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4913B1 - 조립식 휀스 - Google Patents

조립식 휀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4913B1
KR101204913B1 KR1020110031718A KR20110031718A KR101204913B1 KR 101204913 B1 KR101204913 B1 KR 101204913B1 KR 1020110031718 A KR1020110031718 A KR 1020110031718A KR 20110031718 A KR20110031718 A KR 20110031718A KR 101204913 B1 KR101204913 B1 KR 101204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holder
fence
suppor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1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3997A (ko
Inventor
채종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전일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전일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전일산업
Priority to KR1020110031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4913B1/ko
Publication of KR20120113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39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4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4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04F11/1834Connections therefor with adjustable angle, e.g. pivotal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52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the ends of the rails are fixed on the lateral sides of the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52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the ends of the rails are fixed on the lateral sides of the posts
    • E04H17/1456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the ends of the rails are fixed on the lateral sides of the posts the ends of the rails being located in vertical channels extending along a substantial portion of the length of the po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휀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견고한 프레임으로 구성된 조립식 지주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하고, 휀스가 설치되는 장소에서는 단순 조립에 의해 설치될 수 있으며, 특히 현장용접 등 별도의 연결부품이 없이 신속 용이하게 단위체의 휀스를 포스트에 연결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조원가와 조립공수를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견고한 연결 고정상태의 유지에 의해 제품의 수명연장과 강풍 또는 진동에 의한 구성부품의 유동 및 이에 기인하며, 휀스를 이루는 각 구성요소의 조립 설치구조를 개선하여 현장설치에서 조립이 용이하고, 조립구조에 맞게 구성요소의 세팅을 자율스럽게 할 수 있도록 하여 미려하게 장식효과는 물론, 부분교체성으로 인한 유지보수를 경제적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식 휀스{A prefabricated fence}
본 발명은 조립식 휀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견고한 프레임으로 구성된 조립식 지주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하고, 휀스가 설치되는 장소에서는 단순 조립에 의해 설치될 수 있으며, 특히 현장용접 등 별도의 연결부품이 없이 신속 용이하게 단위체의 휀스를 포스트에 연결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조원가와 조립공수를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견고한 연결 고정상태의 유지에 의해 제품의 수명연장과 강풍 또는 진동에 의한 구성부품의 유동 및 이에 기인하며, 휀스를 이루는 각 구성요소의 조립 설치구조를 개선하여 현장설치에서 조립이 용이하고, 조립구조에 맞게 구성요소의 세팅을 자율스럽게 할 수 있도록 하여 미려하게 장식효과는 물론, 부분교체성으로 인한 유지보수를 경제적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휀스는 집, 도로 가장자리를 둘러 경계를 표시하거나, 특정장소의 침입을 막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데 설치되는 울타리로서, 그외 공원이나 각종장소로부터 동식물(잔디, 보호수 등..)을 보호하기 위한 차원에서도 설치되어 사용된다.
용도에 따라서는 그 높낮이가 다르게 설치되며, 범용적으로는 성인의 평균신장의 절반 정도의 높이로 설치되며, 재질은 목재, 금속재(부식에 강한 스테인레스, 알루미륨 등)로 설치된다.
종래의 휀스(100)는 도 1에 도신된 바와 같이 그 기본적인 구성을 살피면, 기둥(1)과, 휀스부재(2)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휀스부재(2)는 상호 평행하는 상,하측 횡바(2-1)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수직바(2-2)의 설치로서 이루어진 것인바, 이는 작업성의 편리성 추구로 상기 횡바(2-1)와 수직바(2-2)는 기둥(1)을 포함하는 동일소재의 선택과 동일색상으로 제작된다.
상호 이들의 연결은 용접작업에 의한 횡바(2-1)와 수직바(2-2)의 연결이 대부분이며, 이러한 횡바와 수직바의 조합으로 된 하나의 휀스부재(2)는 각 지점(a1)(a2)(a3)(a4)의 연결구조를 살피면, 상기 기둥(1)에 마련된 끼움구(1-1)에 대하여 횡바의 일단을 각각 삽입시켜 체결볼트로서 나사를 관통하는 체결방식이거나, 별도의 용접작업에 의해 용접 설치되는 경우가 일례이다.
상기와 같은 하나의 휀스부재의 설치는 비교적 작업성은 빠르나, 보통 휀스부재를 제작하여 현장으로 운반하는 과정에서 휀스부재의 파손이 우려되며, 특히 용접작업에 의한 조립 설치는 그만큼 용접장비가 현장에 제공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휀스부재의 제작은 일련의 용접작업에 의해 제작되기 때문에 휀스에 있어, 어느 특정부위의 훼손시 부분교체가 어렵기 때문에 휀스부재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도 지적되고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용접작업에 의해 제작되는 휀스부재는 동일색상, 재질로서 제작되기 때문에 미려함이 떨어지고, 항상 동일 질감을 주기 때문에 장식효과 면에서도 낮은 단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지면 위에 축설되는 지주가 내부에 보강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지주와 지주 사이를 연결하는 횡바가 지주에 형성된 회전홀더에 결속되고, 상기 회전홀더로 인해 횡바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타측의 지주에 형성된 회전홀더에 결속하며, 이에 지면이 고르지 않은 도로변에서 가변적으로 횡바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며, 조립이 용이한 새로운 조립식 휀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여 좌/우측면의 결속판재와 정/배면의 밀폐판재로 이루어진 사면체 구조의 일체로 구성되며, 상기 밀폐판재의 양측단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더 연장되어 일측단에서 절곡됨으로서 상기 절곡된 내측부에 결속홈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의 내부에 수직으로 보강부재가 설치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 일측면에서 소정의 등간격으로 다수개 수평으로 설치되는 횡바로 이루어지는 조립식 휀스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조립식 휀스는 현장용접 또는 브라켓 등 별도의 구성부품 없이도 체결수단의 간소화로 의해 단위 휀스를 지주에 신속 용이하게 연결 설치할 수 있으므로 소요부품과 조립공수의 최소화에 의해 원가절감과 작업성 향상을 구현할 수 있고, 조립된 상태가 견고함은 물론 구성부품의 유동 및 이에 기인하는 유지보수의 용이함과 사용자의 제품신뢰도 및 도시미관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등의 광범위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조립식 휀스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휀스의 사시도(3)
도 13은 도 12의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휀스의 지주 구조도.
도 14는 도 12의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휀스에서 지주-고정홀더-회전홀더-횡바의 조립분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휀스에서 지주의 내부에 보강부재가 포함되는 지주-고정홀더-회전홀더-횡바의 조립분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휀스에서 고정홀더-회전홀더 구조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휀스에서 조립된 고정홀더-회전홀더에 횡바를 체결하여 횡바가 회동되는 구성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휀스에서 다른 형태의 고정홀더에 회전홀더가 체결된 구조도.
도 19는 도 18의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휀스에서 고정홀더에 고정공이 형성된 구조도.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휀스에서 또다른 형태의 지주가 설치된 정면도.
도 27은 도 26의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휀스에서 A-A부위의 단면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12 내지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부(241)를 형성하여 좌/우측면의 결속판재(240)와 정/배면의 밀폐판재(250)로 이루어진 사면체 구조의 일체로 구성되며, 상기 밀폐판재(250)의 양측단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더 연장되어 일측단에서 절곡됨으로서 상기 절곡된 내측부에 결속홈(251)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241)의 내부에 수직으로 보강부재(210)가 설치되는 지주(200b)와, 상기 지주(200b) 일측면에서 소정의 등간격으로 다수개 수평으로 설치되는 횡바(300a)로 이루어지는 조립식 휀스(100)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때, 상기 결속판재(240)의 일측단과 면접되는 각각의 밀폐판재(250)가 길이방향으로 더 연장되어 절곡된 결속홈(251)이 형성하도록 제공된다.
도 13과 같이 상기 양측의 결속판재(240) 정/배면측에 일체로 형성된 밀폐판재(250)에 있어, 상기 결속판재(240) 양측단에 각각 면접된 밀폐판재(250)의 길이방향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더 연장되어 일측단에서 절곡됨으로서 상기 절곡된 내측부에 결속홈(251)이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도 14와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주(200b)의 횡바(300a)를 결속하는 밀폐판재(250)의 양측에 결속홈(251)이 형성되게 되며, 상기 결속판재(240)의 일면에 수직의 등간격으로 형성된 제1결합공(242), 상기 제1결합공(242)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팝너트(260), 상기 지주(200b)의 결속판재(240) 양측에 형성된 결속홈(251)에 삽입되며 중앙에 제2결합공(272)이 형성된 판상의 고정판(271)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판(271)의 일면에 돌출되어 좌우대칭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며, 일측을 통해 관통되어 서로 연통되게 제1회전공(274)이 형성된 한쌍의 제1고정리브(273)로 구성되는 고정홀더(270)와, 상기 고정홀더(270)의 제1고정리브(273) 사이에 일측이 삽입되어 제1회전공(274)과 연통되게 제2회전공(282)이 형성된 제2고정리브(281)가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리브(281)의 타측과 연결되어 횡바(300a)의 일측단을 삽입하도록 연결구(284)가 형성된 연결부(283)로 구성되는 회전홀더(280)로 이루어지는 조립식 휀스(100)를 제공한다.
상기 지주(200b)의 결속판재(240)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제1결합공(242)을 통해 팝너트(260)를 채워 고정한 다음, 상기 고정홀더(270)의 고정판(271)을 지주(200b)의 결속판재(240) 양측단에 형성된 결속홈(251)을 통해 삽입하고, 상기 결속판재(240)의 제1결합공(242)에 상기 고정홀더(270)의 고정판(271)에 형성된 제2결합공(272)을 연통하게 하여 볼트(50)를 채워 고정홀더(270)를 고정시킨다.
상기 지주(200b)에 고정된 고정홀더(270)의 제1고정리브(273) 사이에 회전홀더(280)의 제2고정리브(281)를 삽입하여 제1고정리브(273)의 제1회전공(274)과 제2고정리브(281)의 제2회전공(282)을 연통하게 하여 볼트(50)와 너트(55)를 채워 고정하게 되며, 이때 상기 볼트(50)에 너트(55)를 체결시 회전홀더(280)가 상/하 회동이 가능하도록 체결하게 된다.
이렇게 고정홀더(270)의 제1고정리브(273)에 회전홀더(280)를 설치하고, 상기 회전홀더(280)의 연결부(283)에 형성된 연결구(284)에 횡바(300a)의 일측단을 삽입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이렇게 일측 지주(200b)에 연결된 횡바(300a)를 타측 지주(200b)에 연결시 상기 일측 지주(200b)에 형성된 고정홀더(270)-회전홀더(280)의 구조와 동일하게 타측 지주(200b)에 형성하여 상기 횡바(300a)의 타측단을 고정하여 지주(200b)와 지주(200b) 사이에 수평의 횡바(300a)를 연결하게 된다.
이에,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주(200b)와 지주(200b) 사이에 등간격 또는 소정의 간격으로 횡바(300a)를 연결하게 되며, 상술한 수평의 횡바(300a)를 지주(200b)에 연결되는 도로변은 평탄화된 지면에 지주(200b)를 설치시 가능하지만, 경사진 지면에 지주(200b)와 지주(200b)에 횡바(300a)를 연결시는 상기 일측 지주(200b)에 형성된 회전홀더(280)로 인해 횡바(300a)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타측의 지주(200b)에 형성된 회전홀더(280)에 결속하여 지면이 고르지 않은 도로변에서 가변적으로 횡바(300a)를 설치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그리고,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주(200b)의 내부에 보강부재(210)를 포함하여 지주(200b)의 내구성을 보강하도록 하였다.
한편, 도 18의 (a)와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고정홀더(270)의 고정판(271) 일면에 수직으로 돌출형성된 한쌍의 제1고정리브(273)가 판상형태 외에 단면이 반원형 또는 반구형과 같은 다각형의 제1고정리브(273)를 가짐으로서 판상의 제1고정리브(273)가 가지는 강도에 따른 취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상기 단면이 반원형 또는 반구형과 같은 다각형을 가지는 제1고정리브(273)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제1고정리브(273)에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된 제2결합공(272)에 있어, 상기 일측의 제1고정리브(273)에 형성된 제2결합공(272)의 내부형상은 육각너트의 머리부와 같은 육각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타측의 제1고정리브(273)에 형성된 제2결합공(272)의 내부형상은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육각형상을 가진 제2결합공(272)을 통해 볼트(50)를 삽입하고, 상기 원형의 제2결합공(272)을 통해 너트(55)를 체결하여 볼트(50)가 일정 길이로 체결하여 회전홀더(280)의 회전에 구속되지 않게 체결되어 형성되기 위함이다.
한편,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고정홀더(270)의 고정판(271) 일면에 형성된 제2결합공(272)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고정공(275)이 고정판(271) 일면에 형성됨으로서 고정공(275)에 리벳(피스) 등을 지주(200b)의 일면에 고정하여 고정홀더(270)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형성된다.
이는 회전홀더(280)의 회전작업중에 고정홀더(270)에 힘이 전달되어 고정홀더(270)가 회전함에 이를 방지하고자 제2결합공(272) 하부에 고정판(271) 일면에 관통된 고정공(275)을 형성하여 리벳을 통해 지주(200b)에 고정하게 된다.
또한, 도 12와 같이 상기 지주(200b)의 일측에 횡바(300a)를 연결하게 되며, 상기 지주(200b)의 타측에 판상의 광고판(500a)이 형성되어 제공되게 되며, 이때 광고판(500a)에는 안전표어 또는 지역적인 광고(로로)를 기재하여 제공된다.
이러한, 도로변에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는 지주(200b)에 있어, 소정의 지주(200b) 사이에는 횡바(300a)를 연결하여 설치하고, 소정의 지주(200b) 사이에는 광고판(500a)을 설치하는 단위적인 배열로 지주(200a)에 횡바(200b) 그리고 광고판(500a)을 설치함으로서 도로변에 미려함을 제공하게 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한편, 도 26과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주(200c)의 구조가 내부에 보강부재(210)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부재(210) 양측면에 각각 상/하대칭으로 조립판재(290)가 설치되며, 상기 조립판재(290)는 길이방향의 일측단이 절곡된 제1체결편(291)이 형성되고, 길이방향의 타측단이 절곡된 제2체결편(292)이 형성되어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제1체결편(291)은 제2체결편(292)보다 더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보강부재(210) 양측에 각각 설치된 일측의 조립판재(290)와 타측의 조립판재(290)에 있어 상기 일측의 조립판재(290)에 연장된 제1체결편(291)의 일면이 보강부재(210)의 일면과 면접되게 하고, 상기 타측의 조립판재(290)의 제2체결편(292)이 상기 제1체결편(291)의 타면에 면접되게 하여 리벳 또는 볼트로 체결하여 고정하게 된다.
상기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조립식 휀스는 다양하게 설계변경하여 제작할 수 있는 것으로 상시 실시예를 통하여 그 원리를 본 발명의 구성으로 한정하여 제작하되 그 원리를 통한 기구에 있어서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설계변경으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는 것을 밝힌다.
조립식 휀스 : 100, 지주 : 200b, 200c, 보강부재 : 210, 결속판재 : 240, 공간부 : 241, 제1결합공 : 242, 밀폐판재 : 250, 결속홈 : 251, 팝너트 : 260, 고정홀더 : 270, 고정판 : 271, 제2결합공 : 272, 제1고정리브 : 273, 제1회전공 : 274, 고정공 : 275, 회전홀더 : 280, 제2고정리브 : 281, 제2회전공 : 282, 연결부 : 283, 연결구 : 284, 조립판재 : 290, 제1체결편 : 291, 제2체결편 : 292, 횡바 : 300a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내부에 공간부(241)를 형성하여 좌/우측면의 결속판재(240)와 정/배면의 밀폐판재(250)로 이루어진 사면체 구조의 일체로 구성되며, 상기 밀폐판재(250)의 양측단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더 연장되어 일측단에서 절곡됨으로 상기 절곡된 내측부에 결속홈(251)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241)의 내부에 수직으로 보강부재(210)가 설치되는 지주(200b)와, 상기 지주(200b) 일측면에서 소정의 등간격으로 다수개 수평으로 설치되는 횡바(300a)로 이루어지는 조립식 휀스(100)에 있어서,
    상기 결속판재(240)의 일면에 수직의 등간격으로 형성된 제1결합공(242)과,
    상기 제1결합공(242)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팝너트(260)와,
    상기 지주(200b)의 밀폐판재(250) 양측에 형성된 결속홈(251)에 삽입되며 중앙에 제2결합공(272)이 형성된 판상의 고정판(271)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판(271)의 일면에 돌출되어 좌우대칭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며, 일측을 통해 관통되어 서로 연통되게 제1회전공(274)이 형성된 한쌍의 제1고정리브(273)로 구성되는 고정홀더(270)와,
    상기 고정홀더(270)의 제1고정리브(273) 사이에 일측이 삽입되어 제1회전공(274)과 연통되게 제2회전공(282)이 형성된 제2고정리브(281)가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리브(281)의 타측과 연결되어 횡바(300a)의 일측단을 삽입하도록 연결구(284)가 형성된 연결부(283)로 구성되는 회전홀더(2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휀스.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홀더(270)의 고정판(271) 일면에 형성된 제2결합공(272)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고정공(275)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휀스.
  9. 삭제
KR1020110031718A 2011-04-06 2011-04-06 조립식 휀스 KR101204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1718A KR101204913B1 (ko) 2011-04-06 2011-04-06 조립식 휀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1718A KR101204913B1 (ko) 2011-04-06 2011-04-06 조립식 휀스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4408A Division KR101178881B1 (ko) 2012-07-09 2012-07-09 조립식 휀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3997A KR20120113997A (ko) 2012-10-16
KR101204913B1 true KR101204913B1 (ko) 2012-11-26

Family

ID=47283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1718A KR101204913B1 (ko) 2011-04-06 2011-04-06 조립식 휀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491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9518B1 (ko) * 2015-01-12 2015-10-14 주식회사 강산우드 친환경 울타리
CN110387814A (zh) * 2019-07-24 2019-10-29 温州众新建设有限公司 一种市政桥梁护栏及其施工方法
KR102092902B1 (ko) 2019-04-09 2020-03-24 주식회사 월드디엔씨 견고성을 갖도록 형성한 조립형 기능성 휀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20386B (zh) * 2021-03-01 2022-03-15 上海交通大学 多级外筋筒体旋挤成形设备及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1527Y1 (ko) * 2006-04-28 2006-07-14 더남마을 주식회사 펜스의 프레임 연결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1527Y1 (ko) * 2006-04-28 2006-07-14 더남마을 주식회사 펜스의 프레임 연결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9518B1 (ko) * 2015-01-12 2015-10-14 주식회사 강산우드 친환경 울타리
KR102092902B1 (ko) 2019-04-09 2020-03-24 주식회사 월드디엔씨 견고성을 갖도록 형성한 조립형 기능성 휀스
CN110387814A (zh) * 2019-07-24 2019-10-29 温州众新建设有限公司 一种市政桥梁护栏及其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3997A (ko) 2012-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4913B1 (ko) 조립식 휀스
KR101345989B1 (ko) 합성목재 난간 결합구조
KR200441895Y1 (ko) 목재난간 조립구조
KR20110115049A (ko) 철망 지지 프레임 및 그를 이용한 철망 울타리
KR101415947B1 (ko) 장식 프레임을 구비하는 울타리
KR101078604B1 (ko) 조립식 휀스
KR20110112101A (ko) 합성목재 울타리 결합구조
CN104196325A (zh) 金属围栏立柱
KR100818715B1 (ko) 비닐하우스 보강용 다단식 프레임구조물
CN204112854U (zh) 一种金属围栏立柱
KR102092902B1 (ko) 견고성을 갖도록 형성한 조립형 기능성 휀스
KR101250505B1 (ko) 조립식 구조물 구조와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182817B1 (ko) 조립식 휀스
KR20140132914A (ko) 비닐하우스용 보강 구조물
KR20080005462U (ko) 펜스
KR101178881B1 (ko) 조립식 휀스
CN105587163B (zh) 一种一体成型六角栅栏
KR100885651B1 (ko) 조립형 펜스
KR20180003214U (ko) 철망 펜스용 고정 프레임
KR20200100959A (ko) 조립식 휀스
KR200406220Y1 (ko) 메쉬휀스용 지주
KR102491817B1 (ko) 울타리 기둥의 확장연결장치
KR100974510B1 (ko) 도로용 울타리
US8490287B2 (en) Fence end spacer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KR20030077050A (ko) 하우스 골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