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4661B1 - 완충기능을 갖는 플랜지 - Google Patents

완충기능을 갖는 플랜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4661B1
KR101254661B1 KR1020120072218A KR20120072218A KR101254661B1 KR 101254661 B1 KR101254661 B1 KR 101254661B1 KR 1020120072218 A KR1020120072218 A KR 1020120072218A KR 20120072218 A KR20120072218 A KR 20120072218A KR 101254661 B1 KR101254661 B1 KR 101254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portion
upper flange
lower flange
hole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2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구희
Original Assignee
곽구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구희 filed Critical 곽구희
Priority to KR1020120072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46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4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4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53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 E04H12/2276Clamping poles or posts on a stub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92Holders used for protection, repair or reinforcement of the post or po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완충기능을 갖는 플랜지에 관한 것으로서, 하부플랜지부와 상부플랜지부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통해 상부플랜지부에 수직설치된 지주에 발생되는 진동 등을 포함한 충격을 보다 용이하게 완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지면에 상기 지주가 보다 안정적으로 수직설치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완충기능을 갖는 플랜지{A FLANGE HAVING BUFFERING FUNCTION}
본 발명은 하부플랜지부와 상부플랜지부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통해 상부플랜지부에 수직설치된 지주에 발생되는 진동 등을 포함한 충격을 보다 용이하게 완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지면에 상기 지주가 보다 안정적으로 수직설치될 수 있는 완충기능을 갖는 플랜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주에는 가로등, 보안등, 신호등, 표지판 등을 포함한 시설물이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 지주의 외부에서 부는 바람 등에 의해 상기 지주가 흔들리면서 상기 지주에 발생되는 진동 등의 충격에 의해 지면에 상기 지주가 보다 안정적으로 수직설치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하부플랜지부와 상부플랜지부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통해 상부플랜지부에 수직설치된 지주에 발생되는 진동 등을 포함한 충격을 보다 용이하게 완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지면에 상기 지주가 보다 안정적으로 수직설치될 수 있는 완충기능을 갖는 플랜지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부플랜지부와; 상기 하부플랜지부의 상부방향에 구비되는 상부플랜지부와; 상기 하부플랜지부와 상기 상부플랜지부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능을 갖는 플랜지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플랜지부는 상기 하부플랜지부를 수직관통한 상태로 지면에 일정깊이로 삽입고정되는 고정부재에 의해 지면에 안착된 상태로 위치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부플랜지부와 상기 상부플랜지부를 체결시키기 위한 체결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하부플랜지부와 상기 상부플랜지부를 수직관통하는 체결볼트와; 상기 체결볼트의 상측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상부플랜지부에 밀착고정되는 체결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체결볼트를 감싼 상태로 상기 하부플랜지부와 상기 상부플랜지부 사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체결볼트의 상측에 나사결합된 상기 체결너트의 결합상태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풀림방지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상부플랜지부의 중심부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부플랜지부의 표면에 복수의 관통구가 상기 상부플랜지부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플랜지부의 관통구 주변의 상기 상부플랜지부의 표면에 상기 상부플랜지부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되는 환형의 홈이 형성되고, 환형의 상기 홈과 상기 관통구 사이에 상기 상부플랜지부의 상부방향으로 돌출되는 다각형형상의 돌출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너트의 외측면에 상기 체결너트의 내측으로 일정깊이로 함몰되는 끼움홈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풀림방지부재는 중심부에 상기 돌출부재가 수용되는 다각형형상의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너트의 하부방향에 위치한 상태로 환형의 상기 홈내에 안착되는 환형의 안착판과; 환형의 상기 안착판의 외측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체결너트의 끼움홈내에 끼움고정되는 풀림방지판;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하부플랜지부와 상부플랜지부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통해 상부플랜지부에 수직설치된 지주에 발생되는 진동 등을 포함한 충격을 보다 용이하게 완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지면에 상기 지주가 보다 안정적으로 수직설치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완충기능을 갖는 플랜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하부플랜지부와 상부플랜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상부플랜지부에 지주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 - A선에 따른 분리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B - B선에 따른 분리단면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도 6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9 내지 도 11은 풀림방지부재와 상부플랜지부의 결합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완충기능을 갖는 플랜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하부플랜지부(10)와 상부플랜지부(2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완충기능을 갖는 플랜지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하부플랜지부(10), 상부플랜지부(20) 및 탄성부재(도 4의 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하부플랜지부(10)는 환형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환형의 상기 하부플랜지부(10)는 지면(도 4의 5)에 수평으로 안착고정될 수 있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환형의 상기 하부플랜지부(10)의 중심부 외측에 위치하도록 환형의 상기 하부플랜지부(10)의 표면에는 복수의 관통구(110)가 상기 하부플랜지부(1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환형의 상기 하부플랜지부(10)의 상기 관통구(110)는 주관통구(111)와 보조관통구(1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주관통구(111)는 환형의 상기 하부플랜지부(10)의 일측표면, 환형의 상기 하부플랜지부(10)의 타측표면, 환형의 상기 하부플랜지부(10)의 전측표면 및 환형의 상기 하부플랜지부(10)의 후측표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환형의 상기 하부플랜지부(10)의 일측표면과 환형의 상기 하부플랜지부(10)의 타측표면에 형성된 상기 주관통구(111)는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될 수 있다.
환형의 상기 하부플랜지부(10)의 전측표면과 환형의 상기 하부플랜지부(10)의 후측표면에 형성된 상기 주관통구(111)는 좌우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주관통구(111)는 중심부가 상기 하부플랜지부(10)의 외측으로 볼록한 호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원형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 상기 보조관통구(112)는 상기 주관통구(111) 사이에 위치하도록 환형의 상기 하부플랜지부(10)의 표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상부플랜지부(20)는 상기 하부플랜지부(10)와 동일하게 환형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플랜지부(20)는 상기 하부플랜지부(10)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하부플랜지부(10)의 상부방향에 수평구비된다.
도 3은 상부플랜지부(20)에 지주(7)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상부플랜지부(20)의 중심부에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주(7)가 일체형으로 일정길이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주(7)의 상부에는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가로등, 보안등, 신호등, 표지판 등을 포함한 시설물이 설치될 수 있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환형의 상기 상부플랜지부(20)의 중심부 외측에 위치하도록 환형의 상기 상부플랜지부(20)의 표면에는 복수의 관통구(210)가 상기 상부플랜지부(2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환형의 상기 상부플랜지부(20)의 상기 관통구(210)는 주관통구(211)와 보조관통구(2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주관통구(211)는 환형의 상기 상부플랜지부(20)의 일측표면, 환형의 상기 상부플랜지부(20)의 타측표면, 환형의 상기 상부플랜지부(20)의 전측표면 및 환형의 상기 상부플랜지부(20)의 후측표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환형의 상기 상부플랜지부(20)의 일측표면과 환형의 상기 상부플랜지부(20)의 타측표면에 형성된 상기 주관통구(211)는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될 수 있다.
환형의 상기 상부플랜지부(20)의 전측표면과 환형의 상기 상부플랜지부(20)의 후측표면에 형성된 상기 주관통구(211)는 좌우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주관통구(211)는 중심부가 상기 상부플랜지부(20)의 외측으로 볼록한 호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원형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 상기 보조관통구(212)는 상기 주관통구(211) 사이에 위치하도록 환형의 상기 상부플랜지부(20)의 표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탄성부재(30)는 스프링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30)는 상기 하부플랜지부(10)와 상기 상부플랜지부(20) 사이에 수직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A - A선에 따른 분리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결합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플랜지부(10)는 상기 하부플랜지부(10)를 수직관통한 상태로 지면(5)이 일정깊이로 삽입고정되는 고정부재(40)에 의해 지면(5)에 수평으로 안착된 상태로 위치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40)는 앵커볼트(410), 너트(420) 및 와셔(4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앵커볼트(410)는 상기 앵커볼트(410)는 상기 하부플랜지부(10)의 주관통구(111)를 수직으로 관통한 상태로 지면(5)에 일정깊이로 삽입고정될 수 있다.
상기 너트(420)는 상기 앵커볼트(410)의 상측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와셔(430)는 중심부 내부에 상기 앵커볼트(410)의 상측이 수용된 상태로 상기 하부플랜지부(10)의 상부표면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와셔(430)의 상부방향에는 상기 앵커볼트(410)의 상측에 나사결합된 상기 너트(420)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와셔(430)는 상기 앵커볼트(410)의 상측에 나사결합된 상기 너트(420)의 결합상태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는 공지된 기술임과 동시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하여 실시할 수 있는 사항에 해당됨으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호형상 등으로 형성될수 있는 상기 주관통구(111)내에 상기 앵커볼트(410)의 상측이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앵커볼트(410)의 상측에 상기 와셔(430)와 상기 너트(420)를 결합시키기 전에 작업자는 상기 하부플랜지부(10)를 필요에 따라 제자리에서 정역회전시켜 위치조절할 수 있다.
도 6은 도 3의 B - B선에 따른 분리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결합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플랜지부(10)와 상기 상부플랜지부(20)를 체결시키기 위한 체결부재(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50)는 체결볼트(510)와 체결너트(5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볼트(510)는 상기 하부플랜지부(10)의 보조관통구(112)를 수직관통한 후 상기 상부플랜지부(20)의 보조관통구(212)를 수직관통할 수 있다.
상기 체결너트(520)는 상기 체결볼트(510)의 상측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상부플랜지부(20)의 상부표면에 밀착고정될 수 있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체결볼트(510)의 하측에 형성되는 헤드부(511)는 상기 하부플랜지부(10)의 보조관통구(112)의 하측 주변에 위치하는 상기 하부플랜지부(10)의 하부표면과 접한 상태로 외부로 노출되어 지면(5)에 일정깊이로 삽입될 수 있다.
또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플랜지부(10)의 보조관통구(112)는 상측보조관통구(112a)와 하측보조관통구(112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측보조관통구(112a)는 상기 주관통구(111)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부플랜지부(10)의 표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측보조관통구(112b)는 상기 상측보조관통구(112a)와 연통되도록 상기 상측보조관통구(112a)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측보조관통구(112b)의 내경크기는 상기 상측보조관통구(112a)의 내경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볼트(510)의 하측에 형성되는 상기 헤드부(511)가 외부로 노출되는 부위를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체결볼트(510)의 하측에 형성되는 상기 헤드부(511)는 상기 하부플랜지부(10)의 보조관통구(112)의 하측보조관통구(112b)내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30)는 상기 체결볼트(510)를 감싼 상태로 상기 하부플랜지부(10)와 상기 상부플랜지부(20) 사이에 수직구비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은 풀림방지부재(60)와 상부플랜지부(20)의 결합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사시도이다.
다음으로, 도 8 내지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체결볼트(510)의 상측에 나사결합된 상기 체결너트(520)의 결합상태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풀림방지부재(60)가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먼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플랜지부(20)의 관통구(210)의 보조관통구(212) 주변의 상기 상부플랜지부(20)의 상부표면에는 상기 상부플랜지부(20)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되는 환형의 홈(70)이 형성될 수 있다.
환형의 상기 홈(70)과 상기 관통구(210)의 보조관통구(212) 사이에 상기 상부플랜지부(20)의 상부방향으로 돌출되는 다각형형상의 돌출부재(8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너트(520)의 외측면에는 상기 체결너트(520)의 내측으로 일정깊이로 함몰되는 끼움홈(521)이 상기 체결너트(52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풀림방지부재(60)는 환형의 안착판(610)과 풀림방지판(6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환형의 상기 안착판(610)의 중심부에는 상기 돌출부재(80)가 수용되는 다각형형상의 관통구(611)가 형성될 수 있다.
환형의 상기 안착판(610)은 상기 체결너트(520)의 하부방향에 위치한 상태로 환형의 상기 홈(70)내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풀림방지판(620)은 환형의 상기 안착판(610)의 외측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풀림방지판(620)은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환형의 상기 안착판(610)의 외측방향으로 상향경사질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풀림방지판(620)의 하측을 기준으로 상기 풀림방지판(620)의 상측은 작업자에 의해 상기 체결너트(520)의 끼움홈(521)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끼움홈(521)내에 끼움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상부플랜지부(20)에 수직설치된 지주(7)가 바람 등에 의해 흔들리면서 상기 지주(7)에 발생되는 진동 등의 충격을 상기 하부플랜지부(10)와 상부플랜지부(20) 사이에 구비되는 상기 탄성부재(30)의 탄성력을 통해 보다 용이하게 완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지면(5)에 상기 지주(7)가 보다 안정적으로 수직설치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하부플랜지부, 20; 상부플랜지부,
30; 탄성부재.

Claims (5)

  1. 하부플랜지부(10)와;
    상기 하부플랜지부(10)의 상부방향에 구비되는 상부플랜지부(20)와;
    상기 하부플랜지부(10)와 상기 상부플랜지부(20)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플랜지부(10)는 상기 하부플랜지부(10)를 수직관통한 상태로 지면(5)에 일정깊이로 삽입고정되는 고정부재(40)에 의해 지면(5)에 안착된 상태로 위치고정되고,
    상기 하부플랜지부(10)와 상기 상부플랜지부(20)를 체결시키기 위한 체결부재(50)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부재(50)는 상기 하부플랜지부(10)와 상기 상부플랜지부(20)를 수직관통하는 체결볼트(510)와;
    상기 체결볼트(510)의 상측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상부플랜지부(20)에 밀착고정되는 체결너트(5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탄성부재(30)는 상기 체결볼트(510)를 감싼 상태로 상기 하부플랜지부(10)와 상기 상부플랜지부(20)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체결볼트(510)의 상측에 나사결합된 상기 체결너트(520)의 결합상태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풀림방지부재(60)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플랜지부(10)의 중심부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부플랜지부(10)의 표면에 복수의 관통구(110)가 상기 하부플랜지부(1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관통구(110)는 상기 하부플랜지부(10)의 일측표면, 타측표면, 전측표면 및 후측표면에 각각 형성되는 호형상의 주관통구(111)와; 상기 주관통구(111)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부플랜지부(10)의 표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보조관통구(112);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플랜지부(20)의 중심부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부플랜지부(20)의 표면에 복수의 관통구(210)가 상기 상부플랜지부(2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관통구(210)는 상기 상부플랜지부(20)의 일측표면, 타측표면, 전측표면 및 후측표면에 각각 형성되는 호형상의 주관통구(211)와; 상기 주관통구(211)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부플랜지부(20)의 표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보조관통구(212);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플랜지부(20)의 관통구(210)의 보조관통구(212) 주변의 상기 상부플랜지부(20)의 표면에 상기 상부플랜지부(20)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되는 환형의 홈(70)이 형성되고,
    환형의 상기 홈(70)과 상기 관통구(210)의 보조관통구(212) 사이에 상기 상부플랜지부(20)의 상부방향으로 돌출되는 다각형형상의 돌출부재(80)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너트(520)의 외측면에 상기 체결너트(520)의 내측으로 일정깊이로 함몰되는 끼움홈(521)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풀림방지부재(60)는 중심부에 상기 돌출부재(80)가 수용되는 다각형형상의 관통구(611)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너트(520)의 하부방향에 위치한 상태로 환형의 상기 홈(70)내에 안착되는 환형의 안착판(610)과;
    환형의 상기 안착판(610)의 외측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체결너트(520)의 끼움홈(521)내에 끼움고정되는 풀림방지판(62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능을 갖는 플랜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20072218A 2012-07-03 2012-07-03 완충기능을 갖는 플랜지 KR101254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2218A KR101254661B1 (ko) 2012-07-03 2012-07-03 완충기능을 갖는 플랜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2218A KR101254661B1 (ko) 2012-07-03 2012-07-03 완충기능을 갖는 플랜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4661B1 true KR101254661B1 (ko) 2013-04-15

Family

ID=48443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2218A KR101254661B1 (ko) 2012-07-03 2012-07-03 완충기능을 갖는 플랜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466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896B1 (ko) * 2013-11-13 2014-01-23 비엘룩스(주) 진동방지형 가로등
KR200488686Y1 (ko) * 2018-09-21 2019-03-07 (주) 은성하이텍 진동감소용 가로등주
CN110029862A (zh) * 2019-05-24 2019-07-19 国网山东省电力公司平度市供电公司 一种可调式电线杆加固装置及使用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4171A (ko) * 2007-04-19 2008-10-23 문창수 도로변 시설물용 지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4171A (ko) * 2007-04-19 2008-10-23 문창수 도로변 시설물용 지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896B1 (ko) * 2013-11-13 2014-01-23 비엘룩스(주) 진동방지형 가로등
KR200488686Y1 (ko) * 2018-09-21 2019-03-07 (주) 은성하이텍 진동감소용 가로등주
CN110029862A (zh) * 2019-05-24 2019-07-19 国网山东省电力公司平度市供电公司 一种可调式电线杆加固装置及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66299B2 (en) Support post for a flexible substrate
KR101254661B1 (ko) 완충기능을 갖는 플랜지
KR101217358B1 (ko) 마루 받침장치
KR101261853B1 (ko) 낙석방지망 와이어로프 충격완충 고정장치
KR101928486B1 (ko) 휀스
KR101237518B1 (ko) 지주용 기초구조물
KR20200017103A (ko) 차선 규제봉
KR20190122110A (ko) 도로의 충격흡수 받침대
KR100955424B1 (ko) 앵커 지주
CN107208679A (zh) 用于坠落制动设备的安装支架
KR102175172B1 (ko) 내진 성능을 가진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KR101823565B1 (ko) 진동 완충 기능을 가진 조명등
CN205329728U (zh) 一种线井井盖
KR102128747B1 (ko) 내진 조명 시스템
KR101898690B1 (ko) 유지보수가 쉬운 탈부착식 탄성 볼라드
KR101006536B1 (ko) 표지판 고정장치
KR101414783B1 (ko) 내진형 가로등
JP2001073329A (ja) ポールの固定構造
JP5520181B2 (ja) 支柱の施工方法
KR101884192B1 (ko) 탄성 볼라드
KR101242716B1 (ko) 분리형 차선 규제봉 어셈블리
KR200176097Y1 (ko) 기둥 지지 구조
KR100969451B1 (ko) 도로용 차선규제봉
KR101058236B1 (ko) 방진이 가능한 엘이디 가로등
KR200491680Y1 (ko) 부하개폐기용 지지금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