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9605B1 - 시공오차 보정이 가능한 접지력 강화 말뚝 및 이를 이용한 데크로드 - Google Patents

시공오차 보정이 가능한 접지력 강화 말뚝 및 이를 이용한 데크로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9605B1
KR102499605B1 KR1020220126899A KR20220126899A KR102499605B1 KR 102499605 B1 KR102499605 B1 KR 102499605B1 KR 1020220126899 A KR1020220126899 A KR 1020220126899A KR 20220126899 A KR20220126899 A KR 20220126899A KR 102499605 B1 KR102499605 B1 KR 102499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justing
verticality
coupling
coupled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6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훈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티스멀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티스멀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티스멀티
Priority to KR1020220126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96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9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9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6Screw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05Piers, trestles, bearings, expansion joints or parapet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1Height being adjus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5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including at least a hing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71Shapes helical or spir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Abstract

시공오차 보정이 가능한 접지력 강화 말뚝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시공오차 보정이 가능한 접지력 강화 말뚝은, 지중에 관입되는 스크류 구조의 관입부와, 상기 관입부의 상단에 마련되는 결합부로 이루어진 관입 고정체;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상단에 마련되는 연직도 조절부를 포함하는 연결모듈; 및 상기 연직도 조절부에 하단부가 결합되는 지주를 포함하고, 상기 관입 고정체가 지중에 관입 시공된 상태에서 연직도 조절부로 상기 지주의 연직도를 조절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시공오차 보정이 가능한 접지력 강화 말뚝 및 이를 이용한 데크로드{deck rod equipped with traction reinforcement piles capable of compensating for construction errors}
본 발명은 시공오차 보정이 가능한 접지력 강화 말뚝 및 이를 이용한 데크로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데크로드를 지지하는 말뚝(파일 - piles)을 터파기 및 기초 콘크리트 작업과 같은 복잡한 시공없이 데크로드와 같은 시설물을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는 시공오차 보정이 가능한 접지력 강화 말뚝 및 이를 이용한 데크로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데크로드는 보행 중에 충격을 방지하고 사용 과정에 있어 안락하고 자연친화적이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그 주요구성이 목재로 구성되어 있다.
데크로드에는 각종 운동구와 벤치 등이 구비된 심신단련 데크와 심신단련 데크로 이동할 수 있게 형성한 목교로 구성되는 것이다.
데크로드의 시설들은 대부분 지상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를 위해서 지중에는 지주가 관입되어 고정되고, 지주의 상단에 데크로드의 상부 구조물이 고정 설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종래에는 데크로드를 지지하는 지주의 하단부가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지주(1)가 결합된 콘크리트 기초(2)가 얕은 깊이(D)에 설치됨으로써 상구조물, 즉 데크로드로부터 진동을 포함한 외력이 작용할 경우에 지주(1)가 쉽게 전도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2300546호(공고일 : 2021.09.09)에는 데크로드 구조물이 개시되어 있다. 데크로드 구조물은, 데크로드가 설치되는 상부연결지주가 스크류 구조의 하부고정지주에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이, 하부고정지주가 스크류 구조로 구성됨으로써 데크로드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횡방향 하중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어서 안전성이 증대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데크로드 구조물은, 스크류 구조의 하부고정지주를 지중에 관입 시공할 때 연직으로 관입 시공하지 못하면 연직도에 대한 보정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중에 관입된 하부고정지주의 관입부(3)가 연직으로 관입되지 못하여 지주(1)가 수직선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일 때 이를 보정하기 위해서는 관입부(3)를 빼낸 후 다시 시공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스크류 구조의 관입부(3)는 회전시켜 관입시켜야 했기 때문에 연직도를 유지하여 관입하는 시공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2300546호(공고일 : 2021.09.09)
본 발명의 목적은, 지중에 관입 시공되는 말뚝(파일 - piles)을 터파기 및 기초 콘크리트 작업과 같은 복잡한 시공없이 데크로드, 난간을 포함한 다양한 구조물을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시공오차 보정이 가능한 접지력 강화 말뚝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공오차 보정이 가능한 접지력 강화 말뚝을 이용한 데크로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지중에 관입되는 스크류 구조의 관입부와, 상기 관입부의 상단에 마련되는 결합부로 이루어진 관입 고정체;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상단에 마련되는 연직도 조절부를 포함하는 연결모듈; 및 상기 연직도 조절부에 하단부가 결합되는 지주를 포함하고, 상기 관입 고정체가 지중에 관입 시공된 상태에서 상기 연직도 조절부로 상기 지주의 연직도를 조절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오차 보정이 가능한 접지력 강화 말뚝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결합부와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연결부의 수평 회전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수평 회전각도 조절수단이 마련되고, 수평 회전각도 조절수단은, 상기 결합부에 관통 형성되는 결합공; 상기 결합공에 대응되도록 상기 연결부에 형성되는 수평회전 조절장공; 및 상기 연결부가 상기 결합부에 삽입되어 수평 회전각도가 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공과 상기 수평회전 조절장공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제1 조절볼트와 제1 조절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수평회전 조절장공의 범위 내에서 수평 회전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연직도 조절부는, 상기 연결부의 상단에 저면 중앙부가 결합되는 수평 지지부와, 적어도 1개 이상의 연직도 조절장공이 하향으로 만곡지게 각각 형성되고 상기 수평 지지부의 양쪽에서 상향으로 각각 수직 절곡되어 형성되는 수직 지지부를 포함하는 조절 지지부; 및 상기 연직도 조절장공에 대응되는 제2 관통공을 구비한 상기 지주의 하단부가 양쪽의 상기 수직 지지부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연직도 조절장공과 상기 제2 관통공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제2 조절볼트 및 제2 조절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관입 고정체가 지중에 관입 시공된 상태에서 상기 연직도 조절장공의 범위에 내에서 상기 지주의 연직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와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연직도 조절부와 상기 지주의 하단부 사이에는, 수팽창 지수제로 이루어진 결합강화재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조절볼트와 제1 조절너트는, 각각 1개로 이루어지거나 각각 2개가 한 쌍을 이루고, 상기 제1 조절볼트와 제1 조절너트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풀림방지용 제1 스프링이 마련되며, 상기 제1 조절볼트와 제1 조절너트가 각각 2개로 이루어진 경우에, 상기 제1 스프링은 2개의 제1 마루를 갖도록 파형으로 형성되고, 각 상기 제1 마루에는 2개의 상기 제1 조절볼트가 관통하도록 2개의 제1 볼트 관통공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조절볼트와 제2 조절너트는, 각가 1개로 이루어지거나 각각 2개가 한 쌍을 이루고, 상기 제2 조절볼트와 제2 조절너트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풀림방지용 제2 스프링이 마련되며, 상기 제2 조절볼트와 제2 조절너트가 각각 2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직도 조절장공이 2개로 이루어져 상,하부에 각각 배치되는 경우에, 상기 제2 스프링은, 2개의 제2 마루를 갖도록 파형으로 형성되고, 각 상기 제2 마루에는 2개의 상기 제2 조절볼트가 관통하도록 제2 볼트 관통공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주는, 데크로드의 하부 구조물, 울타리 기둥, 난간 기둥, 태양광 구조물의 기둥 또는 지상에 연직하게 설치되는 구조물의 기둥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시공오차 보정이 가능한 접지력 강화 말뚝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모듈에 하단이 결합되는 상기 지주; 상기 지주에 결합되고 빔들과 가로바로 이루어진 거더모듈; 및 상기 거더모듈의 상면에 설치되는 각각의 각관에 시공되어 보행공간을 형성하는 데크재를 포함하는 시공오차 보정이 가능한 접지력 강화 말뚝을 갖는 데크로드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데크로드는 난간을 포함하고, 상기 난간은, 상기 보행공간이 확장되도록 확장수단에 의해 상기 빔의 외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확장수단은, 상기 빔의 외측에 일단이 결합되어 타단이 상기 빔의 외측면 보다 더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확장 브라켓; 하단부가 상기 확장 브라켓의 타단에 결합되고 상단부에는 상기 난간의 내부기둥 하단부가 결합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확장 브라켓을 관통 체결되어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확장 브라켓을 결합하는 난간 결합볼트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중에 관입 시공되는 말뚝(파일 - piles)에 연직도 조절부를 갖는 연결모듈이 구비됨으로써 관입부가 연직을 이루지 않더라도 연직도 조절부를 이용하여 구조물이 결합되는 결합부의 조절할 수 있고, 따라서 시공오차의 보정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관입부가 스크류 구조로 구성됨으로써 말뚝을 지중에 관입 시공하기 위하여 터파기 및 기초 콘크리트 작업과 같은 복잡한 작업이 불필요하고, 난간이나 펜스 등을 포함한 다양한 구조물을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데크로드의 하부 구조물을 시공오차 보정이 가능한 접지력 강화 말뚝에 결합 시공함으로써 데크로드의 설치 시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데크로드의 하부 구조물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결합부와 연결부 또는 조절 지지부와 지주의 하단부 사이에 수팽창 지수제로 이루어진 결합강화재가 마련됨으로써 결합부와 연결부 또는 조절 지지부와 지주가 보다 견고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철근 콘크리트 시공 구조를 갖는 말뚝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 는 종래기술에 의한 스크류 구조를 갖는 말뚝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오차 보정이 가능한 접지력 강화 말뚝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의 (a) 및 (b)는 도 3에 도시된 시공오차 보정이 가능한 접지력 강화 말뚝을 도시한 결합상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시공오차 보정이 가능한 접지력 강화 말뚝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일부확대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연직도 조절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7의 (a) 및 (b)는 도 3에 도시된 따른 시공오차 보정이 가능한 접지력 강화 말뚝에 결합강화재가 마련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풀림방지용 제1 스프링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오차 보정이 가능한 접지력 강화 말뚝을 이용한 데크로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난간에 확장수단이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확대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데크로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오차 보정이 가능한 접지력 강화 말뚝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의 (a) 및 (b)는 도 3에 도시된 시공오차 보정이 가능한 접지력 강화 말뚝을 도시한 결합상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시공오차 보정이 가능한 접지력 강화 말뚝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연직도 조절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7의 (a) 및 (b)는 도 3에 도시된 따른 시공오차 보정이 가능한 접지력 강화 말뚝에 결합강화재가 마련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공오차 보정이 가능한 접지력 강화 말뚝(10)은, 지상에 시공되는 다양한 구조물을 지지하는 지주(50)의 연직도를 조절하도록 된 것으로, 지중에 관입되는 스크류 구조의 관입부(32)와 관입부(32)의 상단에 마련되는 결합부(34)로 이루어진 관입 고정체(30)와, 결합부(32)에 결합되는 연결부(42)와, 연결부(42)의 상단에 마련되는 연직도 조절부(44)를 포함하는 연결모듈(40)과, 연직도 조절부(44)에 하단부(12)가 결합되는 지주(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관입 고정체(30)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는 지중으로 관입되도록 스크류 구조로 구성된 관입부(32)와, 관입부(32)의 상단에 마련되는 결합부(34)로 이루어진다. 관입부(32)는, 하단으로 갈수록 뾰족하고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따라서 관입 고정체(30)를 회전시키면 관입부(32)는 지중으로 관입될 수 있다. 이때, 나사산의 넓을수록 접촉면적이 확장되므로 지지력(접지력)이 향상될 수 있다. 결합부(34)는, 중공의 원통형으로 이루어며, 수평방향으로 결합공(34A)이 관통 형성된다.
이러한 관입 고정체(30)의 결합부(34)는 관입 고정체(30)를 회전시켜 관입부(32)를 지중으로 관입시킬 때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회전 작동장치가 결합된다.
연결모듈(40)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50)를 관입 고정체(30)에 연직도가 조절되도록 연결하여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결합부(32)에 결합되는 연결부(42)와, 연결부(42)의 상단에 마련되는 연직도 조절부(44)와, 연결모듈(40)의 수평 회전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수평 회전각도 조절수단(46)을 포함한다.
연결부(42)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수평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부(34)의 상부로 삽입된다. 전술한 결합부(34)와 연결부(42)에는 연결부(42)를 수평 회전시키고 회전된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수평 회전각도 조절수단(46)이 마련된다.
수평 회전각도 조절수단(46)은, 결합부(34A)에 수평으로 관통 형성되는 전술한 결합공(34A)와, 결합공(34A)에 대응되도록 연결부(42)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수평회전 조절장공(42A)와, 연결부(42)가 결합부(34) 내부로 삽입되어 수평 회전각도가 조절된 상태에서 결합공(34A)과 수평회전 조절장공(42A)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제1 조절볼트(45A)와 제1 조절너트(45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제1 조절볼트(45A)에는, 제1 조절볼트(45A)와 제1 조절너트(45B)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풀림방지용 제1 스프링(45C)이 마련된다.제1 조절볼트(45A)에 제1 스프링(45C)이 마련됨으로써 진동을 포함한 외력에 의한해 제1 조절볼트(45A)와 제1 조절너트(45B)의 풀림이 방지될 수 있다. 전술한 제1 스프링(45C)는 판스프링 구조로 제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비틀림 스프링, 코일 스프링이 적용될 수 있으며, 풀림방지너트가 적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공(34A)과 수평회전 조절장공(42A)이 상,하 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며, 제1 조절볼트(45A)와 제1 조절너트(45B)는 각각 2개가 한 쌍을 이루고, 제1 스프링(45C)은 2개의 제1 마루(45C-1)를 갖도록 파형으로 형성되며, 각 제1 마루(45C-1)에는 2개의 제1 조절볼트(45A)가 각각 관통하도록 2개의 제1 볼트 관통공(45C-2)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조절볼트(45A)와 제1 조절너트(45B)가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제1 스프링(45C)에 2개의 제1 마루(45C-1)가 형성됨으로써 연결부(42)와 결합부(34)는 보다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제1 조절볼트(45A)와 제1 조절너트(45B)가 상,하 방향(결합부나 연결부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됨으로 연결부(42)와 결합부(34)는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2개의 제1 마루(45C-1)와 2개의 제1 볼트 관통공(45C-2)이 형성된 각각의 제1 스프링(45C)이 연결부(42)를 기준으로 양쪽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제1 스프링(45C)가 연결부(42)를 기준으로 양쪽에 각각 구비됨으로써 제1 조절볼트(45A)와 제1 조절너트(45B)의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고 풀림 또한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수평 회전각도 조절수단(46)에 의해 연결부(42)를 포함한 연결모듈(40)의 수평 회전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즉, 연결부(42)를 결합부(34) 내부로 삽입한 후 연결부(42)를 포함한 연결모듈(40)을 수평방향으로 회전시켜 수평 회전각도를 조절한 상태에서 제1 조절볼트(45A)를 결합공(34A)과 수평회전 조절장공(42A)으로 관통한 후 제1 조절너트(45B)를 체결하여 연결부(42)를 결합부(34)에 견고하게 고정한다. 따라서 연결부(42)는 수평회전 조절장공(42A)의 범위 내에서 수평 회전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수평회전 조절장공(42A)이 결합부(34)에 형성되고, 결합공(34A)이 연결부(42)에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7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42)와 결합부(34) 사이에는 결합강화재(41A)가 마련된다. 결합강화재(41A)는 수팽창 지수제로 이루어진 것으로, 공기 중 수분이나 습기와 접촉되어 팽창하면서 공극을 메우면서 결합물의 결합력을 현저하게 향상시킨다. 결합강화재(41A)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두께와 길이를 갖는 중공의 원통형으로 성형되며 결합공(34A)에 대응되는 제1 관통공(41B)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연결부(42)와 결합부(34) 사이에 결합강화재(41A)가 마련됨으로써 연결부(42)와 결합부(34) 사이의 공극을 메워지게 되어 결합부(34)에 대한 연결부(42)의 유격(흔들림)없는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고, 빗물이 결합부(34)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연직도 조절부(44)는, 연직도 조절부(44)에 결합되는 지주(50)의 연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연결부(42)의 상단에 마련되는 것으로, 연결부(42)의 상단에 저면 중앙부가 결합되는 수평 지지부(44A-1)와, 적어도 1개 이상의 연직도 조절장공(44A-2A)이 하향으로 만곡지게 각각 형성되고 수평 지지부(44A-1)의 양쪽에서 상향으로 각각 수직 절곡되어 형성되는 수직 지지부(44A-2)를 포함하는 조절 지지부(44A)와, 연직도 조절장공(44A-2A)에 대응되는 제2 관통공(52)을 구비한 지주(50)의 하단부가 양쪽의 수직 지지부(44A-2)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연직도 조절장공(44A-2A)과 제2 관통공(52)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제2 조절볼트(44B-1) 및 제2 조절너트(44B-2)를 포함한다.
전술한 조절 지지부(44)의 수평 지지부(44A-1)와 양쪽 수직 지지부(44A-2) 및 지주(50)의 하단부 사이에는 수팽창 지수제로 이루어진 결합강화재(41C)가 마련된다. 조절 지지부(44A)에 마련되는 결합강화재(41C)는, 조절 지지부(44)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는데, 이는 결합강화재(41C)가 수평 지지부(44A-1)와 양쪽 수직 지지부(44A-2)의 내측면에 밀착되기 되도록 하고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결합강화재(41C)에는 양쪽 수직 지지부(44A-2)의 연직도 조절장공(44A-2A) 및 지주(50)의 제2 관통공(52)에 대응되는 제3 관통공(41C-1)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절 지지부(44)의 수평 지지부(44A-1)와 양쪽 수직 지지부(44A-2) 및 지주(50)의 하단부 사이에 결합강화재(41C)가 마련됨으로써 조절 지지부(44)와 기둥(50)의 결합력이 보다 견고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조절볼트(44B-1)에는, 제2 조절볼트(44B-1)와 제2 조절너트(44B-2)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풀림방지용 제2 스프링(44C)이 마련된다. 그리고, 연직도 조절장공(44A-2A)이 2개로 이루어져 상,하부에 각각 배치되는 경우에, 제2 스프링(44C)은, 2개의 제2 마루(44C-1)를 갖도록 파형으로 형성되고, 각 제2 마루(44C-1)에는 2개의 제2 조절볼트(44B-1)가 관통하도록 제2 볼트 관통공(44C-2)이 각각 형성된다. 이와 같이 연직도 조절장공(44A-2A)이 2개로 이루어지고, 제2 조절볼트(44B-1)가 2개로 이루어지며, 제2 스프링(44C)이 더블(double) 구조를 갖음으로써 연직도 조절부(44)와 지주(50)가 보다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제2 조절볼트(44B-1)와 제2 조절너트(44B-2)의 풀림이 안정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시공오차 보정이 가능한 접지력 강화 말뚝의 작용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입 고정체(30)의 관입부(32)가 지중에 수직선(V)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관입된 경우에, 관입 고정체(30)를 지중에서 빼내지 않고 그대로 결합부(34)에 연결모듈(40)의 연결부(42)를 삽입하되 결합공(34A)과 수평회전 조절장공(42A)을 일치시키고 제1 조절볼트(45A)를 관통시킨다.
이어서, 연결부(42)를 수평 회전시켜 수평회전 위치를 고정한 후 제1 조절볼트(45A)에 제1 스프링(45C)를 끼우고 제1 조절너트(45B)체결한다.
그리고, 조절 지지부(44)에 지주(50)의 하단부를 삽입하여 안착시키되, 연직도 조절장공(44A-2A)과 제2 관통공(52)을 일치시키고, 제2 조절볼트(44B-1)들을 연직도 조절장공(44A-2A)과 제2 관통공(52)으로 관통시킨 후 제2 스프링(44C)을 끼워 제2 조절너트(44B-2)로 가 체결한다.
전술한 과정으로 제2 조절너트(44B-2)가 가 체결된 상태에서 지주(50)를 수직선(V)과 일치하도록 세워 연직도를 조절한 후 제2 조절너트(44B-2)를 견고하게 체결한다. 이때, 지주(50)는 연직도 조절장공(44A-2A)가 하향으로 만곡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연직도 조절장공(44A-2A)의 범위 내에서 연직도를 조절할 수 있다. 특히 연직도 조절장공(44A-2A)가 상,하부에 두 쌍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조절 지지부(44)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기둥(50)의 연직도를 조절할 때 수평 회전각도 조절수단(46)의 회전 각도를 감안하여 지주(50)의 연직도를 조절한다. 즉, 수평 회전각도 조절수단(46)을 이용하여 기둥(50)의 연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기둥(50)의 연직도를 보정하는 것을 기준, 즉 관입부(32)가 지중에 수직선(V)을 기준으로 기울어진 것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시공오차 보정이 가능한 접지력 강화 말뚝(10)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기둥(50)을 특정한 각도로 조절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관입 고정체(30)가 연직방향으로 관입되지 않더라도 이 관입 고정체(30)를 재 관입 시공하지 않고 지주(50)의 연직도를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음으로써 말뚝의 시공오차 보정이 가능함은 물론, 관입 고정체(30)의 관입부(32)가 스크류 구조로 구성됨으로써 접지력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다.
전술한 구조의 본 발명에 따른 시공오차 보정이 가능한 접지력 강화 말뚝은, 펜스(울타리) 기둥, 난간 기둥, 태양광 구조물의 기둥, 데크로드 하부 구조물용 기둥 등을 지중에 견고하게 고정 지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시공오차 보정이 가능한 접지력 강화 말뚝을 이용한 데크로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난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공오차 보정이 가능한 접지력 강화 말뚝을 이용한 데크로드(100)는, 연결모듈(40)의 조절 지지부(44)에 하단이 결합되는 지주(50)와, 지주(50)에 결합되고 빔(112)들과 가로바(114)로 이루어진 거더모듈(110)과, 거더모듈(110)의 상면에 설치되는 각각의 각관(122)에 시공되어 보행공간을 형성하는 데크재(130)를 포함한다.
데크로드(100)는 난간(140)을 포함한다. 난간(140)은, 보행공간(WS)이 확장되도록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수단(150)에 의해 빔(112)의 외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확장수단(150)은, 빔(112)의 외측에 일단이 결합되어 타단이 빔(112)의 외측면 보다 더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확장 브라켓(152)과, 하단부가 확장 브라켓(152)의 타단에 결합되고 상단부에는 난간(140)의 내부기둥(142) 하단부가 결합되는 연결부재(154)와, 연결부재(154)와 확장 브라켓(152)을 관통 체결되어 연결부재(154)와 확장 브라켓(152)을 결합하는 난간 결합볼트(156)들로 이루어진다. 이때, 연결부재(154)에는 결합슬롯(154A)가 하향으로 개방 형성되어 확장 브라켓(152)의 상부가 삽입된다. 이와 같이 확장 브라켓(152)의 상부가 결합슬롯(154A)에 삽입된 상태에서 난간 결합볼트(156)들이 관통하여 너트에 체결되므로 연결부재(154)와 확장 브라켓(152)은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특히, 난간(140)이 확장수단(150)에 의해 빔(112)의 외측에 위치하게 되므로 데크로드(100)의 보행공간(WS)은 확장될 수 있다.
한편,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데크로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크로드(100)는, 지주(50) 상단에 난간(140)이 단독으로 적용된 것으로, 이러한 데크로드(100)는 상부 구조물, 즉 빔(112)과 가로바(114), 각관(122) 및 데크재(130) 등이 불필요하고, 야자매트가 시공되거나 일반 포장이 적용될 수 있다.
다시 설명하면, 전술한 시공오차 보정이 가능한 접지력 강화 말뚝은 상부 구조물이 없는 데크로드(100)에도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말뚝
30 : 관입 고정체 32 : 관입부
34 : 결합부 34A : 결합공
40 : 연결모듈 42 : 연결부
41A,41C : 결합강화재
42A : 수평회전 조절장공 44 : 연직도 조절부
44A-1 : 수평 지지부 44A-2A : 연직도 조절장공
44B-1 : 제2 조절볼트 44B-2 : 제2 조절너트
46 : 수평 회전각도 조절수단 50 : 지주
52 : 하단부

Claims (10)

  1. 삭제
  2. 지중에 관입되는 스크류 구조의 관입부와, 상기 관입부의 상단에 마련되는 결합부로 이루어진 관입 고정체;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상단에 마련되는 연직도 조절부를 포함하는 연결모듈; 및
    상기 연직도 조절부에 하단부가 결합되는 지주를 포함하고,
    상기 관입 고정체가 지중에 관입 시공된 상태에서 상기 연직도 조절부로 상기 지주의 연직도를 조절하도록 되고,
    상기 결합부와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연결부의 수평 회전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수평 회전각도 조절수단이 마련되고, 수평 회전각도 조절수단은,
    상기 결합부에 관통 형성되는 결합공;
    상기 결합공에 대응되도록 상기 연결부에 형성되는 수평회전 조절장공; 및
    상기 연결부가 상기 결합부에 삽입되어 수평 회전각도가 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공과 상기 수평회전 조절장공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제1 조절볼트와 제1 조절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수평회전 조절장공의 범위 내에서 수평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오차 보정이 가능한 접지력 강화 말뚝.
  3. 지중에 관입되는 스크류 구조의 관입부와, 상기 관입부의 상단에 마련되는 결합부로 이루어진 관입 고정체;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상단에 마련되는 연직도 조절부를 포함하는 연결모듈; 및
    상기 연직도 조절부에 하단부가 결합되는 지주를 포함하고,
    상기 관입 고정체가 지중에 관입 시공된 상태에서 상기 연직도 조절부로 상기 지주의 연직도를 조절하도록 되고,
    상기 연직도 조절부는,
    상기 연결부의 상단에 저면 중앙부가 결합되는 수평 지지부와, 적어도 1개 이상의 연직도 조절장공이 하향으로 만곡지게 각각 형성되고 상기 수평 지지부의 양쪽에서 상향으로 각각 수직 절곡되어 형성되는 수직 지지부를 포함하는 조절 지지부; 및
    상기 연직도 조절장공에 대응되는 제2 관통공을 구비한 상기 지주의 하단부가 양쪽의 상기 수직 지지부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연직도 조절장공과 상기 제2 관통공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제2 조절볼트 및 제2 조절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관입 고정체가 지중에 관입 시공된 상태에서 상기 연직도 조절장공의 범위에 내에서 상기 지주의 연직도를 조절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오차 보정이 가능한 접지력 강화 말뚝.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와 상기 연결부 또는 상기 연직도 조절부와 상기 지주의 하단부 사이에는, 수팽창 지수제로 이루어진 결합강화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오차 보정이 가능한 접지력 강화 말뚝.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절볼트와 제1 조절너트는,
    각각 1개로 이루어지거나 각각 2개가 한 쌍을 이루고, 상기 제1 조절볼트와 제1 조절너트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풀림방지용 제1 스프링이 마련되며, 상기 제1 조절볼트와 제1 조절너트가 각각 2개로 이루어진 경우에, 상기 제1 스프링은 2개의 제1 마루를 갖도록 파형으로 형성되고, 각 상기 제1 마루에는 2개의 상기 제1 조절볼트가 관통하도록 2개의 제1 볼트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오차 보정이 가능한 접지력 강화 말뚝.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절볼트와 제2 조절너트는,
    각가 1개로 이루어지거나 각각 2개가 한 쌍을 이루고, 상기 제2 조절볼트와 제2 조절너트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풀림방지용 제2 스프링이 마련되며, 상기 제2 조절볼트와 제2 조절너트가 각각 2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직도 조절장공이 2개로 이루어져 상,하부에 각각 배치되는 경우에, 상기 제2 스프링은, 2개의 제2 마루를 갖도록 파형으로 형성되고, 각 상기 제2 마루에는 2개의 상기 제2 조절볼트가 관통하도록 제2 볼트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오차 보정이 가능한 접지력 강화 말뚝.
  7. 제2항, 제3항, 제5항,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는,
    데크로드의 하부 구조물, 울타리 기둥, 난간 기둥, 태양광 구조물의 기둥 또는 지상에 연직하게 설치되는 구조물의 기둥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오차 보정이 가능한 접지력 강화 말뚝.
  8. 제2항, 제3항, 제5항,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시공오차 보정이 가능한 접지력 강화 말뚝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모듈에 하단이 결합되는 상기 지주;
    상기 지주에 결합되고 빔들과 가로바로 이루어진 거더모듈; 및
    상기 거더모듈의 상면에 설치되는 각각의 각관에 시공되어 보행공간을 형성하는 데크재를 포함하는,
    시공오차 보정이 가능한 접지력 강화 말뚝을 이용한 데크로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로드는 난간을 포함하고,
    상기 난간은, 상기 보행공간이 확장되도록 확장수단에 의해 상기 빔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오차 보정이 가능한 접지력 강화 말뚝을 이용한 데크로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수단은,
    상기 빔의 외측에 일단이 결합되어 타단이 상기 빔의 외측면 보다 더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확장 브라켓;
    하단부가 상기 확장 브라켓의 타단에 결합되고 상단부에는 상기 난간의 내부기둥 하단부가 결합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확장 브라켓을 관통 체결되어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확장 브라켓을 결합하는 난간 결합볼트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오차 보정이 가능한 접지력 강화 말뚝을 이용한 데크로드.

KR1020220126899A 2022-10-05 2022-10-05 시공오차 보정이 가능한 접지력 강화 말뚝 및 이를 이용한 데크로드 KR102499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6899A KR102499605B1 (ko) 2022-10-05 2022-10-05 시공오차 보정이 가능한 접지력 강화 말뚝 및 이를 이용한 데크로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6899A KR102499605B1 (ko) 2022-10-05 2022-10-05 시공오차 보정이 가능한 접지력 강화 말뚝 및 이를 이용한 데크로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9605B1 true KR102499605B1 (ko) 2023-02-14

Family

ID=85220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6899A KR102499605B1 (ko) 2022-10-05 2022-10-05 시공오차 보정이 가능한 접지력 강화 말뚝 및 이를 이용한 데크로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960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7412B1 (ko) * 2015-04-15 2015-11-13 주식회사 로드파크 데크로드의 지지대 결속용 지주 결속구
KR20180088224A (ko) * 2017-01-26 2018-08-03 (주) 나무들 데크로드용 멍에 고정 장치
KR102300546B1 (ko) 2021-07-16 2021-09-09 두원산업(주) 데크로드 구조물
KR102370194B1 (ko) * 2021-12-09 2022-03-04 합자회사 세가온 보행공간을 확장한 h빔 구조 데크로드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7412B1 (ko) * 2015-04-15 2015-11-13 주식회사 로드파크 데크로드의 지지대 결속용 지주 결속구
KR20180088224A (ko) * 2017-01-26 2018-08-03 (주) 나무들 데크로드용 멍에 고정 장치
KR102300546B1 (ko) 2021-07-16 2021-09-09 두원산업(주) 데크로드 구조물
KR102370194B1 (ko) * 2021-12-09 2022-03-04 합자회사 세가온 보행공간을 확장한 h빔 구조 데크로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54872B2 (en) Concrete post anchor
US6964139B2 (en) Precast concrete column for use in post-frame construction
US6298618B1 (en) Constructional support
KR20180116055A (ko) 3차원 시공오차보정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아치형 보도교
KR102499605B1 (ko) 시공오차 보정이 가능한 접지력 강화 말뚝 및 이를 이용한 데크로드
US11242694B2 (en) Base for a fence post
KR20220089399A (ko) 모듈러 유닛 기둥 주각부의 셀프센터링 접합구조
JP6550319B2 (ja) ブレース付き柱架構
US20150240472A1 (en) Cantilevered structure
KR20200033549A (ko) 내식성 및 이탈변형방지기능을 갖는 한식 구조물 기둥과 기초부의 조립구조
JP6518556B2 (ja) 斜め柱架構
JP7280606B2 (ja) 耐震構造
AU752228B2 (en) Improved constructional support
JP5044227B2 (ja) 落石防止柵
KR102229674B1 (ko) 데크로드 시공공법
KR102369877B1 (ko) 스판테크로드를 이용한 보행로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보행로 시공방법
AU2016203317B2 (en) Ground Engaging Construction Support
KR102599522B1 (ko) 횡대연결구를 이용한 자유각 울타리 및 그 시공방법
JP3118207B2 (ja) 杭を柱に利用した建築構造物に於ける杭柱天端レベル調整構造の施工方法
CN220769493U (zh) 一种锚网耦合用支护装置
CN215800945U (zh) 一种基于贝雷梁的过渡支架
KR102507885B1 (ko) 기초 연결형 브레이싱을 구비한 철도 방음벽
JP4204540B2 (ja) テントハウスの脚座構造
JPH0978533A (ja) 高架交通構造物における耐震補強方法
JP2022015150A (ja) 支柱用ベース、支柱及び落石防止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