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9820B1 - 안전난간 구조체 - Google Patents

안전난간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9820B1
KR102139820B1 KR1020200030585A KR20200030585A KR102139820B1 KR 102139820 B1 KR102139820 B1 KR 102139820B1 KR 1020200030585 A KR1020200030585 A KR 1020200030585A KR 20200030585 A KR20200030585 A KR 20200030585A KR 102139820 B1 KR102139820 B1 KR 1021398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upport
cover
fixing
fixing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0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영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예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예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예건
Priority to KR1020200030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98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9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98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48Adjustable, angled or hinged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6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the rails being attached to the front faces of the posts
    • E04H2017/146
    • E04H2017/149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행자의 안전을 위한 낙하방지재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고, 낙하방지재의 유지 보수가 용이하며, 시공시 기존보다 더 넓은 통행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안전난간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고정홀이 구비되는 지주; 상기 고정홀의 위치에 대응하여 배치되되, 상기 지주와 지주 사이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낙하방지부재; 상기 지주에 제1고정볼트로 결합되는 지지대와, 제2고정볼트에 의해 상기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되 일측면에 상기 낙하방지부재가 고정되는 제1회전지지판 및 제2회전지지판을 포함하는 연결고정구; 및 제1하부지지부재의 내부로 끼워지는 한 쌍의 삽입판과, 상기 삽입판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지주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되는 돌출판을 포함하는 지주고정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전난간 구조체{Safety handrail structure}
본 발명은 안전난간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난간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고, 용접 등 법을 사용하지 않고 조립방법으로만 구성 함으로서 시공과 유지 보수가 용이하며, 지지대의 지지판을 상하로 경사지게 제작하거나 회전 가능하게 변경하여, 데크길 현장의 경사도 변화나 굽은길 코스 등 현장 상황에 맞게 시공할 수 있고, 기존보다 더 넓은 통행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안전난간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원이나 데크로드 등에는 목재를 이용한 난간, 즉 데크로드 난간 조립체가 설치되고, 특히 바닥재의 상부로는 난간을 형성시키는 난간기둥이 간격을 이루며 설치됨이 일반적이다.
도심 공원, 수변공원, 해안가, 등산로, 산책로, 전원주택 등에 목재 등을 이용한 데크 조립체를 많이 시공하고 있다.
목재 등을 활용한 데크로드는 환경에의 악영향이 적고, 시공이 빠르며, 시공비용이 저렴하고, 구조적으로 안정적이라는 장점이 있어, 최근 들어 많이 건설되고 있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건설되고 있는 데크로드는, 프레임 위에 다수 개의 데크를 데크로드 길이방향으로 배열하고 고정한 후, 보행자들의 안전을 위하여 난간을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난간 구조체와 관련된 기술이 아래의 특허문헌 1 (등록특허공보 제10-1687733호), 특허문헌 2(등록특허공보 제10-1848014호) 등 다수의 특허문헌에 공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에는 도 13의 a)도시된 바와 같이, 데크로드 난간 조립체가 개시되어 있고, 난간 기둥, 지면에 지지되어 상기 난간 기둥을 지지하되 상기 난간 기둥의 하단부 영역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기둥 결합식 지지부, 상기 난간 기둥의 측면에 형성되는 슬라이딩 그루브에 슬라이딩 끼움방식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다수의 목재 플레이트; 상기 목재 플레이트들 사이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난간 기둥의 슬라이딩 그루브에 슬라이딩 끼움방식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다수의 가로대 브래킷; 및 상기 가로대 브래킷에 연결되는 가로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허문헌 2에는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크로드용 난간 기둥 고정 장치와 이를 이용한 난간 기둥 구조물이 개시되어 있고, 난간 기둥 고정 장치와 난간기둥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난간기둥 양 측면에 타측수직마감목재 사이마다 난간보를 끼워 설치하는 슬라이딩 끼움 결합 구조를 택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 2는 모두 슬라이딩 끼움방식으로 가로대나 난간보를 난간기둥에 결합하고 있으므로 특허문헌 1의 목재플레이트나 특허문헌 2의 타측수직마감목재의 파손으로 수리가 필요한 경우 난간의 윗부분부터 분리하여 수리해야 하므로 유지 보수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 2의 안전 난간은 지주와 지주 사이에 낙하방지부재를 끼움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지주의 폭은 낙하방지부재 보다 두꺼워야 하고, 이에 따라 지주의 크기가 커져 운반과 시공이 어렵고, 낙하방지부재와 낙하방지부재 사이에 지주가 데크길 안쪽으로 돌출 설치되게 되는 관계로 통행인이 지주에 부딪치는 불편도 있었다.
또한, 가로대나 난간보는 모두 난간기둥의 측면에 결합되는 구조여서 난간기둥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가로대나 난간보를 설치할 수 없고 가로대나 난간보를 일률적으로 동일한 것을 사용하므로 창조적인 난간 구성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난간기둥의 단면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 공정이 수월하지 않으며, 이러한 난간기둥은 모두 데크로드의 일부 공간을 차지하여 설치되는 점에서 통행공간의 제약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687733호(2016. 12. 19. 공고) 등록특허공보 제10-1848014호(2018. 04. 11. 공고)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보행자의 안전을 위한 낙하방지재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고, 용접 등 법을 사용하지 않고 조립방법으로만 구성함으로서 시공과 유지 보수가 용이하며, 지지대의 지지판의 형상만을 변경하여, 데크길의 현장의 경사도 변화나 굽은길 등 현장 상황에 맞게 시공할 수 있고, 기존보다 더 넓은 통행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기존의 지주보다 작고 간단하게 지주를 구성하는 안전난간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안전난간 구조체는,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고정홀이 구비되는 지주; 상기 고정홀의 위치에 대응하여 배치되되, 상기 지주와 지주 사이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낙하방지부재; 상기 지주에 제1고정볼트로 결합되는 지지대와, 제2고정볼트에 의해 상기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되 일측면에 상기 낙하방지부재가 고정되는 제1회전지지판 및 제2회전지지판을 포함하는 연결고정구; 및 제1하부지지부재의 내부로 끼워지는 한 쌍의 삽입판과, 상기 삽입판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지주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되는 돌출판을 포함하는 지주고정구;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판에는 상기 제1하부지지부재와의 고정을 위한 체결홀이 구비되고, 양 삽입판의 외측 방향으로는 절곡된 판상의 걸림편이 각각 연장 형성되며, 제2하부지지부재가 일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걸림편의 상부로 끼워지도록 끼움홈이 형성되는 연결판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안전난간 구조체는,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고정홀이 구비되는 지주; 상기 고정홀의 위치에 대응하여 배치되되, 상기 지주와 지주 사이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낙하방지부재; 상기 지주에 제1고정볼트로 결합되는 지지대와, 제2고정볼트에 의해 상기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되 일측면에 상기 낙하방지부재가 고정되는 제1회전지지판 및 제2회전지지판을 포함하는 연결고정구; 및 제1하부지지부재의 내부로 끼워지는 한 쌍의 삽입판과, 상기 한 쌍의 삽입판 외측 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결판과, 상기 연결판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지주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되는 돌출판을 포함하는 지주고정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판과 평행하며 상기 돌출판의 양 측면에 외측 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형성된 제2연결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안전난간 구조체는, 상기 지지대는 일측에 체결홀이 형성되는 수직판과, 상기 수직판의 양 단부에 연장 형성되되 체결홀이 형성되어 있는 수평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회전지지판은 제1고정홀이 복수 개 마련된 제1평판과, 상기 제1평판의 일단부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그 양 단부에 체결홀이 형성되는 제1연장편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회전지지판은 제2고정홀이 복수 개 마련된 제2평판과, 상기 제2평판의 일단부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그 양 단부에 체결홀이 형성되는 제2연장편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안전난간 구조체는, 상기 지지대는 일측에 체결홀이 형성되는 수직판과, 상기 수직판의 양 단부에 연장 형성되되 체결홀이 형성되어 있는 수평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회전지지판은 제1관통홀을 구비한 제1절곡판과, 상기 제1절곡판의 일단부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그 양 단부에 체결홀이 형성되는 제1연장편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회전지지판은 제2관통홀을 구비한 제2절곡판과, 상기 제2절곡판의 일단부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그 양 단부에 체결홀이 형성되는 제2연장편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의 안전난간 구조체는, 상기 연결고정구의 외부를 폐쇄할 수 있는 커버부재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안전난간 구조체는,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제2고정볼트의 머리부가 삽입될 수 있는 요홈이 일측에 형성되는 수평커버, 상기 수평커버에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연결고정구의 정면 방향을 커버하는 절곡커버와, 상기 수평커버의 양 측방향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커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안전난간 구조체는, 상기 수평커버와 절곡커버의 연결부위에는 절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안전난간 구조체는, 상기 절곡커버에는 상기 제2고정볼트에 체결되는 제2고정너트나 상기 제2고정볼트의 단부가 관통되는 걸림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안전난간 구조체는, 상기 지지대와 지주의 사이 및 상기 지지대와 제1고정볼트의 머리부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는 와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안전난간 구조체는, 제1회전지지판 또는 제2회전지지판은 제1연장편 또는 제2연장편에 대하여 제1평판 또는 제2평판이 상부 또는 하부로 경사지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안전난간 구조체는 용접 등 법을 사용하지 않고 조립방법으로만 구성 함으로서 시공이 용이하며, 지지대의 지지판을 상하로 경사지게 제작하거나 회전 가능하게 변경하여, 데크길 현장의 경사도 변화나 굽은길 코스등 현장 상황에 맞게 시공할 수 있게되어 안전난간의 설계 자유도가 향상된다.
또한, 낙하방지재의 수리시 연결고정구에서 분리만 하면 되므로 낙하방지재의 유지 보수가 매우 용이해진다.
또한, 지주고정구는 데크로드의 폭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하부지지부재의 양 단에 삽입 고정되고 제1하부지지부재의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판에 지주가 삽입되는 구조이므로 기존보다 더 넓은 통행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종래의 난간은 지주와 지주 사이에 낙하방지부재를 끼움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지주의 폭은 낙하방지부재 보다 두꺼워져 시공이 어렵고 낙하방지부재와 낙하방지부재 사이에 지주가 돌출 설치되게 되는 관계로 통행인이 지주에 부딪치는 불편도 있었지만 본 발명의 난간은 낙하방지부재를 지주의 앞에 설치하여 지주의 크기를 줄여 지주이 운반이나 시공이 쉽도록 하였고 통행인의 불편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난간 구조체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난간 구조체의 연결고정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난간 구조체의 연결고정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난간 구조체의 연결고정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난간 구조체의 연결고정구에 길이가 긴 하나의 낙하방지부재가 고정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난간 구조체의 지주고정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난간 구조체의 일체형 지주고정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난간 구조체의 낙하방지부재를 서로 달리 구성하여 안전난간을 구성한 일 실시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난간 구조체의 낙하방지부재를 서로 달리 구성하여 안전난간을 구성한 다른 실시예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난간 구조체의 커버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난간 구조체의 연결고정구에 커버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난간 구조체의 연결고정구를 구성하는 지지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a)는 체결홀 중첩형, (b)는 장공형, (c)는 기본형 연결고정구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회전지지판과 제2회전 지지판(350)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3a는 특허문헌 1, 도 13b는 특허문헌 2에 도시된 종래 기술의 안전난간 구조체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지주(100), 낙하방지부재(200), 연결고정구(300) 및 지주고정구(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상기의 구성 요소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지주(100)는 데크로드의 폭방향 양측에 대향되는 형태로 배열되며, 데크로드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등간격으로 수직 배치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주(100)는 그 하단이 지주고정구(400)에 삽입되어 수직으로 입설되고, 그 길이 방향으로 낙하방지부재(200)가 고정되는 연결고정구(3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연결고정구(300)의 설치 위치에 대응되는 곳에 고정홀(103)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지주(100)는 중공의 사각관 형태의 금속재로 구성될 수 있으나, 상기 고정홀(103)를 구비할 수 있으면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주(100)의 상단에는 상부 브래킷(105)이 결합되고, 그 상부 브래킷(105)상에 낙하방지부재(200)가 고정된다.
상기 낙하방지부재(200)는 데크로드 위를 통행하는 보행자의 안전을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고정홀(103)의 위치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지주(100)에 결합되는 연결고정구(300)에 그 일측이 고정되며, 데크로드의 길이방향으로 이웃하여 설치되는 지주(100)와 지주(100) 사이를 연결한다.
또한, 상기 낙하방지부재(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재의 사각봉(200a)으로 구성되거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재의 중공 원형봉(200b)으로 구성되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재의 중공 원형봉에 메쉬 철망(200c)이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 및 4와 같이 낙하방지부재로 중공 원형봉이 사용되는 경우 이탈 방지를 위하여 고정구(210)가 중공 원형봉의 낙하방지부재 말단에 삽입 고정되고, 메쉬 철망(200c)은 별도의 브래킷을 이용하여 중공 원형봉의 낙하방지부재에 고정될 수 있으며, 그 결합 수단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낙하방지부재(200)를 구성할 수 있는 것은 지주(100)의 내측면에 고정되되 서로 분리될 수 있는 연결고정구(300)의 구조 때문이다.
상기 연결고정구(300)는 낙하방지부재(200)를 지주(100)에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지지대(310), 제1회전지지판(330, 330'), 제2회전지지판(350, 350')과 이들의 결합을 위한 체결수단으로 이루어지며, 구조적 안전성을 위하여 지지대(310), 제1회전지지판(330, 330'), 제2회전지지판(350, 350')은 모두 금속재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대(310)는 측면상 "ㄷ" 형태로 이루어지고, 구체적으로는 일측에 체결홀이 형성되는 수직판(311)과, 상기 수직판(311)의 양 단부에 직각으로 연장 형성되되 그 단부에 체결홀이 형성되는 수평판(31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직판(311)의 체결홀에는 제1고정볼트(320)가 삽입되고 제1고정볼트(320)는 지주(100)에 형성된 고정홀(103)을 관통하여 그 단부에 제1고정너트(325)가 결합되어 고정된다.
또한, 상기 지지대(310)와 지주(100)의 사이 및 상기 지지대(310)와 제1고정볼트(320)의 머리부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는 와셔(327)를 구비하여 제1고정볼트(320) 및 제1고정너트(325)로 지주(100)에 지지대(310)를 고정하더라도 지지대(310)가 지주(100)에 대하여 z축을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난간 구조체를 사용하면 경사진 곳에서도 효과적이면서 편리하게 난간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회전지지판(330)은, 도 2와 같이 평면을 구비한 낙하방지부재(200a)를 고정하는 경우, 낙하방지부재(200)가 일측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체결나사가 관통되는 제1고정홀(331a)이 복수 개 마련된 제1평판(331)과, 상기 제1평판(331)에 수직인 면을 갖되 제1평판(331)의 길이 방향으로 제1평판(331)의 일단부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그 양 단부에 체결홀이 형성되는 제1연장편(33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회전지지판(330')은, 도 3과 같이 곡면을 구비한 낙하방지부재(200b)를 고정하는 경우, 상기 제1평판(331)이 제1절곡판(331')으로 변경되고 낙하방지부재(200b)가 삽입될 수 있는 제1관통홀(331'a)을 구비한다.
상기 제2회전지지판(350)은, 도 2와 같이 평면을 구비한 낙하방지부재(200a)를 고정하는 경우, 제2고정홀(351a)이 복수 개 마련된 제2평판(351)과, 상기 제2평판(351)에 수직인 면을 갖되 제2평판(351)의 길이 방향으로 제2평판(351)의 일단부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그 양 단부에 체결홀이 형성되는 제2연장편(35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회전지지판(350')은, 도 3과 같이 곡면을 구비한 낙하방지부재(200b)를 고정하는 경우, 상기 제2평판(351)이 제2절곡판(351')으로 변경되고 낙하방지부재(200b)가 삽입될 수 있는 제2관통홀(351'a)을 구비한다.
상기 제1회전지지판(330) 및 제2회전지지판(350)에서 제1, 2연장편(333, 353)은 각 연장편 사이의 폭이 지지대(310)의 수평판(31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도록 적절하게 구성된다.
상기 제1회전지지판(330)의 제1연장편(333)과 제2회전지지판(350)의 제2연장편(353)이 모두 지지대(310)의 수평판(313) 사이에 배치되도록 위치시킨 후, 상기 체결홀들을 일렬로 배열하여 그 체결홀들을 관통하는 제2고정볼트(360)를 삽입하고 체결홀 외부로 돌출된 제1고정볼트(370)의 나사부에 제2고정너트(365)를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이와 같은 고정 상태에서 제1회전지지판(330) 및 제2회전지지판(350)은 지지대(3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해지고, 이로부터 제1회전지지판(330) 및 제2회전지지판(350)에 고정된 각각의 낙하방지부재(200)가 지주(100)에 대하여 x축을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독립적인 회전이 가능해진다.
이는 데크로드의 곡선 구간이나 절곡 구간에서 난간의 설치 편의성을 크게 증대시킨다.
한편, 본 발명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크로드의 폭이 일정한 직선 구간에서는 지주와 지주 사이에 낙하방지부재를 별개로 고정하는 대신 여러 개의 지주 사이를 하나의 긴 낙하방지부재(200')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시공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독립적으로 탈부착할 수 있는 연결고정구(300)의 구조적인 특징으로 인하여 서로 다른 종류의 낙하방지부재를 설치하는 것도 용이해지므로 본 발명의 안전난간 구조체를 사용하면 다양한 형태의 난간 구성이 가능해진다.
일예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고정구(300)는 제1회전지지판(330)과 제2회전지지판(350')으로 구성됨으로써 사각봉(200a)과 중공 원형봉(200b)의 낙하방지부재를 설치할 수 있다.
다른 일예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100a)와 지주(100b) 사이는 봉형상의 낙하방지부재(200a, 200b)를 지주(100b)와 지주(100c) 사이는 메쉬 형태의 낙하방지부재(200c)를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난간이 설치되는 주변 환경을 고려하여 보다 안전한 난간 구성이 필요한 부분은 메시 형태의 낙하방지부재(200c)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안전난간 설계의 유연성이 크게 증대된다.
또 다른 실시예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르막, 내리막이 시작되는 데크길이나 오르막 내리막이 끝나는 데크길의 지주(100)에 결합되는 연결 고정구(300)의 구조를 도시한 것인데 이러한 부분에 설치되는 연결고정구(300)의 제1회전 지지판(330) 또는 제2회전 지지판(350)은 제1연장편(333) 또는 제2연장편에 대하여 제1평판(331) 또는 제2평판(351)이 상부 또는 하부로 경사지게 구성하여 낙화방지부재를 데크길의 경사도에 맞게 설치 할 수 있게 한다. 실시예로 경사도는 15°간격으로 설치하여 30°, 45°, 75°간격으로 미리 제작하여 놓으면 데크길의 경사도가 변하더라도 각도 변화에 대응하여 시공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 지주고정구(400)는 지주(100)를 데크로드의 하부 일측에 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일측이 데크로드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하부지지부재(A)에 삽입되고 다른 일측에 지주(100)가 삽입 고정된다.
상기 지주고정구(400)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하부지지부재(A)의 내부로 끼워지는 한 쌍의 삽입판(410)과, 상기 삽입판(410)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되 지주(10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되는 돌출판(4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삽입판(410)에는 제1하부지지부재(A)와의 고정을 위한 체결홀이 구비되고, 양 삽입판(410)의 외측 방향으로 절곡된 판상의 걸림편(450)이 각각 연장 형성된다.
상기 돌출판(430)에는 체결홀이 복수로 구비되는바, 지주(100)를 돌출판(430)에 삽입한 후 체결홀을 통해 체결수단을 관통시켜 지주(100)가 지주고정구(400)에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데크로드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하부지지부재(B)를 일측면에 고정시키며 걸림편(450)의 상부로 끼워 넣은 후 걸림편(450)에 고정되도록 하는 연결판(470)이 더 구비된다.
상기 연결판(470)은 단면상 계단형으로 절곡된 형상을 갖되 일측면에는 끼움홈(475)이 구비되어 이 끼움홈(475)을 통해 연결판(470)을 걸림편(450)에 끼워 넣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주고정구(400)는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판(410) 및 연결판(470)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구조로 구성 가능하며, 이 경우 연결판(470)은 양 삽입판(410) 외측 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형성되고, 돌출판(430)의 양 측면에 삽입판(410)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로부터 연결판(470)과 평행하며, 돌출판(430)의 외측 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형성된 제2연결판(470a)을 더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판(470) 및 제2연결판(470a) 사이에 제2하부지지부재(B)가 삽입 후 고정될 수 있도록 양 구성에는 복수개의 체결홀이 더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해 난간이 설치될 때 낙하방지부재(200) 사이로 연결고정구(300)가 정면 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으므로 이는 미관상이나 안전상으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연결고정구(300)의 외부를 폐쇄(이는 완전한 폐쇄가 아니라 어느 정도의 개방 공간을 허용하는 수준의 폐쇄를 의미한다)할 수 있도록 커버부재(50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5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커버(510), 절곡커버(530) 및 수직커버(550)로 이루어지고, 고무재질이나 연질의 합성수지로 만들어진다.
상기 수평커버(510)는 제2고정볼트(360)의 머리부가 삽입될 수 있는 요홈(515)이 일측에 형성될 수 있도록 소정 두께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수평커버(510)는 요홈(515)을 구성하기 위하여 절곡커버(530)와 수직커버(550) 보다 상대적으로 두껍게 이루어지는바, 수평커버(510)에 대한 절곡커버(530)의 움직임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수평커버(510)와 절곡커버(530)의 연결부위에는 절개홈(520)이 형성된다.
상기 절곡커버(530)는 연결고정구(300)의 정면 방향을 충분히 커버할 수 있는 크기로 구성되고, 수평커버(510)에 일체로 연결되는 제1절곡커버(533)와 제1절곡커버(533)에 일체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제2절곡커버(535)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절곡커버(535)에는 제2고정볼트(360)에 체결되는 제2고정너트(365)나 제2고정볼트(360)의 단부가 관통될 수 있도록 걸림홀(537)이 형성되는데, 이와 같이 제2고정볼트(360)의 머리부를 요홈(515)에 끼우고 제2고정너트(365)나 제2고정볼트(360)의 단부가 걸림홀(537)에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커버부재(500)가 연결고정구(30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커버부재(500)가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1절곡커버(530)와 제2절곡커버(530)를 절곡시켜 구성하는 대신 단일편의 절곡커버(530)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커버부재(500)가 충분한 탄성을 갖추어 쉽게 늘어날 수 있으므로 요홈(515)에 제2고정볼트(360)의 머리부가 삽입되도록 한 후 절곡커버(530)를 잡아 당겨 걸림홀(537)에 제2고정너트(365)나 제2고정볼트(360)의 단부가 걸리도록 하여 커버부재(500)를 연결고정구(300)에 고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재(500)는 고무재질이나 연질의 합성수지로 구성되는바, 서로 인접한 낙하방지부재(200)가 다양한 각도로 꺾이더라도 절곡커버(530)의 측방향 변형이 자유로워 연결고정구(300)의 정면 방향을 충분히 폐쇄할 수 있다.
상기 수직커버(550)는 수평커버(510)와 수직커버(550)로 폐쇄되지 않는 양 측면을 폐쇄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수평커버(510)의 양 측방향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그 단부는 제2고정너트(365)에 결합된 상태의 제2절곡커버(530) 보다 더 아래에 위치할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로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안전난간 구조체의 설치 자유도를 더욱 높이기 위하여 연결고정구(300)의 지지대(310)을 다른 구조로 변경할 수 있다.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310')는 수평판(313')에 복수의 체결홀(313'a)이 일부 중첩되어 연이은 형태로 구성됨으로써 제1회전지지판과 제2회전지지판을 z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데크로드의 폭이 일정한 구간에 지주가 설치되더라도 낙하방지부재의 폭간 거리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어 실질적으로 보행할 수 있는 폭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홀(313'a)을 일부 중첩되도록 하는 것은 각 체결홀(313'a)에 제2고정볼트(360)가 관통되어 결합될 때 z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하여 확실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안전난간 구조체는 데크로드의 난간을 구성하기 위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안전난간을 설치할 수 있는 어떠한 구조물에도 적용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은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100: 지주 103: 고정홀
200: 낙하방지부재 300: 연결고정구
320: 제1고정볼트 360: 제2고정볼트
310: 지지대 330: 제1회전지지판
350: 제2회전지지판 400: 지주고정구
410: 삽입판 430: 돌출판
450: 걸림편 470: 연결판
500: 커버부재 510: 수평커버
530: 절곡커버 550: 수직커버

Claims (14)

  1.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고정홀(103)이 구비되는 지주(100);
    상기 고정홀(103)의 위치에 대응하여 배치되되, 상기 지주(100)와 지주(100) 사이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낙하방지부재(200);
    상기 지주(100)에 제1고정볼트(320)로 결합되는 지지대(310)와, 제2고정볼트(360)에 의해 상기 지지대(3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되 일측면에 상기 낙하방지부재(200)가 고정되는 제1회전지지판(330, 330') 및 제2회전지지판(350, 350')을 포함하는 연결고정구(300); 및
    제1하부지지부재(A)의 내부로 끼워지는 한 쌍의 삽입판(410)과, 상기 삽입판(410)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지주(10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되는 돌출판(430)을 포함하는 지주고정구(400);
    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판(410)에는 상기 제1하부지지부재(A)와의 고정을 위한 체결홀이 구비되고, 양 삽입판(410)의 외측 방향으로는 절곡된 판상의 걸림편(450)이 각각 연장 형성되며,
    제2하부지지부재(B)가 일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걸림편(450)의 상부로 끼워지도록 끼움홈(475)이 형성되는 연결판(47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난간 구조체.
  2.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고정홀(103)이 구비되는 지주(100);
    상기 고정홀(103)의 위치에 대응하여 배치되되, 상기 지주(100)와 지주(100) 사이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낙하방지부재(200);
    상기 지주(100)에 제1고정볼트(320)로 결합되는 지지대(310)와, 제2고정볼트(360)에 의해 상기 지지대(3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되 일측면에 상기 낙하방지부재(200)가 고정되는 제1회전지지판(330, 330') 및 제2회전지지판(350, 350')을 포함하는 연결고정구(300); 및
    제1하부지지부재(A)의 내부로 끼워지는 한 쌍의 삽입판(410)과, 상기 한 쌍의 삽입판(410) 외측 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결판(470)과, 상기 연결판(470)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지주(10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되는 돌출판(430)을 포함하는 지주고정구(400);
    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판(470)과 평행하며 상기 돌출판(430)의 양 측면에 외측 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형성된 제2연결판(470a)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난간 구조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310)는 일측에 체결홀이 형성되는 수직판(311)과, 상기 수직판(311)의 양 단부에 연장 형성되되 체결홀이 형성되어 있는 수평판(31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회전지지판(330)은 제1고정홀(331a)이 복수 개 마련된 제1평판(331)과, 상기 제1평판(331)의 일단부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그 양 단부에 체결홀이 형성되는 제1연장편(33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회전지지판(350)은 제2고정홀(351a)이 복수 개 마련된 제2평판(351)과, 상기 제2평판(351)의 일단부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그 양 단부에 체결홀이 형성되는 제2연장편(35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난간 구조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310)는 일측에 체결홀이 형성되는 수직판(311)과, 상기 수직판(311)의 양 단부에 연장 형성되되 체결홀이 형성되어 있는 수평판(31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회전지지판(330')은 제1관통홀(331'a)을 구비한 제1절곡판(331')과, 상기 제1절곡판(331')의 일단부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그 양 단부에 체결홀이 형성되는 제1연장편(33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회전지지판(350')은 제2관통홀(351'a)을 구비한 제2절곡판(351')과, 상기 제2절곡판(351')의 일단부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그 양 단부에 체결홀이 형성되는 제2연장편(35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난간 구조체.
  5. 삭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고정구(300)의 외부를 폐쇄할 수 있는 커버부재(500)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난간 구조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500)는
    상기 제2고정볼트(360)의 머리부가 삽입될 수 있는 요홈(515)이 일측에 형성되는 수평커버(510)와,
    상기 수평커버(510)에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연결고정구(300)의 정면 방향을 커버하는 절곡커버(530)와,
    상기 수평커버(510)의 양 측방향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커버(5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난간 구조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커버(510)와 절곡커버(530)의 연결부위에는 절개홈(52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난간 구조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커버(530)에는 상기 제2고정볼트(360)에 체결되는 제2고정너트(365)나 상기 제2고정볼트(360)의 단부가 관통되는 걸림홀(537)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난간 구조체.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310)와 지주(100)의 사이 및 상기 지지대(310)와 제1고정볼트(320)의 머리부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는 와셔(32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난간 구조체.
  11. 삭제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지지판(330) 또는 제2회전지지판(350)은 제1연장편(333) 또는 제2연장편에 대하여 제1평판(331) 또는 제2평판(351)이 상부 또는 하부로 경사지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난간 구조체.
  13. 삭제
  14. 삭제
KR1020200030585A 2020-03-12 2020-03-12 안전난간 구조체 KR1021398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0585A KR102139820B1 (ko) 2020-03-12 2020-03-12 안전난간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0585A KR102139820B1 (ko) 2020-03-12 2020-03-12 안전난간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9820B1 true KR102139820B1 (ko) 2020-07-31

Family

ID=71834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0585A KR102139820B1 (ko) 2020-03-12 2020-03-12 안전난간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98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07084A (zh) * 2021-04-28 2021-07-13 刘新杰 一种钢框架玻璃棚用安全保险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1628A (ja) * 2002-04-12 2003-10-24 New Works Engineering:Kk フェンス連結金具
KR101079406B1 (ko) * 2010-11-08 2011-11-02 (주)엘지하우시스 펜스용 브라켓을 구비한 펜스
KR101687733B1 (ko) 2016-05-04 2016-12-19 주식회사 다올씨엔티 데크로드 난간 조립체
KR101848014B1 (ko) 2017-01-26 2018-04-11 (주)나무들 데크로드용 난간 기둥 고정 장치와 이를 이용한 난간 기둥 구조물
KR20190067997A (ko) * 2017-12-08 2019-06-18 (주)광림이엔씨 각도 조절이 용이한 휀스
KR102088626B1 (ko) * 2019-08-05 2020-03-13 김상현 목재를 이용한 난간 데크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1628A (ja) * 2002-04-12 2003-10-24 New Works Engineering:Kk フェンス連結金具
KR101079406B1 (ko) * 2010-11-08 2011-11-02 (주)엘지하우시스 펜스용 브라켓을 구비한 펜스
KR101687733B1 (ko) 2016-05-04 2016-12-19 주식회사 다올씨엔티 데크로드 난간 조립체
KR101848014B1 (ko) 2017-01-26 2018-04-11 (주)나무들 데크로드용 난간 기둥 고정 장치와 이를 이용한 난간 기둥 구조물
KR20190067997A (ko) * 2017-12-08 2019-06-18 (주)광림이엔씨 각도 조절이 용이한 휀스
KR102088626B1 (ko) * 2019-08-05 2020-03-13 김상현 목재를 이용한 난간 데크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07084A (zh) * 2021-04-28 2021-07-13 刘新杰 一种钢框架玻璃棚用安全保险装置
CN113107084B (zh) * 2021-04-28 2021-12-21 杨笃云 一种钢框架玻璃棚用安全保险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30445B2 (en) Tri-truss self-closing gate
KR102347678B1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디자인형 울타리용 브라켓
KR101991026B1 (ko) 데크로드 난간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973330B1 (ko) 조립성 및 미관성이 향상된 데크로드 시스템
KR102024717B1 (ko) 안전난간 및 안전난간용 지주
CA2493003A1 (en) Pre-fabricated fencing panels
KR102122981B1 (ko) 데크로드의 난간 기둥 고정구조
KR102075600B1 (ko) 수평바의 각도 설치가 용이한 펜스
KR102139820B1 (ko) 안전난간 구조체
KR20130092227A (ko) 합성목재 난간 결합구조
US20060118772A1 (en) Stackable outdoor screen fence
KR101348920B1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난간 및 휀스용 연결구
KR102347686B1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브라켓이 적용된 디자인형 울타리
KR101397640B1 (ko) 스탠드용 막 구조물
KR102156673B1 (ko) 목재 펜스용 하이브리드 브래킷
KR200404504Y1 (ko) 동물의 이동이 방지되는 펜스
KR20080005462U (ko) 펜스
KR101475807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펜스 지주
KR200350282Y1 (ko) 조립식 지주가 구비된 펜스
KR102273524B1 (ko) 우드펜스
KR102139094B1 (ko) 디자인형 울타리의 지주와 난간 고정구조
KR101199430B1 (ko) 패널교체 및 패널간격과 설치각도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난간
KR20200000197U (ko) 경사지 지주 설치용 체결밴드
KR200393113Y1 (ko) 발전소 취수설비의 이물질 여과용 트래쉬 랙
KR100418619B1 (ko) 펜스용 브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