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5276B1 - 도로용 강관유닛 - Google Patents

도로용 강관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5276B1
KR100875276B1 KR1020080033743A KR20080033743A KR100875276B1 KR 100875276 B1 KR100875276 B1 KR 100875276B1 KR 1020080033743 A KR1020080033743 A KR 1020080033743A KR 20080033743 A KR20080033743 A KR 20080033743A KR 100875276 B1 KR100875276 B1 KR 100875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pipe
foundation
bolt
r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3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명수
Original Assignee
(주)협우지여엔지니어링
함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협우지여엔지니어링, 함명수 filed Critical (주)협우지여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80033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52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5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5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53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 E04H12/2269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in a socke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84Means for adjusting the orientation of the post or po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용 강관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초파이프(52)가 돌출되어 지중에 매립되는 콘크리트재 기초대(50); 상기 기초대(50)의 상부로 돌출되는 상기 기초파이프(52)의 외주면으로 하단부가 끼워져서 기립되는 강관(60) 및; 상기 강관(60)의 하단부를 일직선의 수직상태로 유동시켜서 강관(60)의 기울기를 보정하는 동시에 강관(60)의 하단부를 내부에서 지지함으로써, 강관(60)의 수직도를 원하는 상태로 조절하는 틸팅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틸팅수단은, 상기 기초대(50)의 상부로 돌출되어 지상으로 노출되는 상기 기초파이프(52)의 상부에 테이퍼를 형성한 동시에 복수개의 볼트공(50b)을 원주방향을 따라 사방으로 이격형성하고, 기초파이프(52)의 내측에서 이 볼트공(50b)에 복수개의 볼트(70)를 수평상태로 체결하여, 상기 볼트공(50b)에 체결된 상기 볼트(70)에 의해 상기 강관(60)의 하단부가 상기 기초파이프(52)를 통해 기초대(50)에 고정되는 동시에, 볼트공(50b)에 체결된 볼트(70)의 단부에 의해 강관(60)의 기울어진 내주면이 지지되면서 강관(60)의 설치각도가 수직상태로 보정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틸팅수단이 강관의 기울기를 보정하는 동시에 강관의 하단부를 내부에서 지지하는 효과가 있다.
가로등주, 기둥, 기초대, 강관, 틸팅

Description

도로용 강관유닛 { STEEL PIPE UNIT FOR ROAD }
본 발명은 도로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강관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가로등주나 도로표지판용 기둥과 같이 도로에 세워지는 강관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변에는 가로등주나 도로표지판용 기둥이 도로를 따라 수직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가로등주나 도로표지판용 기둥은 풍압에 의해 도괴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단부가 지중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와 같은 가로등주나 도로표지판용 기둥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중에 매립되는 콘크리트재 기초대(1)의 기초파이프(1a)에 강관(10)의 하단부가 끼워져서 고정된다. 이때, 강관(10)은 하단부의 플랜지(12)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볼트(20)에 의해 기초대(1)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가로등주나 도로표지판용 기둥은 풍압에 의해 도괴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가로등주나 도로표지판용 기둥은 기초대(1)가 수평상태로 매립되지 못하고 경사상태로 매립될 경우, 기초파이프(1a)도 기초대(1)와 함께 경사를 형성함에 따라 기초파이프(1a)에 끼워진 강관(10)이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되는 문제가 있다. 이렇게, 강관(10)이 기울어질 경우 기초대(1)를 다시 수평상태로 매립하여야만 강관(10)의 수직도를 올바르게 보정할 수 있다. 만약, 강관(10)의 수직도를 올바르게 보정하지 않을 경우, 강관(10)은 상단으로 갈수록 더욱 기울어진 상태를 이룬다.
또, 최근에는 앵커볼트(20)를 도시미관상 은폐시켜야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은 가로등주나 도로표지판용 기둥은 앵커볼트(20)를 은폐시킬 수 없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기초대에 설치된 강관의 하단부를 일직선의 수직상태로 유동시켜서 강관의 기울기를 보정하는 동시에 강관의 기울어진 하단부를 내부에서 지지하는 메커니즘이 마련되어, 강관의 하단부를 견고하게 지지하면서 강관의 수직도를 일직선으로 보정할 수 있는 도로용 강관유닛을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특히, 강관의 기울기를 보정하는 동시에 강관을 지지하는 메커니즘이 강관의 내부에서 기울기 보정기능 및 지지기능을 발휘하는 도로용 강관유닛을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도로용 강관유닛은, 도로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강관유닛에 있어서, 상부로 기초파이프가 돌출되고, 이 기초파이프가 지상에 노출된 상태로 지중에 매립되는 콘크리트재 기초대; 상기 기초대의 상부로 돌출되는 상기 기초파이프의 외주면으로 하단부가 끼워져서 기립되는 강관 및; 상기 강관의 하단부를 일직선의 수직상태로 유동시켜서 강관의 기울기를 보정하는 동시에 강관의 하단부를 내부에서 지지함으로써, 강관의 수직도를 원하는 상태로 조절하는 틸팅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틸팅수단은, 상기 기초대의 상부로 돌출되어 지상으로 노출되는 상기 기초파이프의 상부에 테이퍼를 형성한 동시에 복수개의 볼트공을 원주방향을 따라 사방으로 이격형성하고, 기초파이프의 내측에서 이 볼트공에 복수개의 볼트를 수평상태로 체결하여, 상기 볼트공에 체결된 상기 볼트에 의해 상기 강관의 하단부가 상기 기초파이프를 통해 기초대에 고정되는 동시에, 볼트공에 체결된 볼트의 단부에 의해 강관의 기울어진 내주면이 지지되면서 강관의 설치각도가 수직상태로 보정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도로용 강관유닛은, 틸팅수단이 강관의 기울기를 보정하는 동시에 강관의 하단부를 내부에서 지지하므로 기울어진 강관을 올바르게 일직선으로 보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강관의 하단을 기초대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틸팅수단이 내부에서 강관의 하단부를 지지하므로 틸팅수단을 강관의 내부에 은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틸팅수단이 기초파이프의 사방에 형성되는 볼트공 및 이 볼트공에 체결되어 강관의 내주면을 사방에서 지지하는 볼트로 구성되므로 강관을 기초파이프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강관의 기울기를 고려하여 볼트공에 체결된 볼트의 체결상태를 조절하면서 강관의 수직도를 보정하므로 강관의 기울기를 용이하게 일직선으로 보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삭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도로용 강관유닛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강관유닛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강관 및 기초대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강관의 수직도 보정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강관유닛은 도시된 바와 같이 지중에 매립되는 기초대(50)상에 강관(60)이 결합된다. 이때, 강관(60)은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대(50)의 상부로 돌출된 기초파이프(52)에 끼워진 상태로 결합된다. 따라서, 강관(60)은 기초대(50)상에 수직으로 기립된다.
강관(60)은 하단부가 확대도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파이프(52)의 외주면에 끼워져서 기초파이프(52)에 결합된다. 즉, 강관(60)은 기초파이프(52)를 통해 기초대(50)에 결합된다. 이때, 강관(60)은 기초대(50)가 완벽하게 수평상태로 매립되지 않았을 경우 기울어진 상태로 세워져서 설치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기울어지는 강관(60)은 틸팅수단에 의해 수직도가 일직선으로 보정될 뿐만 아니라 하단부가 기초대(5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러한 틸팅수단은 강관(60)의 하단부를 일직선의 수직상태로 유동시켜서 강관(60)의 기울기를 보정하는 동시에 강관(60)의 하단부를 내부에서 지지함으로써, 강관(60)의 수직도를 원하는 상태로 조절한다. 즉, 틸팅수단은 기울어진 강관(60)의 기울기를 일직선으로 조절하는 요소이다.
틸팅수단은 예컨대, 확대도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파이프(52)의 상부에 테이퍼를 형성한 동시에 수직의 볼트장공(50a)을 형성하고, 이 볼트장공(50a)을 관통해서 너트(72)와 체결되는 볼트(70)를 강관(60)의 하단부 내주면에 수평상태로 고정하여, 볼트(70) 및 너트(72)의 체결력에 의해 상기 강관(60)의 하단부가 수직상태로 유동됨으로써, 강관(60)의 하단부가 지지되는 동시에 수직도가 보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기초파이프(52)는 상부에 테이퍼 및 볼트장공(50a)이 형성된다. 그리고, 강관(60)은 내주면에 볼트(70)가 용접에 의해 수평상태로 고정된다.
볼트(70)는 확대도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장공(50a)을 관통한 후 너트(72)와 체결된다. 이러한 볼트(70)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가 없는 스터드볼트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너트(72)는 후술되는 복스렌치(BL)와 같은 체결도구를 이용하여 볼트(70)에 체결할 수 있다. 이때, 복스렌치(BL)는 "ㄱ"과 같은 형태로 절곡된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시된 바와 같이 강관(60)에 형성된 점검구(IS)를 통해 강관(60)의 내부로 삽입된 후, 너트(72)를 볼트(70)에 체결한다.
한편, 전술한 점검구(IS)는 작업자가 강관(60) 내부에 설치된 안정기(미도시)나 차단기(미도시) 등을 수리하거나 교체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즉, 점검구(IS)는 너트(72)의 체결작업에 필요한 충분한 크기로형성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점검구(IS)로 복스렌치와 같은 체결도구를 삽입하여 너트(72)를 체결할 수 있다. 물론, 전술한 점검구(IS)는 평상시, 커버에 의해 차폐된다.
여기서, 전술한 볼트장공(50a)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로 구성되며, 너트(72)의 관통이 방지되도록 너트(72)의 외경 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볼트장공(50a)은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파이프(52)의 양측에 대향상태로 형성된다. 물론, 볼트(70)는 볼트장공(50a)에 대응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로 형성되며, 강관(60)의 내주면에 대향상태로 고정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볼트(70)는 강관(60)이 기초대(50)의 기초파이프(52)에 초기 삽입될 경우, 도면상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유단측 단부가 볼트장공(50a)의 상단에 위치한다. 하지만, 볼트(70)는 강관(60)이 기초파이프(52)의 하단으로 완전히 하강할 경우, 도면상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유단측 단부가 볼트장공(50a)을 따라 하강한 후 기초파이프(52)의 내측으로 돌출된다. 물론, 볼트(70)는 기초파이프(52)의 상부에 테이퍼가 형성됨에 따라 볼트장공(50a)의 상단에 자유단측 단부가 위치한 후 기초파이프(52)의 내측으로 돌출된다. 물론, 볼트(7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파이프(52)의 내측으로 자유단측 단부가 돌출된 후 너트(72)와 결합된다.
한편, 전술한 너트(72)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강관(60)의 점검구를 통해 삽입된 복스렌치(BL)와 같은 체결도구에 의해 볼트(70)에 체결된다.
도 4를 참조하면, 기초대(50)는 도면상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G)에 대해 경사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기초대(50)는 지면(G)이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선(H)에 대해 경사를 형성함에 따라 경사상태로 설치된다. 물론, 기초대(50)는 작업자의 착오로 인하여 경사상태로 종종 설치된다. 이때, 기초파이프(52)는 기초대(50)가 경사설치됨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축(AX)이 수직선(V)에 대해 기울어진다. 따라서, 강관(60)은 기초대(50)와 함께 경사를 이루는 기초파이프(52)에 끼워질 경우, 도면상의 (b)에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대(50)상에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된다.
틸팅수단은 기초대(50)상에 기울어진 강관(60)을 일직선의 수직상태로 보정한다. 이러한 볼트(70)는 도면상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관(60)의 내주면 양측에서 너트(72)와 체결되면서 강관(60)의 기울기, 즉 기울어진 각도(β)를 보정한다. 이때, 강관(60)이 도면상의 (b)에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파이프(52) 의 좌측으로 기울어질 경우, 강관(60)의 양측에 고정된 복수개의 볼트(70)들 중 강관(60)의 좌측에 고정된 볼트(70)는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관(60)의 우측에 고정된 볼트(70) 보다 너트(72)와 깊게 체결된다. 즉, 좌측의 볼트(70)는 너트(72)와 깊게 체결됨에 따라 너트(72)의 외측으로 돌출된 길이(L)가 우측의 볼트(70) 보다 길게 돌출된다. 따라서, 좌측의 볼트(70)는 너트(72)와 깊게 체결되면서 좌측으로 기울어진 강관(60)의 하단을 우측으로 당긴다. 물론, 강관(60)은 볼트(70)가 견인함에 따라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일직선으로 수직도가 보정된다. 즉, 강관(60)은 축이 수직선(V)과 평행을 이룬다.
한편, 강관(60)은 볼트(70)가 너트(72)와 체결되면서 하단부를 당김에 따라 하단부가 기초파이프(52)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즉, 볼트(70)는 강관(60)의 하단부를 견고하게 지지한다. 따라서, 강관(60)은 종래와 같은 앵커볼트가 없어도 하단부가 기초대(50)상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러한 강관(6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앵커볼트가 필요 없으므로 하단에 종래와 같은 플랜지도 필요가 없다. 따라서, 강관(60)은 도로에 설치될 경우 종래와 같이 플랜지나 앵커볼트가 노출되지 않으므로 도로의 미관을 향상시킨다. 결론적으로, 강관(60)은 볼트(70)가 종래의 앵커볼트 역할을 함에 따라 하단부가 기초대(50)에 견고하게 고정될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부품이 생략됨에 따라 도로의 미관을 향상시킨다.
다른 한편, 첨부된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볼트장공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전술한 볼트장공(50a)을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한 것이 차이점이다. 즉, 볼트장공(50a)은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파이프(52)의 축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된다.
이렇게 볼트장공(50a)을 형성할 경우 볼트(70)는 확대도 "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장공(50a)의 상단으로 삽입된 후 확대도 "라"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절형태로 볼트장공(50a)의 하단에 삽입된다. 즉, 볼트장공(50a)은 내측으로 관통되는 볼트(70)를 지그재그 형태로 유도한다. 따라서, 볼트(70)는 볼트장공(50a) 삽입된 후 지그재그형태로 굴절된 볼트장공(50a)의 형태로 인하여 볼트장공(50a)에서 이탈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볼트장공(50a)의 하단에서 유동이 방지된다. 즉, 너트(72)와 체결되는 볼트(70)는 볼트장공(50a)의 하단에서 유동됨 없이 고정된다.
여기서, 도시된 볼트장공(50a)은 확대도 "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의 폭을 넓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지그재그형태로 형성된 볼트장공(50a)은 상광하협의 폭을 갖는다. 따라서, 볼트(70)는 볼트장공(50a)에 용이하게 삽입된다. 즉, 볼트(70)는 볼트장공(50a)의 상단으로 용이하게 삽입된다.
또 다른 한편, 첨부된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틸팅수단의 구성을 도시한 종단면도로서, 다른 실시예에 의한 틸팅수단은 볼트 및 볼트공을 앞서 설명한 틸팅수단과 달리 구성한 것이 차이점이다.
이러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틸팅수단은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대(50)의 상부로 돌출되어 지상으로 노출되는 기초파이프(52)의 상부에 테이퍼를 형성한 동시에 복수개의 볼트공(50b)을 원주방향을 따라 사방으로 이격형성하고, 기초파이프(52)의 내측에서 이 볼트공(50b)에 복수개의 볼트(70)를 수평상태로 체결하여, 볼트공(50b)에 체결된 볼트(70)에 의해 강관(60)의 하단부가 기초파이프(52)를 통해 기초대(50)에 고정되는 동시에, 볼트공(50b)에 체결된 볼트(70)의 단부에 의해 강관(60)의 기울어진 내주면이 지지되면서 강관(60)의 설치각도가 수직상태로 보정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단부가 테이퍼진 기초파이프(52)는 원형의 볼트공(50b)이 사방에 형성되고, 복수개의 볼트(70)는 강관(60)의 점검구를 통해 삽입된 후 복스렌치와 같은 체결도구(도 3의 확대도 참조)에 의해 기초파이프(52)의 내측에서 복수개의 볼트공(50b)에 제각기 체결된다. 이때, 볼트(70)는 단부가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공(50b)을 관통하여 강관(60)의 내주면을 지지한다. 물론, 볼트(70)는 볼트공(50b)이 기초파이프(52)의 사방에 형성됨에 따라 강관(70)의 내측에서 강관(70)의 사방 내주면을 지지한다. 따라서, 강관(60)은 기초파이프(52)에 끼워져서 고정된 상태로 기초대(50)상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여기서, 전술한 볼트공(50b)은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72)가 용접으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볼트(70)는 너트(72)에 체결된 상태로 볼트공(50b)을 관통한다. 즉, 볼트(70)는 너트(72)를 통해 볼트공(50b)에 체결된다. 하지만, 기초파이프(72)의 두께가 두꺼울 경우 볼트공(50b)에 직접 나사산을 형성하여 볼트(70)가 볼트공(50b)에 직결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복수개의 볼트(70)는 도시된 바와 같은 강관(60)의 기울어진 각도(β)에 의해 강관(60)이 파선과 같이 기울어질 경우, 강관(60)의 기울어진 반대편에 위치한 볼트(70 : 도면상 파선으로 도시)가 반대편의 볼트(70) 보다 기초파이프(52)의 외측으로 더 돌출된다. 따라서, 기울어진 강관(60)은 기울어진 내측면이 볼트(70)의 단부에 의해 지지되면서 일직선으로 세워진다. 즉, 기울어진 강관(60)은 볼트(70)에 지지되어 수직도가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일직선으로 보정된다. 이때, 볼트(70)는 강관(60)의 기울기에 따라 단부의 돌출길이가 조절된다. 즉, 볼트(70)는 강관(60)의 기울기에 의해 체결상태가 결정된다.
이와 같이, 강관(60)의 수직도를 보정하는 볼트(7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에 지지판(70a)이 용접이나 볼팅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판(70a)은 도시된 바와 같이 강관(60)의 내주면을 지지한다. 따라서, 볼트(70)는 지지판(70a)의 지지면적으로 인하여 강관(60)의 내주면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삭제
이에 더하여, 볼트(70)는 지지판(70a)의 표면에 도면상의 확대도 "마"에 도시된 바와 같은 쿠션판(70b)을 부착할 수 있다. 이러한 쿠션판(70b)은 고무나 스펀지 또는 플라스틱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되, 마찰력을 갖는 고무로 구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쿠션판(70b)은 지지판(70a)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지지판(70a)이 강관(60)의 내주면에 직접적으로 밀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본 발명은 기초대(50)의 상부로 돌출된 기초파이프(52)의 상단 외주면 및 강관(60)의 내주면 사이에 개재되어, 기초파이프(52)에 지지된 상태로 강관(60)의 내주면을 지지하면서 기초파이프(52)의 상단 외주면 및 강관(60)의 내주면을 이격시키는 스페이서(80);를 더 포함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스페이서(80)는 기초파이프(52)의 상단 외주면에 지지된 상태로 강관(60)의 내주면을 지지한다. 따라서, 스페이서(80)는 강관(60)의 하중이 볼트(70)에 가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스페이서(80)는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의 단면형태로 형성되어 일측 모서리부분이 기초파이프(52)의 상단 외주면 및 상기 강관(60)의 내주면 사이에 삽입된다. 스페이서(80)는 도면상의 확대도 "바"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페이서(80)는 금속재나 플라스틱재 또는 고무재나 우레탄재 등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자체 탄성력에 의해 용이하게 설치되도록 약간의 탄성력을 갖는 고무재나 우레탄재 또는 플라스틱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한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형상 및 구조의 변형은 첨부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강관유닛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강관유닛의 정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강관 및 기초대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강관의 수직도 보정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볼트장공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틸팅수단의 구성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호 설명>
50 : 기초대
50a : 볼트장공
50b : 볼트공
52 : 기초파이프
60 : 강관
70 : 볼트
72 : 너트
80 : 스페이서

Claims (5)

  1. 도로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강관유닛에 있어서,
    상부로 기초파이프(52)가 돌출되고, 이 기초파이프(52)가 지상에 노출된 상태로 지중에 매립되는 콘크리트재 기초대(50);
    상기 기초대(50)의 상부로 돌출되는 상기 기초파이프(52)의 외주면으로 하단부가 끼워져서 기립되는 강관(60); 및
    상기 강관(60)의 하단부를 일직선의 수직상태로 유동시켜서 강관(60)의 기울기를 보정하는 동시에 강관(60)의 하단부를 내부에서 지지함으로써, 강관(60)의 수직도를 원하는 상태로 조절하는 틸팅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틸팅수단은,
    상기 기초대(50)의 상부로 돌출되어 지상으로 노출되는 상기 기초파이프(52)의 상부에 테이퍼를 형성한 동시에 복수개의 볼트공(50b)을 원주방향을 따라 사방으로 이격형성하고, 기초파이프(52)의 내측에서 이 볼트공(50b)에 복수개의 볼트(70)를 수평상태로 체결하여, 상기 볼트공(50b)에 체결된 상기 볼트(70)에 의해 상기 강관(60)의 하단부가 상기 기초파이프(52)를 통해 기초대(50)에 고정되는 동시에, 볼트공(50b)에 체결된 볼트(70)의 단부에 의해 강관(60)의 기울어진 내주면이 지지되면서 강관(60)의 설치각도가 수직상태로 보정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강관유닛.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대(50)의 상부로 돌출된 상기 기초파이프(52)의 상단 외주면 및 상기 강관(60)의 내주면 사이에 개재되어, 기초파이프(52)에 지지된 상태로 강관(60)의 내주면을 지지하면서 기초파이프(52)의 상단 외주면 및 강관(60)의 내주면을 이격시키는 스페이서(8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페이서(80)는, 삼각형의 단면형태로 형성되어 일측 모서리부분이 상기 기초파이프(52)의 상단 외주면 및 상기 강관(60)의 내주면 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강관유닛.
KR1020080033743A 2008-04-11 2008-04-11 도로용 강관유닛 KR100875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3743A KR100875276B1 (ko) 2008-04-11 2008-04-11 도로용 강관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3743A KR100875276B1 (ko) 2008-04-11 2008-04-11 도로용 강관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5276B1 true KR100875276B1 (ko) 2008-12-23

Family

ID=40372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3743A KR100875276B1 (ko) 2008-04-11 2008-04-11 도로용 강관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527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5902B1 (ko) * 2008-06-16 2011-02-23 (주)강산조명 가로등지주의 결합구조
CN103132538A (zh) * 2011-11-28 2013-06-05 中建七局安装工程有限公司 斜面基础砂墩垫铁找正找平辅助装置及垫铁安放方法
KR101959670B1 (ko) * 2018-04-24 2019-03-18 김성길 탄성재를 이용한 안전 기둥이 적용된 금속재 울타리
KR101996291B1 (ko) * 2018-12-26 2019-07-04 (주)비에스 내진 가로등 등주
KR102592016B1 (ko) * 2022-11-01 2023-10-20 주식회사디자인랜드 조경시설물 철강재 각관 기둥고정을 위한 기초콘크리트 매립 고정브라켓 플레이트 및 그 시공공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36824A (ja) 1987-03-25 1988-10-03 Tetsuto Mizuno 柱状体の据付構造体
JP2001200659A (ja) 2000-01-21 2001-07-27 Sankyo Alum Ind Co Ltd 建材の連結角度調整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36824A (ja) 1987-03-25 1988-10-03 Tetsuto Mizuno 柱状体の据付構造体
JP2001200659A (ja) 2000-01-21 2001-07-27 Sankyo Alum Ind Co Ltd 建材の連結角度調整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5902B1 (ko) * 2008-06-16 2011-02-23 (주)강산조명 가로등지주의 결합구조
CN103132538A (zh) * 2011-11-28 2013-06-05 中建七局安装工程有限公司 斜面基础砂墩垫铁找正找平辅助装置及垫铁安放方法
CN103132538B (zh) * 2011-11-28 2015-04-08 中建七局安装工程有限公司 斜面基础砂墩垫铁找正找平辅助装置及垫铁安放方法
KR101959670B1 (ko) * 2018-04-24 2019-03-18 김성길 탄성재를 이용한 안전 기둥이 적용된 금속재 울타리
KR101996291B1 (ko) * 2018-12-26 2019-07-04 (주)비에스 내진 가로등 등주
KR102592016B1 (ko) * 2022-11-01 2023-10-20 주식회사디자인랜드 조경시설물 철강재 각관 기둥고정을 위한 기초콘크리트 매립 고정브라켓 플레이트 및 그 시공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5276B1 (ko) 도로용 강관유닛
KR101809210B1 (ko) 지중매립식 기초구조체를 갖는 메쉬 휀스
KR101173593B1 (ko) 관통리브를 포함하는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장치
KR100611553B1 (ko) 가로등지주의 연결구조
KR101077238B1 (ko) 기둥 기초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106074B1 (ko) 교통 시설물 설치용 부착대 및 지주장치
KR101422799B1 (ko) 회전 접이식 보안등 및 가로등 지주 결합용 받침대와 그 시공방법
US20030041550A1 (en) Wood fence post repair device
KR20150093423A (ko) 매립형 지주 고정장치
KR101326157B1 (ko) 도로시설물 지지장치
KR101114840B1 (ko) 보강 지주조립체
KR20160041587A (ko) 가로보의 설치구조
KR100955424B1 (ko) 앵커 지주
KR100619585B1 (ko) 경계용 표주(標柱)
KR101379245B1 (ko)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지주
KR101542013B1 (ko) 시공이 간편한 회전 접이식 보안등 및 가로등 지주체
KR102091131B1 (ko) 내구성을 향상시킨 막 구조물 및 이의 설치방법
KR100759836B1 (ko) 가로등지주의 연결장치
KR100859660B1 (ko) 도로시설물의 지주 고정용 베이스
JP3111247U (ja) 機器類の支柱装置
JP4698661B2 (ja) 支柱立設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JP2006214205A (ja) 仮囲い等の支柱を鉛直姿勢で結合支持する支持杭とこの支持杭と支柱の締結装置
JP2008291438A (ja) アンカーフレーム
JP3223499B2 (ja) 柵 体
KR102268186B1 (ko) 가설휀스용 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