에는 보조무게추(42a)가 구비된 회동아암(42)과, 상기 회동아암(42)에 연결되어 회동아암(42)을 전후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회동구동수단(43)과, 상기 회동축(32b)에 연결되어 상기 표지판본체(20)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기울기측정수단(44)과, 상기 지주(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주위의 풍속을 측정하는 풍속측정수단(45,46)과, 상기 지주(10)의 일측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수단(47)과, 상기 기울기측정수단(44)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회동구동수단(43)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48)이 더 구비된다.
상기 댐퍼(41)는 상단은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피스톤로드가 구비된 실린더형 댐퍼를 이용하는 것으로, 일단은 상기 수평바(12)의 후측면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표지판본체(20)의 후측면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표지판본체(20)가 바람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밀려서 회동될 경우, 이에 추종하여 신축됨으로써, 상기 표지판본체(20)가 빠른 속도로 유동되지 않고 천천히 전후방으로 회동되도록 한다.
이러한 실린더형 댐퍼는 등록특허 10-0182381호를 비롯한 다수의 선행문건에 자세히 나타나 있을 뿐 아니라, 자동차나 기타 다양한 곳에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음으로, 이에 대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회동아암(42)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금속재의 바형상으로 구성되어 상단부에 구비된 힌지축(42b)에 의해 상기 브라켓(23)에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상기 표지판본체(20)가 전방으로 회동되도록 한다.
즉, 상기 회동아암(42)을 후방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보조무게추(42a)가 표지판본체(20)의 후방으로 이격되어 표지판본체(20)가 전방으로 회동되도록 하고, 회동아암(42)을 전방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보조무게추(42a)가 표지판본체(20)의 전방으로 근접되어 표지판본체(20)가 후방으로 회동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무게추(22)의 무게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무게추(22)에 비해 무겁게 구성되어, 상기 회동아암(42)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각도로 후방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회동아암(42)과 무게추(22)가 균형을 이루어, 상기 표지판본체(20)이 설정된 각도로 후방으로 회동되도록 구성되다.
상기 회동구동수단(43)은 상기 힌지축(42b)에 결합되어 상기 힌지축(42b)과 함께 회동아암(42)을 전후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구동모터를 이용한다.
상기 기울기측정수단(44)은 상기 지지부재(31b)에 구비되며 상기 회동축(32b)에 연결되어 표지판본체(20)와 함께 회동축(32b)이 전후방향으로 회동되면 이를 감지하는 각도센서를 이용한다.
이때, 상기 회동축(32b)은 상기 회동부재(32a)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표지판본체(20)가 전후방으로 회동되면, 상기 회동축(32b)이 이와 연동되어 회동됨으로써, 상기 기울기측정수단(44)이 상기 표지판본체(20)의 기울기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풍속측정수단(45,46)은 상기 지주(10)의 수평바(12)에 구비되어 도로표지판의 주변에서 불어오는 바람의 속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풍속측정수단(45,46)은 수평바(12)에 전후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된 전후방향 풍속측정수단(45)과, 상기 수평바(12)에 측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된 측방향 풍속측정수단(46)으로 구성되어, 전후방향의 풍속과 측방향의 풍속을 각각 별도로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바람의 속도를 측정하는 풍속측정수단(45,46)은 다양한 것이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음으로, 이에 대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표지판본체(20)의 전후방향과 측방향으로 불어오는 바람의 속도를 각각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수단(47)은 상기 수평바(12)의 상측에 전방을 향하도록 구성된 전광판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측방향 풍속측정수단(46)에 의해 측정된 측방향 바람의 속도를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어수단(48)은 상기 기울기측정수단(44)의 신호를 수신하여 바람에 의해 상기 표지판본체(2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동되어 표지판본체(20)의 기울기가 미리 설정된 기울기를 벗어나면 상기 회동구동수단(43)을 제어하여 상기 회동아암(42)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동시켜 보조무게추(42a)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표지판본체(2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동되어 설정된 기울기로 각도조절되도록 한다.
즉, 상기 표지판본체(20)의 연장부(21)에는 무게추(22)가 구비되어 표지판본체(20)가 후방으로 회동되도록 하고, 상기 표지판본체(20)의 후방에는 상기 회동아암(42)이 구비되어 표지판본체(20)가 전방으로 회동되도록 함으로, 바람이 불지 않을 때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표지판본체(20)가 미리 설정된 기울기로 후방으로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지판본체(20)의 전방에서 불어오는 바람에 의해 표지판본체(20)가 후방으로 회동될 경우, 상기 제어수단(48)은 상기 기울기측정수단(44)의 신호를 수신하여 표지판본체(20)가 후방으로 회동된 것을 확인하고,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동구동수단(43)을 구동시켜 상기 회동아암(42)이 후방으로 회동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회동아암(42)이 후방으로 회동되면, 상기 표지판본체(20)가 전방으로 회동됨으로써, 상기 표지판본체(20)가 미리 설정된 기울기를 유지하게 된다.
반대로, 상기 표지판본체(20)가 전방으로 회동되면 상기 제어수단(48)은 상기 회동아암(42)이 전방으로 회동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표지판본체(20)가 미리 설정된 기울기를 유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48)은 상기 전후방향 풍속측정수단(45)의 신호를 수신하여 표지판본체(20)의 전후방향에서 불어오는 바람의 풍속이 미리 설정된 속도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표지판본체(20)의 기울기가 설정된 기울기를 벗어나더라도 회동구동수단(43)을 구동시키지 않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회동아암(42)을 회동시겨 표지판본체(20)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방법은 표지판본체(2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조금 기울어진 경우에만 효과가 있으며, 표지판본체(20)의 전후방에서 강한 바람이 불어올 경우 기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없을 뿐 아니라, 강한 바람이 불어올 때 무리하게 표지판본체(20)의 기울기를 조절하면 표지판본체(20)에 큰 풍압이 가해져 표지판본체(20)나 결속구(30)가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수단(48)은 상기 전후방향 풍속측정수단(45)의 신호를 수신하여 표지판본체(20)의 전후방향에서 불어오는 바람의 풍속을 미리 설정된 속도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회동구동수단(43)의 작동을 정지시켜, 상기 표지판본체(20)가 바람에 따라 자연스럽게 전후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함으로써, 표지판본체(20)나 결속구(3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도로표지판은 표지판본체(20)가 바람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회동되면, 상기 제어수단(48)이 기울기측정수단(44)을 통해 이를 감지하고, 회동구동수단(43)을 제어하여 상기 회동아암(42)을 전후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표지판본체(20)가 바람에 영향을 받지 않고 일정하니 기울기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시인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48)은 상기 전후방향 풍속측정수단(45)의 신호를 수신하여 전후방향의 풍속이 설정된 속도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표지판본체(20)의 기울기가 설정된 기울기를 벗어나더라도 회동구동수단(43)을 구동시키지 않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하게 상기 회동구동수단(43)이 작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표지판본체(20)에 불필요하게 큰 풍압이 가해져 표지판본체(20)나 결속구(3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주(10)에는 지주(10)의 측방향에서 불어오는 바람의 풍속을 측정하는 측방향 풍속측정수단(46)과, 상기 측방향 풍속측정수단(46)에 의해 측정된 측방향 바람의 풍속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수단(47)이 구비되어, 측방향의 풍속이 상기 디스플레이수단(47)에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가 측방향바람의 풍속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가 상기 디스플레이수단(47)을 육안으로 보고 측방향에서 불어오는 바람의 식도를 실시간으로 확인함으로써, 측방향 바람에 의해 차량이 측방향으로 밀려나가는 것에 대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지주 20. 표지판본체
30. 결속구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도로의 일측에 구비된 지주(10)와,
    상기 지주(10)에 구비되며 다양한 정보가 표시된 표지판본체(20)로 구성되며,
    상기 지주(1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하단이 도로의 일측에 고정된 수직바(11)와, 상기 수직바(11)의 상단 일측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된 수평바(12)로 구성되고,
    상기 표지판본체(20)는 상단에 구비된 결속구(30)에 의해 상기 수평바(12)의 하측에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도로표지판에 있어서,
    상기 표지판본체(20)의 하단에는 전방으로 연장된 연장부(21)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21)의 선단부에는 무게추(22)가 구비되어,
    상기 무게추(22)의 무게에 의해 상기 표지판본체(20)가 후방으로 회동되어 표지판본체(20)의 전면이 전방하측을 향하며,
    상기 표지판본체(2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사각의 금속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연장부(21)는 상기 표지판본체(20)의 하단부를 전방으로 벤딩하여 구성되며,
    상기 연장부(21)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배수구(21a)가 형성되고,
    상기 결속구(30)는
    상기 수평바(12)에 구비된 제1 결속부재(31)와,
    상기 표지판본체(20)의 상단에 구비되며 측방향으로 연장된 회동축(32b)에 의해 상기 제1 결속부재(31)에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결속부재(32)를 포함하며,
    상기 표지판본체(20)에 연결되어 바람에 의해 표지판본체(20)가 전후방향으로 회동되는 속도를 감쇄시키는 댐퍼(41)와,
    상기 표지판본체(20)의 후측면에 구비된 브라켓(23)에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선단부에는 보조무게추(42a)가 구비된 회동아암(42)과,
    상기 회동아암(42)에 연결되어 회동아암(42)을 전후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회동구동수단(43)과,
    상기 회동축(32b)에 연결되어 상기 표지판본체(20)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기울기측정수단(44)과,
    상기 기울기측정수단(44)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회동구동수단(43)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48)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48)은 상기 기울기측정수단(44)의 신호를 수신하여 바람에 의해 상기 표지판본체(2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동되어 표지판본체(20)의 기울기가 미리 설정된 기울기를 벗어나면 상기 회동구동수단(43)을 제어하여 상기 회동아암(42)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동시켜 보조무게추(42a)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표지판본체(2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동되어 설정된 기울기를 유지하도록 각도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판.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지주(10)의 전후방향에서 불어오는 바람의 풍속을 측정하는 전후방향 풍속측정수단(45)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48)은 상기 전후방향 풍속측정수단(45)의 신호를 수신하여 전후방향의 풍속이 설정된 속도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표지판본체(20)의 기울기가 설정된 기울기를 벗어나더라도 회동구동수단(43)을 구동시키지 않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판.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지주(10)의 측방향에서 불어오는 바람의 풍속을 측정하는 측방향 풍속측정수단(46)과,
    상기 지주(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측방향 풍속측정수단(46)에 의해 측정된 측방향 바람의 풍속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수단(47)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판.
KR1020160161671A 2016-11-30 2016-11-30 도로표지판 KR101721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671A KR101721642B1 (ko) 2016-11-30 2016-11-30 도로표지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671A KR101721642B1 (ko) 2016-11-30 2016-11-30 도로표지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1642B1 true KR101721642B1 (ko) 2017-03-30

Family

ID=58503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1671A KR101721642B1 (ko) 2016-11-30 2016-11-30 도로표지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16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89578A (zh) * 2018-05-18 2018-09-28 福州和信城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道路指示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6770A (ko) 2002-10-24 2004-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Lcd 백 라이트 컬러를 이용한 배터리 방전 상태 표시방법
KR20080074295A (ko) * 2007-02-08 2008-08-13 김기룡 표지판 어셈블리
KR20150051452A (ko) * 2013-11-04 2015-05-13 김덕수 교통 표지 패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6770A (ko) 2002-10-24 2004-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Lcd 백 라이트 컬러를 이용한 배터리 방전 상태 표시방법
KR20080074295A (ko) * 2007-02-08 2008-08-13 김기룡 표지판 어셈블리
KR20150051452A (ko) * 2013-11-04 2015-05-13 김덕수 교통 표지 패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89578A (zh) * 2018-05-18 2018-09-28 福州和信城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道路指示设备
CN108589578B (zh) * 2018-05-18 2019-08-30 玉环新航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道路指示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4947B1 (ko) 레벨링 수단이 구비된 중장비의 영상표시 시스템
US7325936B2 (en) Rearview correcting/controlling system for vehicle
US7503135B2 (en) Mobile sign carrier
US2708086A (en) Bracket for mounting rear view mirrors
EP1624289A3 (en) Navigation system
EP1790940A3 (en) Laser surveying instrument
US5713514A (en) Mailbox stand
CN103959334A (zh) 用于控制侧后视设备的调节的系统
KR101721642B1 (ko) 도로표지판
US20130185971A1 (en) Sign post system
IT1286229B1 (it) Sistema di livellamento per autoveicoli perfezionato
KR101730126B1 (ko) 표지판
CN108045311A (zh) 一种汽车后视镜角度调节系统及调节方法
US6588911B1 (en) Three-piece interior rear view mirror assembly
SE522036C2 (sv) Justeranordning för en takluftriktare
US7422337B1 (en) Rear-view safety mirrors
KR101864098B1 (ko) 고소작업차의 바스켓 수평 유지장치
US6193377B1 (en) Dual rear view mirrors for trucks and other vehicles
WO2017141620A1 (ja) 作業車両
US7296903B2 (en) Exterior rearview mirror mechanism for a skid loader
JP6647483B1 (ja) ハローガイド
JP2008039478A (ja) 物体検出手段の試験装置、及び試験車両
CN204128780U (zh) 汽车内后视镜镜片外观检测工装
JP2002020074A (ja) クレーン車の前方視認装置
KR102572955B1 (ko) 사이드 미러에 수납 가능한 보조미러를 이용한 사각 지대 해소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