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2801U - 기둥의 완충구조 - Google Patents

기둥의 완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2801U
KR20110002801U KR2020090012020U KR20090012020U KR20110002801U KR 20110002801 U KR20110002801 U KR 20110002801U KR 2020090012020 U KR2020090012020 U KR 2020090012020U KR 20090012020 U KR20090012020 U KR 20090012020U KR 20110002801 U KR20110002801 U KR 2011000280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concrete floor
bolt
anchor
buf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20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희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호수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호수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호수산업
Priority to KR20200900120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2801U/ko
Publication of KR201100028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80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50Anchored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4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resilient or elastic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둥의 완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상시 발생하는 바람에 의해 기둥이 유동하더라도(흔들 리더라도) 그 유동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여 기둥의 유동으로 인한 콘크리트바닥의 크랙 및 앙카볼트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둥 설치유지에 대한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음은 물론 기둥의 이상적인 설치상태를 반영구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앙카볼트가 여러 개 매설되어 앙카볼트 나사부가 돌출된 콘크리트바닥 상면에 기둥의 고정판을 안착 하면서 상기 고정판의 볼트구멍에 앙카볼트를 관통하고 상기 볼트구멍 상부로 돌출된 앙카볼트 나사부에 와셔와 한 개 이상의 너트를 순차적으로 체결하여 콘크리트바닥에 기둥의 고정판이 고정되도록 하는 통상적인 기둥의 고정구조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바닥과 고정판 사이에 완충판을 게재하고 고정판의 볼트구멍 각각에는 완충관을 끼워 완충관 중심으로 앙카볼트가 관통 되도록 하되, 완충관 상단에 받침면을 형성하여 와셔가 안착 되도록 한 것이다.
기둥, 콘크리트바닥, 완충판, 완충관, 유동 충격

Description

기둥의 완충구조{shock-absorbing structure of post}
본 고안은 상시 발생하는 바람에 의해 기둥이 미세하게 유동하더라도 그 유동 충격이 기둥을 고정하는 콘크리트바닥(기초석 포함)에 그대로 전달될 수 없도록 한 옥외기둥의 완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말하는 기둥은 캐노피, 가로등, 신호등 등을 설치하는 옥외 설치용 기둥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기둥을 설치할 때에는 기둥을 설치할 지면을 앙카볼트가 매설되는 콘크리트바닥 상면에 기둥 하단의 고정판을 안착하면서 앙카볼트를 고정판의 볼트구멍으로 관통하며, 이어서 고정판의 볼트구멍으로 돌출되는 앙카볼트에 너트를 체결하여 기둥의 설치를 완료한다.
그러나 위와 같은 방식으로 지면에 수직 설치되는 옥외 기둥은 상시 발생하는 바람에 의해 미세하게 유동할 수밖에 없고, 이 유동 충격은 기둥의 고정판을 고 정하는 앙카볼트가 감당하게 된다. 즉 기둥에 미세 유동이 발생하면 유동 충격은 콘크리트 바닥에 고정된 기둥 하단의 고정판에 전달되고, 유동 충격을 전달받는 고정판은 유동하려고 하며, 고정판의 유동성은 콘크리트바닥에 매설된 앙카볼트에 의해 고정된다. 이 경우 콘크리트바닥은 앙카볼트에 가해지는 기둥의 미세 유동 충격을 전달받게 된다.
이러한 작용이 지속적,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면 콘크리트 바닥의 크랙 및 앙카볼트의 변형이 발생하게 되고, 상기 크랙 및 앙카볼트 변형은 기둥의 수직 설치를 장시간 유지할 수 없도록 할 뿐만 아니라 기둥을 안전사고의 위험에서 노출 되도록 하는 문제를 초래한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이 종래 기둥의 고정구조에서 나타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고안은 기둥의 고정판, 콘크리트 바닥, 앙카볼트, 와셔의 각 경계부분에 완충구조를 채용하여 기둥의 미세한 유동 충격에 적극 대응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기둥의 완충구조는, 앙카볼트가 여러 개 매설되어 앙카볼트 나사부가 돌출된 콘크리트바닥 상면에 기둥의 고정판을 안착 하면서 상기 고정판의 볼트구멍에 앙카볼트를 관통하고 상기 볼트구멍 상부로 돌출된 앙카볼트 나사부에 와셔와 한 개 이상의 너트를 순차적으로 체결하여 콘크리트바닥에 기둥의 고정판이 고정되도록 하는 통상적인 기둥의 고정구조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바닥과 고정판 사이에 완충판을 게재하고 고정판의 볼트구멍 각각에는 완충관을 끼워 완충관 중심으로 앙카볼트가 관통되도록 하되, 완충관 상단에 받침면을 형성하여 와셔가 안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콘크리트바닥과 기둥의 고정판 사이에 완충판이 게재되어 있고, 또 고정판의 볼트구멍에 완충관이 삽입되어 있으므로 기둥이 상시 발생하는 바람에 의해 흔들 리더라도 그 유동 충격을 완충판 및 완충관이 흡수할 수 있어 기둥의 유동으로 인한 콘크리트바닥의 크랙 및 앙카볼트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효과는 기둥 설치유지에 대한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음은 물론 기둥의 이상적인 설치상태를 반영구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낳게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콘크리트바닥(20)을 시공할 때 먼저 여러 개의 앙카볼트(21)를 매설하여 앙카볼트 나사부(211)가 콘크리트바닥(20) 상면으로 돌출되도록 하고, 그 후 콘크리트바닥(20) 상면에 기둥 하단의 고정판(11)을 안착하면서 고정판(11)에 형성된 각 볼트구멍(111)을 각 앙카볼트(21)에 관통하여 볼트구멍(111) 상부로 앙카볼트 나사부(211)사 돌출되도록 하고, 이어서 앙카볼트 나사부(211)에 와셔(50)와 한 개 이상의 너트(60)를 체결하여 기둥(1)이 콘크리트바닥(20)을 고정면으로 하여 수직 설치되도록 한다. 이는 기둥)의 일반적인 설치 방식이다.
상기에서 기둥(1)의 고정판(11)을 콘크리트바닥(20) 상면에 안착할 때 콘크리트바닥(20)과 고정판(11) 사이에 완충판(30)을 게재한다. 물론 완충판(30)에는 앙카볼트(21)가 관통한다.
그리고 고정판(11)의 각 볼트구멍(111)에는 완충관(40)을 끼운 다음 완충관(40) 중심으로 앙카볼트(21)가 관통되도록 하되, 완충관(40) 상면에 받침면(41)을 형성하여 받침면(41) 상면에 와셔가 안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기둥(1)이 상시 발생하는 바람에 의해 미세하게 지속적, 반복적으로 흔들리더라도 콘크리트바닥(20)과 고정판(11) 사이에 완충판(30) 에 게재되어 있어 고정판(11)의 미세 유동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또 고정판(11)의 볼트구멍(111)에 완충관(40)이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판(11)의 미세 유동 충격이 앙카볼트(21)에 전달되지 않게 되고, 앙카볼트 나사부(211)에 끼워지는 와셔(50)가 완충관(40)의 받침면(41)에 안착되어 있어 고정판(11)의 미세 유동 충격이 앙카볼트(21)로 전달되지 않게 된다.
이를 정리하면 콘크리트바닥(20), 고정판(11), 볼트구멍(111), 와셔(50)의 결합 경계부분에 완충구조가 구현되어 있으므로 고정판(11)의 미세 유동 충격을 흡수/소멸시킬 수 있게 되어 고정판(11)의 미세 유동 충격으로 인한 콘크리트바닥(20)의 크랙 발생이나 앙카볼트(21)의 변형이 방지된다.
본 고안에서 완충판(30)과 완충관(40)은 강질의 고무로 하는 것이 바람직 하나, 완충 능력이 있는 다른 재질로 하여도 무방하다.
이상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고안의 위 실시 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단면 예시도
도 2는 도 1의 일부를 분해한 예시도 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기둥 11 : 고정판
111 : 볼트구멍 20 : 콘크리트바닥
21 : 앙카볼트 211 : 나사부
30 : 완충판 40 : 완충관
41 : 받침면 50 : 와셔
60 : 너트

Claims (1)

  1. 앙카볼트(21)가 여러 개 매설되어 앙카볼트 나사부(211)가 돌출된 콘크리트바닥(20) 상면에 기둥(1)의 고정판(11)을 안착 하면서 상기 고정판(11)의 볼트구멍(111)에 앙카볼트(21)를 관통하고 상기 볼트구멍(111) 상부로 돌출된 앙카볼트 나사부(211)에 와셔(50)와 한 개 이상의 너트(60)를 순차적으로 체결하여 콘크리트바닥(20)에 기둥(1)의 고정판(11)이 고정되도록 하는 통상적인 기둥의 고정구조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바닥(20)과 고정판(11) 사이에 완충판(30)을 게재하고, 고정판(11)의 볼트구멍(111) 각각에는 완충관(40)을 끼워 완충관(40) 중심으로 앙카볼트(21)가 관통되도록 하되, 완충관(40) 상단에 받침면(41)을 형성하여 와셔(50)가 안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의 완충구조.
KR2020090012020U 2009-09-14 2009-09-14 기둥의 완충구조 KR2011000280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2020U KR20110002801U (ko) 2009-09-14 2009-09-14 기둥의 완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2020U KR20110002801U (ko) 2009-09-14 2009-09-14 기둥의 완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801U true KR20110002801U (ko) 2011-03-22

Family

ID=44208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2020U KR20110002801U (ko) 2009-09-14 2009-09-14 기둥의 완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2801U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379B1 (ko) * 2013-07-04 2013-11-11 신중호 풍력발전기의 내진장치
KR101420981B1 (ko) * 2013-07-04 2014-07-17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링크형 풍력발전기의 내진장치
KR101426204B1 (ko) * 2013-07-04 2014-08-01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볼조인트를 이용한 풍력발전기의 내진장치
KR20160008082A (ko) * 2014-07-10 2016-01-21 시지엔지니어링(주) 다양한 결합방식의 임플란트 파일을 갖는 복합말뚝
KR20160007991A (ko) * 2014-07-10 2016-01-21 시지엔지니어링(주) 말뚝과 임플란트 파일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와셔를 갖는 복합말뚝
KR102362374B1 (ko) * 2021-10-13 2022-02-14 (주)삼진에너지 태양광 발전장치 지지구조체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379B1 (ko) * 2013-07-04 2013-11-11 신중호 풍력발전기의 내진장치
KR101420981B1 (ko) * 2013-07-04 2014-07-17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링크형 풍력발전기의 내진장치
KR101426204B1 (ko) * 2013-07-04 2014-08-01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볼조인트를 이용한 풍력발전기의 내진장치
KR20160008082A (ko) * 2014-07-10 2016-01-21 시지엔지니어링(주) 다양한 결합방식의 임플란트 파일을 갖는 복합말뚝
KR20160007991A (ko) * 2014-07-10 2016-01-21 시지엔지니어링(주) 말뚝과 임플란트 파일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와셔를 갖는 복합말뚝
KR102362374B1 (ko) * 2021-10-13 2022-02-14 (주)삼진에너지 태양광 발전장치 지지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02801U (ko) 기둥의 완충구조
KR101010256B1 (ko) 데크로드 장치
US20100205875A1 (en) Pole assembly and mounting thereof
KR101103382B1 (ko) 터널 방음벽
CA2908873A1 (en) Vibration control wall structure
KR101237518B1 (ko) 지주용 기초구조물
KR101083119B1 (ko) 목재 데크 구조물 및 그 친환경 시공방법
KR101530081B1 (ko) 완충슬롯을 갖는 와이어로프 완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낙석방지시설 시공 방법
KR101114840B1 (ko) 보강 지주조립체
KR200443819Y1 (ko) 시설물 지주의 설치구조
KR101370309B1 (ko) 차량의 진입규제 탄성볼라드와 그 설치방법
JP6964999B2 (ja) ベースプレート固定装置および固定方法
KR101254661B1 (ko) 완충기능을 갖는 플랜지
KR200414119Y1 (ko) 휀스용 포스트의 설치구조
KR101614529B1 (ko) 난간 지지 구조 및 이의 설치방법
KR101148172B1 (ko) 등주매립형 기초구조물 및 그를 이용한 가로등 등주의 설치방법
CN203188117U (zh) 桥梁护栏金属立柱底座的固定装置
KR101388253B1 (ko) 도로 시설물의 기초 시공 방법
KR200408589Y1 (ko) 휀스용 포스트의 기초구조
JP5976060B2 (ja) 支柱根元の犬猫放尿防止用構造物
KR100611722B1 (ko) 도로 및 교량용 난간지주의 설치구조
JP6431163B2 (ja) 道路の耐崩落性遮音壁とその遮音壁の吸音板の崩落防止施工方法
JP2013147797A (ja) 防護柵
KR100721666B1 (ko) 목재 수축으로 인한 유격 방지 구조를 갖는 목구조물의시공방법
JP2010048041A (ja) 手摺支柱の取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