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6157B1 - 도로시설물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도로시설물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6157B1
KR101326157B1 KR1020130058031A KR20130058031A KR101326157B1 KR 101326157 B1 KR101326157 B1 KR 101326157B1 KR 1020130058031 A KR1020130058031 A KR 1020130058031A KR 20130058031 A KR20130058031 A KR 20130058031A KR 101326157 B1 KR101326157 B1 KR 101326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ounting unit
road
mount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8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광철
Original Assignee
최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광철 filed Critical 최광철
Priority to KR1020130058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61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6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6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08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0Pendants, arms, or standards; Fixing lighting devices to pendants, arms, or standards
    • F21V21/108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차로나 도로변 상에 직립으로 설치되는 상·하부지주와, 상기 상부지주로부터 도로방향으로 설치되어 교통신호등 및 도로표지판을 지지하는 외팔보 형태의 부착대로 구성된 도로시설물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부착대의 내부공간에는 부착대의 길이방향으로 압축응력이 부여된 지지와이어가 구성되며, 또한, 상기 상부지주와 하부지주가 마주 접하는 끝단부에는 각각 상·하부플랜지가 형성되어, 볼트와 너트로서 서로 체결하는 것으로, 상·하부플랜지의 평면은 ‘
Figure 112013045389423-pat00005
’형상으로서, 직경이 작은 원주면상으로는 각각 다수의 상·하부볼트공을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고, 직경이 큰 원주면 상에는 원호형상의 상·하부체결홈이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로시설물 지지장치는 부착대를 지지하는 외부로 보이는 와이어가 없기 때문에 도시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부착대의 하부에 보강판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부착대의 처짐을 방지하고, 부착대의 내부에 설치된 프리스트레스 처리된 와이어로 인해 분할대의 직경을 작게, 길이는 길게 형성할 수 있으며, 지지장치의 유지 및 보수를 위한 부착대와 지주의 회전이 가능하고, 조립식 구조로 현장설치작업이 보다 용이하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로시설물 지지장치{Supporting equipment of road signal panel}
본 발명은 교차로나 도로변 상에 직립으로 설치되는 상·하부지주와, 상기 상부지지로부터 일정한 높이에 도로방향으로 설치되어 도로표지판 또는 교통신호등을 지지하는 외팔보 형태의 부착대로 구성된 도로시설물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부착대의 내부공간에 압축응력이 부여된 와이어가 설치되어 있는 도로시설물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로에 설치되는 시설물로는 가로등이나 신호등, 각종 표지판 및 교통정보 수집을 위한 카메라 등이 있다.
이러한 도로시설물 중 신호등, 각종 표지판 및 교통정보 수집을 위한 카메라 등이 부착대에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부착대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지 와이어가 설치되어 있다.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제0838710호에 교차로나 건널목의 도로변 상에 직립 설치되는 지주기둥, 상기 지주기둥으로부터 도로 방향으로 설치되어지되 그 하단을 통해 신호등을 지지하는 중공의 가로보 및 상기 가로보를 지주기둥에 결합 고정시켜 외팔보 형태로 지지되도록 하는 가로보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진 도로표지판 지지용 지주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로보의 끝단으로부터 중공의 내부를 통해 상기 지주기둥에 지지되어 상기 가로보를 지지하는 다수의 가로보 지지와이어; 및 상기 지주기둥에 관통 설치된 상태로 상기 가로보 지지와이어의 지주기둥측 끝단에 연결되어 상기 가로보 지지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하는 와이어 장력조절수단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판 지지용 지주장치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제1173593호에 도로에 직립 설치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도로시설물이 설치되는 중공의 부착대와, 상기 부착대 내부에 수직의 플레이트 형태로 일체로 마련되어 상기 부착대의 처짐을 방지하는 보강부와, 상기 보강부의 후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지주를 관통하여 고정되도록 이루어진 관통리브와, 상기 부착대의 일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플랜지부와, 상기 지주의 측면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부착대의 플랜지부와 볼트 및 너트로 체결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주의 플랜지부는 상기 지주를 관통하여 일체로 형성된 파이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관통리브는 상기 지주를 관통하여 그 외측면으로 돌출된 단부에 나사가 형성되어 너트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지장치는 대부분 여러 가닥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도시 미관을 해치는 요소로 지적되고 있으며, 와이어를 내부에 숨기는 구조는 체결의 복잡함이 있다는 단점이 지적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부착대를 지지하는 와이어를 내부에 숨겨지도록 설치하되, 더불어 부착대의 하부에 보강판을 설치하여 부착대의 처짐을 방지하도록 한 도로시설물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수단으로는 교차로나 도로변 상에 직립으로 설치되는 상·하부지주와, 상기 상부지주로부터 도로방향으로 설치되어 교통신호등 및 도로표지판을 지지하는 외팔보 형태의 부착대로 구성된 도로시설물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착대의 내부공간에는 부착대의 길이방향으로 압축응력이 부여된 지지와이어가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상부지주와 하부지주가 마주 접하는 끝단부에는 각각 상·하부플랜지가 형성되어, 볼트와 너트로서 서로 체결하는 것으로, 상·하부플랜지의 평면은 ‘
Figure 112013045389423-pat00001
’형상으로서, 직경이 작은 원주면상으로는 각각 다수의 상·하부볼트공을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하고, 직경이 큰 원주면 상에는 원호형상의 상·하부체결홈이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로시설물 지지장치는 부착대를 지지하는 외부로 보이는 와이어가 없기 때문에 도시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부착대의 하부에 보강판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부착대의 처짐을 방지하고, 부착대의 내부에 설치된 프리스트레스 처리된 와이어로 인해 부착대의 직경은 작게, 길이는 길게 형성할 수 있으며, 지지장치의 유지 및 보수를 위한 부착대와 지주의 회전이 가능하고, 조립식 구조로 현장설치작업이 보다 용이하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도로시설물 지지장치의 개요도.
도 2는 본 발명 부착대의 일부분 개요도.
도 3은 본 발명 부착대에 보강판이 덧대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로시설물 지지장치의 또 다른 실시개요도.
도 4는 도 3의 도로시설물 지지장치의 또 다른 실시개요도의 일부분 개요도.
도 5는 본 발명 도로시설물 지지장치의 상·하부지주의 체결을 나타낸 일부분 상세 개요도.
본 발명의 도로시설물 지지장치는 교차로나 도로변 상에 직립으로 설치되는 상·하부지주(120, 110)와, 상기 상부지주(120)로부터 도로방향으로 설치되어 교통신호등 및 도로표지판을 지지하는 외팔보 형태의 부착대(130)로 구성된 도로시설물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착대(130)의 내부공간에는 부착대(130)의 길이방향으로 압축응력이 부여된 지지와이어(W)가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상기 부착대(130)는 길이방향으로 다단으로 구성되고, 각각의 부착대(130)의 내부공간에는 부착대(130)의 길이방향으로 압축응력이 부여된 지지와이어(W)가 개별적으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상기 부착대의(130)의 하부에는 프리스트레스 처리된 보강판(132)이 설치되되, 상기 보강판(132)은 길이방향으로 곡선이 형성된 것으로, 곡선의 상부면은 부착대(130)의 하면에 접하도록 하고, 양단은 각각 부착대(130)의 양단에 형성된 체결플랜지(131)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교차로나 도로변 상에 직립으로 설치되는 상·하부지주(120, 110)와, 상기 상부지주(120)로부터 도로방향으로 설치되어 교통신호등 및 도로표지판을 지지하는 외팔보 형태의 부착대(130)로 구성된 도로시설물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주(120)와 하부지주(110)가 마주 접하는 끝단부에는 각각 상·하부플랜지(121, 111)가 형성되어, 볼트(B)와 너트(N)로서 서로 체결하는 것으로, 상·하부플랜지(121, 111)의 평면은 ‘
Figure 112013045389423-pat00002
’형상으로서, 직경이 작은 원주면 상으로는 각각 다수의 상·하부볼트공(123, 113)을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하고, 직경이 큰 원주면 상에는 상하로 관통된 원호형상의 상·하부체결홈(122, 112)이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하부지주(110)의 상면에 체결되는 상부지주(120)에도 압축응력을 부여하기 위해 상부지주(120)의 내부공간에 지지와이어(W)를 설치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하, 본 발명 도로시설물 지지장치를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도로시설물 지지장치의 개요도이며, 도 2는 본 발명 부착대의 일부분 개요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도로시설물 지지장치(100)는 교차로나 도로변 상에 직립으로 설치되는 상·하부지주(120, 110)와, 상기 상부지주(120)로부터 도로방향으로 설치되어 교통신호등 및 도로표지판을 지지하는 외팔보 형태의 부착대(13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부착대(130)는 상기 상부지주(120)로부터 수평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도로나 주위환경에 따라 하나 또는 여러 개가 다단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각각의 부착대(130)의 내부공간에는 부착대(130)의 길이방향으로 압축응력이 부여된 지지와이어(W)가 개별적으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한편, 다단으로 구성된 상기 부착대(1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양단에 형성된 체결플랜지(131)에 의해 다단의 부착대(130)를 현장에서 서로 체결할 수 있게 된다.
즉, 공장에서 부착대(130)를 제작할 때 개별 부착대(130)마다 압축응력이 부여되도록 지지와이어(W)를 형성하여 현장에서는 신속하게 부착대(130) 간을 체결플랜지(131)로 서로 체결함으로써 차량이나 통행자에 불편함을 최소화하도록 하였다.
이때,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대(130)의 내부 양단에 고정부재(140)를 구성하고 상기 고정부재(140) 간에 지지와이어(W)를 충분히 인장시켜 압축응력이 부여하도록 연결함으로써 현장에서 부착대(130)의 체결작업이 간편해 지도록 하였다.
도 3은 본 발명 부착대에 보강판이 덧대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로시설물 지지장치의 또 다른 실시개요도이며, 도 4는 도 3의 도로시설물 지지장치의 또 다른 실시개요도의 일부분 개요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대(130)의 하부에 프리스트레스 처리된 보강판(132)을 설치하여 부착대(130)가 하부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상기 보강판(132)은 길이방향으로 곡선이 형성된 것으로, 곡선의 상부면은 부착대(130)의 하면에 접하도록 하고, 양단은 각각 부착대(130)의 양단에 형성된 체결플랜지(131)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프리스트레스 보강판(132)은 철판 또는 유리섬유판재로 프리스트레스처리한 것으로, 프리스트레스처리 방법은 철판 또는 유리섬유판재를 상부롤러와 철판의 양단을 지지하는 두 개의 하부롤러 사이에 넣고, 압력을 가하는 것으로 관용의 프리스트레스처리방법으로 제작한 것이다.
이때, 부착대(130)와 보강판(132)이 접하는 부분에는 볼트나 용접으로 서로 고정하면 된다.
보강판(132)은 상부지주(120)로부터 체결되는 첫 번째 부착대(130)의 하부에만 설치하여도 충분히 부착대(130)의 처짐을 방지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도로시설물 지지장치의 일부분 확대 개요도로서 프리스트레스 처리된 보강판(132)에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홀(H)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홀(H)을 따라 압축응력이 부여된 와이어(W)를 설치함으로써 더욱더 견고하게 부착대(13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와이어(W)는 양단이 관용의 고정부재(140)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고정부재(140)의 상세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하였다.
상기 와이어(W)는 고강도 강선인 관용의 PC강선(Prestressed Concrete steel wire)을 사용하였다.
도 5는 본 발명 도로시설물 지지장치의 상·하부지주의 체결을 나타낸 일부분 상세 개요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지주(120, 110)의 서로 마주 접하는 끝단에는 상·하부플랜지(121, 111)를 설치한 후, 볼트(B)와 너트(N)로서 서로 체결하도록 한다.
이때, 상·하부플랜지(121, 111)의 평면을 ‘
Figure 112013045389423-pat00003
’형상으로 형성하였으며, 직경이 작은 원주면 상으로는 각각 다수의 상·하부볼트공(123, 113)을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하고, 직경이 큰 원주면 상에는 상하로 관통된 원호형상의 상·하부체결홈(122, 112)을 형성하였다.
즉, 상·하부플랜지(121, 111)는 원판형의 원주면에 지름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하는 원호형상이 돌출하여 형성하여 있는 것으로, 원판형에는 원주방향으로 서로 동일각을 가지도록 이격된 상·하부볼트공(123, 1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원호형상의 돌출면에는 상하로 관통된 원호형상의 상·하부체결홈(122, 112)을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플랜지(111)의 하면에는 하부로 돌출된 안착돌기(124)를 형성하였고, 하부플랜지(111)는 하부지주(110)의 상부면과 일체로 형성되어 중공의 안착홈(114)이 형성되어 상기 안착돌기(124)가 삽입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하부지주(120, 110)를 결합하는 방법은 상부플랜지(111)의 안착돌기(124)를 하부플랜지(111)의 안착홈(114)에 삽입시킨 후, 하부플랜지(111)의 하부체결홈(112)과 상부플랜지(121)의 상부체결홈(122)을 볼트(B)로서 관통하여 너트(N)로 가체결을 한다.
가체결 상태에서는 상부지주(120)가 볼트(B)로 체결된 상·하부체결홈(122, 112)의 범위 내에서 회전을 할 수 있게 되며, 상부플랜지(121)에 형성된 상부볼트공(123)과 하부플랜지(111)에 형성된 하부볼트공(113)을 일치시킨 후, 다시 볼트(B)로서 완전한 체결이 되도록 한다.
또한, 부착대(130)에도 상술한 것과 같은 플랜지 체결방법을 택함으로써 부착대(130)가 상부지주(110)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결국 가체결된 상태에서 부착대(130)를 상부지주(110)와 부착대(130) 간의 온전한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안전하게 부착대(130)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본원에서처럼 하부지주(110)가 지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도로의 방향이나 상태에 따라 상부지주(120)를 가체결 상태에서 회전시켜 원하는 지점에서 볼트(B)로 체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체결구성은 최초 설치뿐만 아니라 수리작업이나 교체작업에도 효율적으로 작업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최초 설치시 없었던 장애물에 의해 도로 표지판의 식별이 어려울 때, 편의상 상부지주(120) 또는 부착대(130)를 원하는 위치로 회전시켜 다시 체결할 수 있다.
또한, 하부지주(110)의 상면에 체결되는 상부지주(120)에도 압축응력을 부여하기 위해 상부지주(120)의 내부공간에 지지와이어(W)를 설치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부착대(130)에 설치된 고정부재(140)처럼 상부지주(120)의 양단에 고정부재(140)를 설치하여 지지와이어(W)를 고정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로시설물 지지장치는 부착대를 지지하는 외부로 보이는 와이어가 없기 때문에 도시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부착대의 하부에 보강판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부착대의 처짐을 방지하고, 부착대의 내부에 설치된 프리스트레스 처리된 와이어로 인해 분할대의 직경은 작게, 길이는 길게 형성할 수 있으며, 지지장치의 유지 및 보수를 위한 부착대와 지주의 회전이 가능하고, 조립식 구조로 현장설치작업이 보다 용이하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110. 하부지주 111. 하부플랜지 112. 하부체결홈
113. 하부볼트공 114. 안착홈
120. 상부지주 121. 상부플랜지 122. 상부체결홈
123. 상부볼트공 124. 안착돌기
130. 부착대 131. 체결플랜지 132. 보강판
140. 고정부재
B. 볼트 N. 너트 W. 와이어
H. 관통홀

Claims (5)

  1. 교차로나 도로변 상에 직립으로 설치되는 상·하부지주(120, 110)와, 상기 상부지주(120)로부터 도로방향으로 설치되어 교통신호등 및 도로표지판을 지지하는 외팔보 형태의 부착대(130)로 구성되되,
    상기 부착대(130)의 내부공간에는 부착대(130)의 길이방향으로 압축응력이 부여된 지지와이어(W)가 설치되고, 상기 부착대(130)는 길이방향으로 다단으로 구성되고, 각각의 부착대(130)의 내부공간에는 부착대(130)의 길이방향으로 압축응력이 부여된 지지와이어(W)가 개별적으로 설치되는 도로시설물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착대(130)의 하부에는 프리스트레스 처리된 보강판(132)이 설치되되, 상기 보강판(132)은 길이방향으로 곡선이 형성된 것으로, 곡선의 상부면은 부착대(130)의 하면에 접하도록 하고, 양단은 각각 부착대(130)의 양단에 형성된 체결플랜지(131)에 접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상부지주(120)와 하부지주(110)가 마주 접하는 끝단부에는 각각 상·하부플랜지(121, 111)가 형성되어, 볼트(B)와 너트(N)로서 서로 체결하는 것으로, 상·하부플랜지(121, 111)의 평면은 ‘
    Figure 112013092759471-pat00011
    ’형상으로서, 직경이 작은 원주면 상으로는 각각 다수의 상·하부볼트공(123, 113)이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고, 직경이 큰 원주면 상에는 상하로 관통된 원호형상의 상·하부체결홈(122, 112)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지주(110)의 상면에 체결되는 상부지주(120)에도 압축응력을 부여하기 위해 상부지주(120)의 내부공간에 지지와이어(W)를 설치하는 것이며,
    상기 상부플랜지(121)의 하면에는 하부로 돌출된 안착돌기(124)를 형성하고, 하부플랜지(111)는 하부지주(110)의 상부면과 일체로 형성되어 중공의 안착홈(114)이 형성되어 상기 안착돌기(124)가 삽입되는 것이며,
    또한, 상기 지지와이어는 PC강선인 것이 특징인 도로시설물 지지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30058031A 2013-05-23 2013-05-23 도로시설물 지지장치 KR101326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8031A KR101326157B1 (ko) 2013-05-23 2013-05-23 도로시설물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8031A KR101326157B1 (ko) 2013-05-23 2013-05-23 도로시설물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6157B1 true KR101326157B1 (ko) 2013-11-20

Family

ID=49856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8031A KR101326157B1 (ko) 2013-05-23 2013-05-23 도로시설물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615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0004B1 (ko) 2014-07-17 2014-10-14 최광철 안정성 및 시인성이 향상된 도로 교통 시설물 지지 장치
KR101615202B1 (ko) 2016-01-25 2016-04-26 주식회사 계영아이엔 강성보강 가로등
KR102197346B1 (ko) * 2019-11-21 2020-12-31 휴인 주식회사 캔틸레버형 다기능 목재지주
KR20220119955A (ko) * 2021-02-22 2022-08-30 이원태 처짐방지형 신호등철주
KR102666295B1 (ko) * 2023-06-08 2024-05-16 (주)케이에스엠 교통신호등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8710B1 (ko) * 2008-01-22 2008-06-16 한국씨티에스주식회사 신호등 지지용 지주장치
KR20110006766A (ko) * 2009-07-15 2011-01-21 한국씨티에스주식회사 신호등 지지용 가로보
KR101067379B1 (ko) * 2009-01-19 2011-09-23 한국씨티에스주식회사 신호등 지지용 지주장치
KR101236137B1 (ko) * 2012-05-10 2013-02-22 (유)테마이엔씨 가로등지주의 각도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8710B1 (ko) * 2008-01-22 2008-06-16 한국씨티에스주식회사 신호등 지지용 지주장치
KR101067379B1 (ko) * 2009-01-19 2011-09-23 한국씨티에스주식회사 신호등 지지용 지주장치
KR20110006766A (ko) * 2009-07-15 2011-01-21 한국씨티에스주식회사 신호등 지지용 가로보
KR101236137B1 (ko) * 2012-05-10 2013-02-22 (유)테마이엔씨 가로등지주의 각도조절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0004B1 (ko) 2014-07-17 2014-10-14 최광철 안정성 및 시인성이 향상된 도로 교통 시설물 지지 장치
KR101615202B1 (ko) 2016-01-25 2016-04-26 주식회사 계영아이엔 강성보강 가로등
KR102197346B1 (ko) * 2019-11-21 2020-12-31 휴인 주식회사 캔틸레버형 다기능 목재지주
KR20220119955A (ko) * 2021-02-22 2022-08-30 이원태 처짐방지형 신호등철주
KR102516273B1 (ko) * 2021-02-22 2023-03-30 김은형 처짐방지형 신호등철주
KR102666295B1 (ko) * 2023-06-08 2024-05-16 (주)케이에스엠 교통신호등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3593B1 (ko) 관통리브를 포함하는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장치
US20100205875A1 (en) Pole assembly and mounting thereof
KR101326157B1 (ko) 도로시설물 지지장치
KR101251124B1 (ko) 지지구조물
KR101453863B1 (ko)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지주장치
KR101106074B1 (ko) 교통 시설물 설치용 부착대 및 지주장치
KR102167170B1 (ko) 무와이어 다목적 도로시설물 지주
KR100875276B1 (ko) 도로용 강관유닛
KR101311034B1 (ko) 보강재가 설치된 지주
KR101703493B1 (ko) 도심형 교통신호등주 부착대
KR101544122B1 (ko)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 장치
KR100859660B1 (ko) 도로시설물의 지주 고정용 베이스
KR101314649B1 (ko) 회전수단이 구비된 지주형 구조물
KR101542013B1 (ko) 시공이 간편한 회전 접이식 보안등 및 가로등 지주체
KR101111581B1 (ko) 난간
CN104594575A (zh) 一种楼梯
KR101581837B1 (ko) 미관 및 구조적인 안전성이 우수한 신호등 지지장치
KR102094462B1 (ko) 지주대 교체가 편리한 기초 구조체
KR20150085596A (ko)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장치
KR200462052Y1 (ko)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장치
KR20040057699A (ko) 전광판 지지구조물
KR101839746B1 (ko) 기초일체형 폴 구조물
KR101984772B1 (ko) 기둥구조물 조립체
KR101781538B1 (ko) 높이 및 기울기 조절이 용이한 콘크리트 기초 일체 가변형 지주 지지 장치
KR101339042B1 (ko) 지주 회전구조를 갖는 신호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