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0546B1 - 데크로드 구조물 - Google Patents

데크로드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0546B1
KR102300546B1 KR1020210093714A KR20210093714A KR102300546B1 KR 102300546 B1 KR102300546 B1 KR 102300546B1 KR 1020210093714 A KR1020210093714 A KR 1020210093714A KR 20210093714 A KR20210093714 A KR 20210093714A KR 102300546 B1 KR102300546 B1 KR 102300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upper connecting
rod
connecting post
height adju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3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혜경
Original Assignee
두원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원산업(주) filed Critical 두원산업(주)
Priority to KR1020210093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05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0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05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05Piers, trestles, bearings, expansion joints or parapet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34Foundations for sinking or earthquake territ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1Height being adjus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크로드의 설치 위치에 따라 데크로드를 지지하는 지지구조물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며 내진 설계를 고려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킨 데크로드 구조물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데크로드 구조물{DECK ROAD STRUCTURE}
본 발명은 데크로드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데크로드의 설치 위치에 따라 데크로드를 지지하는 지지구조물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며 내진 설계를 고려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킨 데크로드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데크로드 구조물은 공원이나 강 또는 호수 등의 수면 위에 설치되거나 호안 등에 설치되어 주위 경관을 볼 수 있는 산책로 등으로 이용되는 다리를 말한다.
이러한 데크로드 구조물은 하지대 상에 목재 또는 합성목재로 제조된 바닥부재가 연결되게 설치되어 이용객이 실질적으로 걸어다니는 바닥부를 형성된 데크로드와, 데크로드의 양측에 설치된 펜스와, 데크로드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지지구조물로 구성된다.
데크로드 구조물의 일례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12031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에 개시된 종래의 데크로드 구조물은 지지구조물이 회전 방식으로 높이 조절되기 때문에 데크로드와 지지구조물을 연결되게 설치한 후에는 주변 지형의 변형에 따라 데크로드의 높이를 맞게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내진 설계를 고려하지 않아 지진에 대해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12031호(등록일: 2016년04월06일), 발명의 명칭: "높이조절용 스크류폴이 결합된 데크로드"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19325호(등록일: 2020년05월29일), 발명의 명칭: "데크로드의 지지대 결속용 지주 결속구" 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39825호(등록일: 2019년01월11일), 발명의 명칭: "높이 조절이 용이한 데크로드용 지주받침대" 4)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16721호(등록일: 2017년03월09일), 발명의 명칭: "데크로드용 목재 데크 구조물"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지지구조물을 통해 데크로드를 지면에 고정되게 설치한 후에도 데크로드의 높이를 주변 지형의 변형에 따라 조절할 수 있으며, 내진 설계를 고려하여 지진이 발생했을 때 데크로드가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데크로드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은, 지면에 이격되게 설치되어 이용객이 걸어다니는 데크로드와, 데크로드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지지구조물로 이루어진 데크로드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조물은, 상기 데크로드의 저면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데크로드를 받쳐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하부에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군데에 설치되되, 상단이 지지대의 하부에 고정된 상태로 하부로 연장되는 상부연결지주와, 상기 상부연결지주의 하면에 고정적으로 설치되고 상부연결지주보다 사이즈가 큰 사각 형상의 누름판과, 상기 상부연결지주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각각 지면에 스크류 방식으로 고정되게 설치되는 하부고정지주와, 상기 하부고정지주의 상면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내부에는 누름판이 삽입되는 판삽입공간이 상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며, 일측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판삽입공이 판삽입공간과 연통되게 관통 형성된 연결박스와, 상기 상부연결지주에는 누름판보다 상부에 끼워지게 조립되고, 누름판이 판삽입공간에 삽입되면 연결박스의 상면을 덮어 판삽입공간을 밀폐시키게 되고 볼트(B)로 고정되는 상부덮개판과, 상기 누름판과 상부덮개판의 사이에 개재되어 누름판을 하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다수의 가압스프링과, 상기 상부연결지주의 일부분에서 돌출되는 파지봉과, 상기 파지봉을 잡고 상부연결지주와 함께 누름판을 들어올린 상태에서 판삽입공을 통해 누름판과 판삽입공간의 바닥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삽입되어 상부연결지주의 높이를 조절하는 다수의 높이조절판과, 상기 연결박스의 일측면에 밀착되어 볼트(B)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고, 내면에는 연결박스의 일측면에 밀착될 때 판삽입공에 삽입되어 판삽입공을 밀폐시키는 밀폐블럭이 돌출 형성된 측면덮개로 구성되어, 상기 하부고정지주에 연결박스를 설치한 상태에서 하부고정지주를 지면에 스크류 방식으로 박고, 상부연결지주의 누름판을 연결박스의 판삽입공간에 삽입한 상태에서 연결박스에 상부덮개판을 덮어 볼트(B)로 고정하고, 연결박스의 일측면에 판삽입공을 밀폐시키게 측면덮개를 덮어 조립한 상태에서, 상부연결지주의 높이를 높이고자 하는 경우에는 측면덮개를 분리한 후 파지봉을 잡고 상부연결지주와 함께 누름판을 들어올린 상태에서 판삽입공을 통해 누름판과 판삽입공간의 바닥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높이조절판을 삽입하여 높이조절판의 적층되는 갯수만큼 누름판과 판삽입공간의 바닥면 사이 공간을 메워서 상부연결지주의 높이를 조절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 구조물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스프링은 누름판과 상부덮개판의 사이에서 상단은 상부덮개판의 하면에 고정되고 하단은 누름판의 상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기 누름판이 판삽입공간에 삽입된 상태로 상부덮개판이 연결박스에 고정되면 누름판이 판삽입공간의 바닥면에 안착되도록 가압스프링은 최대한 인장되고, 상기 누름판을 들어올려 누름판과 판삽입공간의 바닥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높이조절판을 삽입하면 높이조절판의 갯수만큼 가압스프링이 압축되면서 누름판을 높이조절판에 밀착되어 높이조절판을 탄성 가압하여 흔들림없이 지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연결지주는 별도의 높이작동수단을 통해 들어올릴 수 있게 구성되되, 상기 높이작동수단은, 상기 상부연결지주의 전방과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파지봉과, 상기 상부덮개판의 상면에서 파지봉과 대응되는 전방과 후면에 각각 설치되고 일부분에는 중심축이 돌출 형성된 축지지편과, 상기 중심축과 대응되는 위치에 축삽입공이 관통 형성되고, 축삽입공을 기준으로 파지봉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결레버부가 연장되며, 연결레버부에는 파지봉에 삽입되는 결합장공이 연결레버부를 따라 길게 관통 형성되고, 축삽입공을 기준으로 반대편에는 연결레버부와 반대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누름레버부가 연장된 구조를 갖는 들어올림레버로 구성되어, 상기 들어올림레버를 두개 준비하여 상부연결지주의 전방과 후방에서 각각 축삽입공이 중심축에 끼워지고 결합장공이 파지봉에 끼워지게 설치한 상태에서 누름레버부를 하방향으로 누르면 연결레버부가 들어올려지면서 파지봉을 상방향으로 밀어서 상부연결지주를 들어올리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 구조물은 지지구조물이 지면에 고정된 상태에서도 데크로드가 설치되는 상부연결지주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데크로드 구조물을 설치한 후에도 주변 지형의 변형에 따라 데크로드의 높이를 맞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 구조물은 지면에 박혀서 고정되는 하부고정지주와 데크로드가 설치되는 상부연결지주 사이에 가압스프링이 개재되어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지진이 발생했을 때 데크로드가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 구조물을 나타내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 구조물을 나타낸 정면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 구조물에서 지지구조물만을 나타낸 단면도와 분리사시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지지구조물의 높이 조절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작동도,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지지구조물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작동수단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도 7의 작동도,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높이조절판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적층도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 구조물은 목재 또는 합성목재로 제조된 바닥부재를 통해 지면에 이격되게 설치되어 이용객이 걸어다니는 데크로드(10)와, 데크로드(10)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지지구조물(100)로 이루어진다. 물론, 데크로드(10)의 양측에는 낙상을 방지하기 위해 펜스(20)가 설치된다.
이러한 기본적인 구조에서 본 발명은 지지구조물(100)에 특징이 있는 것으로, 지지구조물(100)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적용되는 지지구조물은 지지대(110), 상부연결지주(120), 하부고정지주(150), 연결박스(160), 높이조절판(1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지지대(110)는 데크로드(10)의 저면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데크로드(10)를 받쳐 지지하는 것으로, 데크로드(10)의 좌측과 우측에 저면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고정적으로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부연결지주(120)는 지지대(110)의 하부에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군데에 설치되되, 상단이 지지대(110)의 하부에 고정된 상태로 하부로 연장되는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상부연결지주(120)의 상단에는 볼트관통공이 형성된 상부플랜지(124)가 형성되어 지지대(110)에 볼트(B)를 통해 체결 방식으로 고정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부연결지주(120)의 하면에는 누름판(130)이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데, 이 누름판(130)은 상부연결지주(120)보다 사이즈가 큰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저면에서 체결되는 볼트(B)를 통해 상부연결지주(120)에 고정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부연결지주(120)에는 누름판(130)보다 상부에 끼워지게 상부덮개판(170)이 조립된다. 여기서, 상부덮개판(170)은 누름판(130)이 판삽입공간(162)에 삽입되면 후술하는 연결박스(160)의 상면을 덮어 판삽입공간(162)을 밀폐시키게 되고 볼트(B)로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부덮개판(170)의 모서리 부분에는 각각 박스조립공(172)이 관통 형성되고, 연결박스(160)의 상면에는 박스조립공(172)과 대응되는 박스체결공(168)이 형성되며, 박스조립공(172)을 통과해 박스체결공(168)에 체결되는 볼트(B)를 통해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누름판(130)과 상부덮개판(170)의 사이에는 다수의 가압스프링(140)이 개재되어 누름판(130)을 하방향으로 탄성 가압하게 구성된다.
여기서, 가압스프링(140)은 누름판(130)과 상부덮개판(170)의 사이에서 상단은 상부덮개판(170)의 하면에 고정되고 하단은 누름판(130)의 상면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누름판(130)이 판삽입공간(162)에 삽입된 상태로 상부덮개판(170)이 연결박스(160)에 고정되면 누름판(130)이 판삽입공간(162)의 바닥면에 안착되도록 가압스프링(140)은 최대한 인장된 상태를 유지하며, 이 상태에서 누름판(130)을 들어올려 누름판(130)과 판삽입공간(162)의 바닥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높이조절판(180)을 삽입하면 높이조절판(180)의 갯수만큼 가압스프링(140)이 압축되면서 누름판(130)을 높이조절판(180)에 밀착시켜 높이조절판(180)을 탄성 가압하여 흔들림없이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하부고정지주(150)는 상부연결지주(120)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각각 지면에 스크류 방식으로 고정되게 설치된다. 즉, 하부고정지주(150)는 지면에 박혀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설치된다.
다음으로, 연결박스(160)는 하부고정지주(150)와 상부연결지주(120)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부고정지주(150)의 상면에 볼트(B) 방식으로 고정되게 설치된다. 즉, 연결박스의 하면에는 박스플랜지(166)가 형성되고, 하부고정지주(150)의 상면에는 박스플랜지(166)와 대응되는 지주플랜지(152)가 형성되며, 박스플랜지(166)를 지주플랜지(152)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박스플랜지(166)와 지주플랜지(152)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B), 너트에 의해 서로 고정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연결박스(160)의 내부에는 누름판(130)이 삽입되는 판삽입공간(162)이 상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며, 일측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판삽입공(164)이 판삽입공간(162)과 연통되게 관통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연결박스(160)의 판삽입공간(162)으로 누름판(130)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부덮개판(170)을 연결박스(160)에 볼트(B) 방식으로 고정되면 상부연결지주(120)와 연결박스(160)는 서로 연결된다. 그러므로 연결박스(160)를 통해 하부고정지주(150)와 상부연결지주(120)는 서로 연결된다.
다음으로, 높이조절판(180)은 판삽입공(164)을 통해 연결박스(160)의 내부에 삽입되어 누름판(130)과 판삽입공간(162)의 바닥면 사이에 삽입되면서 상부연결지주(120)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 다수개가 구비된다.
즉, 상부연결지주(120)의 일부분에는 파지봉(122)이 돌출 형성되고, 작업자가 파지봉(122)을 잡고 상부연결지주(120)와 함께 누름판(130)을 들어올린 상태에서 판삽입공(164)을 통해 누름판(130)과 판삽입공간(162)의 바닥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높이조절판(180)을 삽입하여 상부연결지주(120)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여기서, 높이조절판(180)은 기본적으로 사각판 형상으로 구성되지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 중앙에 돌출부(P)가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저면에는 돌출부(P)와 대응되는 돌출부삽입홈(G)이 형성되어 높이조절판(180)이 적층되었을 때 아래 위치한 높이조절판(180)의 돌출부(P)가 위에 위치한 높이조절판(180)의 돌출부삽입홈(G)에 삽입되어 흔들림없이 적층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누름판(130)의 저면에도 높이조절판(180)의 돌출부(P)와 대응되는 돌출부삽입홈(G)이 형성되어 누름판(130)이 높이조절판(180)을 가압할 때 누름판(130)의 돌출부삽입홈(G)이 높이조절판(180)의 돌출부(P)에 삽입되어 흔들림없이 가압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측면덮개(190)는 연결박스(160)의 일측면에 밀착되어 판삽입공(164)이 노출되지 않도록 밀폐시키게 구성된다. 이때, 측면덮개(190)는 볼트(B)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데, 측면덮개(190)의 양측에는 다수의 커버조립공(194)이 관통 형성되고, 연결박스(160)의 양측면에는 커버조립공(194)과 대응되는 커버체결공(169)이 형성되어, 측면덮개(190)를 연결박스(160)의 일측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커버조립공(194)을 관통하여 커버체결공(169)에 체결되는 볼트(B)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조립된다.
그리고 측면덮개(190)의 내면에는 연결박스(160)의 일측면에 밀착될 때 판삽입공(164)에 삽입되어 판삽입공(164)을 밀폐시키는 밀폐블럭(192)이 돌출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연결지주(120)는 별도의 높이작동수단을 통해 들어올릴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높이작동수단은 상부연결지주(120)의 전방과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파지봉(122)과, 상부덮개판(170)의 상면에서 파지봉(122)과 대응되는 전방과 후면에 각각 설치되고 일부분에는 중심축(176)이 돌출 형성된 축지지편(174)과, 중심축(176)과 대응되는 위치에 축삽입공(210)이 관통 형성되고, 축삽입공(210)을 기준으로 파지봉(122)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결레버부(220)가 연장되며, 연결레버부(220)에는 파지봉(122)에 삽입되는 결합장공(222)이 연결레버부(220)를 따라 길게 관통 형성되고, 축삽입공(210)을 기준으로 반대편에는 연결레버부(220)와 반대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누름레버부(230)가 연장된 구조를 갖는 들어올림레버(200)로 구성된다. 이때, 누름레버부(230)는 연결레버부(220)보다 길게 형성하여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해 상부연결지주(120)를 쉽게 들어올릴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들어올림레버(200)를 두개 준비하여 상부연결지주(120)의 전방과 후방에서 각각 축삽입공(210)이 중심축(176)에 끼워지고 결합장공(222)이 파지봉(122)에 끼워지게 설치한 상태에서 누름레버부(230)를 하방향으로 누르면 연결레버부(220)가 들어올려지면서 파지봉(122)을 상방향으로 밀어 올려 상부연결지주(120)를 들어올리게 된다.
이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 구조물의 작동 및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데크로드 구조물을 설치할 때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다수의 지지구조물(100)을 박아서 고정하고 지지구조물(100)의 상부에 데크로드(10)를 고정적으로 설치하면 된다. 물론 데크로드(10)의 양측에는 낙상을 방지하기 위해 펜스(20)가 설치된다.
여기서, 지지구조물(100)을 설치할 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고정지주(150)에 연결박스(160)를 설치한 상태에서 하부고정지주(150)를 지면에 스크류 방식으로 박고, 상부연결지주(120)의 누름판(130)을 연결박스(160)의 판삽입공간(162)에 삽입한 상태에서 연결박스(160)에 상부덮개판(170)을 덮어 볼트(B)로 고정하는 방식으로 하부고정지주(150)와 상부연결지주(120)가 연결박스(160)를 통해 연결되게 설치하면 된다. 그리고 연결박스(160)의 일측면에는 판삽입공(164)을 밀폐시키게 측면덮개(190)를 덮어 조립한다. 물론, 상부연결지주(120)는 데크로드(10)의 저면에 설치된 지지대(110)에 볼트(B) 방식으로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 데크로드(10)의 위치에 따라 상부연결지주(120)의 높이를 높이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덮개(190)를 분리한 후 파지봉(122)을 잡고 상부연결지주(120)와 함께 누름판(130)을 들어올린 상태에서 판삽입공(164)을 통해 누름판(130)과 판삽입공간(162)의 바닥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높이조절판(180)을 삽입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조절판(180)의 적층되는 갯수만큼 누름판(130)과 판삽입공간(162)의 바닥면 사이 공간을 메워서 상부연결지주(120)의 높이를 조절하면 된다.
이때, 상부연결지주(120)를 들어올릴 때는 파지봉(122)을 여러명의 작업자가 잡고 직접 들어올리거나 기존의 장비 또는 새로 개발된 별도의 장비를 통해 들어올릴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높이작동수단을 이용하여 상부연결지주(120)를 들어올리게 되는 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들어올림레버(200)를 두개 준비하여 상부연결지주(120)의 전방과 후방에서 각각 축삽입공(210)이 중심축(176)에 끼워지고 결합장공(222)이 파지봉(122)에 끼워지게 설치한 상태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레버부(230)를 하방향으로 누르는 방식으로 연결레버부(220)와 함께 상부연결지주(120)를 들어올리면 된다.
그리고 누름판(130)과 판삽입공간(162)의 바닥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적어도 1개 이상의 높이조절판(180)을 삽입하여 상부연결지주(120)의 높이를 조절하고 나면 다시 측면덮개(190)를 설치하여 판삽입공(164)을 밀폐시키면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되는 데크로드(10)를 구성하는 바닥부재는 목재 또는 합성목재로 제조되기 때문에 항균 조성물로 항균 코팅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항균 조성물은 비스페놀F형 에폭시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에폭시 경화제 10-50중량부, 경화촉진제 0.1-5중량부, 고로슬래그 미분말 50-60중량부, 안료 5-10중량부, 은과 제올라이트가 1:1의 중량비로 혼합된 무기항균제 1-2중량부로 이루어지며, 이 항균 조성물은 바닥부재에 스프레이 방식으로 코팅된다.
여기에서, 에폭시 경화제는 폴리아미드 폴리아민이 바람직하고, 경화촉진제는 경화제와 함께 경화속도를 조절하여 전단강도를 높일 수 있도록 1-벤질-2-메틸이미다졸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에폭시수지는 코팅면을 치밀하고 견고하게 수밀화시켜 주는 것으로 불투수성 방수피막을 만들게 되어 방수능력도 높이게 된다.
나아가, 안료는 유무기 상관없이 색상을 구현할 수 있는 공지의 안료를 사용하면 된다.
또한, 고로슬래그 미분말Ground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은 철을 생산하는 용광로 속에서 철광석의 암석성분이 녹아 쇳물 위에 떠 있게 되는데, 이것을 흘러내리게 하여 물(공기)로 급격히 냉각시켜 작은 모래 입자 모양으로 만든 다음 이것을 미분쇄기(Roller Mill)로 미분말이 되도록 분쇄하여 제조한 것을 말한다.
아울러, 은과 제올라이트가 1:1의 중량비로 혼합된 무기항균제는 자체적인 미생물, 바이러스 활성 억제력이 있어 항균성을 강화시키며, 주로 신체와 접촉이 많이 일어나는 지지구조물의 표면에서 항균성을 강화시키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항균 조성물이 코팅었을 때 코팅면에서의 단열성, 차열성을 높이기 위해 적외선 영역까지 차단하는 세슘주석산화물(CsSnO) 25중량부, 탄산스트론튬(SrCO3) 20중량부를 나노분말 형태로 분쇄하여 분체도료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해 더 첨가할 수 있다.
이때, 세슘주석산화물은 적외선 차단율을 60%까지 증대시키며, 탄산스트론튬은 코팅면의 분말 평활도를 증대시켜 복굴절에 의한 반사능력을 높임으로써 차열, 단열 기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와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 데크로드 20: 펜스
100: 지지구조물 110: 지지대
120: 상부연결지주 130: 누름판
140: 가압스프링 150: 하부고정지주
160: 연결박스 162: 판삽입공간
164: 판삽입공 170: 상부덮개판
180: 높이조절판 190: 측면덮개
192: 밀폐블럭 200: 들어올림레버

Claims (4)

  1. 지면에 이격되게 설치되어 이용객이 걸어다니는 데크로드와, 데크로드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지지구조물로 이루어진 데크로드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조물은,
    상기 데크로드의 저면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데크로드를 받쳐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하부에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군데에 설치되되, 상단이 지지대의 하부에 고정된 상태로 하부로 연장되는 상부연결지주와,
    상기 상부연결지주의 하면에 고정적으로 설치되고 상부연결지주보다 사이즈가 큰 사각 형상의 누름판과,
    상기 상부연결지주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각각 지면에 스크류 방식으로 고정되게 설치되는 하부고정지주와,
    상기 하부고정지주의 상면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내부에는 누름판이 삽입되는 판삽입공간이 상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며, 일측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판삽입공이 판삽입공간과 연통되게 관통 형성된 연결박스와,
    상기 상부연결지주에는 누름판보다 상부에 끼워지게 조립되고, 누름판이 판삽입공간에 삽입되면 연결박스의 상면을 덮어 판삽입공간을 밀폐시키게 되고 볼트(B)로 고정되는 상부덮개판과,
    상기 누름판과 상부덮개판의 사이에 개재되어 누름판을 하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다수의 가압스프링과,
    상기 상부연결지주의 일부분에서 돌출되는 파지봉과,
    상기 파지봉을 잡고 상부연결지주와 함께 누름판을 들어올린 상태에서 판삽입공을 통해 누름판과 판삽입공간의 바닥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삽입되어 상부연결지주의 높이를 조절하는 다수의 높이조절판과,
    상기 연결박스의 일측면에 밀착되어 볼트(B)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고, 내면에는 연결박스의 일측면에 밀착될 때 판삽입공에 삽입되어 판삽입공을 밀폐시키는 밀폐블럭이 돌출 형성된 측면덮개로 구성되어,
    상기 하부고정지주에 연결박스를 설치한 상태에서 하부고정지주를 지면에 스크류 방식으로 박고, 상부연결지주의 누름판을 연결박스의 판삽입공간에 삽입한 상태에서 연결박스에 상부덮개판을 덮어 볼트(B)로 고정하고, 연결박스의 일측면에 판삽입공을 밀폐시키게 측면덮개를 덮어 조립한 상태에서, 상부연결지주의 높이를 높이고자 하는 경우에는 측면덮개를 분리한 후 파지봉을 잡고 상부연결지주와 함께 누름판을 들어올린 상태에서 판삽입공을 통해 누름판과 판삽입공간의 바닥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높이조절판을 삽입하여 높이조절판의 적층되는 갯수만큼 누름판과 판삽입공간의 바닥면 사이 공간을 메워서 상부연결지주의 높이를 조절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스프링은 누름판과 상부덮개판의 사이에서 상단은 상부덮개판의 하면에 고정되고 하단은 누름판의 상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기 누름판이 판삽입공간에 삽입된 상태로 상부덮개판이 연결박스에 고정되면 누름판이 판삽입공간의 바닥면에 안착되도록 가압스프링은 최대한 인장되고,
    상기 누름판을 들어올려 누름판과 판삽입공간의 바닥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높이조절판을 삽입하면 높이조절판의 갯수만큼 가압스프링이 압축되면서 누름판을 높이조절판에 밀착되어 높이조절판을 탄성 가압하여 흔들림없이 지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 구조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연결지주는 별도의 높이작동수단을 통해 들어올릴 수 있게 구성되되,
    상기 높이작동수단은,
    상기 상부연결지주의 전방과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파지봉과,
    상기 상부덮개판의 상면에서 파지봉과 대응되는 전방과 후면에 각각 설치되고 일부분에는 중심축이 돌출 형성된 축지지편과,
    상기 중심축과 대응되는 위치에 축삽입공이 관통 형성되고, 축삽입공을 기준으로 파지봉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결레버부가 연장되며, 연결레버부에는 파지봉에 삽입되는 결합장공이 연결레버부를 따라 길게 관통 형성되고, 축삽입공을 기준으로 반대편에는 연결레버부와 반대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누름레버부가 연장된 구조를 갖는 들어올림레버로 구성되어,
    상기 들어올림레버를 두개 준비하여 상부연결지주의 전방과 후방에서 각각 축삽입공이 중심축에 끼워지고 결합장공이 파지봉에 끼워지게 설치한 상태에서 누름레버부를 하방향으로 누르면 연결레버부가 들어올려지면서 파지봉을 상방향으로 밀어서 상부연결지주를 들어올리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 구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판의 상면에는 중앙에 돌출부가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저면에는 돌출부와 대응되는 돌출부삽입홈이 형성되어 높이조절판이 적층되었을 때 아래 위치한 높이조절판의 돌출부가 위에 위치한 높이조절판의 돌출부삽입홈에 삽입되어 흔들림없이 적층되도록 하고,
    상기 누름판의 저면에는 높이조절판의 돌출부와 대응되는 돌출부삽입홈이 형성되어 누름판이 높이조절판을 가압할 때 누름판의 돌출부삽입홈이 높이조절판의 돌출부에 삽입되어 흔들림없이 가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 구조물.
KR1020210093714A 2021-07-16 2021-07-16 데크로드 구조물 KR1023005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3714A KR102300546B1 (ko) 2021-07-16 2021-07-16 데크로드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3714A KR102300546B1 (ko) 2021-07-16 2021-07-16 데크로드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0546B1 true KR102300546B1 (ko) 2021-09-09

Family

ID=77777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3714A KR102300546B1 (ko) 2021-07-16 2021-07-16 데크로드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05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9605B1 (ko) 2022-10-05 2023-02-14 주식회사 알티스멀티 시공오차 보정이 가능한 접지력 강화 말뚝 및 이를 이용한 데크로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7412B1 (ko) * 2015-04-15 2015-11-13 주식회사 로드파크 데크로드의 지지대 결속용 지주 결속구
KR101612031B1 (ko) 2015-08-11 2016-04-14 주식회사 로드파크 높이조절용 스크류폴이 결합된 데크로드
KR101716721B1 (ko) 2016-01-12 2017-03-15 (주) 나무들 데크로드용 목재 데크 구조물
KR101895269B1 (ko) * 2018-02-09 2018-09-05 지비케이건설 유한회사 친환경 데크로드 시스템
KR101939825B1 (ko) 2017-05-26 2019-01-18 이장호 높이 조절이 용이한 데크로드용 지주받침대
KR101959210B1 (ko) * 2018-01-02 2019-03-18 황두영 방진형 송전탑
KR102119325B1 (ko) 2018-12-03 2020-06-04 강성분 데크로드의 지지대 결속용 지주 결속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7412B1 (ko) * 2015-04-15 2015-11-13 주식회사 로드파크 데크로드의 지지대 결속용 지주 결속구
KR101612031B1 (ko) 2015-08-11 2016-04-14 주식회사 로드파크 높이조절용 스크류폴이 결합된 데크로드
KR101716721B1 (ko) 2016-01-12 2017-03-15 (주) 나무들 데크로드용 목재 데크 구조물
KR101939825B1 (ko) 2017-05-26 2019-01-18 이장호 높이 조절이 용이한 데크로드용 지주받침대
KR101959210B1 (ko) * 2018-01-02 2019-03-18 황두영 방진형 송전탑
KR101895269B1 (ko) * 2018-02-09 2018-09-05 지비케이건설 유한회사 친환경 데크로드 시스템
KR102119325B1 (ko) 2018-12-03 2020-06-04 강성분 데크로드의 지지대 결속용 지주 결속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9605B1 (ko) 2022-10-05 2023-02-14 주식회사 알티스멀티 시공오차 보정이 가능한 접지력 강화 말뚝 및 이를 이용한 데크로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0546B1 (ko) 데크로드 구조물
KR101103382B1 (ko) 터널 방음벽
KR100666589B1 (ko) 초단열 및 다중방수기능을 갖는 옥상 구조물의 바닥시스템 및 그의 시공방법
KR102022702B1 (ko) 친환경 데크로드
CN206477304U (zh) 一种防洪组合式挡板机构
KR101266311B1 (ko) 포스트 고정 조립체
CA2153749C (en) Watertight raising band for manhole
DE102008008923A1 (de) Leicht handhabbares Gestell für Dachaufbauten an Flachdächern und geneigten Flachdächern
KR100648527B1 (ko) 충격완화용 원목마루 시공방법과 그 원목마루
EP3411532B1 (en) Foundation.
CN215443427U (zh) 一种景观防腐木栏杆节点结构
CN214659304U (zh) 一种硬式围挡
CN207143984U (zh) 一种公路桥梁桩基加固装置
KR200408064Y1 (ko) 충격완화용 원목마루 시공방법과 그 원목마루
KR200493911Y1 (ko) 다리부재의 부패방지 기능을 가지는 야외 벤치
KR102473060B1 (ko) 외장패널 교체형 옹벽블록
CN220301373U (zh) 一种减震式建筑房屋结构
CN218678132U (zh) 一种用于建筑工程的电力保护装置
KR101486969B1 (ko) 조립식 우수저류조용 블록
CN218508710U (zh) 一种现浇钢筋混凝土挡板伸缩缝结构
KR102658061B1 (ko) 마그넷 조인트를 구비한 친환경 모듈러 건축물
KR102658067B1 (ko) 오픈 조인트를 구비한 친환경 모듈러 건축물
CN221031051U (zh) 一种冷却塔防水基础结构
CN211057862U (zh) 一种方形井盖
CN215442456U (zh) 一种屋面间隙防水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