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1080B1 - 난간연결용 브래킷 - Google Patents

난간연결용 브래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1080B1
KR102031080B1 KR1020190027075A KR20190027075A KR102031080B1 KR 102031080 B1 KR102031080 B1 KR 102031080B1 KR 1020190027075 A KR1020190027075 A KR 1020190027075A KR 20190027075 A KR20190027075 A KR 20190027075A KR 102031080 B1 KR102031080 B1 KR 1020310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support
fixing piece
fixing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7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수
Original Assignee
이창수
주식회사 범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수, 주식회사 범호 filed Critical 이창수
Priority to KR1020190027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10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1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10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48Adjustable, angled or hinged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52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the ends of the rails are fixed on the lateral sides of the posts
    • E04H2017/1452
    • E04H2017/149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간연결용 브래킷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난간연결용 브래킷은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제조원가의 절감과 내구성의 증대를 도모할 수 있으며, 원터치 결합방식으로 난간을 이루는 수직 지지대와 수평 연결대를 연결시킴에 따라 난간의 설치나 유지보수 작업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한편 작업 편의성도 향상될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난간연결용 브래킷{Connecting bracket for handrail}
본 발명은 난간연결용 브래킷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제조원가의 절감과 내구성의 증대를 도모할 수 있으며, 원터치 결합방식으로 난간을 이루는 수직 지지대와 수평 연결대를 연결시킴에 따라 난간의 설치나 유지보수 작업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한편 작업 편의성도 향상될 수 있는 난간연결용 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데크로드는 등산로, 산책로, 강가 주위에 주로 설치되고 있으며, 보행 안전을 위하여 난간을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난간은 다양한 형상과 구성으로 구현되고 있다.
여기서 난간은 설치면에 수직으로 세워진 수직 지지대에 복수의 수평 연결대가 평행하게 결합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수직 지지대와 수평 연결대를 연결시키는 구조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807668호 "데크로드용 난간기둥 및 그 난간기둥에 연결되는 연결봉 연결구조", 등록번호 제10-1782970호 "데크로드 난간", 등록번호 제10-1450715호 "데크로드용 난간기둥 연결장치" 등이 안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난간의 수직 지지대와 수평 연결대를 연결시키는 요소의 구성이 복잡하고, 연결작업에도 번거로움이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807668호 "데크로드용 난간기둥 및 그 난간기둥에 연결되는 연결봉 연결구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782970호 "데크로드 난간"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450715호 "데크로드용 난간기둥 연결장치"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수직 지지대에 고정되어 수직 배치되는 지지대 고정편에 원터치 고정구가 착탈가능하게 끼움고정되면서 수평 연결대가 수직 지지대에 연결되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구성을 단순화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제조원가가 절감될 수 있는 한편 내구성도 증대시킬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난간연결용 브래킷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원터치 고정구에 의한 원터치 결합방식으로 난간을 이루는 수직 지지대와 수평 연결대를 연결시킴으로써 난간의 설치나 유지보수 작업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한편 작업 편의성도 향상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난간연결용 브래킷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설치면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수직 지지대(100)와 수평하게 배치되는 수평 연결대(200)를 결합시키는 난간연결용 브래킷(300)에 있어서, 상기 수직 지지대(100)의 일측면에 고정되어 수직으로 배치되며, 전면 좌우측으로 한쌍의 고정용 안내돌기(312)가 이격 배치되어 있는 지지대 고정편(310); 상기 수평 연결대(200)의 길이방향 일단 부위에 연결되고, 한쌍의 고정용 안내돌기(312) 사이 공간으로 삽입되어 원터치 방식으로 착탈가능하게 끼움고정되는 원터치 고정구(32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연결용 브래킷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난간연결용 브래킷에서 상기 지지대 고정편(310)은, 상기 수직 지지대(100)의 일측면에 밀착고정되고, 모서리 부위에 각각 관통공(316)이 형성되어 있는 수직판체(311); 상기 수직판체(311)의 전면 중앙부위 좌우측에 설정거리만큼 이격배치되고, 전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며, 상하 일자형으로 배치되는 한쌍의 일자형 돌출편(313); 각 일자형 돌출편(313)의 상단에서 좌우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일자형 돌출편(313)과 직각을 이루면서 상하 일자형으로 배치되는 한쌍의 고정용 안내돌기(312);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상기 일자형 돌출편(313)과 고정용 안내돌기(312) 사이에 요입형성되는 슬라이딩홈(314)을 따라 상기 원터치 고정구(320)가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원터치 방식으로 끼움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난간연결용 브래킷에서 상기 지지대 고정편(310)은, 상기 수직판체(311)의 전면 중앙부위에 상하 일자형으로 돌출형성되는 가이드편(3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난간연결용 브래킷에서 상기 원터치 고정구(320)는, 상단 부위를 이루고, 좌우측방으로 돌출형성되는 걸림 날개편(321); 상기 걸림 날개편(321)의 하부에 연장형성되는 중앙 고정편(323); 상기 중앙 고정편(323)의 전면에 전방으로 돌출형성되고, 체결요소 관통공(3221)이 형성되어 상기 수평 연결대(200)의 길이방향 일단 부위에 결합된 연결체(210)와 체결요소에 의해 결합되는 결합편(322); 상기 중앙 고정편(323)의 좌우측 하단으로부터 하향 연장형성되고, 상기 지지대 고정편(310)에 형성된 한쌍의 고정용 안내돌기(312)를 따라 슬라이딩하며, 하부 끝단부위에 걸림턱(3241)이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용 안내돌기(312)에 걸림고정되는 한쌍의 걸림편(324); 상기 걸림편(324)의 외측면에 상하 일자형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고정용 안내돌기(312)의 슬라이딩홈(314)에 삽입된 상태로 슬라이딩이동하게 되는 보조 측면돌기(325);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난간연결용 브래킷에서 상기 원터치 고정구(320)는, 상기 중앙 고정편(323)의 중앙부위 하단으로부터 하향 연장형성되고, 상하 일자형으로 형성되며, 저면에 일자형 보조 요홈(3261)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 고정편(310)의 가이드편(315)에 끼워진 상태로 슬라이딩이동하게 되는 보조 안내돌기(3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난간연결용 브래킷에 의하면, 구성의 단순화를 통해 제조원가가 절감되고 내구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난간연결용 브래킷에 의하면, 원터치 결합방식으로 난간을 이루는 수직 지지대와 수평 연결대를 연결시키므로, 난간의 설치나 유지보수 작업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수행괴고, 작업 편의성도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간연결용 브래킷이 적용된 난간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간연결용 브래킷에 의한 수직 지지대와 수평 지지대의 연결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 고정편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고정구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간연결용 브래킷을 구성하는 지지대 고정편과 원터치 고정구의 결합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7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난간, 난간 연결구조, 원터치 고정구조 등으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난간연결용 브래킷(300)은 도 1에서와 같이 설치면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수직 지지대(100)와 수평하게 배치되는 수평 연결대(200)를 결합시키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간연결용 브래킷(300)은 도 2와 도 3에서와 같이 지지대 고정편(310)과 원터치 고정구(32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지지대 고정편(310)은 도 2와 도 3에서와 같이 수직 지지대(100)의 일측면에 고정되어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전면 좌우측으로 한쌍의 고정용 안내돌기(312)가 이격 배치되어 한쌍의 고정용 안내돌기(312) 사이 공간으로 원터치 고정구(320)가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원터치 고정구(320)의 고정이나 이탈을 유도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 고정편(310)은 도 4에서와 같이 수직판체(311), 한쌍의 일자형 돌출편(313), 한쌍의 고정용 안내돌기(312), 가이드편(315)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수직판체(311)는 수직 지지대(100)의 일측면에 밀착고정되는 것으로, 모서리 부위에 각각 관통공(316)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직판체(311)는 직사각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한쌍의 일자형 돌출편(313)은 수직판체(311)의 전면 중앙부위 좌우측에 설정거리만큼 이격배치되는 것으로, 전면으로부터 설정높이로 돌출형성된다. 여기서 일자형 돌출편(313)은 상하 일자형으로 배치된다.
한쌍의 고정용 안내돌기(312)는 각 일자형 돌출편(313)의 상단에서 좌우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으로, 일자형 돌출편(313)과 직각을 이루면서 상하 일자형으로 배치된다.
여기서 일자형 돌출편(313)과 고정용 안내돌기(312)는 '┳'형상으로 일체를 이루면서 형성되고, 이에 따라 일자형 돌출편(313)과 고정용 안내돌기(312) 사이에 슬라이딩홈(314)이 요입형성된다. 원터치 고정구(320)는 슬라이딩홈(314)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원터치 방식으로 끼움고정된다.
가이드편(315)은 수직판체(311)의 전면 중앙부위에 상하 일자형으로 돌출형성된다.
원터치 고정구(320)는 수평 연결대(200)의 길이방향 일단 부위에 연결되는 것으로, 한쌍의 고정용 안내돌기(312) 사이 공간으로 삽입되어 원터치 방식으로 착탈가능하게 끼움고정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고정구(320)는 도 5에서와 같이 걸림 날개편(321), 중앙 고정편(323), 결합편(322), 한쌍의 걸림편(324), 보조 측면돌기(325), 보조 안내돌기(326)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걸림 날개편(321), 중앙 고정편(323), 결합편(322), 한쌍의 걸림편(324), 보조 측면돌기(325), 보조 안내돌기(326)는 일체로 성형되어 서로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걸림 날개편(321)은 상단 부위를 이루는 것으로, 좌우측방으로 돌출형성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걸림 날개편(321)은 중앙 고정편(323) 상단의 좌우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단(3211)을 가진다.
중앙 고정편(323)은 걸림 날개편(321)의 하부에 연장형성되는 것으로,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편(322)은 중앙 고정편(323)의 전면에 전방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으로, 체결요소 관통공(3221)이 형성되어 도 2와 도 3에서와 같이 수평 연결대(200)의 길이방향 일단 부위에 결합된 연결체(210)와 체결요소에 의해 결합된다.
한쌍의 걸림편(324)은 중앙 고정편(323)의 좌우측 하단으로부터 하향 연장형성되는 것으로, 지지대 고정편(310)에 형성된 한쌍의 고정용 안내돌기(312)를 따라 슬라이딩하ㄱ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걸림편(324)은 하부 끝단부위에 걸림턱(3241)을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하여 고정용 안내돌기(312) 하단에 걸림고정된다. 이와 같은 걸림턱(3241)을 형성한 걸림편(324)은 후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조 측면돌기(325)는 걸림편(324)의 외측면에 상하 일자형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으로, 고정용 안내돌기(312)의 슬라이딩홈(314)에 삽입된 상태로 슬라이딩이동하게 된다.
보조 안내돌기(326)는 중앙 고정편(323)의 중앙부위 하단으로부터 하향 연장형성되는 것으로, 상하 일자형으로 형성된다. 보조 안내돌기(326)의 저면에는 일자형 보조 요홈(3261)이 형성되어 지지대 고정편(310)의 가이드편(315)에 끼워진 상태로 슬라이딩이동하게 된다. 이를 통해 원터치 고정구(320)는 요동없이 원활하고 안정되게 지지대 고정편(310)의 고정용 안내돌기(312) 사이 공간에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간연결용 브래킷(300)은 수직 지지대(100)에 고정되어 수직 배치되는 지지대 고정편(310)에 도 6과 도 7에서와 같이 원터치 고정구(320)가 착탈가능하게 끼움고정되면서 수평 연결대(200)가 수직 지지대(100)에 연결되는 구조를 제공하므로, 구성을 단순화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제조원가가 절감될 수 있는 한편 내구성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간연결용 브래킷(300)은 원터치 고정구(320)에 의한 원터치 결합방식으로 난간을 이루는 수직 지지대(100)와 수평 연결대(200)를 연결시키므로, 난간의 설치나 유지보수 작업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한편 작업 편의성도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간연결용 브래킷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수직 지지대
200 : 수평 연결대
210 : 연결체
300 : 난간연결용 브래킷
310 : 지지대 고정편
311 : 수직판체
312 : 고정용 안내돌기
313 : 일자형 돌출편
314 : 슬라이딩홈
315 : 가이드편
316 : 관통공
320 : 원터치 고정구
321 : 걸림 날개편
3211 : 돌출단
322 : 결합편
3221 : 체결요소 관통공
323 : 중앙 고정편
324 : 걸림편
3241 : 걸림턱
325 : 보조 측면돌기
326 : 보조 안내돌기
3261 : 보조 요홈

Claims (5)

  1. 설치면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수직 지지대(100)와 수평하게 배치되는 수평 연결대(200)를 결합시키는 난간연결용 브래킷(300)에 있어서,
    상기 수직 지지대(100)의 일측면에 고정되어 수직으로 배치되며, 전면 좌우측으로 한쌍의 고정용 안내돌기(312)가 이격 배치되어 있는 지지대 고정편(310);
    상기 수평 연결대(200)의 길이방향 일단 부위에 연결되고, 한쌍의 고정용 안내돌기(312) 사이 공간으로 삽입되어 원터치 방식으로 착탈가능하게 끼움고정되는 원터치 고정구(320);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 고정편(310)은,
    상기 수직 지지대(100)의 일측면에 밀착고정되고, 모서리 부위에 각각 관통공(316)이 형성되어 있는 수직판체(311);
    상기 수직판체(311)의 전면 중앙부위 좌우측에 설정거리만큼 이격배치되고, 전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며, 상하 일자형으로 배치되는 한쌍의 일자형 돌출편(313);
    각 일자형 돌출편(313)의 상단에서 좌우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일자형 돌출편(313)과 직각을 이루면서 상하 일자형으로 배치되는 한쌍의 고정용 안내돌기(312);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상기 일자형 돌출편(313)과 고정용 안내돌기(312) 사이에 요입형성되는 슬라이딩홈(314)을 따라 상기 원터치 고정구(320)가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원터치 방식으로 끼움고정되며,
    상기 지지대 고정편(310)은,
    상기 수직판체(311)의 전면 중앙부위에 상하 일자형으로 돌출형성되는 가이드편(31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연결용 브래킷.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터치 고정구(320)는,
    상단 부위를 이루고, 좌우측방으로 돌출형성되는 걸림 날개편(321);
    상기 걸림 날개편(321)의 하부에 연장형성되는 중앙 고정편(323);
    상기 중앙 고정편(323)의 전면에 전방으로 돌출형성되고, 체결요소 관통공(3221)이 형성되어 상기 수평 연결대(200)의 길이방향 일단 부위에 결합된 연결체(210)와 체결요소에 의해 결합되는 결합편(322);
    상기 중앙 고정편(323)의 좌우측 하단으로부터 하향 연장형성되고, 상기 지지대 고정편(310)에 형성된 한쌍의 고정용 안내돌기(312)를 따라 슬라이딩하며, 하부 끝단부위에 걸림턱(3241)이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용 안내돌기(312)에 걸림고정되는 한쌍의 걸림편(324);
    상기 걸림편(324)의 외측면에 상하 일자형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고정용 안내돌기(312)의 슬라이딩홈(314)에 삽입된 상태로 슬라이딩이동하게 되는 보조 측면돌기(325);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연결용 브래킷.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원터치 고정구(320)는,
    상기 중앙 고정편(323)의 중앙부위 하단으로부터 하향 연장형성되고, 상하 일자형으로 형성되며, 저면에 일자형 보조 요홈(3261)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 고정편(310)의 가이드편(315)에 끼워진 상태로 슬라이딩이동하게 되는 보조 안내돌기(32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연결용 브래킷.
KR1020190027075A 2019-03-08 2019-03-08 난간연결용 브래킷 KR102031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7075A KR102031080B1 (ko) 2019-03-08 2019-03-08 난간연결용 브래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7075A KR102031080B1 (ko) 2019-03-08 2019-03-08 난간연결용 브래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1080B1 true KR102031080B1 (ko) 2019-10-11

Family

ID=68210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7075A KR102031080B1 (ko) 2019-03-08 2019-03-08 난간연결용 브래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108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0715B1 (ko) 2014-06-12 2014-10-16 코랜스그린산업(주) 데크로드용 난간기둥 연결장치
KR20150116742A (ko) * 2014-04-08 2015-10-16 주식회사 태창테크 안전 난간대 장착장치
KR101782970B1 (ko) 2017-03-09 2017-10-17 우리산업 주식회사 데크로드 난간
KR101807668B1 (ko) 2016-09-28 2018-01-18 주식회사 스틸코리아 데크로드용 난간기둥 및 그 난간기둥에 연결되는 연결봉 연결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6742A (ko) * 2014-04-08 2015-10-16 주식회사 태창테크 안전 난간대 장착장치
KR101450715B1 (ko) 2014-06-12 2014-10-16 코랜스그린산업(주) 데크로드용 난간기둥 연결장치
KR101807668B1 (ko) 2016-09-28 2018-01-18 주식회사 스틸코리아 데크로드용 난간기둥 및 그 난간기둥에 연결되는 연결봉 연결구조
KR101782970B1 (ko) 2017-03-09 2017-10-17 우리산업 주식회사 데크로드 난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2981B1 (ko) 데크로드의 난간 기둥 고정구조
KR102031080B1 (ko) 난간연결용 브래킷
KR101442195B1 (ko) 보행통로 및 인도교용 데크 플레이트 조립체
US20180369894A1 (en) Railing system
KR101773040B1 (ko) 목재데크 상판 연결용 클립 브라켓
KR102420341B1 (ko) 데크 체결용 클립
KR101870676B1 (ko) 조립형 울타리
KR102094636B1 (ko) 캐노피 결합구조
KR100665573B1 (ko) 난간연결구조
KR101616229B1 (ko) 조립식 난간
KR20220013996A (ko) 장부 맞춤형 울타리
JP5313011B2 (ja) デッキ
KR101754112B1 (ko) 목재데크 상판 측부 결합용 클립
KR200486443Y1 (ko) 기둥 패널 어셈블리
JP3732846B2 (ja) オープン階段ユニット
KR200358609Y1 (ko) 계단 난간 지주 조립체
KR200491999Y1 (ko) 발코니 안전 난간대 결합구조
KR101418213B1 (ko)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결합구조
KR102362861B1 (ko) 난간 결합체
KR102413925B1 (ko) 난간 결합구조
KR102451655B1 (ko) 난간 상부 구조체
KR200460036Y1 (ko) 데크용 목재난간
KR102094919B1 (ko) 데크용 지주
KR102254952B1 (ko) 난간용 가로대 결합구조체
AU2017246430B2 (en) Floor structure for ev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