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5424B1 - 앵커 지주 - Google Patents

앵커 지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5424B1
KR100955424B1 KR1020080018145A KR20080018145A KR100955424B1 KR 100955424 B1 KR100955424 B1 KR 100955424B1 KR 1020080018145 A KR1020080018145 A KR 1020080018145A KR 20080018145 A KR20080018145 A KR 20080018145A KR 100955424 B1 KR100955424 B1 KR 100955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support
hemispherical
anchor bolt
fixing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8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2915A (ko
Inventor
정웅선
Original Assignee
정웅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웅선 filed Critical 정웅선
Priority to KR1020080018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5424B1/ko
Publication of KR20090092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2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5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5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53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 E04H12/2269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in a socke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84Means for adjusting the orientation of the post or po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일의 앵커 볼트를 이용하여 펜스, 가로등, 국기 게양대, 방음막, 또는 난간 등의 다양한 종류의 기둥을 설치할 지면에 간단하면서도 견고히 고정할 수 있음과 동시에, 설치할 지면이 경사진 형태일지라도 수직으로 완벽히 고정설치할 수 있는 앵커 지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앵커 지주는, 끼움 박스 및 기초 콘크리트에 매립 고정하기 위한 앵커 지주에 있어서, 상단부에는 나사부가 형성되고 하단부는 상기 끼움 박스에 끼워져 수직으로 매립되는 앵커 볼트와; 상기 앵커 볼트의 상기 나사부가 형성된 상단부가 중앙 관통홀을 통해 삽입관통되며, 그 상부 외주면 일측에 상기 앵커 지주의 기둥 하단이 수평되게 체결되는 반구형 고정 캡과; 상기 반구형 고정 캡의 제 1 중앙 관통홀을 통해 노출된 상기 앵커 볼트의 상기 나사부와 체결되는 앵커 너트 및 와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주, 앵커 볼트

Description

앵커 지주{ANCHOR POST}
본 발명은 앵커 지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일의 앵커 볼트를 이용하여 펜스, 가로등, 국기 게양대, 방음막, 또는 난간 등의 다양한 종류의 기둥을 설치할 지면에 간단하면서도 견고히 고정할 수 있음과 동시에, 설치할 지면이 경사진 형태일지라도 수직으로 완벽히 고정설치할 수 있는 앵커 지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앵커 지주에서는, 먼저, 대략 사각통 형상의 고정 박스와 그 하부에 지지대로 형성된 사각판 형상의 받침대로 구성된 앵커 플레이트를 설치한 지면상에 기초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이어서, 상기 사각판 형상의 받침대의 네 모서리를 4개의 앵커볼트로 체결하여 받침대를 지면에 고정시킨 다음, 펜스, 방음막, 가로등, 신호등 또는 난간의 기둥을 상기 사각통 형상의 고정박스에 끼우고 고정볼트와 너트로 고정시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랭의 앵커 지주는 기초콘크리트에 다수의 앵커볼트를 일 일이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시공이 번거롭고, 그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보다 견고하게 지면에 대해 설치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더구나, 설치할 지면이 약간 경사진 형태인 경우에는 경사진 각도를 고려하여 정확히 수직으로 설치되어야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앵커 지주의 구조로는 펜스, 방음막, 가로등, 신호등 또는 난간의 기둥 또는 지주를 완벽히 수직으로 고정설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일의 앵커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하여 펜스, 가로등, 국기 게양대, 방음막, 또는 난간 등의 다양한 종류의 기둥을 설치할 지면에 간단하면서도 견고히 고정할 수 있음과 동시에, 설치할 지면이 경사진 형태일지라도 수직으로 완벽히 고정설치할 수 있는 앵커 지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앵커 지주의 기둥의 전체를 수지 캡으로 별도 커버하여 최종 작업 후에는 외관을 미려하게 표출할 수 있는 앵커 지주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앵커 지주는, 끼움 박스 및 기초 콘크리트에 매립 고정하기 위한 앵커 지주에 있어서, 상단 부에는 나사부가 형성되고 하단부는 상기 끼움 박스에 끼워져 수직으로 매립되는 앵커 볼트와; 상기 앵커 볼트의 상기 나사부가 형성된 상단부가 중앙 관통홀을 통해 삽입관통되며, 그 상부 외주면 일측에 상기 앵커 지주의 기둥 하단이 수평되게 체결되는 반구형 고정 캡과; 상기 반구형 고정 캡의 제 1 중앙 관통홀을 통해 노출된 상기 앵커 볼트의 상기 나사부와 체결되는 앵커 너트 및 와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앵커 볼트의 하단부는 확개부가 형성되고 매립시 상기 끼움 박스를 통해 중공(中空)의 원통판 형상의 앵커 볼트 고정구가 상기 확개부 상측으로 끼워져 압입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반구형 고정캡의 하측 내주면으로는 상기 앵커볼트의 상단부가 수직으로 관통되는 제 2 중앙 관통홀이 형성된 반구 지지체가 더 밀착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반구 지지체의 하측면으로는 그 하측부를 커버하며, 설치 지면에 밀착되는 링 형상의 원판이 일체 또는 부착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앵커 지주의 기둥의 하측부에는 홀이 형성되어 노출된 상기 앵커 볼트의 나사부와 앵커 너트 및 와셔를 외부에서 조여서 고정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반구형 고정캡의 상부 외주면 둘레로는 다수의 나사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반구형 고정캡의 내주면에 밀착지지되는 상기 반구 지지체 외주면에는 사이즈가 다른 오돌오돌한 다각형 돌기부가 다수개가 분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반구형 고정캡의 제 1 중앙 관통홀은 클로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앵커 지주의 기둥의 전체를 수지 캡으로 커버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앵커 지주에 의하면, 단일의 앵커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하여 펜스, 가로등, 국기 게양대, 방음막, 또는 난간 등의 다양한 종류의 기둥을 설치할 지면에 간단하면서도 견고히 고정할 수 있음과 동시에, 설치할 지면이 경사진 형태일지라도 수직으로 완벽히 고정설치할 수 있고 보다 외관이 미려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앵커 지주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앵커 지주의 개략적인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앵커 지주의 개략적인 결합 단면도로서, 편의상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앵커 지주(100)는, 펜스, 가로등, 국기 게양대, 방음막, 또는 난간 등의 다양한 종류의 지주(기둥) 등에 적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있어 그 적용 대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앵커 지주(100)는, 끼움 박스(20) 및 기초 콘크리트(70)에 고정하기 위한 앵커 지주에 있어서, 상단부에는 나사부(11)가 형성되고 하단부는 상기 끼움 박스(20)에 끼워져 수직으로 매립되는 앵커 볼트(10)와; 상기 앵커 볼트(10)의 나사부(11)가 형성된 상단부가 중앙 관통홀(31)을 통해 삽입관통되며, 그 상부 외주면 일측에 상기 앵커 지주의 기둥(50) 하단이 체결되는 반구형 고정 캡(30)과; 상기 반구형 고정 캡(30)의 중앙 관통홀(31)을 통해 노출된 상기 앵커 볼트(10)의 상기 나사부(11)와 체결되는 앵커 너트(60) 및 와셔(61)로 크게 이루어진다.
상기한 끼움 박스(20)는 앵커 볼트(10)의 하단부가 끼워져 매립되는 박스 형태의 대략 원형 홈으로서, 미리 앵커 볼트(10)의 하단부의 형상에 맞추어 앵커 지주의 기둥(50)이 설치된 장소의 지면에 미리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물론, 앵커 볼트(10)의 하단부가 매립된 후에는 기초 콘크리트(70)에 의해 콘크리트 타설되어 앵커 볼트(10)는 끼움 박스(20)내에 완전 고정되어 진다. 여기서, 도시된 예에서는 기초 콘크리트(70)에 의한 타설된 예를 나타내고 있으나, 기초 콘크리트의 타설 대신에 앵커 볼트의 매립 후에 그 상부로 철판 등을 이용하여 앵커 볼트를 지면에 대해 단단히 고정지지할 수도 있다.
상기한 앵커 볼트(10)는 상단부의 외주연으로는 나사부(11)가 형성되고, 끼움 박스(20)내에 끼워지는 하단부의 외주연에는 상협하광(上狹下廣)형태로 경사지는 확개부(12)가 일체 형성되어 매립시에 중공(中空)의 원통판 형상의 앵커 볼트 고정구(13)가 끼움 박스(20)와 수직 매립되는 앵커 볼트(10) 사이의 공간을 메움과 동시에 그 하단부는 경사지는 상기 확개부(12) 상측으로 압입하여 더욱 더 견고히 앵커 볼트(10)가 끼움 박스(20)내에 압입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앵커 지주의 기둥(50)은 상술한 바와 같이, 펜스, 가로등, 신호등, 안내 표지판, 국기 게양대, 방음막, 또는 난간 등에 적용될 수 있으며, 도시된 예에서는 사각기둥 형태를 하고 있으나, 삼각 또는 오각 이상의 다각형 또는 원형 등일 수 있으며, 그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그 재질로는 스틸 재질이 바람직하나 그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한 앵커 지주의 기둥(50)의 하측부에는 큰 홀(51)이 형성되어 노출된 앵커 볼트(10)의 나사부(11)와 앵커 너트(60) 및 와셔(61)를 렌치(미도시) 등을 통해 외부에서 작업자가 용이하게 조여서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앵커 지주의 기둥(50)의 전체를 외관이 미려한 수지 캡(52)으로 커버하여 최종 작업 후에는 외관을 미려하게 표출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수지 캡은 공지된 기술 및 형태로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한 반구형 고정 캡(30)은, 전체적으로 평면상 볼록한 형상으로 상기 앵커 박스(20)가 형성된 지면을 향해 안정되게 놓여진 상태를 이루며, 그 중앙에는 중앙 관통홀(31)이 형성되어 앵커 박스(20)내에 매립된 앵커 볼트(10)의 상단부인 나사부(11)가 삽입관통되며, 볼록한 형상의 외주면 일측에는 상기 앵커 지주의 사각기둥(50) 하단 네변이 수평적으로 균형 있게 체결되어 있다.
즉, 반구형 고정 캡(30)의 외주면의 수평으로 대칭되는 네곳에는 상기 사각 기둥(50)의 하단 네변의 각 중앙과 용접되어 거의 고정 캡(30)과 사각기둥(50)은 일체로 거의 수평 상태로 받듯이 놓여 질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한 반구형 고정 캡의 제 1 중앙 관통홀(31)을 통해 앵커 박스(20)내에 매립된 앵커 볼트(10)의 상단부인 나사부(11)가 삽입관통되어 앵커 너트(60) 및 와셔(61)를 통해 나사부(11)가 체결됨으로써, 펜스, 가로등, 국기 게양대, 방음막, 또는 난간의 지주로서의 사각기둥(50)은 지면에 대해 견고하면서도 정확히 수직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반구형 고정캡(30)의 하측 내주면으로는 역시 앵커볼트(10)의 상단부가 대략 수직으로 관통되는 제 2 중앙 관통홀(41)이 형성된 반구 지지체(40)가 더 밀착지지된다.
또한, 선택적으로 상기한 반구 지지체(40)의 하측면으로는 그 하측부를 커버하며, 지면에 밀착되는 링 형상의 원판(42)이 추가적으로 일체 또는 부착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지주로서의 사각기둥(50)이 지면에 대해 보다 안정적으로 밀착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원판(41)에도 중앙홀(도면 번호 미부여)이 형성되어 앵커볼트(10)의 상단부(나사부(11) 포함)가 제 1 및 제 2 중앙 관통홀(31)(41)을 통해 대략 수직으로 삽입되어 너트(60) 및 와셔(61)에 의해 체결될 수 있는 구조가 된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앵커 지주의 개략적인 결합 단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앵커 지주의 반구형 고정캡 및 반구 지지체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분해도로서, 반구형 고정캡(30) 및 반구 지지체(40)가 다소 변경된 형태를 나타내는 구조이며, 그 외의 앵커 지지의 형상은 도 1 내지 도 3의 그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들어 그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즉,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구형 고정캡(30)의 상부 외주면 둘레로는 다수의 소형의 나사 체결홀(32)이 형성되고, 반구형 고정캡(30)의 내주면에 밀착지지되는 반구 지지체(40) 외주면에는 사이즈가 각기 다른 오돌오돌한 다각형 또는 원형 돌기부(43)가 다수개가 분산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반구 지지체(40) 외주면에 오돌오돌한 다수의 돌기부(43)가 형성되고, 다수의 나사 체결홀(32)이 소형의 나사 체결 볼트(62)를 통해 반구 지지체(40)에 압입체결됨으로써, 반구형 고정캡(30)의 내주면과 반구 지지체(40)의 외주면이 보다 안정적으로 밀착 고정되어, 사각기둥(50)이 지면에 대해 구조적으로 매우 튼튼해져 외력에 의한 파손이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돌기부의 형태는 삼각형, 사각형, 또는 다이아몬드형과 같은 다각형태가 바람직하나 본 발명에 있어 그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더욱이, 상기한 반구형 고정캡(30)의 제 1 중앙 관통홀(31)이 대략 클로버 형태로 이루어지며, 반구 지지체(40)의 제 2 중앙 관통홀(41)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있음으로, 지면이 경사진 형태에 사각기둥(50)이 설치되더라도 클로버 형태의 제 2 중앙 관통홀(41)에 삽입된 앵커 볼트(10)의 상단부를 기울어진 경사각 만큼 조정하여 너트(60) 및 와셔(61)로 고정설치할 수 있음으로, 사각기둥(50)을 경사진 지면일지라도 경사면에 상관없이 정확히 외관상(겉보기상) 수직방향을 항상 유지할 수 있도록 조정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앵커 지주(100)를 설치하는 방법을 도 1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앵커 지주(100)를 설치한 장소(지면)에 앵커 볼트(10)의 하단부가 끼워져 매립될 원형 또는 사각 홈 형태의 끼움 박스(20)를 앵커 볼트(10)의 형상에 맞추어 형성한다.
이어서, 앵커 볼트(10)의 하단부를 끼움 박스(20)에 삽입한 후에 중공(中空)의 원통판 형상의 앵커 볼트 고정구(13)를 끼움 박스(20)와 수직 매립되는 앵커 볼트(10) 사이의 공간을 메움과 동시에 그 하단부는 경사지는 상기 확개부(12) 상측으로 압입하고 기초 콘크리트(70)에 의해 콘크리트 타설하여 앵커 볼트(10)의 하단부를 설치할 지면에 완전히 고정한다.
계속해서, 반구형 고정 캡(30)의 외주면의 수평으로 대칭되는 네곳에 상기 사각기둥(50)의 하단 네변을 용접하여 반구형 고정 캡(30)과 사각기둥(50)을 일체로 형성한다.
그 다음에, 상기한 반구형 고정캡(30)의 하측 내주면에 반구 지지체(40)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설치한 장소에 매립된 앵커 볼트(10)의 상단부(나사부(11) 포함)를 제 1 및 2 중앙 관통홀(31)(41)을 통해 끼워넣어 상기 사각기둥(50)을 거의 수직 상태로 위치시킨다.
이 상태에서, 상기한 앵커 지주의 기둥(50)의 하측부에 형성된 큰 사각 홀(51)을 통해 노출된 앵커 볼트(10)의 나사부(11)와 앵커 너트(60) 및 와셔(61)를 렌치(미도시) 등을 통해 외부에서 작업자가 간단히 조여서 지주로서의 사각 기둥(50)을 설치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반구형 고정캡(30)의 상부 외주면 둘레에 다수의 소형의 나사 체결홀(32)이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앵커 너트(60) 및 와셔(61)에 의한 체결과 동시에 소형의 나사 체결 볼트(62) 및 나사 체결홀(32)을 통한 체결이 이루어짐으로써, 더욱 튼튼하게 지주로서의 사각기둥(50)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설치할 장소의 지면이 약간 경사진 경우에는 사각기둥(50)이 외관상 수직방향으로 설치하기 어렵기 때문에, 클로버 형태의 제 1 중앙 관통홀(31)에 삽입된 앵커 볼트(10)의 상단부를 기울어진 경사각만큼 조정하여 너트(60) 및 와셔(61)로 고정설치할 수 있음으로, 사각기둥(50)을 경사진 지면일지라도 외관적으로 정확히 수직방향을 유지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다양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요지 및 스코프를 일탈하는 일 없이도 다양한 변화 및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영역 내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앵커 지주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앵커 지주의 개략적인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앵커 지주의 개략적인 결합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앵커 지주의 개략적인 결합 단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앵커 지주의 반구형 고정캡 및 반구 지지체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분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본 발명에 따른 앵커 지주
10: 앵커 볼트 11: 나사부
12: 확개부 20: 끼움 박스
30: 반구형 고정 캡 31: 제 1 중앙 관통홀
32: 소형의 나사 체결홀 40: 분구 지지체
41: 제 2 중앙 관통홀 42: 원판
43: 오돌오돌한 돌기부 50: 기둥(지주)
51: 사각 홀 52: 수지 캡
60: 앵커 너트 61: 와셔
62: 나사 체결 볼트 70: 기초 콘크리트

Claims (8)

  1. 끼움 박스 및 기초 콘크리트에 매립 고정하기 위한 앵커 지주에 있어서,
    상단부에는 나사부가 형성되고 하단부는 상기 끼움 박스에 끼워져 수직으로 매립되는 앵커 볼트와,
    상기 앵커 볼트의 상기 나사부가 형성된 상단부가 중앙 관통홀을 통해 삽입관통되며, 그 상부 외주면 일측에 상기 앵커 지주의 기둥 하단이 수평되게 체결되는 반구형 고정 캡과,
    상기 반구형 고정 캡의 제 1 중앙 관통홀을 통해 노출된 상기 앵커 볼트의 상기 나사부와 체결되는 앵커 너트 및 와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지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볼트의 하단부는 확개부가 형성되고 매립시 상기 끼움 박스를 통해 중공(中空)의 원통판 형상의 앵커 볼트 고정구가 상기 확개부 상측으로 끼워져 압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지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구형 고정캡의 하측 내주면으로는 상기 앵커볼트의 상단부가 수직으로 관통되는 제 2 중앙 관통홀이 형성된 반구 지지체가 더 밀착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지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반구 지지체의 하측면으로는 그 하측부를 커버하며, 설치 지면에 밀착되는 링 형상의 원판이 일체 또는 부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지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지주의 기둥의 하측부에는 홀이 형성되어 노출된 상기 앵커 볼트의 나사부와 앵커 너트 및 와셔를 외부에서 조여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지주.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반구형 고정캡의 상부 외주면 둘레로는 다수의 나사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반구형 고정캡의 내주면에 밀착지지되는 상기 반구 지지체 외주면에는 사이즈가 다른 오돌오돌한 다각형 또는 원형 돌기부가 다수개가 분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지주.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반구형 고정캡의 제 1 중앙 관통홀은 클로버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지주.
  8. 제 1 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지주의 기둥의 전체를 수지 캡으로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지주.
KR1020080018145A 2008-02-28 2008-02-28 앵커 지주 KR1009554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8145A KR100955424B1 (ko) 2008-02-28 2008-02-28 앵커 지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8145A KR100955424B1 (ko) 2008-02-28 2008-02-28 앵커 지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2915A KR20090092915A (ko) 2009-09-02
KR100955424B1 true KR100955424B1 (ko) 2010-05-04

Family

ID=41301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8145A KR100955424B1 (ko) 2008-02-28 2008-02-28 앵커 지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54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3950B1 (ko) 2008-08-19 2012-03-23 정웅선 철망 펜스용 지주
KR101703110B1 (ko) * 2015-12-01 2017-02-06 주식회사 디에스글로벌이씨엠 보도 교량용 조립식 교각의 시공 구조 및 그 교각의 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7502B1 (ko) * 2013-03-20 2014-12-31 이강주 난간지주 고정구
KR101672127B1 (ko) * 2015-04-07 2016-11-03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매립형 앵커 캡 세트를 갖는 가속도계 행거
CN113734354A (zh) * 2021-09-18 2021-12-03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防海盗装置、拆装装置及其使用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8856Y1 (ko) * 2000-11-28 2001-07-19 홍병윤 사다리의 경사면 자동조절 받침
KR200254596Y1 (ko) 2001-07-24 2001-12-01 베스틸건설 주식회사 기둥
KR200299629Y1 (ko) 2002-10-14 2003-01-03 경 현 윤 난간 조립 유니트
KR200317236Y1 (ko) 1999-04-30 2003-06-25 행운정밀공업 주식회사 난간지주 고정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7236Y1 (ko) 1999-04-30 2003-06-25 행운정밀공업 주식회사 난간지주 고정구
KR200228856Y1 (ko) * 2000-11-28 2001-07-19 홍병윤 사다리의 경사면 자동조절 받침
KR200254596Y1 (ko) 2001-07-24 2001-12-01 베스틸건설 주식회사 기둥
KR200299629Y1 (ko) 2002-10-14 2003-01-03 경 현 윤 난간 조립 유니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3950B1 (ko) 2008-08-19 2012-03-23 정웅선 철망 펜스용 지주
KR101703110B1 (ko) * 2015-12-01 2017-02-06 주식회사 디에스글로벌이씨엠 보도 교량용 조립식 교각의 시공 구조 및 그 교각의 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2915A (ko) 2009-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5424B1 (ko) 앵커 지주
US7475479B1 (en) Method for anchoring a hollow fence post
JP2023134591A (ja) アンカープラットフォーム組立体
US10801174B2 (en) Collar and anchor kits
US9151038B2 (en) Anchor bolt devices and operating methods for residential and commercial structures
KR20110002801U (ko) 기둥의 완충구조
KR100875276B1 (ko) 도로용 강관유닛
JP2017172233A (ja) 安全柵土台
KR101007729B1 (ko) 다목적설치대
JP5037864B2 (ja) 金属管柱の基部構造
KR100905889B1 (ko) 등주 설치용 기초 구조체
KR101148172B1 (ko) 등주매립형 기초구조물 및 그를 이용한 가로등 등주의 설치방법
KR101338390B1 (ko) 지주고정 장치
JP5210021B2 (ja) 支柱型道路標識の台座、および台座を用いた支柱型道路標識装置
KR200414119Y1 (ko) 휀스용 포스트의 설치구조
KR100816722B1 (ko) 연결부가 동일한 외경을 갖는 가로등 지주의 연결장치
KR100840624B1 (ko) 휀스용 포스트
KR101123950B1 (ko) 철망 펜스용 지주
KR101243424B1 (ko) 가로등 지주 받침대
KR20210000630U (ko) 가로등 지주 고정장치
JPH101917A (ja) 各種標識板の支持装置
JP2007177559A (ja) 手摺の取付方法およびその取付構造
KR101304511B1 (ko) 스페이서가 마련된 스트롱 앵커 볼트
KR20190084489A (ko) 건축물 마감재용 고정부재
KR200301016Y1 (ko) 천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