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6311B1 - 포스트 고정 조립체 - Google Patents

포스트 고정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6311B1
KR101266311B1 KR1020100101958A KR20100101958A KR101266311B1 KR 101266311 B1 KR101266311 B1 KR 101266311B1 KR 1020100101958 A KR1020100101958 A KR 1020100101958A KR 20100101958 A KR20100101958 A KR 20100101958A KR 101266311 B1 KR101266311 B1 KR 101266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anchor member
frame
construction surface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1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0501A (ko
Inventor
김성태
김현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흥미래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흥미래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흥미래기술
Priority to KR1020100101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6311B1/ko
Publication of KR20120040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05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6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6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 E04H17/22Anchoring means therefor, e.g. specially-shaped parts entering the ground; Stru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1Rub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1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높이를 갖는 포스트를 시공면에 고정하기 위한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임을 매개로 상기 포스트의 하부단을 시공면에 고정시키고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보호부재를 구비함으로써 결합력을 높이고 앵커부재의 부식 및 외부 환경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포스트 고정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포스트의 하부단이 시공면에 앵커부재를 매개로 고정되는 포스트 고정 조립체에 있어서,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일정 높이를 갖는 측벽과 상기 앵커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 체결공을 갖추어 상기 측벽과 연결되는 바닥부가 구비되는 프레임; 판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포스트의 하부단에 고정되고 상기 제1 체결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 체결공이 구비되어 상기 앵커부재를 매개로 상기 프레임과 나사결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앵커부재 및 베이스 플레이트를 덮어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공간부에 구비되는 보호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포스트 고정 조립체{Assembly for fixing post}
본 발명은 일정높이를 갖는 포스트를 시공면에 고정하기 위한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임을 매개로 상기 포스트의 하부단을 시공면에 고정시키고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보호부재를 구비함으로써 결합력을 높이고 앵커부재의 부식 및 외부 환경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포스트 고정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스트 고정 조립체는 포스트의 하부단이 지면에 매설되어 골조 파이프 고정용 지주, 우편함, 도로 소형 안전 표시판, 펜스 고정용 지주, 방음벽 가로등을 포함하는 각종 포스트를 지면에 세워서 고정하는 용도로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포스트 고정 조립체는 포스트의 바닥에 구비되는 앵커 부재와 결합하여 고정되는데, 상기 앵커 부재의 설치 과정은 먼저 콘크리트 기초 바닥재를 매설한 후 앵커 부재의 위치를 선정/고정하고, 기초 바닥재 위에 다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앵커 부재를 고정한 다음, 앵커 부재에 포스트를 결합하고 다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포스트의 끝단에 구비된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앵커 부재를 매설시킴으로써 앵커 부재의 부식 및 외부 환경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앵커 부재의 설치과정은 포스트의 설치 작업을 복잡하게 할 뿐만 아니라, 포스트의 하부단에 구비된 베이스 플레이트 역시 콘크리트에 의해 매설되기 때문에 유지보수나 교체작업이 거의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포스트의 철거시 콘크리트 폐기물 처리에 따른 비용이 발생하게 되는데, 농촌과 도시에서 사용 후 무분별하게 토양에 불법 매설하는 사례가 빈번하여 건축 폐기물로 인한 토양오염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한편, 상기 앵커부재를 콘크리트로 완전히 매설하지 않고 포스트의 하부단을 상기 앵커부재에 볼팅결합하는 경우 앵커부재가 외부로 노출되어 지저분하게 보임에 따라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초 바닥재인 콘크리트에 앵커 부재를 설치하고, 프레임을 매개로 상기 앵커 부재와 포스트를 나사체결한 후 프레임의 내부에 보호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앵커부재를 보호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시공작업이 간편하여 시공 기간 및 시공비용을 감소시키고 유지보수를 위한 교체가 용이한 포스트 고정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앵커부재가 프레임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미관을 수려하게 할 수 있는 포스트 고정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포스트의 하부단을 시공면에 앵커부재를 매개로 고정시키기 위한 포스트 고정 조립체에 있어서,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일정 높이를 갖는 측벽과 상기 앵커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 체결공을 갖추어 상기 측벽과 연결되는 바닥부가 구비되는 프레임; 판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포스트의 하부단에 고정되고 상기 제1 체결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 체결공이 구비되어 상기 앵커부재를 매개로 상기 프레임과 나사결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앵커부재 및 베이스 플레이트를 덮어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공간부에 구비되는 보호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상기 시공면과 탄력적으로 밀착되는 실링부재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호부재는 콘크리트 몰탈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간부에 구비되는 보호부재는 고무판이고, 상기 고무판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고무판의 상부에 덮개판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앵커부재는 상부단이 상기 덮개판의 상부로 노출되어 상기 덮개판의 상부면에서 너트부재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덮개판은 하나의 부재로 구비되거나 대칭적으로 분할되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덮개판은 상기 너트부재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하부로 일정깊이 함몰형성되는 홈부가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홈부는 상기 너트부재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홈부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마감부재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기초 바닥재인 콘크리트에 앵커 부재를 설치하고, 프레임을 매개로 상기 앵커 부재와 포스트를 나사 체결한 후 프레임의 내부에 보호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앵커부재를 보호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시공작업이 간편하여 시공 기간 및 시공비용을 감소시키고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앵커부재가 프레임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미관을 수려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포스트 고정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의 결합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포스트 고정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분리사시도.
도 6은 도 4의 결합단면도.
도 7은 제 2실시예에 따른 덮개판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포스트 고정 조립체가 사방댐에 적용된 설치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포스트 고정 조립체가 가로등에 적용된 설치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면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었다 하더라도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스트 고정 조립체(100,200)는 기초 바닥재인 콘크리트에 앵커 부재를 설치하고, 프레임을 매개로 상기 앵커 부재와 포스트를 나사체결한 후 프레임의 내부에 보호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앵커부재를 보호함으로써 결합력을 높이고 앵커부재의 파손을 방지함은 물론 간단한 교체작업을 통해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 제 1 실시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포스트 고정 조립체(100)는 구조물을 지지하는 포스트(15)를 시공면(102)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프레임(110), 베이스 플레이트(120) 및 보호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구조물은 골조 파이프, 우편함, 도로 소형 안전 표시판, 펜스 고정용 지주, 방음벽 가로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등의 하부단을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으며, 이하에서는 발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포스트 고정 조립체(100)가 유목 및 암석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천의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사방댐(10)에 적용된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시공면(102)은 사방댐(10) 등과 같은 구조물이 설치되는 곳으로 기초 콘크리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포스트(15)의 하부단을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포스트(15)가 배치되는 위치에 맞게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 개의 앵커부재(104)가 매설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0)는 상기 포스트(15)의 하부단에 구비되어 상기 시공면(102)에 포스트(15)가 앵커부재(104)를 매개로 고정설치되도록 하는 플랜지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복수 개의 제2 체결공(122)이 관통형성되어 상기 앵커부재(104)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베이스 플레이트(12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스트(15)의 하부단에 고정연결되어 상기 프레임(110)의 바닥부(114) 상부면과 서로 면접하도록 배치된 후 상기 앵커부재(104)를 매개로 프레임(110)과 서로 고정결합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0)는 상기 포스트(15)와 별개로 제작한 후 포스트(15)의 하부단에 용접을 통한 이음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110)은 상기 시공면(102)에 매설된 앵커부재(104)를 둘러싸도록 상기 시공면(102)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일정 높이를 갖는 측벽(112)과 상기 측벽(112)의 하부에 연결되는 바닥부(114) 및 상기 바닥부(114)와 측벽(11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116)로 이루어진다.
상기 측벽(112)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10)의 전체적인 외곽틀을 형성하는 것으로, 일정 높이를 갖는 바 형태로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가 서로 연결되어 사각형의 틀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측벽(112)은 하부에 상기 바닥부(114)가 연결됨으로써 상기 프레임(110)은 상부가 개구된 공간부(116)를 갖는 함체 형상을 이루게 된다.
이때, 상기 측벽(112)은 일정 높이를 갖도록 구비됨으로써 상기 바닥부(114)와 더불어 공간부(116)를 형성하여 상기 공간부(116)에 보호부재가 구비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갑작스런 외부 하중에 의해 상기 앵커부재(104)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포스트 고정 조립체(100)가 사방댐(10)에 적용되는 경우 하천의 상류에서는 수위가 낮은 물줄기가 계속해서 흐르게 되는데, 이러한 물줄기가 상기 측벽(112)에 부딪혀 유속이 감소됨으로써 상기 프레임(1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앵커부재(104)와의 직접적인 충돌을 방지하여 상기 앵커부재(104)에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외부 하중에 의해 앵커부재(104)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110)의 전체적인 외곽틀을 형성하는 측벽(112)이 사각형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프레임(110)의 전체적인 형상은 상기 측벽(112)이 일정높이를 갖추어 내부에 공간부(116)를 형성하는 삼각, 육각 등과 같은 다각형상이나 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 바닥부(114)는 서로 대향되는 측벽(112)의 하부단을 서로 연결하여 상기 프레임(110)의 바닥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앵커부재(104)가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 체결공(118)을 갖추고 상기 시공면과 연통되는 개구부(119)가 구비되도록 서로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는 두 개의 부재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1 체결공(118)은 상기 시공면(102)에 매설되어 배치되는 앵커부재(104)와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앵커부재(104)를 매개로 상기 프레임(110)을 시공면(102)에 고정시키게 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앵커부재(104)는 상기 제1 체결공(118) 및 제2 체결공(122)에 동시에 삽입된 후 상부 측에 너트부재(106)를 통해 나사 체결하여 상기 프레임(110) 및 베이스 플레이트(120)를 상기 시공면(102)에 고정시킴으로써 포스트(15)의 하부단이 시공면(102) 상에 고정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체결공(118)이 구비되는 바닥부(114)가 서로 대향되는 측벽(112)의 하부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바 형태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복수 개의 제1 체결공(118)이 관통 형성된 판상의 부재로 구비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스트 고정 조립체(100,200)는 상기 프레임(110)의 공간부(116)에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몰탈(130)로 이루어진 보호부재가 충진된다.
즉, 상기와 같이 앵커부재(104) 및 프레임(110)을 매개로 상기 포스트(15)의 하부단을 시공면(102)에 고정시킨 후 상기 공간부(116)에 콘크리트 몰탈(130)을 충진시켜 양생시킴으로써 상기 앵커부재(104) 및 베이스 플레이트(120)를 보호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0) 및 앵커부재(104)가 외부환경에 노출되지 않고 콘크리트 몰탈(130)에 의해 매설되어 앵커부재(104)가 하천에 흐르는 물줄기에 의해 부식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파손을 방지하고 수명을 늘릴 수 있으며, 앵커부재(104)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내부에 충진되는 콘크리트 몰탈(130)이 바닥부(114)에 형성된 개구부(119)를 통해 상기 시공면(102)과 일체화됨으로써 전체적인 결합력이 보강되어 프레임(110)을 사용하지 않고 베이스 플레이트(120)를 시공면(102)에 직접 콘크리트 타설하는 것과 유사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프레임(110)의 하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벽(112)을 따라 실링부재(140)가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110)의 하부 및 시공면(102)을 탄력적으로 밀착시킬 수도 있다.
이는 상기 공간부(116)에 앵커부재(104) 및 베이스 플레이트(120)를 보호하기 위하여 충진되는 콘크리트 몰탈(130)의 충진시 프레임(110)의 바닥부와 시공면(102)의 틈새로 충진되는 콘크리트 몰탈(130)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110)이 설치되는 시공면(102)이 평탄하지 않더라도 너트부재(106)를 조이게 되면 상기 실링부재(140)를 통해 프레임(110)의 하부가 상기 시공면(102)과 서로 밀착됨으로써 전체적인 결합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실링부재(140)는 탄력성을 갖는 고무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부가 개구된 대략 'ㄷ'자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측벽(112)의 하부 양측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포스트 고정 조립체(100)에 의하면, 기초 바닥재인 콘크리트에 앵커 부재를 설치하고, 프레임을 매개로 상기 앵커 부재와 포스트를 볼트 체결한 후 프레임의 내부에 콘크리트 몰탈을 충진하여 상기 앵커부재를 보호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앵커부재의 파손을 방지함은 물론 시공작업이 간편하여 시공 기간 및 시공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 제 2 실시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포스트 고정 조립체(200)는 구조물을 지지하는 포스트(15)를 시공면(102)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프레임(110), 베이스 플레이트(120) 및 보호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구조물은 골조 파이프, 우편함, 도로 소형 안전 표시판, 펜스 고정용 지주, 방음벽 가로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등의 하부단을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으며, 이하에서는 발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포스트 고정 조립체(200)가 유목 및 암석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천의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사방댐(10)에 적용된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시공면(102)은 사방댐(10) 등과 같은 구조물이 설치되는 곳으로 기초 콘크리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포스트(15)의 하부단을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포스트(15)가 배치되는 위치에 맞게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 개의 앵커부재(104)가 매설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0)는 상기 포스트(15)의 하부단에 구비되어 상기 시공면(102)에 포스트(15)가 앵커부재(104)를 매개로 고정설치되도록 하는 플랜지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복수 개의 제2 체결공(122)이 관통형성되어 상기 앵커부재(104)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베이스 플레이트(120)는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스트(15)의 하부단에 고정연결되어 상기 프레임(110)의 바닥부(114)와 서로 면접하도록 배치된 후 상기 앵커부재(104)를 매개로 프레임(110)과 서로 고정결합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0)는 상기 포스트(15)와 별개로 제작한 후 상기 포스트(15)의 하부단에 용접을 통한 이음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110)은 상기 시공면(102)에 매설된 앵커부재(104)를 둘러싸도록 상기 시공면(102)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일정 높이를 갖는 측벽(112)과 상기 측벽(112)의 하부에 연결되는 바닥부(114) 및 상기 바닥부(114)와 측벽(11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116)로 이루어진다.
상기 측벽(112)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10)의 전체적인 외곽틀을 형성하는 것으로, 일정 높이를 갖는 바 형태로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가 서로 연결되어 사각형의 틀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측벽(112)은 하부에 상기 바닥부(114)가 연결됨으로써 상기 프레임(110)은 상부가 개구된 공간부(116)를 갖는 함체 형상을 이루게 된다.
이때, 상기 측벽(112)은 일정 높이를 갖도록 구비됨으로써 상기 바닥부(114)와 더불어 공간부(116)를 형성하여 상기 공간부(116)에 보호부재가 구비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갑작스런 외부 하중에 의해 상기 앵커부재(104)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포스트 고정 조립체(200)가 사방댐(10)에 적용되는 경우 하천의 상류에서는 수위가 낮은 물줄기가 계속해서 흐르게 되는데, 이러한 물줄기가 상기 측벽(112)에 부딪혀 유속이 감소됨으로써 상기 프레임(1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앵커부재(104)와의 직접적인 충돌을 방지하여 상기 앵커부재(104)에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외부 하중에 의해 앵커부재(104)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110)의 전체적인 외곽틀을 형성하는 측벽(112)이 사각형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프레임(110)의 전체적인 형상은 상기 측벽(112)이 일정높이를 갖추어 내부에 공간부(116)를 형성하는 삼각, 육각 등과 같은 다각형상이나 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 바닥부(114)는 서로 대향되는 측벽(112)의 하부단을 서로 연결하여 상기 프레임(110)의 바닥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앵커부재(104)가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 체결공(118)을 갖추고 상기 시공면과 연통되는 개구부(119)가 구비되도록 서로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는 두 개의 부재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1 체결공(118)은 상기 시공면(102)에 매설되어 배치되는 앵커부재(104)와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앵커부재(104)를 매개로 상기 프레임(110)을 시공면(102)에 고정시키게 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앵커부재(104)는 상기 제1 체결공(118) 및 제2 체결공(122)에 동시에 삽입된 후 상부 측에 너트부재(106)를 통해 나사 체결하여 상기 프레임(110) 및 베이스 플레이트(120)를 상기 시공면(102)에 고정시킴으로써 포스트(15)의 하부단이 시공면(102) 상에 고정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체결공(118)이 구비되는 바닥부(114)가 서로 대향되는 측벽(112)의 하부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바 형태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복수 개의 제1 체결공(118)이 관통 형성된 판상의 부재로 구비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이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포스트 고정 조립체(200)는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10)의 공간부(116)에 고무판(230)으로 형성되는 보호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고무판(230)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고무판(230)의 상부에 덮개판(250,250',250'')이 구비된다.
상기 고무판(230)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상부면에 면접되어 상기 공간부(116)를 채울 수 있도록 일정 높이를 갖는 블록체로 구비되며, 상기 제1 체결공(118) 및 제2 체결공(122)과 대응되는 위치에 앵커부재(104)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3 체결공(232)이 관통형성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부재(104)가 프레임(110)의 바닥부(114), 베이스 플레이트(120) 및 고무판(230)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부단이 고무판(230)의 상부에 배치되는 덮개판(250,250',250'')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한 후 너트부재(106)를 체결함으로써 포스트(15)의 하부단이 시공면(102)에 고정설치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0) 및 앵커부재(104)는 상기 고무판(230) 및 덮개판(250,250',250'')에 의해 보호되어 하천에 흐르는 물줄기에 의해 부식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파손을 방지하고 수명을 늘릴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앵커부재(104)가 덮개판(250,250',250'')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미관을 수려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유목이나 암석이 부딪혀 포스트(15)에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고무판(230)에 의해 하중이 일부 흡수되어 상기 앵커부재(104)에 전달되는 하중을 감소시킴으로써 전체적인 지지력을 높일 수가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상부에 배치되는 고무판(2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영역에 포스트(15)가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부(234)가 형성된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설치의 용이성을 위하여 합형시 중앙 영역에 상기 관통부(234)가 형성될 수 있도록 대칭적으로 분할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고무판(230)의 상부에 배치되는 덮개판(25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부재(104)가 삽입될 수 있는 제4 체결공(252)을 갖추어 대칭적으로 분할형성되는 판상의 부재이다.
이러한 덮개판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덮개판(250)과는 달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슬릿홈(254)이 구비된 하나의 부재(250')로 구비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슬릿홈(254)이 구비되어 대칭적으로 분할되는 한 쌍(250'')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4 체결공(252) 및 슬릿홈(254)은 그 직경이 상기 앵커부재(104)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약간 큰 직경을 갖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앵커부재(104)에 체결되는 너트부재(106)가 슬릿홈(254) 및 제4 체결공(252)을 통과하지 않고 상기 덮개판(250,250',250'')의 상부면에 배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너트부재(106)를 조이게 되면 너트부재(106)에 의해 상기 덮개판(250,250',250'')이 하부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어 상기 덮개판(250,250',250'')과 면접되어 있는 상기 고무판(230)을 하부방향으로 압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로 인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상부면에 면접된 상기 고무판(230)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전체 면적을 하부 측으로 가압하게 됨으로써 전체적인 결합력의 상승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덮개판(250,250',250")은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4 체결공(252) 주위가 하부로 볼록하도록 홈부(256)가 형성되고 상기 홈부(256)의 중앙부에 제4 체결공(252)이 관통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로 인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 후 상기 너트부재(106)가 상기 홈부(256)에 안착되어 덮개판(250,250',250")의 상부로 돌출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홈부(256)의 개방된 상부는 고무패킹과 같은 마감부재(258)로 밀폐시켜 마감함으로써 상기 너트부재(106)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이는, 상기 너트부재(104)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너트부재(104)가 외부 환경에 의해 부식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체결부위가 노출되지 않아 전체적인 미관을 깔끔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상기 덮개판(250,250',250")에 하부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홈부(256)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고무판(230)에는 상기 홈부(256)와 대응되는 영역 역시 하부로 볼록하게 형성되거나 관통형성되어 덮개판의 하부면과 고무판의 상부면이 서로 밀착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프레임(110)의 하부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벽(112)을 따라 실링부재(140)가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110)의 하부 및 시공면(102)을 탄력적으로 밀착시킬 수도 있다.
이는, 상기 프레임(110)이 설치되는 시공면(102)이 평탄하지 않더라도 너트부재(106)를 조이게 되면 상기 실링부재(140)를 통해 프레임(110)의 하부가 상기 시공면(102)과 서로 밀착됨으로써 전체적인 결합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실링부재(140)는 탄력성을 갖는 고무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부측이 개구된 대략 'ㄷ'자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측벽(112)의 하부 양측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포스트 고정 조립체(200)에 의하면, 기초 바닥재인 콘크리트에 앵커 부재를 설치하고, 프레임을 통과하는 앵커 부재를 이용하여 포스트의 베이스 플레이트와 볼트 체결하고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상기 앵커부재와 결합되는 고무판을 배치하여 상기 앵커부재를 보호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앵커부재의 파손을 방지함은 물론, 시공작업이 간편하여 시공 기간 및 시공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 베이스 플레이트, 고무판 및 덮개판을 상기 시공면으로부터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음으로써 유지보수시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을 이와 같은 특정구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서도 용이하게 수정 또는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단순한 설계변형 또는 수정을 통한 교체물, 등가물 및 균등물은 모두 명백하게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함을 미리 밝혀둔다.
100,200 : 포스트 고정 조립체
102 : 시공면 104 : 앵커부재
106 : 너트부재 110 : 프레임
112 : 측벽 114 : 바닥부
116 : 공간부 118 : 제1 체결공
119 : 개구부 120 : 베이스 플레이트
122 : 제2 체결공 130 : 콘크리트 몰탈
140 : 실링부재 230 : 고무판
232 : 제3 체결공 250,250',250'' : 덮개판
252 : 제4 체결공 254 : 슬릿홈
256 : 홈부 258 : 마감부재

Claims (8)

  1. 포스트의 하부단을 시공면에 앵커부재를 매개로 고정시키기 위한 포스트 고정 조립체에 있어서,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일정 높이를 갖는 측벽과 상기 앵커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 체결공을 갖추어 상기 측벽의 하부단에 연결되는 바닥부가 구비되는 프레임;
    판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포스트의 하부단에 고정되고 상기 제1 체결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 체결공이 구비되어 상기 앵커부재를 매개로 상기 프레임과 나사결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앵커부재 및 베이스 플레이트을 덮도록 상기 공간부에 충진되는 콘크리트 몰탈;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는 상기 시공면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갖추고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공간부에 충진되는 콘크리트 몰탈이 시공면과 일체화되어 결합력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 고정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상기 시공면과 탄력적으로 밀착되는 실링부재가 추가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 고정 조립체.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00101958A 2010-10-19 2010-10-19 포스트 고정 조립체 KR101266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1958A KR101266311B1 (ko) 2010-10-19 2010-10-19 포스트 고정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1958A KR101266311B1 (ko) 2010-10-19 2010-10-19 포스트 고정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0501A KR20120040501A (ko) 2012-04-27
KR101266311B1 true KR101266311B1 (ko) 2013-05-22

Family

ID=46140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1958A KR101266311B1 (ko) 2010-10-19 2010-10-19 포스트 고정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63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6229B1 (ko) 2015-08-09 2016-04-27 주식회사 웰콘 조립식 난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00980A1 (fr) * 2013-01-15 2014-07-18 Jerome Regner Dispositif amovible pour couvrir les pieds de candelabre
KR102244079B1 (ko) * 2020-11-03 2021-04-23 신화건설(주) 조립식 중공형 토석류 대책 구조물
KR102514694B1 (ko) * 2021-02-24 2023-03-29 (주)건국테크 탑차용 태양광 발전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6567Y1 (ko) * 2004-04-19 2004-07-15 유창훈 앵커볼트 보호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6567Y1 (ko) * 2004-04-19 2004-07-15 유창훈 앵커볼트 보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6229B1 (ko) 2015-08-09 2016-04-27 주식회사 웰콘 조립식 난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0501A (ko) 2012-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6311B1 (ko) 포스트 고정 조립체
KR100796254B1 (ko) 배전용 전주 보호 구조물
KR101077238B1 (ko) 기둥 기초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90098554A (ko) 교각 기초 구조물의 세굴방지대
KR100743478B1 (ko) 하천 교각의 세굴방지 구조물
JP2007138467A (ja) 高架道路の荷重支持型伸縮装置とその施工法
KR101912152B1 (ko) 내진 보강형 pc암거
KR101247565B1 (ko) 부식방지를 위한 밀폐형 캡 너트
KR100729621B1 (ko) 교량 우물통 기초의 하부 보강구조
CN207829209U (zh) 一种防渗水的预制剪力墙竖向接缝的连接结构
KR20190010947A (ko) 베이스플레이트 상부매립 일체형 콘크리트 기초블록
KR20180076803A (ko) 볼트와 너트 결합부의 보호캡
CN210217354U (zh) 一种建筑工程用稳定效果好的护栏
JP2010222936A (ja) 落石・雪崩防止柵
KR200368757Y1 (ko) 상수도관의 보호장치
KR101388253B1 (ko) 도로 시설물의 기초 시공 방법
CN212801198U (zh) 一种可更换的新型桥梁减震伸缩缝
KR20140106943A (ko) 조립형 소파블록
KR101130226B1 (ko) 도로 교각 안전진단 구조
KR101912151B1 (ko) 내진 보강형 기초판이 설치되는 pc암거
CN111926695A (zh) 一种带波纹板的桥梁减震伸缩缝
CN213062426U (zh) 一种护栏预埋件
KR200375145Y1 (ko) 내진형 교량점검로용 난간
KR100524394B1 (ko) 콘크리트암거
KR200352898Y1 (ko) 앵커볼트 보호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