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8619B1 - 펜스용 브라켓 - Google Patents

펜스용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8619B1
KR100418619B1 KR10-2000-0046413A KR20000046413A KR100418619B1 KR 100418619 B1 KR100418619 B1 KR 100418619B1 KR 20000046413 A KR20000046413 A KR 20000046413A KR 100418619 B1 KR100418619 B1 KR 100418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steel bracket
post
crossbar
f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6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0422A (ko
Inventor
김기환
Original Assignee
뉴그린창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뉴그린창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뉴그린창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46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8619B1/ko
Publication of KR20020010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0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8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86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17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with vertical cross-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48Adjustable, angled or hinged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52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the ends of the rails are fixed on the lateral sides of the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73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using fixing devices encircling, partially or fully, the po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횡대를 견고하게 지지함은 물론 경사각에 구애받지 않고 다각도로 시공할 수 있게 하며, 외관을 깨끗하게 하기 위한 펜스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지주에 횡대를 용접방식으로 고정하였으므로 경사진 곳에서의 시공시에 불리하고, 지주와 횡대를 용접한 후에는 이를 연마하기 위한 후처리공정이 필요하여 작업성이 떨어지고 제조원가가 증가되며, 단순히 수지 브라켓류는 재료특성상 지속적인 강도 유지가 안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은 지주에 단면상 "ㄷ"자 형의 철재 브라켓을 직결 나사로 고정하고, 횡대를 끼워 맞춘 후 연결된 철재 브라켓 및 회대의 외면에 수지류(PVC, PP, ABS등)브라켓을 끼워 고정하는 것으로, 이와 같이 하면 횡대가 지주에 견고하게 연결됨은 물론 상하 회전이 가능하여 경사진 곳에서의 시공이 자유로우며, 수지류(PVC, PP, ABS 등) 브라켓 커버에 의해 외관이 깨끗해짐과 동시에 지주와 횡대의 연결부위가 빗물 등에 의해 부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펜스용 브라켓{bracket of fence}
본 발명은 펜스용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횡대를 견고하게 지지함은 물론 경사각에 구애받지 않고 다각도로 시공할 수 있게 하며, 외관을 깨끗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펜스는 주택이나 건물의 외부 울타리를 가리키는 것으로, 지주의 사이에 횡대가 2∼3단으로 고정되고 횡대에는 다수의 수직 지지대가 등간격으로 위치되는 것이 보통인데, 횡대는 지주에 용접방식으로 고정하고, 수직 지지대는 횡대에 볼트로 고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주택이나 건물의 외부에 펜스를 설치함으로써 그 영역을 표시하거나 도난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음은 물론 최근에는 다양한 디자인의 펜스가 등장하여 시각적인 욕구를 충족시키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지주와 횡대의 고정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이 용접방식이 대부분이어서 그 작업이 매우 어려우며, 특히 이러한 용접방식의 경우에는 평탄한 지형엔 문제시될 게 없으나 경사면에서의 시공시에는 계단식 시공방식을 택할 수밖에 없어 작업이 난해함은 물론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지주에 횡대를 고정하게 되면 용접부위가 남게 되어 안전사고의 우려가 있음은 물론 외관상 미려함이 떨어지므로 용접후에는 그라인드 등의 후처리공정이 필요하게 되어 불필요한 공정수가 증가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지주에 횡대를 고정함에 있어 지주에 철재 브라켓을 이용하여 횡대를 견고하게 고정하고, 철재 브라켓 및 횡대를 수지류(PVC, PP, ABS 등) 브라켓으로 커버함으로써 횡대의 상하 회전가능하여 경사진 곳에서의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고, 조립을 간편하게 함과 동시에 외관상 미려함을 추구하는 펜스용 브라켓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펜스용 브라켓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펜스용 브라켓의 사용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펜스용 브라켓을 사용하여 시공된 펜스의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이 설치되는 펜스 지주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주 2 : 철재 브라켓
3 : 볼트 4 : 횡대
5 : 핀 6 : 수지류재 브라켓
7 : 수직 지지대
이하, 본 발명을 제시되는 실시예에 의해 구체화한다.
본 발명은 펜스를 구성하는 지주와 횡대의 연결구조를 제공하며, 이를 위해 철재 브라켓 및 수지류(PVC, PP, ABS 등) 브라켓을 각각 구비한 것으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절단되는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횡대의 저면과 양측면에 각각 밀착대응되어 지지되도록 형성되는 철재 브라켓(2)을 지주(1)의 측면에 볼트(3)로 고정한다.이때, 상기 철재 브라켓(2)은 그 일측이 절곡되어 지주(1)에 각각 밀착되면서 절곡면에 형성되는 볼트공(2b)을 통하여 볼트(3)로서 지주(1)에 고정된다.그리고, 상기 철재 브라켓(2)의 양측면에는 수직방향으로 길게 장홈(2a)이 형성되고, 상기 장홈(2a)에는 횡대(4)의 핀삽입공(4a)에 장착되어 횡대를 회전 가능하게 하는 핀(5)이 삽입된다.더하여, 상기와 같이 연결된 철재 브라켓(2) 및 횡대(4)의 외면에 수지류 브라켓(6)을 끼워 커버링 하고, 수지류 브라켓(6)과 횡대(4)를 횡방향에서 서로 고정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수지류 브라켓(6)은 철재 브라켓(2)을 수용할 수 있도록 철재 브라켓(2)의 외면보다 큰 홈(6a)을 내면에 가지며, 또한 횡대(4)의 철재 브라켓 연결부위를 커버하면서 횡대(4)를 통과시켜 그 중앙부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전면방향으로 돌출되고 전면 중앙부와 하면이 개구된 말굽형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지주(1)에 수직방향 단면의 형상이 "ㄷ"자형인 철재 브라켓(2)을 그 일측에 형성되는 절곡면의 관통공(2b)을 통하여 볼트로서 고정한 후 횡대(4)를 철재 브라켓(2)이 이루는 "ㄷ"의 중앙부에 끼운다.이때, 상기 횡대(4)의 저면 및 양측면이 ㄷ 자형 철재 브라켓(2)의 내면에 각각 삽입되어 밀착지지되고, 상기 철재 브라켓(2)에 형성되는 장홈(2a)및 횡대(4)에 형성되는 핀삽입공(4a)에 동시에 삽입되는 핀(5)을 통하여 횡대(4)를 철재 브라켓(2)에 회전가능토록 고정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철재 브라켓(2)과 횡대(4)의 연결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어 빗물 등에 의해 부식될 수 있음은 물론 외관이 지저분해지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철재 브라켓(2)과 횡대(4)의 연결부위를 커버할 수 있도록 말굽형의 수지류(PVC, PP, ABS) 브라켓(6)을 구비한 것으로, 상기 수지류 브라켓(6)의 개구부를 하부 방향으로 하여 그 사이로 횡대(4)를 삽입하여 중앙부측으로 위치시킨 후 철재 브라켓(2)을 그 내부의 홈(6a)에 끼워맞춤하여 고정하면 되는 것이다.
이후 횡대(4)에 수직방향으로 다수의 수직 지지대(7)를 고정한 패널을 도 3과 같이 연결 조립하여 펜스가 간단하게 완성되며, 이와 같이 하면 철재 브라켓(2)에 의해 횡대(4)가 지주(1)에 취부되므로 견고하게 지지된다.더하여, 상기 횡대(4)는, 핀삽입공(4a)에 삽입되는 핀(5)을 통하여 철재브라켓(2)에 연결될때 상기 횡대(4)의 단부에서 지주(1)의 대응면 사이 거리가 핀삽입공(4a)의 중심으로 횡대(4)의 단부가 그리는 호보다 크도록 형성되며, 상기 장홈(2a)의 최소위치가 철재브라켓(2)의 내측에 밀착되는 횡대(4)의 핀삽입공(4a)과 동일 선상에 위치토록 형성되어 핀(5)을 통한 횡대의 연결시 철재브라켓(2)의 내측에서 용이하게 회전된다.그리고, 도 2와 같이 본 발명의 횡대(4)를 지주면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동작은, 먼저 핀(5)을 통하여 철재 브라켓(2)의 장홈(2a)에 연결되는 횡대(4)를 수직방향으로 최대 상승시키면 상기 핀(5)이 장홈(2a)의 내측에서 최대로 상승하게 되고, 상기의 동작에 의해 횡대(4)의 저면과 철재브라켓(2)의 내측면 저부 사이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된다.이때, 상기 공간에 의해 횡대(4)의 단부가 회전할수 있도록 되어 횡대(4)가 철재브라켓(2)의 장홈(2a)에 지지되는 핀(5)을 중심으로 상승및 하강 회전토록 되고, 이와같은 동작에 의해 도2에서와 같이 횡대(4)가 철재 브라켓(2)에서 회전가능토록됨으로써 상하 어느 방향이든 회전이 가능하여 경사진 곳에서의 시공이 가능해지는 것이다.그리고, 상기 핀(5)을 장홈(2a)에서 완전 하향시키면 횡대(4)의 저면이 ㄷ 자형 철재 브라켓(2)의 중앙부에 접촉되어 더 이상 하향되는 것을 방지하여 횡대를 견고하게 지지고정함은 물론 회전이 방지토록 된다.또한, 말굽형 수지류 브라켓(6)이 철재 브라켓(2) 및 횡대(4)의 철재 브라켓 연결부위를 커버하여 마감하게 되므로 외견이 미려해질 수 있으며, 빗물 등에 의한 철재 브라켓(2)과 횡대(4)의 연결부위 부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펜스의 수명을 장시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말굽형 수지류 브라켓(6)은 PVC, PP, ABS재 등 모두 구성가능하나 그 내구성 및 제조원가를 감안하여 PVC재질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은 펜스용뿐만 아니라 각종 건물의 난간 등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주에 횡대를 연결 고정함에 있어 횡대를 지주에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철재 브라켓을 구비한 것이며, 철재 브라켓과 횡대의 연결부위를 커버하는 말굽형 수지류(PVC, PP,ABS EMD) 브라켓을 구비한 것이므로 횡대가 지주에 견고하게 연결됨은 물론 상하 회전가능하여 경사진 곳에서의 시공이 자유로우며, 수지류 브라켓에 의해 외관이 깨끗해짐과 동시에 지주와 횡대의 연결부위가 빗물 등에 의해 부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지주(1)의 사이에 횡대(4)를 2∼3단으로 고정하고, 상기 횡대(4)에 다수의 수직 지지대(7)를 등간격으로 위치시키고, 상기 횡대(4)가 ㄷ자형의 브라켓에 의해 지주에 연결된후 그 외측에 횡대(4)의 철재 브라켓 연결부위를 커버하도록 전면방향으로 돌출되는 말굽형으로 이루어지는 수지류 브라켓이 설치되는 펜스에 있어서,
    상기 횡대의 저면 및 양측면에 각각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ㄷ"자형 철재 브라켓(2) 양측면에 장홈(2a)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장홈(2a)에 횡대(4)를 하나의 핀(5)으로서 고정하며, 상기 철재 브라켓(2) 및 횡대(4)의 외면으로 수지류 브라켓(6)이 삽입되고, 상기 수지류 브라켓(6)은, 내면에 철재 브라켓(2)의 외면보다 큰 홈(6a)을 형성되면서 그 전면 중앙부와 하면이 개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스용 브라켓.
  2. (삭제)
KR10-2000-0046413A 2000-08-10 2000-08-10 펜스용 브라켓 KR100418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6413A KR100418619B1 (ko) 2000-08-10 2000-08-10 펜스용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6413A KR100418619B1 (ko) 2000-08-10 2000-08-10 펜스용 브라켓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1709U Division KR200207180Y1 (ko) 2000-07-29 2000-07-29 펜스용 브라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0422A KR20020010422A (ko) 2002-02-04
KR100418619B1 true KR100418619B1 (ko) 2004-02-11

Family

ID=19682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6413A KR100418619B1 (ko) 2000-08-10 2000-08-10 펜스용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861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7945B1 (ko) * 2004-04-29 2005-01-27 김동규 보·차도 경계 펜스용 커넥터
KR101067250B1 (ko) * 2011-05-13 2011-09-27 중호건설 주식회사 조립식 휀스
KR101219360B1 (ko) 2010-11-08 2013-01-16 (주)이건환경 디자인형 울타리의 기둥과 난간 체결부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4317B1 (ko) * 2009-04-24 2013-06-13 (주)엘지하우시스 원통형 펜스의 시공시스템
GB2487239A (en) * 2011-01-17 2012-07-18 Douglas Rimington A fence having a two piece bracket for attaching a rail to a fence post
KR102423773B1 (ko) * 2022-01-26 2022-07-22 (주)제이엠에스씨 하우징을 이용한 난간부재 연결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61904U (ko) * 1975-10-31 1977-05-07
US5547169A (en) * 1994-11-10 1996-08-20 The Anchor Group Fence assembly with swivel bracket
JPH10159396A (ja) * 1996-11-27 1998-06-16 Toa Steel Co Ltd フェンス用継手
KR19980069039U (ko) * 1998-09-29 1998-12-05 노주호 휀스 연결용 브라켓
KR19990012648U (ko) * 1997-09-11 1999-04-15 권문구 알루미늄 휀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61904U (ko) * 1975-10-31 1977-05-07
US5547169A (en) * 1994-11-10 1996-08-20 The Anchor Group Fence assembly with swivel bracket
JPH10159396A (ja) * 1996-11-27 1998-06-16 Toa Steel Co Ltd フェンス用継手
KR19990012648U (ko) * 1997-09-11 1999-04-15 권문구 알루미늄 휀스
KR19980069039U (ko) * 1998-09-29 1998-12-05 노주호 휀스 연결용 브라켓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7945B1 (ko) * 2004-04-29 2005-01-27 김동규 보·차도 경계 펜스용 커넥터
KR101219360B1 (ko) 2010-11-08 2013-01-16 (주)이건환경 디자인형 울타리의 기둥과 난간 체결부재
KR101067250B1 (ko) * 2011-05-13 2011-09-27 중호건설 주식회사 조립식 휀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0422A (ko) 2002-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1952B1 (ko) 울타리
US4986513A (en) Fence connector assembly
US4951925A (en) Fence connector assembly
JP4767881B2 (ja) 柵のビーム取付構造
KR100966624B1 (ko) 울타리 연결장치
KR100418619B1 (ko) 펜스용 브라켓
KR101682202B1 (ko) 건물 외장판넬구조체 및 상기 외장판넬구조체의 시공방법
KR101348920B1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난간 및 휀스용 연결구
KR200207180Y1 (ko) 펜스용 브라켓
KR102092902B1 (ko) 견고성을 갖도록 형성한 조립형 기능성 휀스
KR101204913B1 (ko) 조립식 휀스
KR20090064921A (ko) 울타리 연결장치
KR200350282Y1 (ko) 조립식 지주가 구비된 펜스
KR102139820B1 (ko) 안전난간 구조체
KR200390378Y1 (ko) 펜스
KR200438011Y1 (ko) 울타리
KR100974510B1 (ko) 도로용 울타리
KR101205544B1 (ko) 지주용 캡
KR200423525Y1 (ko) 조립식 안전통로
KR200406221Y1 (ko) 울타리용 지주의 결합구조
KR100492687B1 (ko) 펜스
JPH10159395A (ja) 転落防止柵用支柱及びそれを用いた柵体
KR102476066B1 (ko) 무단횡단 방지 난간
KR102594889B1 (ko) 조립식 연결소켓, 조립식 연결소켓을 이용한 차양 프레임과 구조물
KR102599522B1 (ko) 횡대연결구를 이용한 자유각 울타리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1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