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1837B1 - 미관 및 구조적인 안전성이 우수한 신호등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미관 및 구조적인 안전성이 우수한 신호등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1837B1
KR101581837B1 KR1020150042225A KR20150042225A KR101581837B1 KR 101581837 B1 KR101581837 B1 KR 101581837B1 KR 1020150042225 A KR1020150042225 A KR 1020150042225A KR 20150042225 A KR20150042225 A KR 20150042225A KR 101581837 B1 KR101581837 B1 KR 101581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olumn
support rod
spac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2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일
Original Assignee
(주)아림
이상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림, 이상일 filed Critical (주)아림
Priority to KR1020150042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18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1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1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0Pendants, arms, or standards; Fixing lighting devices to pendants, arms, or standards
    • F21V21/116Fixing lighting devices to arms or stand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scre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6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 F21V17/16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the parts being subjected to traction or compression, e.g. coil spring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관 및 구조적인 안전성이 우수한 신호등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가로보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1공간부;와, 지주기둥의 내부에 형성되되, 상기 제1공간부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제2공간부;와, 상기 가로보의 타단에 상기 가로보의 길이방향과 직교되게 관통 위치되되, 중심 부분은 상기 가로보의 제1공간부에 위치되는 제1지지봉;과, 상기 가로보의 일단에 상기 가로보의 길이방향과 직교되게 관통 위치되되, 중심 부분은 상기 가로보의 제1공간부에 위치되는 제2지지봉;과, 상기 가로보의 타단에 상기 가로보의 길이방향과 직교되게 관통 위치되되, 상기 제1지지봉의 하부로 이격 위치되며, 중심 부분은 상기 가로보의 제1공간부에 위치되는 제3지지봉;과, 상기 가로보의 일단에 상기 가로보의 길이방향과 직교되게 관통 위치되되, 상기 제2지지봉의 하부로 이격 위치되며, 중심 부분은 상기 가로보의 제1공간부에 위치되는 제4지지봉;과, 일단은 상기 제1지지봉에 결속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제2지지봉과 제3지지봉 및 제4지지봉을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상기 지주기둥의 제2공간부에 형성되는 장력조절수단에 결속 고정되는 지지와이어;와, 상기 지주기둥의 제2공간부에 위치 고정되어 상기 지지와이어의 타단을 결속하되, 상기 지지와이어의 타단을 당겨 상기 지지와이어가 팽팽하게 유지되도록 유도하는 장력조절수단;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지주기둥과 가로보 내부의 공간부에 지지와이어가 지그재그 형태로 위치되어 가로보를 견고히 결속 지지하여 태풍과 같은 강한 바람에 가로보가 흔들려 변형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하는 동시에, 지주기둥과 가로보 내부에 지지와이어가 설치되는 구조로 인해 종래의 신호등 지주장치에서 와이어가 외부로 노출되어 주변의 미관을 헤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도시 및 도로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주기둥의 상부에 가로보의 연결보 일단을 관통 위치시킨 상태에서 연결보를 지주기둥에 용접 결합하여 매우 견고하게 결합 고정되게 하고, 그 고정된 연결보와 설치보를 플랜지 결합으로 견고히 결속 고정되는 구조를 가짐으로, 지주기둥에 가로보가 매우 견고하게 설치 고정되어 장치의 구조적인 안전성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연결보의 외측에 형성되어 연결보의 변형을 방지하는 제1리브와 설치보의 외측에 형성되어 설치보의 변형을 방지하는 제2리브가 형성되어, 외부의 충격이나 강한 바람의 힘에 가로보가 휘어지는 현상이 안정적으로 방지되어 더욱 장치의 구조적인 안전성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미관 및 구조적인 안전성이 우수한 신호등 지지장치{Structural safety has excellent traffic light supporting device}
본 발명은 미관 및 구조적인 안전성이 우수한 신호등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주기둥과 가로보 내부의 공간부에 지지와이어가 지그재그 형태로 위치되어 가로보를 견고히 결속 지지하여 태풍과 같은 강한 바람에 가로보가 흔들려 변형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하는 동시에, 지주기둥과 가로보 내부에 지지와이어가 설치되는 구조로 인해 종래의 신호등 지주장치에서 와이어가 외부로 노출되어 주변의 미관을 헤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도시 및 도로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미관 및 구조적인 안전성이 우수한 신호등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라는 운반수단은 사용자가 편리를 도모하고자 하는 것이 그 목적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하에 자동차는 단순한 운반수단의 차원을 넘어 자신의 생활은 물론, 사회생활에 없어서는 안될 필수적인 요소로 그 비중은 날로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사회적인 흐름을 타고 자동차 보유대수는 계속적으로 증가하여 우리의 경우도 이미 1,000만대를 넘어선지 오래 되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자동차의 보유대수가 날로 늘어감에 따라 인력으로는 도저히 교통흐름을 통제할 수 없는 상황이 이르러 보다 효과적으로 교통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 신호등(信號燈)이다. 이러한 신호등은 차량의 흐름을 제어하는 교통 신호등과 보행자의 흐름을 제어하는 보행자 신호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처럼 구성된 신호등은 교통의 흐름을 효과적으로 제어하여 차량은 물론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하는 기능적인 면에서도 매우 유용한 기술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신호등은 안전한 교통질서를 위하여 색으로 교통조건을 나타내는 것으로, 그 신호등으로 표시하는 색은 빨간색, 초록색, 노란색의 3색으로 구성된다. 이처럼 구성된 신호등에서 빨간색(적색등)은 정지신호, 초록색(초록색등)은 진행신호 및 노란색(황색등)은 주의로 표시되나 도로교통에서는 노란색이 우회하라는 의미로도 쓰이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신호등은 통상 교차로나 건널목의 도로변 상에 신호등 지주장치를 통해 설치되어진다.
이러한 신호등 지주장치는 교차로나 건널목의 도로변 상에 직립 설치되는 지주기둥과 그 지지지둥 상부에 도로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신호등을 지지하는 가로보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가로보는 지주기둥의 상단으로부터 연결되는 다수의 와이어를 통해 지지되어 상하로의 흔들림이 방지된다.
하지만, 종래의 신호등 지주장치는 지주기둥의 상단으로부터 가로보의 끝단부를 다수의 와이어를 통해 연결하고 있는 구조이므로, 외관상 와이어가 부채살처럼 외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도시미관을 해치게 된다. 즉, 친환경적인 신호등 지주장치를 구성하는데 있어 외부로 드러난 와이어는 장애요소가 되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신호등 지주장치는 지주기둥의 상부 외측에 상기 가로보가 용접을 통해서 결합 고정되는 구조이므로, 지주기둥과 가로보의 결합성이 다소 취약하여 태풍과 같은 강한 바람에 노출되는 경우에 지주기둥으로부터 가로보가 분리 낙하하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종래의 신호등 지주장치는 구조적인 안전성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신호등 지주장치는 가로보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 단순히 와이어 뿐임을 고려할 때 태풍 등과 같이 바람이 상대적으로 강하게 부는 경우 가로보가 좌우로 휘는 등의 변형이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으나, 이에 대한 해결책은 마련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지주기둥과 가로보 내부의 공간부에 지지와이어가 지그재그 형태로 위치되어 가로보를 견고히 결속 지지하여 태풍과 같은 강한 바람에 가로보가 흔들려 변형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하는 동시에, 지주기둥과 가로보 내부에 지지와이어가 설치되는 구조로 인해 종래의 신호등 지주장치에서 와이어가 외부로 노출되어 주변의 미관을 헤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도시 및 도로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미관 및 구조적인 안전성이 우수한 신호등 지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지주기둥의 상부에 가로보의 연결보 일단을 관통 위치시킨 상태에서 연결보를 지주기둥에 용접 결합하여 매우 견고하게 결합 고정되게 하고, 그 고정된 연결보와 설치보를 플랜지 결합으로 견고히 결속 고정되는 구조를 가짐으로, 지주기둥에 가로보가 매우 견고하게 설치 고정되어 장치의 구조적인 안전성을 강화할 수 있는 미관 및 구조적인 안전성이 우수한 신호등 지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더욱이, 연결보의 외측에 형성되어 연결보의 변형을 방지하는 제1리브와 설치보의 외측에 형성되어 설치보의 변형을 방지하는 제2리브가 형성되어, 외부의 충격이나 강한 바람의 힘에 가로보가 휘어지는 현상이 안정적으로 방지되어 더욱 장치의 구조적인 안전성을 강화할 수 있는 미관 및 구조적인 안전성이 우수한 신호등 지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미관 및 구조적인 안전성이 우수한 신호등 지지장치는 도로변의 일측에 직립 설치되는 지주기둥과, 일단이 지지기둥의 상부에 결합 고정되되, 하부에는 신호등이 설치 고정되는 가로보를 포함하는 신호등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로보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1공간부;와, 상기 지주기둥의 내부에 형성되되, 상기 제1공간부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제2공간부;와, 상기 가로보의 타단에 상기 가로보의 길이방향과 직교되게 관통 위치되되, 중심 부분은 상기 가로보의 제1공간부에 위치되는 제1지지봉;과, 상기 가로보의 일단에 상기 가로보의 길이방향과 직교되게 관통 위치되되, 중심 부분은 상기 가로보의 제1공간부에 위치되는 제2지지봉;과, 상기 가로보의 타단에 상기 가로보의 길이방향과 직교되게 관통 위치되되, 상기 제1지지봉의 하부로 이격 위치되며, 중심 부분은 상기 가로보의 제1공간부에 위치되는 제3지지봉;과, 상기 가로보의 일단에 상기 가로보의 길이방향과 직교되게 관통 위치되되, 상기 제2지지봉의 하부로 이격 위치되며, 중심 부분은 상기 가로보의 제1공간부에 위치되는 제4지지봉;과, 일단은 상기 제1지지봉에 결속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제2지지봉과 제3지지봉 및 제4지지봉을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상기 지주기둥의 제2공간부에 형성되는 장력조절수단에 결속 고정되는 지지와이어;와, 상기 지주기둥의 제2공간부에 위치 고정되어 상기 지지와이어의 타단을 결속하되, 상기 지지와이어의 타단을 당겨 상기 지지와이어가 팽팽하게 유지되도록 유도하는 장력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가로보는 일단은 상기 지주기둥의 상부에 상기 지주기둥의 길이방향과 직교되게 관통되어 상기 지주기둥에 용접되어 결합 고정되고, 타단에는 제1플랜지가 형성되는 연결보와, 상기 연결보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신호등이 설치되는 것으로, 일단에는 상기 연결보의 제1플랜지와 볼트결합을 통해 결합되도록 제2플랜지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보에 견고히 결합 고정되는 설치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일측은 상기 연결보의 외측에 결합 고정되고, 다른 일측은 상기 지주기둥의 외측에 결합 고정되어 상기 연결보의 변형을 방지하는 하나 이상의 제1리브와, 상기 설치보의 외측에 결합 고정되어 상기 설치보의 변형을 방지하는 하나 이상의 제2리브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연결보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1리브의 끝단은 상기 지주기둥을 관통하여 위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연결보와 접촉되는 상기 제1리브의 일측과 상기 설치보와 접촉되는 상기 제2리브의 일측에는 하나 이상의 변형방지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관 및 구조적인 안전성이 우수한 신호등 지지장치에 의하면, 지주기둥과 가로보 내부의 공간부에 지지와이어가 지그재그 형태로 위치되어 가로보를 견고히 결속 지지하여 태풍과 같은 강한 바람에 가로보가 흔들려 변형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하는 동시에, 지주기둥과 가로보 내부에 지지와이어가 설치되는 구조로 인해 종래의 신호등 지주장치에서 와이어가 외부로 노출되어 주변의 미관을 헤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도시 및 도로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주기둥의 상부에 가로보의 연결보 일단을 관통 위치시킨 상태에서 연결보를 지주기둥에 용접 결합하여 매우 견고하게 결합 고정되게 하고, 그 고정된 연결보와 설치보를 플랜지 결합으로 견고히 결속 고정되는 구조를 가짐으로, 지주기둥에 가로보가 매우 견고하게 설치 고정되어 장치의 구조적인 안전성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연결보의 외측에 형성되어 연결보의 변형을 방지하는 제1리브와 설치보의 외측에 형성되어 설치보의 변형을 방지하는 제2리브가 형성되어, 외부의 충격이나 강한 바람의 힘에 가로보가 휘어지는 현상이 안정적으로 방지되어 더욱 장치의 구조적인 안전성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관 및 구조적인 안전성이 우수한 신호등 지지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미관 및 구조적인 안전성이 우수한 신호등 지지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미관 및 구조적인 안전성이 우수한 신호등 지지장치의 종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미관 및 구조적인 안전성이 우수한 신호등 지지장치의 사용상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관 및 구조적인 안전성이 우수한 신호등 지지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관 및 구조적인 안전성이 우수한 신호등 지지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관 및 구조적인 안전성이 우수한 신호등 지지장치의 사시도를,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미관 및 구조적인 안전성이 우수한 신호등 지지장치의 분리 사시도를,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미관 및 구조적인 안전성이 우수한 신호등 지지장치의 종 단면도를,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미관 및 구조적인 안전성이 우수한 신호등 지지장치의 사용상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관 및 구조적인 안전성이 우수한 신호등 지지장치(100)는 도로변의 일측에 직립 설치되는 지주기둥(1)과, 일단이 지지기둥(1)의 상부에 결합 고정되되, 하부에는 신호등이 설치 고정되는 가로보를 포함하는 신호등 지지장치에 있어서,
제1공간부(10)와, 제2공간부(20)와, 제1지지봉(30)과, 제2지지봉(40)과, 제3지지봉(50)과, 제4지지봉(60)과, 지지와이어(70)와, 장력조절수단(80)을 더 포함하고 있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공간부(10)는 상기 가로보의 내부에 형성되는 빈 공간으로 후설될 상기 제1지지봉(30), 제2지지봉(40), 제3지지봉(50), 제4지지봉(60) 및 지지와이어(70)가 위치되도록 한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공간부(20)는 상기 지주기둥(1)의 내부에 형성되는 빈 공간으로 후설될 상기 장력조절수단(80) 및 지지와이어(70)가 위치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2공간부(20)는 상기 제1공간부(10)와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공간부(10)에 위치되는 상기 지지와이어(70)의 끝단이 상기 제2공간부(20)로 용이하게 유입되어 상기 장력조절수단(80)과 연결되게 한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지봉(30)은 상기 가로보의 타단에 상기 가로보의 길이방향과 직교되게 관통 위치되되, 중심 부분은 상기 가로보의 제1공간부(10)에 위치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지지봉(30) 및 제2지지봉(40)과 제3지지봉(50) 제4지지봉(60)의 끝단은 상기 가로보와 용접되어 상기 가로보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결속하나, 이러한 결속방법으로 한정하여 결속하는 것은 물론 아니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지지봉(40)은 상기 가로보의 일단에 상기 가로보의 길이방향과 직교되게 관통 위치되되, 중심 부분은 상기 가로보의 제1공간부(10)에 위치되도록 한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지지봉(50)은 상기 가로보의 타단에 상기 가로보의 길이방향과 직교되게 관통 위치되되, 상기 제1지지봉(30)의 하부로 이격 위치되며, 중심 부분은 상기 가로보의 제1공간부(10)에 위치되도록 한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4지지봉(60)은 상기 가로보의 일단에 상기 가로보의 길이방향과 직교되게 관통 위치되되, 상기 제2지지봉(40)의 하부로 이격 위치되며, 중심 부분은 상기 가로보의 제1공간부(10)에 위치되도록 한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와이어(70)는 일단은 상기 제1지지봉(30)에 결속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제2지지봉(40)과 제3지지봉(50) 및 제4지지봉(60)을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상기 지주기둥(1)의 제2공간부(20)에 형성되는 상기 장력조절수단(80)에 결속 고정되도록 한다.
즉,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와이어(70)의 일단은 상기 제1지지봉(30)에 결속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2지지봉(40)과 제3지지봉(50)과 제4지지봉(60)을 경유하여 상기 장력조절수단(80)에 결속되는 구조를 가짐으로,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충격이나 강한 바람의 힘에 상기 가로보가 노출되더라도 상기 지지와이어(70)가 견고히 지탱하여 흔들림에 의한 상기 가로보의 변형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비록, 한줄의 상기 지지와이어(70)로 상기 가로보가 지탱되지만 상기 가로보 내부에서 상기 지지와이어(70)가 지그재그로 형성되는 구조이므로, 상기 가로보에 가해지는 힘을 상기 지지와이어(70)에서 분산하여 해소할 수 있어 실질적으로는 2~3줄의 와이어가 지탱하는 것과 같은 안정적인 지지를 기대할 수 있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력조절수단(80)은 상기 지주기둥(1)의 제2공간부(20)에 위치 고정되어 상기 지지와이어(70)의 타단을 결속하되, 상기 지지와이어(70)의 타단을 당겨 상기 지지와이어(70)가 팽팽하게 유지되도록 유도하는 것으로,
상기 지주기둥(1)의 하부에 관통 위치되되, 중심 부분은 상기 지주기둥(1)의 제2공간부(20)에 위치되는 조절봉(81)과, 일단은 상기 조절봉(81)에 결속 고정되고, 타단에는 상기 지지와이어(70)의 타단이 결속 고정되어 상기 지지와이어(70)를 결속 고정하는 동시에, 상기 지지와이어(70)를 하방으로 당겨 상기 지지와이어(70)가 팽팽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턴버클(8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와이어(70)와 연결되는 상기 턴버클(82)을 회동 조작하여 상기 지지와이어(70)의 타단을 하방으로 당겨 상기 지지와이어(70)가 팽팽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상기 지지와이어(70)가 상기 가로보를 안정적으로 지탱하게 한다.
여기서, 상기 턴버클(82)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기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로보(90)는 일단은 상기 지주기둥(1)의 상부에 상기 지주기둥(1)의 길이방향과 직교되게 관통되어 상기 지주기둥(1)에 용접되어 결합 고정되고, 타단에는 제1플랜지(91a)가 형성되는 연결보(91)와, 상기 연결보(91)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신호등이 설치되는 것으로, 일단에는 상기 연결보(91)의 제1플랜지(91a)와 볼트결합(2)을 통해 결합되도록 제2플랜지(92a)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보(91)에 견고히 결합 고정되는 설치보(9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보(91)의 일단이 상기 지주기둥(1)의 상부를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보(91)를 상기 지주기둥(1)에 용접 결합시킴으로, 상기 연결보(91)는 상기 지주기둥(1)에 매우 견고하게 결합 고정된다. 따라서, 외부의 충격이나 강한 바람에도 상기 지주기둥(1)으로부터 상기 연결보(91)가 견고히 결합 고정될 수 있으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치보(92)는 상기 지주기둥(1)에 견고하게 결합된 상기 연결보(91)에 플랜지(91a,92a) 결합을 통해 매우 견고하게 결합 고정되므로, 결국 상기 가로보(90)가 상기 지주기둥(1)에 매우 견고하게 설치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은 상기 연결보(91)의 외측에 결합 고정되고, 다른 일측은 상기 지주기둥(1)의 외측에 결합 고정되어 상기 연결보(91)의 변형을 방지하는 하나 이상의 제1리브(111)와, 상기 설치보(92)의 외측에 결합 고정되어 상기 설치보(92)의 변형을 방지하는 하나 이상의 제2리브(112)를 더 포함하여,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충격이나 강한 바람의 힘에 상기 연결보(91) 및 설치보(92)의 변형을 방지하여 본 발명의 미관 및 구조적인 안전성이 우수한 신호등 지지장치(100)의 구조적인 안전성을 강화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보(91)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1리브(111)의 끝단은 상기 지주기둥(1)을 관통하여 위치되는데, 그 이유는 상기 연결보(91)를 상기 지주기둥(1)에 결합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지주기둥(1)의 상부에 상기 연결보(91)가 관통될 수 있도록 구멍(3)이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구멍(3)의 상부에 상기 제1리브(111)가 관통될 구멍(3)이 함께 형성되어 상기 연결보(91)를 구멍(3)에 내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연결보(91)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기 제1리브(111)를 함께 내입 위치시킴으로, 상기 지주기둥(1)에 상기 연결보(91)의 정확한 위치를 용이하게 설정 위치시킬 수 있어 작업자에게 작업의 편의성을 제공하여 장치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지주기둥(1)에 상기 연결보(91)와 함게 상기 제1리브(111)가 함께 관통 위치되어 상기 연결보(91)가 더욱 견고하게 상기 지주기둥(1)에 결합 고정되도록 유도하여 상기 연결보(91)와 지주기둥(1)의 견고한 결합성을 확보하도록 한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보(91)와 접촉되는 상기 제1리브(111)의 일측과 상기 설치보(92)와 접촉되는 상기 제2리브(112)의 일측에는 하나 이상의 변형방지홈(120)을 선택적으로 형성하여, 상기 리브(111,112)를 용접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고열에 상기 리브(111,112)가 팽창되어 발생하는 크랙 등의 손상을 방지하여 상기 리브(111,112)의 구조적인 안전성을 확보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리브(111,112)에 형성되는 상기 변형방지홈(120)은 상기 리브(111,112)와 바람과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상리 리브(111,112)가 결합되는 상기 가로보(90)가 바람의 영향을 적게 받게 유도하여 바람에 의한 상기 가로보(90)의 변형을 안정적으로 예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미관 및 구조적인 안전성이 우수한 신호등 지지장치(100)는 지주기둥(1)과 가로보(90) 내부의 공간부(10,20)에 상기 지지와이어(70)가 지그재그 형태로 위치되어 상기 가로보(90)를 견고히 결속 지지하여 태풍과 같은 강한 바람에 상기 가로보(90)가 흔들려 변형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하는 동시에, 상기 지주기둥(1)과 가로보(90) 내부에 상기 지지와이어(70)가 설치되는 구조로 인해 종래의 신호등 지주장치에서 와이어가 외부로 노출되어 주변의 미관을 헤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도시 및 도로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지주기둥(1)의 상부에 상기 가로보(90)의 연결보(91) 일단을 관통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연결보(91)를 상기 지주기둥(1)에 용접 결합하여 매우 견고하게 결합 고정되게 하고, 그 고정된 상기 연결보(91)와 설치보(92)를 플랜지(91a,92a) 결합으로 견고히 결속 고정하는 구조를 가짐으로, 상기 지주기둥(1)에 가로보(90)가 매우 견고하게 설치 고정되어 장치의 구조적인 안전성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상기 연결보(91)의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보(91)의 변형을 방지하는 상기 제1리브(111)와 상기 설치보(92)의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설치보(92)의 변형을 방지하는 상기 제2리브(112)가 형성되어, 외부의 충격이나 강한 바람의 힘에 상기 가로보(90)가 휘어지는 현상이 안정적으로 방지되어 더욱 장치의 구조적인 안전성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관 및 구조적인 안전성이 우수한 신호등 지지장치(100)는 다음과 같이 조립되어 사용된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보(91)를 지주기둥(1)의 상부에 관통 위치시키기 위해 상기 지주기둥(1)의 상부에 구멍(3)을 천공하고, 그 구멍(3)으로 상기 연결보(91)를 관통 위치시킨 후에 상기 지주기둥(1)과 연결보(91)를 상호 용접하여 견고히 결합 고정시킨다.
그런 후,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보(91)의 제1플랜지(21)와 설치보(92)의 제2플랜지(92a)를 볼트결합(2)을 통해 결합하여 상기 연결보(91)에 상기 설치보(92)가 견고히 결합 고정되어 상기 가로보(90)의 설치를 완료한다.
그런 후,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주기둥(1)과 가로보(90) 내부의 공간부(10,20)에 형성되는 제1지지봉(30)을 시작으로 제2지지봉(40)과 제3지지봉(50)과 제4지지봉(60)을 경유하여 장력조절수단(80)에 결속되도록 지지와이어(70)를 배치시켜 상기 지지와이어(70)를 통해 상기 가로보(90)가 안정적으로 지탱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장력조절수단(80)을 통해 상기 지지와이어(70)를 당겨 상기 지지와이어(70)를 팽팽하게 유지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와이어(70)를 상기 지지봉(30,40,50,60)으로 용이하게 경유시키기 위해 상기 지주기둥(1)과 가로보(90)의 내부 공간부(10,20)를 외부로 노출시켜 작업을 수행하고,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공간부(10,20)를 외부로부터 폐쇄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간편히 조립된 본 발명의 미관 및 구조적인 안전성이 우수한 신호등 지지장치(100)는 도로의 일측에 설치되어 신호등이나 도로표지판 용도로 사용되며,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충격이나 강한 바람에 노출되더라도 상기 지주기둥(1)과 가로보(90)의 우수한 결합성을 통해 변형이나 손상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상기 지지와이어(70)를 통해 충격이나 바람에 의한 상기 가로보(90)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더욱 안정적으로 충격이나 바람에 의한 변형 및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1. 지주기둥 2. 볼트결합
3. 구멍
10. 제1공간부 20. 제2공간부
30. 제1지지봉 40. 제2지지봉
50. 제3지지봉 60. 제4지지봉
70. 지지와이어 80. 장력조절수단
81. 조절봉 82. 턴버클
90. 가로보 91. 연결보
91a. 제1플랜지 92. 설치보
92a. 제2플랜지 111. 제1리브
112. 제2리브 120. 변형방지홈
100. 미관 및 구조적인 안전성이 우수한 신호등 지지장치

Claims (5)

  1. 도로변의 일측에 직립 설치되는 지주기둥(1)과, 일단이 지지기둥(1)의 상부에 결합 고정되되, 하부에는 신호등이 설치 고정되는 가로보(90)를 포함하는 신호등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로보(90)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1공간부(10);
    상기 지주기둥(1)의 내부에 형성되되, 상기 제1공간부(10)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제2공간부(20);
    상기 가로보(90)의 타단에 상기 가로보(90)의 길이방향과 직교되게 관통 위치되되, 중심 부분은 상기 가로보(90)의 제1공간부(10)에 위치되는 제1지지봉(30);
    상기 가로보(90)의 일단에 상기 가로보(90)의 길이방향과 직교되게 관통 위치되되, 중심 부분은 상기 가로보(90)의 제1공간부(10)에 위치되는 제2지지봉(40);
    상기 가로보(90)의 타단에 상기 가로보(90)의 길이방향과 직교되게 관통 위치되되, 상기 제1지지봉(30)의 하부로 이격 위치되며, 중심 부분은 상기 가로보(90)의 제1공간부(10)에 위치되는 제3지지봉(50);
    상기 가로보(90)의 일단에 상기 가로보(90)의 길이방향과 직교되게 관통 위치되되, 상기 제2지지봉(40)의 하부로 이격 위치되며, 중심 부분은 상기 가로보(90)의 제1공간부(10)에 위치되는 제4지지봉(60);
    일단은 상기 제1지지봉(30)에 결속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제2지지봉(40)과 제3지지봉(50) 및 제4지지봉(60)을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상기 지주기둥(1)의 제2공간부(20)에 형성되는 장력조절수단(80)에 결속 고정되는 지지와이어(70); 및
    상기 지주기둥(1)의 제2공간부(20)에 위치 고정되어 상기 지지와이어(70)의 타단을 결속하되, 상기 지지와이어(70)의 타단을 당겨 상기 지지와이어(70)가 팽팽하게 유지되도록 유도하는 장력조절수단(8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가로보(90)는 일단은 상기 지주기둥(1)의 상부에 상기 지주기둥(1)의 길이방향과 직교되게 관통되어 상기 지주기둥(1)에 용접되어 결합 고정되고, 타단에는 제1플랜지(91a)가 형성되는 연결보(91)와, 상기 연결보(91)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신호등이 설치되는 것으로, 일단에는 상기 연결보(91)의 제1플랜지(91a)와 볼트결합(2)을 통해 결합되도록 제2플랜지(92a)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보(91)에 견고히 결합 고정되는 설치보(9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일측은 상기 연결보(91)의 외측에 결합 고정되고, 다른 일측은 상기 지주기둥(1)의 외측에 결합 고정되어 상기 연결보(91)의 변형을 방지하는 하나 이상의 제1리브(111)와, 상기 설치보(92)의 외측에 결합 고정되어 상기 설치보(92)의 변형을 방지하는 하나 이상의 제2리브(112)를 더 포함하여,
    상기 연결보(91)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1리브(111)의 끝단은 상기 지주기둥(1)을 관통하여 위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관 및 구조적인 안전성이 우수한 신호등 지지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보(91)와 접촉되는 상기 제1리브(111)의 일측과 상기 설치보(92)와 접촉되는 상기 제2리브(112)의 일측에는 하나 이상의 변형방지홈(120)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관 및 구조적인 안전성이 우수한 신호등 지지장치.
KR1020150042225A 2015-03-26 2015-03-26 미관 및 구조적인 안전성이 우수한 신호등 지지장치 KR101581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2225A KR101581837B1 (ko) 2015-03-26 2015-03-26 미관 및 구조적인 안전성이 우수한 신호등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2225A KR101581837B1 (ko) 2015-03-26 2015-03-26 미관 및 구조적인 안전성이 우수한 신호등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1837B1 true KR101581837B1 (ko) 2016-01-11

Family

ID=55169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2225A KR101581837B1 (ko) 2015-03-26 2015-03-26 미관 및 구조적인 안전성이 우수한 신호등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18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3594B1 (ko) 2019-03-07 2019-05-29 주식회사 유니온씨티 열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신호등의 가로 부재의 결합 구조
KR102000099B1 (ko) 2018-09-03 2019-07-16 주식회사 유니온씨티 인발공법을 이용한 신호등 가로부재 연결지지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8710B1 (ko) * 2008-01-22 2008-06-16 한국씨티에스주식회사 신호등 지지용 지주장치
KR20100084719A (ko) * 2009-01-19 2010-07-28 한국씨티에스주식회사 신호등 지지용 지주장치
KR101173593B1 (ko) * 2011-11-30 2012-08-13 김선미 관통리브를 포함하는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장치
KR20140134887A (ko) * 2013-05-15 2014-11-25 한국교통연구원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의 승하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8710B1 (ko) * 2008-01-22 2008-06-16 한국씨티에스주식회사 신호등 지지용 지주장치
KR20100084719A (ko) * 2009-01-19 2010-07-28 한국씨티에스주식회사 신호등 지지용 지주장치
KR101173593B1 (ko) * 2011-11-30 2012-08-13 김선미 관통리브를 포함하는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장치
KR20140134887A (ko) * 2013-05-15 2014-11-25 한국교통연구원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의 승하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0099B1 (ko) 2018-09-03 2019-07-16 주식회사 유니온씨티 인발공법을 이용한 신호등 가로부재 연결지지장치
KR101983594B1 (ko) 2019-03-07 2019-05-29 주식회사 유니온씨티 열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신호등의 가로 부재의 결합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7029B1 (ko) 신호등 설치용 가로보
KR101244261B1 (ko) 빔 유닛 및 이를 구비한 도로교통시설물 지지유닛
KR101450715B1 (ko) 데크로드용 난간기둥 연결장치
KR102370194B1 (ko) 보행공간을 확장한 h빔 구조 데크로드 시스템
KR101581837B1 (ko) 미관 및 구조적인 안전성이 우수한 신호등 지지장치
KR20100123343A (ko) 가드펜스
KR101326157B1 (ko) 도로시설물 지지장치
KR102190352B1 (ko) 신호등 구조체
KR20140132914A (ko) 비닐하우스용 보강 구조물
KR100930971B1 (ko) 신호등 지지용 지주장치
KR101358426B1 (ko) 교통신호등 지주구조체
KR101988976B1 (ko) 신호등 지지장치
KR101596949B1 (ko) 구조적인 안전성이 우수한 신호등 지지장치
KR101703493B1 (ko) 도심형 교통신호등주 부착대
KR100747720B1 (ko) 보강 지주를 갖는 가로등
KR102413819B1 (ko) 폴 베이스 안전시스템
KR101679392B1 (ko) Led 전광판 일체형 신호등
KR101113137B1 (ko) 신호등 지지용 팔각형 가로보
KR101354084B1 (ko) 리브없는 구조의 신호등 지주장치
KR101766266B1 (ko) 와이어없는 신호등 부착대
KR102057407B1 (ko) 연결부위가 보강된 부착대를 구비한 신호등주
JPH08114047A (ja) 工事の保安装置
KR101622702B1 (ko) 와이어가 불필요한 시설물 설치용 지주 구조물
JP5524884B2 (ja) ケーブル防護柵
KR102091846B1 (ko) 울타리용 철망 휀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