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6721B1 - 데크로드용 목재 데크 구조물 - Google Patents

데크로드용 목재 데크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6721B1
KR101716721B1 KR1020160003890A KR20160003890A KR101716721B1 KR 101716721 B1 KR101716721 B1 KR 101716721B1 KR 1020160003890 A KR1020160003890 A KR 1020160003890A KR 20160003890 A KR20160003890 A KR 20160003890A KR 101716721 B1 KR101716721 B1 KR 1017167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oke
deck
insertion groove
vertical
w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3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배
Original Assignee
(주) 나무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나무들 filed Critical (주) 나무들
Priority to KR1020160003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67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6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67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1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on prefabricated supporting structures or prefabricated foundation elements except coverings made of layers of similar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3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composition used for beds or joints; characterised by the way of lay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01C5/006Individual spacer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28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 E02D5/285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tubular, e.g. prefabricated from sheet pil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03Balconies; Dec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17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with vertical cross-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02Paving elements having fixed spacing fea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데크로드용 목재 데크 구조물은 기초구조물(100), 멍에고정장치(200), 멍에(10), 장선(20), 장선고정클립(300), 난간기둥고정장치(400), 난간기둥(500), 난간보(600) 및 데크(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멍에고정장치(200)는 수직, 수평 회전이 가능하고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멍에(10)를 다양한 각도로 조절하여 경사지에서 원할히 시공할 수 있고, 난간기둥고정장치(400)는 수직 이동 및 회전 방식에 의해 난간기둥을 고정하되, 끼움부재와 나사산의 이중 방식으로 체결되어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Description

데크로드용 목재 데크 구조물{Wooden deck structure for dec road}
본 발명은 데크로드용 목재 데크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멍에와 강관 말뚝의 연결을 볼 형상의 회전축부를 이용하여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의 회전이 가능하여 경사지에서의 데크로드 시공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기초로부터의 돌출 높이 조절이 가능해 기초의 부분적인 침하, 지형 경사도의 변화가 있는 경우에도 원할하게 하중을 지지하고 변형이 잘 발생되지 않도록 한, 데크로드용 목재 데크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데크로드는 등산로나 공원 내에 위치한 산책로 또는 호수 주변을 따라 형성한 보도, 전원주택이나 팬션 등의 테라스 등에 많이 시공되고 있다.
예를 들면, 등산로에 목재로 되어 있는 장방형의 데크로드를 계단식으로 깔고, 데크로드의 양측에서 상방향으로 난간을 설치하여, 등산객들이 안전하게 등산 및 하산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종래의 데크로드는 다수 개의 데크가 H빔 위에 폭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어 스크류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데크재의 양측면에는 난간기둥 및 난간보가 설치되어 보행자가 데크로드를 안전하게 지나다닐 수 있다.
종래의 데크로드는 기초와 멍에가 서로 완전히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측면상에서 멍에와 기초 사이의 각도가 완전히 90가 되는 직각이 되어야 하기 때문에 경사지에서의 데크 설치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로, "데크로드용 데크판 받침골조 고정장치"(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15371호, 특허문헌 1)에는 기초의 상부에 두 개의 볼트구멍을 형성하되, 하부의 볼트구멍은 원형으로, 상부의 볼트구멍은 일정 곡률을 갖는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위에 원형 받침판을 회전축을 이용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 구조가 공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은 멍에가 지지되는 원형판이 기초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됨으로써 기초와 멍에가 직각이 아닌 다양한 각도로 조절되게 함으로써 용이하게 수직상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하였다.
더불어, 특허문헌 1에서는 원형 판 표면에 양측에 라운드진 슬릿을 형성하고, 각각에 멍에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수평 회전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수평 방향에서의 회전도 가능하게 하였다.
이를 통해 특허문헌 1에서는 다양한 수직, 수평상의 각도 조절이 가능해 경사지에서의 데크 설치 및 평면상에서 라운드진 데크로드 형상을 이룰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특허문헌 1의 경우 원형 판 위에 멍에를 지지하는 프레임이 각각 독립적으로 설치되는 구조를 이룸에 따라 원형 판이 설치되어 있는 지점을 기준으로 지형 경사도의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원형판에는 두 프레임에서 가해지는 하중이 일정하지 않고 한 쪽에는 무거운 하중이 가해지고, 다른 한 쪽에는 상대적으로 덜 무거운 하중이 가해짐에 따라 연결판의 일측이 구부러지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다수 연속된 기초들 중 일부 기초가 지형적인 요인 등에 의해 침하가 발생하는 경우 원형판의 일측에 가해지는 하중 부담이 가일층 커지게 되어 결국 연결판이 구부러지면서 구조적인 변형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데크로드는 H빔 위에 난간기둥을 단순 볼팅 방식으로 고정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며, 경우에 따라 H빔 위에 돌출된 봉을 설치하고, 이 봉에 나사결합하여 고정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난간기둥에는 통상적으로 난간보가 일정한 방향으로 설치되어야 하는 바, 나사가 견고하게 결합되는 상태에서 난간보의 방향에 맞추어 난간기둥이 세팅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의 일 예로, "데크로드용 난간기둥 고정장치"(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50716호, 특허문헌 2)이 공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2는 H빔 위에 나사산이 형성된 관을 설치하여 이 관과 난간기둥이 나사결합되도록 하되, 관 중앙에 원추형의 돌기가 형성된 봉을 형성하고, 난간기둥 저부에 이 봉이 쐐기 형태로 박히는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난간기둥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이는 나사산을 정확히 세팅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원추형 봉을 통한 고정 구조를 제시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나사결합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난간보의 위치를 정확히 세팅함과 더불어 난간기둥의 분리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구성의 경우 비록 원추형 돌기가 쐐기 형태로 끼움 결합되어 있기는 하나, 원추형 봉이 뚫고 지난간 다음 직경이 작아지는 부분과 유격이 발생하여 나사산이 완전히 맞물려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전체적으로 난간기둥이 덜거덕 거리는 고정 상태를 갖게 되어 보행자로 하여금 안전한 느낌을 제공하지 못하게 된다.
또다른 기술로 "시스템화된 유격 방지형 목재 데크 구조물"(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37580호, 특허문헌 3)에는 난간기둥을 측면에서 감싸는 클램핑 부재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방식이 공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3은 난간기둥을 전체적으로 목재로 구성할 때 난간기둥 저부에 홈과 돌기 방식의 결합을 위한 가공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므로 목재의 변형 발생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목재 난간기둥의 측면을 감싼 구성으로 볼트가 헐거워지는 현상이 발생할 경우 난간기둥이 데크로드 밖으로 추락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1515371 (2015.04.21) KR 10-1450716 (2014.10.07) KR 10-1137580 (2012.04.10)
본 발명의 데크로드용 목재 데크 구조물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단순한 볼 형상의 회전축부 하나의 구성을 이용하여 멍에와 기초 사이의 수직 각도 및 수평 각도 조절이 가능해질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더 나아가, 멍에 고정 장치는 말뚝 기초와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연결됨으로써 부분적인 기초의 침하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높이 조절을 통해 설치된 멍에의 처짐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하려는 것이다.
더불어, 멍에수용부재가 두 개로 나뉘어져 서로 볼트 결합하도록 이루어져 필요에 따라 유격을 형성하거나, 사용되는 멍에의 폭 변화가 있는 경우에도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특히, 멍에수용부재가 두 개로 나뉘어져 조립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회전축부의 양측으로 보조지지장치가 설치되어 멍에수용부재의 전방 및 후방 하부를 각각 보조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멍에수용부재에 두 개의 멍에가 연결되는 경우 하중이 어느 일측으로 편중되어 과하게 가해지더라도 멍에수용부재가 변형되지 않게 하려는 것이다.
또한, 보조지지장치는 양측의 멍에수용부에 홈이 형성되어 조립됨으로써 별도의 용접이나 볼트 조절 없이 간편하게 설치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더불어, 보조지지장치는 상하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되어 경사진 지형에 기초와 멍에수용부재가 설치되는 경우에도 원할하게 멍에수용부재를 지지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아울러, 멍에와 연결되는 명에연결부재의 상측에 내측관체가 설치되고, 난간기둥과 외측관체가 연결되며, 외측관체와 내측관체가 끼움과 나사결합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여 견고한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외측관체와 내측관체는 서로 삽입 방식으로 결합되되, 외측관체와 내측관체에는 서로 치합되는 나사산이 하부에 형성됨과 더불어, 내측관체에는 수직방향의 수직절개부 및 수직절개부와 연통된 나선형의 나선절개부가 형성되고, 외측관체의 내부에는 이 절개부에 끼워지는 끼움부재가 설치됨으로써 외측관체가 내측관체 내부로 일정 깊이 삽입한 상태에서 나사결합이 이루어지는 방식을 취하고, 더불어, 끼움부재는 나사산의 치합을 가이드하고, 결합 후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끼움과 나사결합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여 간편한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견고한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더하여, 멍에연결부재 상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됨과 더불어, 외측관체 하단에 바닥플레이트가 설치되면서 바닥플레이트에는 걸림돌기가 탄성에 의해 강제로 끼움 결합되는 끼움홈이 형성되어 난간기둥 연결 과정에서 난간보의 설치 방향을 정확히 가이드해주면서 탈칵 하면서 조립됨으로써 정확한 위치로 난간기둥을 설치할 수 있게 하고, 끼움홈을 통해 목재와 기둥프레임 틈새로 스며든 수분을 원할히 배출하여 수분에 의한 목재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데크로드용 목재 데크 구조물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부에 개구부(115)가 형성되어 있고, 개구부(115) 둘레로 연결판(111)이 설치되어 있는 강관 말뚝(110)을 포함하는 기초구조물(100)과; 판상을 이루는 하부연결판(211)과, 상기 하부연결판(211)의 하부에 연결되어 있고 강관 말뚝(110) 상부에 나사 결합되어 상,하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있는 말뚝연결부(212)와, 상기 하부연결판(211)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광하협의 단면 형상을 갖는 구 형상으로 이루어진 회전축부(213)로 구성된 회전축부재(210)와, 상기 회전축부(213) 외주면 일측이 내측으로 수용되는 축삽입홈(222)이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고, 회전축부(213)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위치하는 두 개의 하부측벽부(221)와, 두 하부측벽부(221)를 관통하여 연결하는 측벽연결볼트(223)와, 각 하부측벽부(221) 상부에 형성되어 있고, 바닥면(224) 단부가 서로 맞대어진 채 상부가 개방된 멍에삽입홈(225)을 형성하고, 서로 볼트 결합에 의해 연결되는 두 개의 멍에수용부(226)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축부(213)를 기준으로 수평, 수직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멍에수용부재(220)로 구성된 멍에고정장치(200)와; 상기 멍에고정장치(200)의 멍에삽입홈(225)에 하부가 삽입되어 설치되는 강재 멍에(10)와; 상기 멍에(10)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강재 장선(20)과; 상기 장선(20)을 감싸 멍에(10)에 고정시키는 장선고정클립(300)과; 하부에 멍에수용홈(411)이 형성되어 있어 멍에(10) 상부가 삽입된 채 고정되는 멍에연결부재(410)와, 상기 멍에연결부재(410) 상부에 일체로 연결된 채 상향 돌출되어 있으며, 내부가 빈 관체로 이루어져 있되, 상부 외주면에는 양측에 수직 방향으로 하향되게 절개된 수직절개부(42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직절개부(421) 하단에 연결된 채 하방으로 나선형으로 절개된 나선절개부(422)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외주면에는 내측관나사산(423)이 형성되어 있는 내측관체(420)와, 내부가 상기 내측관체(420)의 외측으로 끼워져 회전 결합되고, 외부는 난간기둥(500) 하부에 결합되되, 내부에 서로 마주보는 반대편 내주면에 양단이 연결되어 있는 끼움부재(431)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끼움부재(431)는 하향 이동 및 회전 이동에 의해 상기 수직절개부(421) 및 나선절개부(422)에 끼워져 이동 및 회전하도록 이루어져 있고, 하부 내주면에 상기 내측관나사산(423)과 나사결합되는 외측관나사산(432)이 형성되어 있는 외측관체(430)로 구성된 난간기둥고정장치(400)와;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앙에 상기 외측관체(430)가 끼움 결합되는 외측관삽입홀(5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측관삽입홀(511)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는 면에 서로 평행하게 평행돌출부(512)가 양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평행돌출부(512)의 선단에 평행돌출부(512)와 직교한 방향 외측으로 제1절곡부(513)가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절곡부(513)의 선단에 상기 평행돌출부(512)와 평행한 방향으로 제2절곡부(514)가 절곡되어 형성되고 인접한 제2절곡부(514) 사이에 제1삽입홈(51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절곡부(513)와 평행돌출부(512)가 만나는 모서리에 상기 제1절곡부(513)와 반대 방향으로 제3절곡부(516)가 절곡되어 형성되고 인접한 제3절곡부(516) 사이에 제2삽입홈(517)이 형성되되, 제2삽입홈(517)은 장선(20)의 길이 방향에 해당하는 면에 형성되는 기둥프레임(510)과, 목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양측에 절곡부끼움홈(521)이 형성되어 있어 절곡부끼움홈(521)이 상기 제2절곡부(514)에 끼워진 채 일측은 상기 제1삽입홈(515)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기둥프레임(510)에 연결되는 일측수직마감목재(520)와, 상기 제2삽입홈(517)에 수직 방향으로 끼워져 설치되고, 양단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3절곡부(516) 사이 거리보다 길게 이루어져 있어 제2삽입홈(517)에 삽입된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탈이 방지되며, 상기 제2삽입홈(517)에 다수 개로 나뉘어져 상하로 서로 이격된 채 삽입되는 타측수직마감목재(530)와, 상기 기둥프레임(510)에 일측수직마감목재(520) 및 타측수직마감목재(530)가 결합된 상태에서 하부 내측으로 상기 기둥프레임(510), 일측수직마감목재(520), 타측수직마감목재(530) 상단을 수용하면서 끼움 결합되는 상부마감캡(540)으로 구성된 난간기둥(500)과; 양단이 상기 인접한 난간기둥(500)의 제2삽입홈(517)에 끼워지고, 상하로 인접한 타측수직마감목재(530) 사이에 끼워져 설치되는 난간보(600)와; 목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데크고정클립(700)에 의해 상기 장선(20) 상부에 연결 설치되는 데크(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상기 두 하부측벽부(221)에는 축삽입홈(222)의 양측으로 이격된 지점의 서로 마주보는 내주면에 하단으로부터 연통되게 볼트삽입홈(228)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볼트삽입홈(228) 상단에는 볼트삽입홈(228)과 연통되면서 폭이 큰 볼트머리삽입홈(227)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측벽연결볼트(223)에 의해 두 하부측벽부(221)가 체결된 상태에서 두 하부측벽부(221)의 볼트머리삽입홈(227)에 외주면 일측이 삽입되는 볼트머리(232)와; 상기 볼트머리(232)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볼트머리(232)보다 외경이 작으면서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볼트몸체(231)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관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외주면 일측이 상기 볼트삽입홈(228)에 삽입되는 너트부재(233)와; 상기 너트부재(233)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탄성력을 갖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쿠션재(234);로 구성된 보조지지장치(23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하부는 연결판(111) 저부에 접하고, 상부는 연결판(111)을 관통하여 연결판(111) 상측으로 돌출되어 수평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되, 연결판(111) 상측으로 돌출된 부분에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는 하부보다 직경이 작게 이루어져 있는 축부재(141)와; 내부가 빈 관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축부재(141)와 나사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단이 상기 하부연결판(211)과 접하여 지지되도록 이루어진 높이고정부재(142);로 구성된 보조높이조정장치(140)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기둥프레임(510)의 외측관삽입홀(511) 외곽에 볼트체결홀(518)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측관체(430) 하단에는 상기 멍에연결부재(410) 상면과 접하는 바닥플레이트(435)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멍에연결부재(410) 상면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걸림돌기(42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닥플레이트(435)에는 상기 끼움부재(431)가 나선절개부(422)를 타고 보조절개부(425)에 도달하는 상태에서 상기 걸림돌기(426)에 탄성에 의해 강제로 끼움 결합되는 끼움홈(43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끼움홈(434)은 상기 기둥프레임(510)의 제1삽입홈(515) 및 제2삽입홈(517)의 위치에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제1삽입홈(515) 및 제2삽입홈(517) 내부의 수분을 저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단순한 볼 형상의 회전축부 하나의 구성을 이용하여 멍에와 기초 사이의 수직 각도 및 수평 각도 조절이 가능해질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멍에 고정 장치는 말뚝 기초와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연결됨으로써 부분적인 기초의 침하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높이 조절을 통해 설치된 멍에의 처짐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더불어, 멍에수용부재가 두 개로 나뉘어져 서로 볼트 결합하도록 이루어져 필요에 따라 유격을 형성하거나, 사용되는 멍에의 폭 변화가 있는 경우에도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특히, 멍에수용부재가 두 개로 나뉘어져 조립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회전축부의 양측으로 보조지지장치가 설치되어 멍에수용부재의 전방 및 후방 하부를 각각 보조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멍에수용부재에 두 개의 멍에가 연결되는 경우 하중이 어느 일측으로 편중되어 과하게 가해지더라도 멍에수용부재가 변형되지 않게 된다.
또한, 보조지지장치는 양측의 멍에수용부에 홈이 형성되어 조립됨으로써 별도의 용접이나 볼트 조절 없이 간편하게 설치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보조지지장치는 상하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되어 경사진 지형에 기초와 멍에수용부재가 설치되는 경우에도 원할하게 멍에수용부재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멍에와 연결되는 명에연결부재의 상측에 내측관체가 설치되고, 난간기둥과 외측관체가 연결되며, 외측관체와 내측관체가 끼움과 나사결합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여 견고한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외측관체와 내측관체는 서로 삽입 방식으로 결합되되, 외측관체와 내측관체에는 서로 치합되는 나사산이 하부에 형성됨과 더불어, 내측관체에는 수직방향의 수직절개부 및 수직절개부와 연통된 나선형의 나선절개부가 형성되고, 외측관체의 내부에는 이 절개부에 끼워지는 끼움부재가 설치됨으로써 외측관체가 내측관체 내부로 일정 깊이 삽입한 상태에서 나사결합이 이루어지는 방식을 취하고, 더불어, 끼움부재는 나사산의 치합을 가이드하고, 결합 후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끼움과 나사결합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여 간편한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견고한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더하여, 멍에연결부재 상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됨과 더불어, 외측관체 하단에 바닥플레이트가 설치되면서 바닥플레이트에는 걸림돌기가 탄성에 의해 강제로 끼움 결합되는 끼움홈이 형성되어 난간기둥 연결 과정에서 난간보의 설치 방향을 정확히 가이드해주면서 탈칵 하면서 조립됨으로써 정확한 위치로 난간기둥을 설치할 수 있게 하고, 끼움홈을 통해 목재와 기둥프레임 틈새로 스며든 수분을 원할히 배출하여 수분에 의한 목재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과 2는 본 발명의 데크로드용 목재 데크 구조물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기초구조물과 멍에고정장치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난간기둥과 난간기둥고정장치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단면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난간기둥고정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난간기둥의 위치별 단면 형태를 나타낸 정면도 및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멍에고정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따른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데크 및 데크고정클립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부분절단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따른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데크고정클립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서 멍에수용부재의 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데크로드용 목재 데크 구조물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데크로드용 목재 데크 구조물은 목재 교량이나 목재 데크와 같은 구조물을 말하며, 기초구조물(100), 멍에고정장치(200), 멍에(10), 장선(20), 장선고정클립(300), 난간기둥고정장치(400), 난간기둥(500), 난간보(600) 및 데크(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기초구조물(100)은 도 1 내지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강관 말뚝(110), 말뚝보강부재(120), 기초블록(13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강관 말뚝(110)은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부에 개구부(115)가 형성되어 있으며, 개구부(115)의 내주면에는 나사산(114)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부에는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연결판(111)이 설치되어 있다.
더불어, 하부는 도 3에 좌측에 도시된 것처럼 외주면에 나선날(112)가 형성되어 있어 하부가 회전 방식에 의해 지중에 삽입되도록 이루어지거나, 도 3의 우측에 도시된 것처럼 나사산(113)이 형성되어 말뚝보강부재(120)와 나사결합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때, 나선날(112)은 선택적인 것으로 단부가 단지 뾰족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항타 방식으로 삽입될 수도 있다.
말뚝보강부재(120)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관 형상을 취하여 상기 말뚝(110)의 중간 또는 하부를 감싼 채 볼트(123)에 의해 강관 말뚝(110)에 고정되거나, 나사결합된다.
이러한 말뚝보강부재(120)는 외주면에 수평 방향으로 돌출된 금속재의 수평돌출부(121)가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평돌출부(121)의 선단에 상방으로 돌출된 상향절곡부(12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초블록(130)은 콘크리트가 타설 및 양생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말뚝보강부재(120)를 감싼 채 지중에 삽입된다.
이때, 도 3의 좌측과 같이 지중에 강관 말뚝(110)이 삽입되는 경우에는 우측과 달리 비교적 작은 부피를 차지하게 형성될 수 있다.
기초블록(130)의 시공은 강관 말뚝(110)을 지중에 삽입한 상태에서 타설될 위치의 지면을 굴착한 후 거푸집을 시공한 다음 그 위치에 말뚝보강부재(120)를 설치한 다음 콘크리트가 주입 양생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말뚝보강부재(120)가 거푸집 내에 설치된 상태에서 콘크리트가 타설 및 양생된 후, 강관 말뚝(110)을 지면에 박아 시공한 후 말뚝보강부재(120)가 일체화된 기초블록(130)을 강관 말뚝(110)에 끼워 설치한 후 볼트(123)로 관통시켜 고정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기초 구조물은 지중에 강관 말뚝(110)을 박은 후 말뚝 상부에 연결판(111)이 구비되어 연결판(111)이 멍에고정장치(200)와 연결됨으로써 강관 말뚝(110) 자체가 기초 역할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공정이 간단하고 시공이 빠르며, 친환경적이고, 경비 절감 및 자재 재활용이 가능해지게 된다.
특히, 강관 말뚝(110)은 상측 내부가 빈 관 형태로 형성되고, 상부에 연결판(111)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부 내주면에 나사산(114)이 형성되어 멍에(10)를 지지하기 위한 멍에고정장치(200)가 나사결합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말뚝이 지중에 박힌 높이, 지중에 박힌 각도 등의 변수에 따라 말뚝과 기둥 사이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하여 말뚝을 박아 설치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멍에고정장치(200)는 회전축부재(210)와 멍에수용부재(220)로 이루어져 있다.
회전축부재(210)는 판상을 이루는 하부연결판(211)과, 상기 하부연결판(211)의 하부에 연결되어 있고 강관 말뚝(110) 상부에 나사 결합되어 상,하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있는 말뚝연결부(212)와, 상기 하부연결판(211)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광하협의 단면 형상을 갖는 구 형상으로 이루어진 회전축부(213)로 구성되어 있다.
멍에수용부재(220)는 상기 회전축부(213) 외주면 일측이 내측으로 수용되는 축삽입홈(222)이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고, 회전축부(213)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위치하는 두 개의 하부측벽부(221)와, 두 하부측벽부(221)를 관통하여 연결하는 측벽연결볼트(223)와, 각 하부측벽부(221) 상부에 형성되어 있고, 바닥면(224) 단부가 서로 맞대어진 채 상부가 개방된 멍에삽입홈(225)을 형성하고, 서로 볼트 결합에 의해 연결되는 두 개의 멍에수용부(226)로 이루어져 있다.
하부연결판(211)은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의 형태를 취하며, 말뚝연결부(212)와 일체로 용접된 형태를 취하며, 상기 하부연결판(211)의 하부에 연결되어 있는 말뚝연결부(212)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이는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강관 말뚝(110)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115)를 통해 말뚝연결부(212)가 개구부(115)로 삽입 가능하게 되고, 개구부(115)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114)과 나사 결합됨으로써 나사 결합의 정도에 따라 강관 말뚝(110) 상부로 돌출된 높이의 상, 하 조절이 이루어지게 된다.
더불어, 하부연결판(211)의 상부에는 도시된 것처럼 단면상에서 상광하협의 형상을 갖는 볼 또는 구 형상의 회전축부(213)가 설치되어 있다.
멍에수용부재(220)는 두 개의 하부측벽부(221)와, 각 하부측벽부(221)의 상부에 일체로 멍에수용부(226)가 연결된 형상을 취하며, 측벽연결볼트(223)가 두 개의 하부측벽부(221)를 관통 연결하여 고정된 구성을 취한다.
이때, 도 7,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측벽연결볼트(223)는 하부측벽부(221)만 관통하는 것이 아니라 상부의 멍에수용부(226)를 관통하여 고정되며, 이때 멍에(10)가 멍에삽입홈(225)에 안착된 상태에서 멍에(10)를 관통함으로써 멍에까지 고정하는 구조를 취한다.
아울러, 하부측벽부(221)는 도 7,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는 좁고 상부는 넓게 펼쳐진 형상을 취하며, 두 하부측벽부(221)의 마주보는 내주면에는 상기 회전축부(213) 외주면 일측이 내측으로 수용되는 축삽입홈(222)이 형성되어 있다.
즉, 두 하부측벽부(221)의 축삽입홈(222)에 회전축부(213)의 양측 외주면이 끼워져 도 3의 전면 및 측면 단면도에 나타난 것처럼 수직 방향의 회전 및 수평 방향의 회전이 모두 가능한 구조를 취하게 된다.
더불어, 각 하부측벽부(221) 상부에 형성된 멍에수용부(226)는 각각 서로 마주보는 "┗" 및 "┛"의 형상을 취하며, 바닥면(224) 단부가 서로 맞대어진 채 상부가 개방된 멍에삽입홈(225)을 형성하여 상기 멍에(10) 하부가 멍에삽입홈(225)에 삽입된다.
이때, 두 멍에수용부(226)는 서로 볼트 결합에 의해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두 멍에삽입부(226)는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평면상에서 멍에삽입홈(225)의 형상이 " ┫" 또는 "┛"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서로 교차로 연결되는 멍에(10)들의 단부가 지지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 ┫"자 형상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서로 일렬을 이루는 두 멍에(10) 및 그 사이에 직교한 방향의 멍에가 설치되는 경우 그 교차지점에 대응되어 각 멍에(10)들을 지지하게 되며, "┛" 형상은 데크로드의 최 단부 측에 설치되어 데크로드 방향의 멍에 및 그 멍에에 직교한 방향의 멍에를 지지하는 위치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특허문헌 1과 같이 강관 말뚝(110)과 멍에(10)가 이루는 각도가 수직, 수평으로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기 때문에 경사진 지형이나, 평면상에서 데크로드가 일직선이 아닌 다양한 변화를 가질 수 있게 해준다.
더불어, 특허문헌 1과 달리 단순한 볼 형상의 회전축부(213) 하나의 구성을 이용하여 멍에(10)와 강관 말뚝(110) 사이의 수직 각도 및 수평 각도 조절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훨씬 더 효율적이며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고, 시공도 간편해지게 된다.
특히, 특허문헌 1의 경우는 부분적으로 기초의 침하가 발생할 경우 원판의 일측에 하중이 부담되어 원판이 찌그러지는 변형이 발생하게 되지만, 본 발명의 멍에 고정 장치는 말뚝연결부(212)가 강관 말뚝(110)에 나사결합되어 하부연결판(21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궁극적으로 멍에(10)를 지지하는 부분의 높이 조절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강관 말뚝(110)의 부분적인 침하가 발생하더라도 하부연결판(211)의 높이 조절을 통해 멍에(10)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멍에수용부재(220)가 두 개로 나뉘어져 서로 볼트 결합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멍에삽입홈(225)의 폭 조절이 가능해지고, 이를 통해 다양한 크기의 멍에가 고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는 선택적으로 유격을 형성하고, 그 내부로 신축성 및 탄성력을 갖는 고무패드 등을 설치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멍에수용부재(220)의 바닥면(224)의 단부에 측벽면이 상향 돌출된 구조를 취하고, 멍에수용부재(220)의 하부에 하부측벽부(221)가 용접 방식 등에 의해 일체화된 구조를 취하기 때문에 바닥면(224)은 특허문헌 1과 달리 변형 가능성이 훨씬 적어 부분적인 하중의 집중이 발생하더라도 잘 변형되지 않게 된다.
하지만, 멍에수용부재(220)의 양측으로 두 개의 멍에(10)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지면의 경사 변화가 발생하는 지점이나 부분적인 강관 말뚝(110)의 침하가 발생하는 지점에서 멍에수용부재(220)의 일측으로 하중이 편중되는 현상 자체는 막을 수 없다.
만약, 하중의 편중에 의해 멍에수용부재(220)의 일측이 하향되게 꺾이는 현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교체해주는 방법밖에 없는데, 교체를 위해서는 멍에 고정 장치 상부의 구조를 모두 철거해야 하므로 보수 작업이 간단치 않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도 7, 8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멍에수용부재(220)에 상부가 연결되어 있고, 하부는 상부로부터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이루어져 길이 조절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하부연결판(211)에 지지되는 보조지지장치(2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7, 8을 살펴보면, 상기 두 하부측벽부(221)에는 축삽입홈(222)의 양측으로 이격된 지점의 서로 마주보는 내주면에 하단으로부터 연통되게 볼트삽입홈(228)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볼트삽입홈(228) 상단에는 볼트삽입홈(228)과 연통되면서 폭이 큰 볼트머리삽입홈(227)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보조지지장치(230)는,
상기 측벽연결볼트(223)에 의해 두 하부측벽부(221)가 서로 체결된 상태에서 두 하부측벽부(221)의 볼트머리삽입홈(227)에 외주면 일측이 삽입되는 볼트머리(232)와,
상기 볼트머리(232)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볼트머리(232)보다 외경이 작으면서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볼트몸체(231)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관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외주면 일측이 상기 볼트삽입홈(228)에 삽입되는 너트부재(233)와,
상기 너트부재(233)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탄성력을 갖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쿠션재(234)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는 보조지지장치(230)는 초기 멍에 고정 장치의 조립시 볼트머리삽입홈(227)에 볼트머리(232)가 끼워져 결국 멍에수용부재(220)에 매달려 설치된 상태가 되고, 이때 너트부재(233) 역시 볼트몸체(231)에 체결되어 있어 하부연결판(211) 상부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 상태에서 멍에 고정 장치와 하부연결판(211) 사이의 각도를 조절할 때 회전축부(213)의 전, 후의 보조지지장치(230)의 너트부재(233)를 각각 조절하면서 수직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도 8의 우측 상부 도면은 멍에(10)와 강관 말뚝(110)이 수직한 경우, 우측 하부 도면은 경사를 이루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너트부재(233)의 하부에는 쿠션재(234)가 설치되어 있어 너트부재(233)의 하단과 하부연결판(211)이 수직하지 않더라도 쿠션재(234)의 변형에 의해 밀착되면서 각도를 조정하여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보조지지장치(230)는 회전축부(213)의 전, 후에 각각 설치되어 하중이 편중되더라도 상부 하중을 부분적으로 지지해줄 뿐만 아니라, 초기 설치시 회전축부(213)를 통한 회전시 회전 각도를 조정해주는 역할을 해주게 된다.
이러한 보조지지장치(230)는 멍에수용부재(220)가 두 개로 나뉘어져 조립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회전축부(213)의 양측으로 설치되어 멍에수용부재(220)의 전방 및 후방 하부를 각각 보조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멍에수용부재(220)에 도 1과 같이 두 개의 멍에가 연결되는 경우 하중이 어느 일측으로 편중되어 과하게 가해지더라도 멍에수용부재(220)가 변형되지 않게 된다.
또한, 보조지지장치(230)는 양측의 멍에수용부(226)에 도면기호 227 및 228의 홈이 형성되어 조립됨으로써 별도의 용접이나 볼트 조절 없이 간편하게 설치될 수 있게 되고, 상하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되어 경사진 지형에 기초와 멍에수용부재가 설치되는 경우에도 원할하게 멍에수용부재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강관 말뚝(110) 내주면의 나사산(114)에 말뚝연결부(212) 외주면이 나사결합되면서 높이 조절이 됨에 있어서, 말뚝연결부(212)는 초기에 강관 말뚝(110)에 나사결합되고, 그 상부로 멍에고정장치(200)를 통해 서로 인접한 멍에(10)들이 고정되기 때문에 다수의 멍에(10)들이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는 말뚝연결부(212)는 임의적으로 많은 회전을 하지 못해 특별한 경우가 아닌 한 초기에 세팅된 하부연결판(211)의 높이 변화는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시간이 경과하면서 나사산이 마모되는 경우, 미세한 회전이 있는 경우 초기 세팅된 높이에서 하부연결판(211)의 높이 변화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체적으로 고른 하중 지지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특정 부분에 하중이 편중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 초기 설치 작업 과정에서 다수의 강관 말뚝(110)에 각각 말뚝연결부(212)를 연결한 상태에서 전체 멍에(10)들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실수 등의 원인으로 초기 세팅된 위치에서 변화가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비록 초기 세팅 이후 말뚝연결부(212)의 임의의 회전은 방지되나, 설치 과정 중에서의 다양한 변수로 인해 전체적인 높이 조절에 실패할 가능성을 염두해 두어야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은 보조높이조정장치(1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보조높이조정장치(140)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연결판(111)에 설치되어 하부연결판(211)을 선택적으로 지지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보조높이조정장치(140)는 축부재(141)와 높이고정부재(142)로 이루어져 있다.
축부재(141)는 하부가 연결판(111) 저부에 접하는 볼트머리 형상을 취하고, 상부는 볼트머리 형상의 상부와 연결된 채 상방향으로 연결판(111)을 관통하여 연결판(111)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때, 축부재(141)는 연결판(111) 상측으로 돌출된 부분에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연결판(111)을 관통하는 지점에는 나사산이 미 형성되어 있다.
또, 축부재(141)의 상부는 도시된 것처럼 볼트머리 형상의 하부보다 직경이 작게 이루어져 있다.
이때, 축부재(141)는 연결판(111)에 고정되어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높이고정부재(142)는 내부가 빈 관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즉, 높이고정부재(142)를 돌리게 되면 고정된 축부재(141)와의 나사 결합에 의해 높이고정부재(142)는 상, 하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회전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단이 상기 하부연결판(211)과 접하여 하부연결판(211)이 지지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나사산의 마모가 발생하더라도 보조적으로 하부연결판(211)의 높이 변화 없이 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멍에(10)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데크로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각관이나 H형강 등의 강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길이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두 멍에(10)의 사이로 직교하게 보조 멍에가 도면과 같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장선(20)은 상부의 데크(30)를 지지하기 위한 금속 부재로 길이방향 멍에(10)의 상측에 안착되어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장선(20)은 각관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역시 H형강과 같은 다양한 강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장선고정클립(300)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부에 장선수용홈(310)이 형성되어 있어 장선수용홈(310)에 상기 장선(20) 상부가 끼워지고, 양 측벽면(320) 하단에 날개부(330)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날개부(330)는 멍에(10) 상면에 맞대어진 채 볼트 결합되어 상기 장선(20)을 멍에(10)에 고정시켜주게 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난간기둥고정장치(400)는 전체적으로 멍에연결부재(410), 내측관체(420) 및 외측관체(430)로 이루어져 있다.
멍에연결부재(410)은 도 1의 우측 하부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 형의 잔넬 형상을 취하여 하부에 하부에 멍에수용홈(411)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각관 등으로 이루어진 멍에(10) 상부가 멍에수용홈(411)에 끼워지고 도시된 볼트구멍을 통해 미도시된 볼트로 고정함으로써 멍에(10)가 멍에연결부재(410)에 고정된다.
내측관체(420)는 용접 등의 방식에 의해 상기 멍에연결부재(410) 상부에 일체로 고정된 채 상향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내측관체(420)는 내부가 빈 관체로 이루어져 있는데, 상부 외주면에는 양측에 수직 방향으로 하향되게 절개된 수직절개부(42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직절개부(421) 하단에 연결된 채 하방으로 나선형으로 절개된 나선절개부(422)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나선절개부(422)는 내측관체(420) 중심으로부터 90°의 각도로 하향되게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내측관체(420)의 하부 외주면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관나사산(423)이 형성되어 있다.
내측관나사산(423) 역시 나선절개부(422)와 마찬가지로 내측관체(420) 중심으로부터 90°의 각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경사진 각도 역시 내측관나사산(423)과 동일한 경사를 이룸이 바람직하다.
한편, 외측관체(430)는 도 1,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내부는 상기 내측관체(420)의 외측으로 끼워져 회전 결합되고, 외부는 난간기둥(500) 하부에 끼워져 결합된다.
이때, 외측관체(430)에는 내부에 서로 마주보는 반대편 내주면에 양단이 연결되어 있는 끼움부재(431)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끼움부재(431)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직절개부(421)의 위치에 대응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사이 외측관체(430)를 내측관체(420) 외측으로 하향 이동하게 되면 끼움부재(431)가 수직절개부(421)에 끼워져 하향 이동하게 된다.
더불어, 외측관체(430)에는 하부 내주면에 상기 내측관나사산(423)과 나사결합되는 외측관나사산(43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수직절개부(421)를 타고 끼움부재(431)가 하향 이동하여 수직절개부(421) 하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나사 방향에 따라 회전시키게 되면 끼움부재(431)가 나선절개부(422)를 타고 이동함과 동시에 외측관나사산(432)이 내측관나사산(423)에 나사결합되게 된다.
따라서, 외측관나사산(432)의 위치는 내측관나사산(423)의 위치에 대응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평면상에서 90°의 각도 범위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은 외측관체(430)와 내측관체(420)이 일정 깊이까지는 서로 삽입 방식으로 결합되되, 서로 치합되는 내측관나사산(423)과 외측관나사산(432)에 의해 일정 깊이부터는 나사 결합되며, 이와 동시에 끼움부재(431)는 수직이동시에는 수직절개부(421)를 타고 이동하고, 나선 결합시에는 나선절개부(422)를 타고 가이드되어 이동하게 된다.
이는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방향으로 외측관체(430)를 잡아당기는 힘이 가해지더라도 끼움부재(431)가 나선절개부(422)에 끼워져 있어 상향 이동이 억제되어 견고한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면서 조립 및 분해가 간편해지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한 구성에서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내측관체(420) 내부에는 수직절개부(421) 및 나선절개부(422)에 끼워져 하향 이동하는 끼움부재(431)에 의해 가압되는 스프링(424)가 설치될 수 있다.
스프링(424)는 외측관체(430)가 난간기둥(500)에 결합된 채 조립할 때, 수직절개부(421)를 따라 이동하는 끼움부재(431)가 조립 과정에서 수직절개부(421) 하단에 충격을 가해 파손시키는 것을 방지하여 조립 과정에서 적정한 압박을 받으면서 조립이 이루어지고 내측관체(420)의 파손이 발생하지 않게 해준다.
상술한 구성은 나선절개부(422)가 90°의 각도 범위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난간보의 설치 위치에 맞게 지정된 회전 각도만을 회전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하지만, 스프링(424)이 상방향으로 끼움부재(431)를 밀어내는 압력을 가하고 있기 때문에 자칫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분리되려는 힘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의 일 예로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멍에연결부재(410) 상면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걸림돌기(42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측관체(430) 하단에는 상기 멍에연결부재(410) 상면과 접하는 바닥플레이트(435)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바닥플레이트(435)에는 상기 끼움부재(431)가 나선절개부(422)를 타고 보조절개부(425)에 도달하는 상태에서 상기 걸림돌기에 탄성에 의해 강제로 끼움 결합되는 끼움홈(43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난간기둥(500)을 잡고 회전시켜 외측관체(430)가 일정 깊이까지 내측관체(420)에 끼워진 상태에서 90도 각도 범위로 회전시킬 때 걸림돌기(426)에 끼움홈(434)이 탈칵 하는 소리와 함께 끼워져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해준다.
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나선절개부(422) 선단에 상방향으로 절개된 보조절개부(425)가 상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나사 결합에 의한 회전이 완료된 후 끼움부재(431) 상측이 보조절개부(425) 측으로 일부 밀려들어가게 됨으로써 이탈이 방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특히, 상기 끼움홈(434)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기둥프레임(510)의 제1삽입홈(515) 및 제2삽입홈(517)의 위치에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제1삽입홈(515) 및 제2삽입홈(517) 내부의 수분을 저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일측수직마감목재(520) 및 타측수직마감목재(530)가 끼워진 기둥프레임(510)의 제1삽입홈(515) 및 제2삽입홈(517)이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음으로 인해 틈새로 스며든 수분이 자연스럽게 하향되게 흐르게 되는데, 끼움홈(434)을 활용하여 끼움홈(434)을 바닥면까지 절개된 상태로 제1삽입홈(515) 및 제2삽입홈(517)에 대응되어 연통되게 구성함으로써 자연스러운 수분 배출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를 통해 일측수직마감목재(520) 및 타측수직마감목재(530) 하부가 젖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해준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난간기둥(500)은 기둥프레임(510), 일측수직마감목재(520), 타측수직마감목재(530), 상부마감캡(540)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둥프레임(510)은 강재나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도 1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중앙에 상기 외측관체(430)가 끼움 결합되는 외측관삽입홀(5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측관삽입홀(511)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는 면에 서로 평행하게 평행돌출부(512)가 양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평행돌출부(512)의 선단에 평행돌출부(512)와 직교한 방향 외측으로 제1절곡부(513)가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절곡부(513)의 선단에 상기 평행돌출부(512)와 평행한 방향으로 제2절곡부(514)가 절곡되어 형성되고 인접한 제2절곡부(514) 사이에 제1삽입홈(515)이 형성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제1절곡부(513)와 평행돌출부(512)가 만나는 모서리에 상기 제1절곡부(513)와 반대 방향으로 제3절곡부(516)가 절곡되어 형성되고 인접한 제3절곡부(516) 사이에 제2삽입홈(517)이 형성되되, 제2삽입홈(517)은 장선(20)의 길이 방향에 해당하는 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기둥프레임(510)의 외측관삽입홀(511) 외곽에 볼트체결홀(518)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일측수직마감목재(520)는 열처리목, 합성목재, 일반 목재와 같은 목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양측에 절곡부끼움홈(521)이 형성되어 있어 절곡부끼움홈(521)이 상기 제2절곡부(514)에 끼워진 채 일측은 상기 제1삽입홈(515)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기둥프레임(510)에 연결된다.
타측수직마감목재(530)는 상기 제2삽입홈(517)에 수직 방향으로 끼워져 설치되고, 양단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3절곡부(516) 사이 거리보다 길게 이루어져 있어 제2삽입홈(517)에 삽입된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탈이 방지되며, 상기 제2삽입홈(517)에 다수 개로 나뉘어져 상하로 서로 이격된 채 삽입된다.
상부마감캡(540)은 상기 기둥프레임(510)에 일측수직마감목재(520) 및 타측수직마감목재(530)가 결합된 상태에서 하부 내측으로 상기 기둥프레임(510), 일측수직마감목재(520), 타측수직마감목재(530) 상단을 수용하면서 끼움 결합된다.
이러한 난간 기둥은 기둥프레임(510)의 외측관삽입홀(511)에 외측관체(430)를 끼운 상태에서 바닥플레이트(435)에 형성된 보조볼트홀(436)을 통해 고정볼트(433)를 체결함으로써 기둥프레임(510)에 외측관체(430)이 고정되며, 이 상태에서 데크로드의 길이 방향과 직교한 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2절곡부(514)에 일측수직마감목재(520)의 절곡부끼움홈(521)를 끼워지도록 위에서 아래로 끼워 설치하고, 타측수직마감목재(530)를 제2삽입홈(517)에 위에서 아래로 끼워 설치한다.
이때, 타측수직마감목재(530)는 난간보(600)가 설치되는 면에 대응되는데, 각 타측수직마감목재(530) 사이마다 난간보(600)를 끼워 설치한다.
그런 다음 상부마감캡(540)을 상부에 설치하게 되면, 특별한 볼트 고정 구조 없이도 난간보(600)의 설치가 가능해지게 된다.
특히,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양측으로 슬라이딩 끼움 결합하는 구조로 인해 다양한 형상의 난간보(600)를 임의의 디자인으로 구비하여 설치하고, 손쉽게 분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난간보(600) 디자인을 변경하거나, 보수 교체가 용이해지게 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난간보(600)는 도 1, 2,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목재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특별히 별도의 볼트나 홈 가공 없이 양단이 상기 인접한 난간기둥(500)의 제2삽입홈(517)에 끼워지고, 상하로 인접한 타측수직마감목재(530) 사이에 끼워져 설치된다.
즉, 양측 난간기둥(500)에 서로 대향되어 각각의 난간기둥(500)에 설치된 타측수직마감목재(530)들의 사이에 위에서부터 아래로 끼워진 형태로 설치된다.
이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다양한 난간보 디자인을 달성할 수 있게 되며, 이러한 방식은 난간보의 손상이 있는 경우에도 신속하게 난간보(600)를 교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데크(30)는 목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데크고정클립(700)에 의해 상기 장선(20) 상부에 연결 설치된다.
도 9 내지 11에는 바람직한 데크고정클립(700)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데크고정클립(700)은 바닥수평부(710), 일측수직부(720), 상부수평부(730), 타측수직부(740), 충격흡수부재(750), 측벽패킹(760) 및 변형유동방지부(770)로 구성되어 있다.
바닥수평부(710)는 첨부된 도면들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데크(30)의 저부를 지지하고, 저부의 장선(20)에 고정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저부의 장선(20)에 고정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도면과 같은 피스(780)가 사용될 수 있다.
도 9에서는 바닥수평부(710) 상부에 신축성을 갖는 충격흡수부재(750)가 설치되고, 이로 인해 바닥수평부(710)의 상면과 데크(30) 저면이 접하지 않으므로 별도의 피스(780) 머리가 안착되기 위한 홈 없이 피스(780)가 설치될 수 있다.
일측수직부(720)는 데크(30)의 홈(31)이 형성된 부분인 상기 바닥수평부(710)의 일측 단부에 일체로 연결된 채 수직 상방향으로 절곡되어 데크(30)의 일측 측벽면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부수평부(730)는 상기 일측수직부(720) 상단에 일체로 연결된 채 수평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홈(31)에 끼워지도록 이루어져 있다.
타측수직부(740)는 도시된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바닥수평부(710) 타측 단부에 일체로 연결된 채 수직 방향으로 절곡되어 데크(30)의 타측 측벽면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타측수직부(740)가 바닥수평부(710)와 이루는 각도는 고정클립에 목재 데크(30)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우는 경우에는 90도의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또, 타측수직부(740)를 바깥쪽 방향으로 당겨 목재 데크(30)의 홈(31)에 상부수평부(730)가 끼워지도록 하는 방식으로 조립할 때에는 90도가 안되는 각도로 형성하여 강재와 같은 부재 자체의 탄성에 의해 강제로 당겨 목재 데크(30)를 끼운 후 타측수직부(740)가 일측 방향으로 향하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되돌아가면서 타측수직부(740)가 데크(30)의 타측 벽면에 밀착되어 밀착된 상태에서 90도의 각도가 이루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충격흡수부재(750)는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바닥수평부(710) 상부와 데크(30)의 저부 사이에 끼워져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충격흡수부재(750)는 폴리스틸렌, 스폰지, 합성고무 등과 같이 상하 방향 및 길이 방향에 작용하는 압축력에 대응하여 쿠션을 갖는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충격흡수부재(750)는 특히 타측수직부(740)와 접하는 타측 단부측의 저부가 바닥수평부(710)와 이격되도록 도시된 것처럼 곡선 형상의 하부라운드부(75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측벽패킹(760)은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타측수직부(740)와 상기 데크(30)의 타측 측벽면 사이에 끼워져 설치되어 있다.
더불어, 측벽패킹(760)은 실리콘 고무 등과 같이 방수성 및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측벽패킹(760)은 하단에 상기 타측수직부(740)와 이격되는 가이드공간(762)이 형성되도록 곡선 형상의 측면라운드부(76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형상은 전술한 충격흡수부재(750)의 하부라운드부(751)가 가이드공간(762)을 통해 삽입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변형유동방지부(770)는 본 발명에서 매우 중요한 구성 요소의 하나로, 상기 바닥수평부(710) 및 상기 충격흡수부재(750)가 저부로부터 미도시된 천공부재에 의해 상방향으로 천공되어 형성되어 있다.
천공부재는 도 11에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의 천공부재(790)는 상단에 뾰족한 선단부(791)가 형성된 각뿔 형상을 갖는 각뿔형성부(792)와, 상기 각뿔형성부(792)의 하부에 각뿔형성부(792)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되 점차 직경이 감소하도록 이루어진 축경부(793)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형상은 천공부재(790) 선단부(791)가 바닥수평부(710)를 관통하면서 구멍이 형성되고, 계속 천공되면서 각뿔형성부(792)가 구멍을 통과하면서 구멍이 각뿔 형상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여러 개의 갈래로 나뉘어 절개되며, 천공부재(790)가 계속 상승함에 따라 축경부(793)에 의해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벌어져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도 11의 분해사시도에서 충격흡수부재(750)에 형성된 홀은 기 형성된 미리 천공되어 형성된 것이 아닌 충격흡수부재(750)가 바닥수평부(710)에 안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천공된 후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변형유동방지부(770)는 상기와 같은 천공부재(790)의 천공에 의해 중앙에는 중공부(771)가 형성되어 있고, 중공부(771)를 둘러싼 중공벽체부(772)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취하게 된다.
이때, 충격흡수부재(750)가 바닥수평부(710)에 도 10의 상측 도면과 같이 안착된 상태에서 천공부재(790)의 선단부(791)가 바닥수평부(710) 및 충격흡수부재(750)를 관통하게 되면, 충격흡수부재(750)는 도 10의 하측 도면과 같이 하부라운드부(751)에 가이드공간(762)으로 삽입되도록 압력을 받게 된다.
이때, 가이드공간(762)의 크기는 천공 과정에서 하부라운드부(751)가 충분히 삽입될 정도의 크기가 아닌, 단순히 하부라운드부(751)의 선단 일부가 살짝 삽입될 정도의 크기가 바람직하다.
이는 천공에 의해 충격흡수부재(750)에 가해진 압축력이 초기 설치 상태에서 완전히 해소되지 못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에 목적을 둔 것으로, 사용 중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목재 데크(30)에 변형이 발생하게 되어 측벽패킹(760)과 목재 데크(30) 사이가 벌어져 수분 침투 등이 발생할 우려가 있을 때, 기 가해져 있던 압축력에 의해 그 틈으로 하부라운드부(751)가 파고들어 틈을 메우고, 이격된 공간을 메꿔 유격의 발생을 방지하여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해주기 위한 것이다.
이는 충격흡수부재(750)가 상하 방향은 물론 길이 방향에 대해서도 신축성을 갖는 합성고무나 스폰지 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가능해진다.
더불어, 천공부재(790)가 둘레가 뾰족한 펀칭과 같은 구조가 아니라 각뿔 형상을 갖기 때문에 최초 구멍이 뚤리면 뚤린 지점을 기준으로 각뿔형성부(792)가 유입되면서 충격흡수부재(750)는 외곽 방향으로 밀리는 힘을 받게 되어 결국 중공벽체부(772)와 타측수직부(740) 사이에서 압축력을 받고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더불어, 이처럼 충격흡수부재(750)가 바닥수평부(710)에 안착된 상태에서 천공이 이루어짐에 따라 인접한 중공부(771) 사이 부분은 모두 압축력을 받는 상태가 되고 이러한 압축력에 따라 신축성을 갖는 재질 특성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압력을 전달하게 된다.
이처럼 상하 방향으로 압력을 전달하게 됨에 따라 목재 데크(30)의 상하 방향 변형력에 대해 저항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천공부재(790)의 천공에 의해 도 9, 1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중공벽체부(772)에는 상하 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773)가 형성되고, 천공부재(790)의 각뿔형성부(792) 및 축경부(793) 형상에 의해 상기 중공부(771)는 상광하협의 형상을 취하게 된다.
더불어, 상기 중공벽체부(772) 상단은 상측을 향해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된 테이버부(774)가 형성되어 있게 된다.
아울러, 이렇게 형성된 테이퍼부(774)는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데크(30) 저부에 가압되어 끼워져 고정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데크(30) 저부를 파고들어 고정되는 것은 본 발명의 고정 클립에 데크(30)를 끼운 후 서로 밀착 가압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파고들어가는 깊이는 0.1 ~ 1mm 정도의 미세한 깊이로, 목재 데크(30) 표면에 크랙을 발생시키지 않을 정도면 충분하다.
이는 테이퍼부(774)의 목적이 데크(30)의 변형에 저항하고자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데크고정클립(700)은 바닥수평부(710)와 목재 데크(30) 사이에 신축성을 갖는 충격흡수부재(750)가 설치되어 기본적으로 보행자에 가해지는 충격을 저감시키고,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 데크(30)의 홈(31)에 끼워지지 않는 타측수직부(740)의 내주면에는 측벽패킹(760)이 설치되어 시공 용이성을 위해 형성된 타측수직부(740)에서의 수분 침투를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바닥수평부(710)로부터 충격흡수부재(750)를 천공하여 관통된 변형유동방지부(770)를 형성하여 천공에 따라 중공벽체부(772)가 형성되면서 인접한 중공벽체부(772) 사이의 충격흡수부재(750)에 압축력이 발생되도록 하고, 충격흡수부재(750)의 재질 특성에 따라 데크(30)의 변형에 저항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충격흡수부재(750)의 타측 선단이 두께가 달라지도록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되고, 측벽패킹(760)의 하단에 라운드진 부분이 삽입되는 가이드공간(762)이 형성되어 있어 목재 데크(30)에 변형이 발생하여 데크(30)와 타측수직부(740)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는 경우 이미 작용되어 있는 압축력에 의해 라운드진 부분이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변형 발생시 유격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변형유동방지부(770)를 구성하는 중공벽체부(772) 선단의 테이퍼부(774)는 상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이나 조립시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테이퍼진 부분이 목재 데크에 부분적으로 박혀 고정되도록 하여 목재 데크의 변형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변형유동방지부(770)는 간편한 천공 작업을 통해 구성되면서도 데크(30)의 변형을 방지하고, 유격을 방지하며, 방수 성능을 보완하는 여러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도면과 같이 데크(30)의 측벽면이 수직이지 않고 턱이 진 형상인 경우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하부가 돌출된 부분의 상측에 고무패킹(701)을 추가로 설치하여 안정적인 기밀을 보다 잘 유지하고, 충격 흡수 성능을 보다 높일 수 있게 된다.
10 : 멍에 20 : 장선
30 : 데크 100 : 기초구조물
110 : 말뚝 111 : 연결판
112 : 나선날 113 : 나사산
114 : 나사산 115 : 개구부
120 : 말뚝보강부재 121 : 수평돌출부
122 : 상향절곡부 123 : 볼트
130 : 기초블록 140 : 보조높이조정장치
141 : 축부재 142 : 높이고정부재
200 : 멍에 고정 장치
210 : 회전축부재 211 : 하부연결판
212 : 말뚝연결부 213 : 회전축부
220 : 멍에수용부재 221 : 하부측벽부
222 : 축삽입홈 223 : 측벽연결볼트
224 : 바닥면 225 : 멍에삽입홈
226 : 멍에수용부 300 : 장선고정클립
310 : 장선수용홈 320 : 측벽면
330 : 날개부 400 : 난간기둥고정장치
410 : 멍에연결부재 411 : 멍에수용홈
420 : 내측관체 421 : 수직절개부
422 : 나선절개부 423 : 내측관나사산
424 : 스프링 430 : 외측관체
431 : 끼움부재 432 : 외측관나사산
433 : 고정볼트 434 : 끼움홈
435 : 바닥플레이트 436 : 보조볼트홀
500 : 난간기둥
510 : 기둥프레임 511 : 외측관삽입홀
512 : 평행돌출부 513 : 제1절곡부
514 : 제2절곡부 515 : 제1삽입홈
516 : 제3절곡부 517 : 제2삽입홈
518 : 볼트체결홀 520 : 일측수직마감목재
521 : 절곡부끼움홈 530 : 타측수직마감목재
540 : 상부마감캡 600 : 난간보
700 : 데크고정클립 710 : 바닥수평부
720 : 일측수직부 730 : 상부수평부
740 : 타측수직부 750 : 충격흡수부재
751 : 하부라운드부 760 : 측벽패킹
761 : 측면라운드부 762 : 가이드공간
770 : 변형유동방지부 771 : 중공부
772 : 중공벽체부 73 : 절개부
774 : 테이퍼부 780 : 피스
790 : 천공부재 791 : 선단
792 : 각뿔형성부 793 : 축경부

Claims (5)

  1. 데크로드용 목재 데크 구조물에 있어서,
    상부에 개구부(115)가 형성되어 있고, 개구부(115) 둘레로 연결판(111)이 설치되어 있는 강관 말뚝(110)을 포함하는 기초구조물(100)과;
    판상을 이루는 하부연결판(211)과, 상기 하부연결판(211)의 하부에 연결되어 있고 강관 말뚝(110) 상부에 나사 결합되어 상,하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있는 말뚝연결부(212)와, 상기 하부연결판(211)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광하협의 단면 형상을 갖는 구 형상으로 이루어진 회전축부(213)로 구성된 회전축부재(210)와, 상기 회전축부(213) 외주면 일측이 내측으로 수용되는 축삽입홈(222)이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고, 회전축부(213)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위치하는 두 개의 하부측벽부(221)와, 두 하부측벽부(221)를 관통하여 연결하는 측벽연결볼트(223)와, 각 하부측벽부(221) 상부에 형성되어 있고, 바닥면(224) 단부가 서로 맞대어진 채 상부가 개방된 멍에삽입홈(225)을 형성하고, 서로 볼트 결합에 의해 연결되는 두 개의 멍에수용부(226)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축부(213)를 기준으로 수평, 수직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멍에수용부재(220)로 구성된 멍에고정장치(200)와;
    상기 멍에고정장치(200)의 멍에삽입홈(225)에 하부가 삽입되어 설치되는 강재 멍에(10)와;
    상기 멍에(10)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강재 장선(20)과;
    상기 장선(20)을 감싸 멍에(10)에 고정시키는 장선고정클립(300)과;
    하부에 멍에수용홈(411)이 형성되어 있어 멍에(10) 상부가 삽입된 채 고정되는 멍에연결부재(410)와, 상기 멍에연결부재(410) 상부에 일체로 연결된 채 상향 돌출되어 있으며, 내부가 빈 관체로 이루어져 있되, 상부 외주면에는 양측에 수직 방향으로 하향되게 절개된 수직절개부(42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직절개부(421) 하단에 연결된 채 하방으로 나선형으로 절개된 나선절개부(422)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외주면에는 내측관나사산(423)이 형성되어 있는 내측관체(420)와, 내부가 상기 내측관체(420)의 외측으로 끼워져 회전 결합되고, 외부는 난간기둥(500) 하부에 결합되되, 내부에 서로 마주보는 반대편 내주면에 양단이 연결되어 있는 끼움부재(431)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끼움부재(431)는 하향 이동 및 회전 이동에 의해 상기 수직절개부(421) 및 나선절개부(422)에 끼워져 이동 및 회전하도록 이루어져 있고, 하부 내주면에 상기 내측관나사산(423)과 나사결합되는 외측관나사산(432)이 형성되어 있는 외측관체(430)로 구성된 난간기둥고정장치(400)와;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앙에 상기 외측관체(430)가 끼움 결합되는 외측관삽입홀(5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측관삽입홀(511)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는 면에 서로 평행하게 평행돌출부(512)가 양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평행돌출부(512)의 선단에 평행돌출부(512)와 직교한 방향 외측으로 제1절곡부(513)가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절곡부(513)의 선단에 상기 평행돌출부(512)와 평행한 방향으로 제2절곡부(514)가 절곡되어 형성되고 인접한 제2절곡부(514) 사이에 제1삽입홈(51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절곡부(513)와 평행돌출부(512)가 만나는 모서리에 상기 제1절곡부(513)와 반대 방향으로 제3절곡부(516)가 절곡되어 형성되고 인접한 제3절곡부(516) 사이에 제2삽입홈(517)이 형성되되, 제2삽입홈(517)은 장선(20)의 길이 방향에 해당하는 면에 형성되는 기둥프레임(510)과, 목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양측에 절곡부끼움홈(521)이 형성되어 있어 절곡부끼움홈(521)이 상기 제2절곡부(514)에 끼워진 채 일측은 상기 제1삽입홈(515)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기둥프레임(510)에 연결되는 일측수직마감목재(520)와, 상기 제2삽입홈(517)에 수직 방향으로 끼워져 설치되고, 양단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3절곡부(516) 사이 거리보다 길게 이루어져 있어 제2삽입홈(517)에 삽입된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탈이 방지되며, 상기 제2삽입홈(517)에 다수 개로 나뉘어져 상하로 서로 이격된 채 삽입되는 타측수직마감목재(530)와, 상기 기둥프레임(510)에 일측수직마감목재(520) 및 타측수직마감목재(530)가 결합된 상태에서 하부 내측으로 상기 기둥프레임(510), 일측수직마감목재(520), 타측수직마감목재(530) 상단을 수용하면서 끼움 결합되는 상부마감캡(540)으로 구성된 난간기둥(500)과;
    양단이 상기 인접한 난간기둥(500)의 제2삽입홈(517)에 끼워지고, 상하로 인접한 타측수직마감목재(530) 사이에 끼워져 설치되는 난간보(600)와;
    목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데크고정클립(700)에 의해 상기 장선(20) 상부에 연결 설치되는 데크(30);를 포함하여 구성된,
    데크로드용 목재 데크 구조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두 하부측벽부(221)에는 축삽입홈(222)의 양측으로 이격된 지점의 서로 마주보는 내주면에 하단으로부터 연통되게 볼트삽입홈(228)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볼트삽입홈(228) 상단에는 볼트삽입홈(228)과 연통되면서 폭이 큰 볼트머리삽입홈(227)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측벽연결볼트(223)에 의해 두 하부측벽부(221)가 체결된 상태에서 두 하부측벽부(221)의 볼트머리삽입홈(227)에 외주면 일측이 삽입되는 볼트머리(232)와;
    상기 볼트머리(232)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볼트머리(232)보다 외경이 작으면서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볼트몸체(231)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관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외주면 일측이 상기 볼트삽입홈(228)에 삽입되는 너트부재(233)와;
    상기 너트부재(233)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탄성력을 갖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쿠션재(234);로 구성된 보조지지장치(23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용 목재 데크 구조물.
  3. 제 2항에 있어서,
    하부는 연결판(111) 저부에 접하고, 상부는 연결판(111)을 관통하여 연결판(111) 상측으로 돌출되어 수평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되, 연결판(111) 상측으로 돌출된 부분에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는 하부보다 직경이 작게 이루어져 있는 축부재(141)와;
    내부가 빈 관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축부재(141)와 나사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단이 상기 하부연결판(211)과 접하여 지지되도록 이루어진 높이고정부재(142);로 구성된 보조높이조정장치(140)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용 목재 데크 구조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프레임(510)의 외측관삽입홀(511) 외곽에 볼트체결홀(518)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측관체(430) 하단에는 상기 멍에연결부재(410) 상면과 접하는 바닥플레이트(435)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멍에연결부재(410) 상면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걸림돌기(42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닥플레이트(435)에는 상기 끼움부재(431)가 나선절개부(422)를 타고 보조절개부(425)에 도달하는 상태에서 상기 걸림돌기(426)에 탄성에 의해 강제로 끼움 결합되는 끼움홈(43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용 목재 데크 구조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홈(434)은 상기 기둥프레임(510)의 제1삽입홈(515) 및 제2삽입홈(517)의 위치에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제1삽입홈(515) 및 제2삽입홈(517) 내부의 수분을 저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용 목재 데크 구조물.
KR1020160003890A 2016-01-12 2016-01-12 데크로드용 목재 데크 구조물 KR1017167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3890A KR101716721B1 (ko) 2016-01-12 2016-01-12 데크로드용 목재 데크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3890A KR101716721B1 (ko) 2016-01-12 2016-01-12 데크로드용 목재 데크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6721B1 true KR101716721B1 (ko) 2017-03-15

Family

ID=58402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3890A KR101716721B1 (ko) 2016-01-12 2016-01-12 데크로드용 목재 데크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6721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3243B1 (ko) * 2017-05-26 2017-11-03 주식회사 임성 블록 프레임이 구비된 데크로드
KR101862519B1 (ko) * 2017-08-03 2018-05-30 강릉영동대학 산학협력단 데크로드 구조물
KR101954362B1 (ko) 2018-10-22 2019-03-05 김성인 시공이 용이한 데크 로드
KR101954377B1 (ko) 2018-10-22 2019-03-05 김성인 내진 기능을 구비한 데크 로드
KR101958438B1 (ko) 2018-10-22 2019-03-14 김성인 내진 기능을 구비한 데크 구조물
KR20210070527A (ko) * 2019-12-05 2021-06-15 (주) 나무들 이탈착식 데크로드
KR102300546B1 (ko) 2021-07-16 2021-09-09 두원산업(주) 데크로드 구조물
KR102400904B1 (ko) * 2022-02-16 2022-05-24 주식회사 더우드 용이한 데크의 결합과 고정력을 향상시킨 데크 로드 시스템
KR102400905B1 (ko) * 2022-02-16 2022-05-24 주식회사 더우드 데크의 변형 및 밀림을 방지하며 전방향 각도조절이 용이한 데크 로드 시스템
KR102476437B1 (ko) * 2022-05-11 2022-12-13 심춘섭 시공성이 개선된 데크로드 브라켓 구조체
KR20230070743A (ko) * 2021-11-15 2023-05-23 주식회사 테크유니온 탄성 데크클립과 탄성 데크클립을 이용한 디자인형 울타리 일체형 데크로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411B1 (ko) * 2007-06-18 2007-09-03 주식회사 건축연합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유아보호형 난간
KR20110005685U (ko) * 2009-12-02 2011-06-10 장석조 휀스, 난간 및 목재창호 구조물
KR101137580B1 (ko) 2011-11-21 2012-04-20 주식회사 타스코아이 시스템화된 유격 방지형 목재 데크 구조물
KR20120003441U (ko) * 2012-04-18 2012-05-17 주식회사 이앤우드피아 친환경 데크 로드 시스템
KR101437060B1 (ko) * 2014-02-06 2014-09-02 주식회사 임성 데크 로드 시스템
KR101450716B1 (ko) 2014-06-12 2014-10-16 우리산업 주식회사 데크로드용 난간기둥 고정장치
KR101515371B1 (ko) 2014-07-04 2015-05-04 우리산업 주식회사 데크로드용 데크판 받침골조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411B1 (ko) * 2007-06-18 2007-09-03 주식회사 건축연합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유아보호형 난간
KR20110005685U (ko) * 2009-12-02 2011-06-10 장석조 휀스, 난간 및 목재창호 구조물
KR101137580B1 (ko) 2011-11-21 2012-04-20 주식회사 타스코아이 시스템화된 유격 방지형 목재 데크 구조물
KR20120003441U (ko) * 2012-04-18 2012-05-17 주식회사 이앤우드피아 친환경 데크 로드 시스템
KR101437060B1 (ko) * 2014-02-06 2014-09-02 주식회사 임성 데크 로드 시스템
KR101450716B1 (ko) 2014-06-12 2014-10-16 우리산업 주식회사 데크로드용 난간기둥 고정장치
KR101515371B1 (ko) 2014-07-04 2015-05-04 우리산업 주식회사 데크로드용 데크판 받침골조 고정장치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3243B1 (ko) * 2017-05-26 2017-11-03 주식회사 임성 블록 프레임이 구비된 데크로드
KR101862519B1 (ko) * 2017-08-03 2018-05-30 강릉영동대학 산학협력단 데크로드 구조물
KR101954362B1 (ko) 2018-10-22 2019-03-05 김성인 시공이 용이한 데크 로드
KR101954377B1 (ko) 2018-10-22 2019-03-05 김성인 내진 기능을 구비한 데크 로드
KR101958438B1 (ko) 2018-10-22 2019-03-14 김성인 내진 기능을 구비한 데크 구조물
KR102266307B1 (ko) * 2019-12-05 2021-06-17 (주) 나무들 이탈착식 데크로드
KR20210070527A (ko) * 2019-12-05 2021-06-15 (주) 나무들 이탈착식 데크로드
KR102300546B1 (ko) 2021-07-16 2021-09-09 두원산업(주) 데크로드 구조물
KR20230070743A (ko) * 2021-11-15 2023-05-23 주식회사 테크유니온 탄성 데크클립과 탄성 데크클립을 이용한 디자인형 울타리 일체형 데크로드
KR102543651B1 (ko) * 2021-11-15 2023-06-16 주식회사 테크유니온 탄성 데크클립과 탄성 데크클립을 이용한 디자인형 울타리 일체형 데크로드
KR102400904B1 (ko) * 2022-02-16 2022-05-24 주식회사 더우드 용이한 데크의 결합과 고정력을 향상시킨 데크 로드 시스템
KR102400905B1 (ko) * 2022-02-16 2022-05-24 주식회사 더우드 데크의 변형 및 밀림을 방지하며 전방향 각도조절이 용이한 데크 로드 시스템
KR102476437B1 (ko) * 2022-05-11 2022-12-13 심춘섭 시공성이 개선된 데크로드 브라켓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6721B1 (ko) 데크로드용 목재 데크 구조물
KR101848014B1 (ko) 데크로드용 난간 기둥 고정 장치와 이를 이용한 난간 기둥 구조물
KR101176188B1 (ko) 데크로드 구조물
US8117787B2 (en) Construction support
KR101876827B1 (ko) 완충형 보행 데크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940788B1 (ko) 데크로드용 멍에 고정 장치
US5395184A (en) Structure load transfer systems
KR101807668B1 (ko) 데크로드용 난간기둥 및 그 난간기둥에 연결되는 연결봉 연결구조
KR101495315B1 (ko) 합성 목재 지지 보강 및 하중분배 보강 구조체
KR101742245B1 (ko) 데크로드용 난간 기둥
KR101490495B1 (ko) 유격방지장치를 구비한 조립식 목구조물
KR101588325B1 (ko) 바닥데크용 결합구조
JP4912851B2 (ja) 雪崩・落石防護柵
KR20110002801U (ko) 기둥의 완충구조
KR102122085B1 (ko) 캔틸레버형 받침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확장형 인도교
KR101241351B1 (ko) 정착력이 우수한 네일 및 그 네일을 이용한 네일링 시공 방법
KR102498619B1 (ko) 수직형 앵커를 이용한 흙막이 벽체 및 그 시공방법
KR102050001B1 (ko) 펜스 지주대 고정용 지중구조체
KR102126260B1 (ko) 도로노면의 저수 방지를 위한 도로지반 강화용 쐐기 지압형 앵커 장치
KR102032697B1 (ko) 내충격 및 내진 기능이 향상된 기둥 조립체 및 그것이 적용된 조립식 난간
KR101750849B1 (ko) 말뚝을 이용한 데크로드용 기초 구조물
KR102186454B1 (ko) 가드 펜스
JP2007177559A (ja) 手摺の取付方法およびその取付構造
KR102499605B1 (ko) 시공오차 보정이 가능한 접지력 강화 말뚝 및 이를 이용한 데크로드
KR102249911B1 (ko) 용접연결유닛이 구비된 데크 난간 기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