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0715B1 - 데크로드용 난간기둥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데크로드용 난간기둥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0715B1
KR101450715B1 KR1020140071748A KR20140071748A KR101450715B1 KR 101450715 B1 KR101450715 B1 KR 101450715B1 KR 1020140071748 A KR1020140071748 A KR 1020140071748A KR 20140071748 A KR20140071748 A KR 20140071748A KR 101450715 B1 KR101450715 B1 KR 1014507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ing
deck
pulling
screw shaft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1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규만
Original Assignee
코랜스그린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랜스그린산업(주) filed Critical 코랜스그린산업(주)
Priority to KR1020140071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07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0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07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10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characterised by the way of connecting wire to posts; Droppers
    • E04H17/1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characterised by the way of connecting wire to posts; Droppers the wire being placed in slots, groove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06Caps or covers for po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조립 공정을 통해 난간기둥들을 연결줄로 신속하면서 견고하게 연결함으로써, 난간기둥들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난간기둥을 포함하는 난간대의 시공성을 좀 더 향상시킬 수 있는 데크로드용 난간기둥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데크로드의 양측에 나란하게 전후 방향으로 위치되는 양측 빔의 상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으로 두고 고정되는 다수의 난간기둥들을 연결하는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난간기둥은 상부가 개방된 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장치는, 각각의 상기 난간기둥의 상부의 전,후방에 형성되는 한 쌍 이상의 줄 관통홀과; 상기 난간기둥에 형성되는 한 쌍 이상의 줄 관통홀을 관통하는 한 줄 이상의 연결줄과; 상기 난간기둥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줄을 상부로 당겨주면서 상기 연결줄을 긴장시켜 고정하는 긴장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데크로드용 난간기둥 연결장치{Handrail post connecting apparatus for deck rod}
본 발명은 데크로드용 난간기둥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조립 공정을 통해 난간기둥들을 연결줄로 신속하면서 견고하게 연결함으로써, 난간기둥들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난간기둥을 포함하는 난간대의 시공성을 좀 더 향상시킬 수 있는 데크로드용 난간기둥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데크로드는 등산로나 공원 내에 위치한 산책로 또는 호수 주변을 따라 형성한 보도, 전원주택이나 팬션 등의 테라스 등에 많이 시공되고 있다.
예를 들면, 등산로에 목재로 되어 있는 장방형의 데크로드를 계단식으로 깔고, 데크로드의 양측에서 상방향으로 난간을 설치하여, 등산객들이 안전하게 등산 및 하산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에, 도 4는 종래의 데크로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종래의 데크로드는 다수개의 데크판(101)이 H빔(100) 위에 폭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어 스크류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데크재(101)의 양측면에는 난간대가 설치되어, 보행인이 데크로드를 안전하게 지나다닐 수 있다.
상기 난간대(200)는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의 난간기둥(201)과, 상기 난간기둥(201) 사이에 전후방향과 상하방향으로 설치되어 난간기둥(201)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난간기둥(201)의 하단부는 바닥의 데크재(101)에 상하방향으로 세워지게 고정 설치됨으로써, 보행인이 난간대(200)에 기대거나 난간대(200)를 잡고 이동하더라도 데크로드를 벗어나지 않고 주변 경관을 돌아보며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난간대는 난간기둥들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봉을 포함하는데, 난간대들의 사이로 연결봉을 고정할 경우에는 별도의 고정브래킷을 사용하여 연결봉을 고정하거나, 용접을 통해 연결봉을 고정해야 한다. 따라서 종래에 난간대를 시공할 경우에는 연결봉의 고정에 많은 시간이 걸리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969826호의 "데크로드 시스템"(2010.07.06.)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조립 공정을 통해 난간기둥들을 연결줄로 신속하면서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데크로드용 난간기둥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난간기둥의 상부를 커버하는 상부 캡을 통해, 연결줄을 긴장되게 상부로 당기는 당김 체결너트의 풀림을 방지함으로써, 난간의 시공후 연결줄이 하부로 처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크로드용 난간기둥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난간기둥의 상부 배치되는 수평판을 난간기둥의 상부에 삽입되게 고정함에 따라, 연결줄을 긴장되게 상부로 당기는 당김 체결너트의 조임시 수평판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당김 체결너트의 조임시 당김 체결너트가 헛도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크로드용 난간기둥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결줄을 상부로 당겨주는 상승 고정부재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연결줄이 하부로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크로드용 난간기둥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용 난간기둥 연결장치"은, 데크로드의 양측에 나란하게 전후 방향으로 위치되는 양측 빔의 상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으로 두고 고정되는 다수의 난간기둥들을 연결하는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난간기둥은 상부가 개방된 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장치는, 각각의 상기 난간기둥의 상부의 전,후방에 형성되는 한 쌍 이상의 줄 관통홀과; 상기 난간기둥에 형성되는 한 쌍 이상의 줄 관통홀을 관통하는 한 줄 이상의 연결줄과; 상기 난간기둥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줄을 상부로 당겨주면서 상기 연결줄을 긴장시켜 고정하는 긴장 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긴장 고정수단은, 상기 난간기둥의 내부에 상부에서 수직으로 삽입되고 내부에는 상기 연결줄이 관통되는 하나 이상의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수직의 나사축이 형성되는 상승 고정부재와; 상기 상승 고정부재의 나사축을 상부로 당겨 고정하면서 상기 연결줄을 긴장시키는 긴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긴장부는, 상기 난간기둥의 상단에 수평으로 배치되고 중앙에는 상기 나사축이 관통되는 수직 관통홀이 형성되는 수평판과, 상기 수직 관통홀에 나사축이 관통된 상태에서 나사축에 체결되어 상기 상승 고정부재를 상부로 잡아당겨 상기 연결줄을 난간기둥의 내부에 전,후로 유동되지 않게 고정하는 당김 체결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나사축의 상부에는 나사축의 상부에 체결되어 상기 난간기둥의 상부를 커버하면서 상기 당김 체결너트의 풀림을 방지하는 상부 캡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용 난간기둥 연결장치"의 상기 난간기둥은, 난간기둥의 상단에 함몰되게 형성되어 상기 수평판의 양단부가 삽입되는 양측의 삽입 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용 난간기둥 연결장치"의 상기 상승 고정부재는, 하부에 수평으로 구비되어 외측 둘레가 상기 난간기둥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상승 고정부재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수평 밀착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간단한 조립 공정을 통해 난간기둥들을 연결줄로 신속하면서 견고하게 연결함으로써, 난간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시공후 난간을 구성하는 연결줄이 하부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캡을 통해 연결줄을 긴장되게 상부로 당기는 당김 체결너트의 풀림을 방지함에 따라, 난간의 시공후 연결줄이 하부로 처지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난간의 내구성이 향상된 데크로드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줄을 긴장되게 상부로 당기는 당김 체결너트의 조임시 수평판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당김 체결너트의 조임시 당김 체결너트가 헛도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난간의 시공시 편리성을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줄을 상부로 당겨주는 상승 고정부재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연결줄이 하부로 처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난간의 내구성이 좀 더 향상된 데크로드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난간기둥 연결장치를 포함하는 데크로드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난간기둥 연결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난간기둥 연결장치를 나타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종래의 데크로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난간기둥 연결장치를 포함하는 데크로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난간기둥 연결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난간기둥 연결장치를 나타낸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용 난간기둥 연결장치(3)는 데크로드(1)의 양측에 나란하게 전후 방향으로 위치되는 양측 빔(11)의 상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으로 두고 고정되는 다수의 난간기둥(2)들을 연결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난간기둥의 연결장치(3)는 각각의 상기 난간기둥(2)의 상부의 전,후방에 형성되는 한 쌍 이상의 줄 관통홀(31)과, 상기 난간기둥(2)에 형성되는 한 쌍 이상의 줄 관통홀(31)을 관통하는 한 줄 이상의 연결줄(32)과, 상기 난간기둥(2)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줄(32)을 상부로 당겨주면서 상기 연결줄(32)을 긴장시켜 고정하는 긴장 고정수단(33)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난간기둥(2)은 긴장 고정수단(33)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관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첨부된 도면에서는 원통관으로 구성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아울러, 상기 연결줄(32)은 난간기둥(2)들의 사이를 상호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러 가닥의 와이어가 꼬아져 구성되는 유동성을 가지는 금속재의 와이어로프나, 또는, 합성섬유나 천연섬유 등으로 구성되어 유동성을 가지는 로프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기 긴장 고정수단(33)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난간기둥(2)의 내부에 삽입되어 난간기둥(2)의 내부의 상부를 관통하는 연결줄(32)을 상부로 당겨주어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긴장 고정수단(33)은 난간기둥(2)들을 연결줄(32)을 통해 신속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상기 난간기둥(2)의 내부에 상부에서 수직으로 삽입되고 내부에는 상기 연결줄(32)이 관통되는 하나 이상의 관통홀(341)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수직의 나사축(342)이 형성되는 상승 고정부재(34)와, 상기 상승 고정부재(34)의 나사축(342)을 상부로 당겨 고정하면서 상기 연결줄(32)을 긴장시키는 긴장부(35)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긴장부(35)는 상기 상승 고정부재(34)의 나사축(342)을 상부로 당겨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난간기둥(2)의 상단에 수평으로 배치되고 중앙에는 상기 나사축(342)이 관통되는 수직 관통홀이 형성되는 수평판(351)과, 상기 수직 관통홀에 나사축(342)이 관통된 상태에서 나사축(342)에 체결되어 상기 상승 고정부재(34)를 상부로 잡아당겨 상기 연결줄(32)을 난간기둥(2)의 내부에 전,후로 유동되지 않게 고정하는 당김 체결너트(352)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상승 고정부재(34)의 하부에는 연결줄(32)을 상부로 당겨주는 상승 고정부재(34)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연결줄(32)이 하부로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수평으로 구비되어 외측 둘레가 상기 난간기둥(2)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수평 밀착판(343)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와 같이 상기 수평 밀착판(343)을 통해, 상기 상승 고정부재(34)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연결줄(32)이 하부로 처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난간의 내구성이 좀 더 향상된 데크로드(1)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난간기둥(2)의 상단의 양측에는 상기 당김 체결너트(352)의 조임시 수평판(351)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수평판(351)의 양단부가 삽입되는 양측의 삽입 홈부(21)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와 같이 수평판(351)의 유동을 방지함에 따라 상기 당김 체결너트(352)의 체결시 당김 체결너트(352)가 헛도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난간의 시공시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난간기둥 연결장치(3)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난간기둥(2)의 상부를 커버하면서 상기 당김 체결너트(352)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나사축(342)의 상부에 체결되는 상부 캡(36)을 더 포함한다. 즉 상기 상부 캡(36)은 하부의 중아에 상기 나사축(342)에 체결되는 탭홈이 형성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상기 상부 캡(36)을 통해, 상기 연결줄(32)을 긴장되게 상부로 당기는 당김 체결너트(352)의 풀림을 방지함에 따라, 난간의 시공후 연결줄(32)이 하부로 처지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난간의 내구성이 좀 더 향상된 데크로드(1)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시공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난간기둥 연결장치(3)를 통해 난간기중들의 사이를 연결줄(32)로 연결할 경우에는, 먼저, 상기 상승 고정부재(34)의 나사축(342)을 상기 수평판(351)에 관통시킨 다음 나사축(342)에 당김 체결너트(352)를 임시적으로 체결한다. 그리고, 각각의 난간기둥(2)의 내부에 임시저긍로 조립된 상승 고정부재(34)와 수평판(351) 및 당김 체결너트(352)를 삽입 장착한다.
다음, 하나 이상의 긴 연결줄(32)을 각각의 난간기둥(2)에 관통시키면서 상승 고정부재(34)에 형성된 관통홀(341)에 관통시킨다.
다음 상기 연결줄(32)의 전방 단부와 후방 단부에 고정브래킷(미도시됨)을 장착하거나 매듭을 형성함으로써, 연결줄(32)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다.
다음 각각의 난간지주의 상부에 돌출되어 있는 당김 체결너트(352)를 조이는 과정을 통해, 각각의 난간지주에 삽입된 상승 고정부재(34)를 상승시킴으로써, 난간지주들의 사이에 위치되는 연결줄(32)을 긴장시킨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각각의 난간지주의 상부로 돌출된 나사축(342)에 상부 캡(36)을 쳐결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3)를 통해 테크로드의 난간의 시공을 완료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간단한 조립 공정을 통해 난간기둥(2)들을 연결줄(32)로 신속하면서 견고하게 연결함으로써, 난간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시공후 난간을 구성하는 연결줄(32)이 하부로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데크로드
11 : 빔
2 : 난간기둥
21 : 삽입 홈부
3 : 연결장치
31 : 줄 관통홀
32 : 연결줄
33 : 긴장 고정수단
34 : 상승 고정부재
341 : 관통홀, 342 : 나사축, 343 : 수평 밀착판
35 : 긴장부
351 : 수평판, 352 : 당김 체결너트
36 : 상부 캡

Claims (6)

  1. 데크로드(1)의 양측에 나란하게 전후 방향으로 위치되는 양측 빔(11)의 상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으로 두고 고정되는 다수의 난간기둥(2)들을 연결하는 연결장치(3)에 있어서,
    상기 난간기둥(2)은 상부가 개방된 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장치(3)는, 각각의 상기 난간기둥(2)의 상부의 전,후방에 형성되는 한 쌍 이상의 줄 관통홀(31)과; 상기 난간기둥(2)에 형성되는 한 쌍 이상의 줄 관통홀(31)을 관통하는 한 줄 이상의 연결줄(32)과; 상기 난간기둥(2)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줄(32)을 상부로 당겨주면서 상기 연결줄(32)을 긴장시켜 고정하는 긴장 고정수단(33);을 포함하고,
    상기 긴장 고정수단(33)은, 상기 난간기둥(2)의 내부에 상부에서 수직으로 삽입되고 내부에는 상기 연결줄(32)이 관통되는 하나 이상의 관통홀(341)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수직의 나사축(342)이 형성되는 상승 고정부재(34)와; 상기 상승 고정부재(34)의 나사축(342)을 상부로 당겨 고정하면서 상기 연결줄(32)을 긴장시키는 긴장부(35);를 포함하며,
    상기 긴장부(35)는, 상기 난간기둥(2)의 상단에 수평으로 배치되고 중앙에는 상기 나사축(342)이 관통되는 수직 관통홀이 형성되는 수평판(351)과, 상기 수직 관통홀에 나사축(342)이 관통된 상태에서 나사축(342)에 체결되어 상기 상승 고정부재(34)를 상부로 잡아당겨 상기 연결줄(32)을 난간기둥(2)의 내부에 전,후로 유동되지 않게 고정하는 당김 체결너트(352),를 포함하고,
    상기 나사축(342)의 상부에는 나사축(342)의 상부에 체결되어 상기 난간기둥(2)의 상부를 커버하면서 상기 당김 체결너트(352)의 풀림을 방지하는 상부 캡(36)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용 난간기둥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기둥(2)은,
    난간기둥(2)의 상단에 함몰되게 형성되어 상기 수평판(351)의 양단부가 삽입되는 양측의 삽입 홈부(21),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용 난간기둥 연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 고정부재(34)는,
    하부에 수평으로 구비되어 외측 둘레가 상기 난간기둥(2)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상승 고정부재(34)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수평 밀착판(343),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용 난간기둥 연결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40071748A 2014-06-12 2014-06-12 데크로드용 난간기둥 연결장치 KR1014507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1748A KR101450715B1 (ko) 2014-06-12 2014-06-12 데크로드용 난간기둥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1748A KR101450715B1 (ko) 2014-06-12 2014-06-12 데크로드용 난간기둥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0715B1 true KR101450715B1 (ko) 2014-10-16

Family

ID=51997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1748A KR101450715B1 (ko) 2014-06-12 2014-06-12 데크로드용 난간기둥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0715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0638B1 (ko) * 2014-11-28 2015-05-15 우리산업 주식회사 데크로드용 난간기둥 연결장치
KR101520641B1 (ko) * 2014-11-28 2015-05-15 코랜스그린산업(주) 데크로드용 난간 기둥관의 상부 커버장치
KR102031080B1 (ko) 2019-03-08 2019-10-11 이창수 난간연결용 브래킷
KR102109903B1 (ko) * 2019-02-12 2020-05-12 (주) 나무들 데크 난간 기둥
KR102128993B1 (ko) 2020-01-31 2020-07-01 (주)성원엠엔디 데크로드 시스템
KR102140209B1 (ko) 2020-06-02 2020-07-31 (주)성원엠엔디 금속기둥 시스템
KR102501620B1 (ko) * 2023-01-04 2023-02-17 이용복 구속부재를 구비한 추락방지 구조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766Y1 (ko) * 2009-09-02 2012-06-08 (합)현대철구산업 울타리의 결합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766Y1 (ko) * 2009-09-02 2012-06-08 (합)현대철구산업 울타리의 결합 구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0638B1 (ko) * 2014-11-28 2015-05-15 우리산업 주식회사 데크로드용 난간기둥 연결장치
KR101520641B1 (ko) * 2014-11-28 2015-05-15 코랜스그린산업(주) 데크로드용 난간 기둥관의 상부 커버장치
KR102109903B1 (ko) * 2019-02-12 2020-05-12 (주) 나무들 데크 난간 기둥
KR102031080B1 (ko) 2019-03-08 2019-10-11 이창수 난간연결용 브래킷
KR102128993B1 (ko) 2020-01-31 2020-07-01 (주)성원엠엔디 데크로드 시스템
KR102140209B1 (ko) 2020-06-02 2020-07-31 (주)성원엠엔디 금속기둥 시스템
KR102501620B1 (ko) * 2023-01-04 2023-02-17 이용복 구속부재를 구비한 추락방지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0715B1 (ko) 데크로드용 난간기둥 연결장치
KR101678849B1 (ko) 출렁거림 및 비틀림 억제 구조를 가지는 케이블 교량의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된 케이블 교량
US6135424A (en) Tensioned cable railing
KR200453729Y1 (ko) 데크로드시스템의 난간기둥 고정장치
KR101787663B1 (ko) 데크로드 난간
KR101450716B1 (ko) 데크로드용 난간기둥 고정장치
US20220241636A1 (en) Playground climber unit comprising one or more net-containing portions and/or one or more suspended tube portions
KR101357240B1 (ko) 비닐하우스 구조보강 장치
KR101397640B1 (ko) 스탠드용 막 구조물
JPH06299517A (ja) マルチストランドの斜張ケーブルを架設する方法と装置
KR101832365B1 (ko) 로프타입 펜스의 장력조절장치
KR101946494B1 (ko) 데크로드 난간
KR101520638B1 (ko) 데크로드용 난간기둥 연결장치
KR101769316B1 (ko) 데크로드의 난간기둥 고정장치 및 그 시공방법
EP3081524A1 (fr) Protection des voies avec maillage
US9297172B2 (en) Scaffold with handrail frames provided with post sections
CN216380315U (zh) 一种站台雨棚施工支架结构
KR101876320B1 (ko) 동물보호펜스
CN216196483U (zh) 超高层楼内观光天井钢索网施工平台
KR101875476B1 (ko) 생물권 보전을 위한 목재 교량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139820B1 (ko) 안전난간 구조체
KR101782970B1 (ko) 데크로드 난간
CN209967664U (zh) 一种网兜桥
KR101520641B1 (ko) 데크로드용 난간 기둥관의 상부 커버장치
CN214626865U (zh) 一种光伏支架的钢索搭接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