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8881B1 - 조립식 휀스 - Google Patents

조립식 휀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8881B1
KR101178881B1 KR1020120074408A KR20120074408A KR101178881B1 KR 101178881 B1 KR101178881 B1 KR 101178881B1 KR 1020120074408 A KR1020120074408 A KR 1020120074408A KR 20120074408 A KR20120074408 A KR 20120074408A KR 101178881 B1 KR101178881 B1 KR 101178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horizontal bar
prefabricated fence
horizontal
reinforc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4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종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전일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전일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전일산업
Priority to KR1020120074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88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8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8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42Balusters; Grille-typ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휀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견고한 프레임으로 구성된 조립식 지주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하고, 휀스가 설치되는 장소에서는 단순 조립에 의해 설치될 수 있으며, 특히 현장용접 등 별도의 연결부품이 없이 신속 용이하게 단위체의 휀스를 포스트에 연결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조원가와 조립공수를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견고한 연결 고정상태의 유지에 의해 제품의 수명연장과 강풍 또는 진동에 의한 구성부품의 유동 및 이에 기인하며, 휀스를 이루는 각 구성요소의 조립 설치구조를 개선하여 현장설치에서 조립이 용이하고, 조립구조에 맞게 구성요소의 세팅을 자율스럽게 할 수 있도록 하여 미려하게 장식효과는 물론, 부분교체성으로 인한 유지보수를 경제적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식 휀스{A prefabricated fence}
본 발명은 조립식 휀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견고한 프레임으로 구성된 조립식 지주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하고, 휀스가 설치되는 장소에서는 단순 조립에 의해 설치될 수 있으며, 특히 현장용접 등 별도의 연결부품이 없이 신속 용이하게 단위체의 휀스를 포스트에 연결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조원가와 조립공수를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견고한 연결 고정상태의 유지에 의해 제품의 수명연장과 강풍 또는 진동에 의한 구성부품의 유동 및 이에 기인하며, 휀스를 이루는 각 구성요소의 조립 설치구조를 개선하여 현장설치에서 조립이 용이하고, 조립구조에 맞게 구성요소의 세팅을 자율스럽게 할 수 있도록 하여 미려하게 장식효과는 물론, 부분교체성으로 인한 유지보수를 경제적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휀스는 집, 도로 가장자리를 둘러 경계를 표시하거나, 특정장소의 침입을 막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데 설치되는 울타리로서, 그외 공원이나 각종장소로부터 동식물(잔디, 보호수 등..)을 보호하기 위한 차원에서도 설치되어 사용된다.
용도에 따라서는 그 높낮이가 다르게 설치되며, 범용적으로는 성인의 평균신장의 절반 정도의 높이로 설치되며, 재질은 목재, 금속재(부식에 강한 스테인레스, 알루미륨 등)로 설치된다.
종래의 휀스(100)는 도 1에 도신된 바와 같이 그 기본적인 구성을 살피면, 기둥(1)과, 휀스부재(2)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휀스부재(2)는 상호 평행하는 상,하측 횡바(2-1)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수직바(2-2)의 설치로서 이루어진 것인바, 이는 작업성의 편리성 추구로 상기 횡바(2-1)와 수직바(2-2)는 기둥(1)을 포함하는 동일소재의 선택과 동일색상으로 제작된다.
상호 이들의 연결은 용접작업에 의한 횡바(2-1)와 수직바(2-2)의 연결이 대부분이며, 이러한 횡바와 수직바의 조합으로 된 하나의 휀스부재(2)는 각 지점(a1)(a2)(a3)(a4)의 연결구조를 살피면, 상기 기둥(1)에 마련된 끼움구(1-1)에 대하여 횡바의 일단을 각각 삽입시켜 체결볼트로서 나사를 관통하는 체결방식이거나, 별도의 용접작업에 의해 용접 설치되는 경우가 일례이다.
상기와 같은 하나의 휀스부재의 설치는 비교적 작업성은 빠르나, 보통 휀스부재를 제작하여 현장으로 운반하는 과정에서 휀스부재의 파손이 우려되며, 특히 용접작업에 의한 조립 설치는 그만큼 용접장비가 현장에 제공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휀스부재의 제작은 일련의 용접작업에 의해 제작되기 때문에 휀스에 있어, 어느 특정부위의 훼손시 부분교체가 어렵기 때문에 휀스부재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도 지적되고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용접작업에 의해 제작되는 휀스부재는 동일색상, 재질로서 제작되기 때문에 미려함이 떨어지고, 항상 동일 질감을 주기 때문에 장식효과 면에서도 낮은 단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지면 위에 축설되는 지주가 내부에 보강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부재 양측으로 결속프레임과 상기 결속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판재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판재와 수평으로 다수개 연결되는 횡바로 연결되어 상기 구성요소간에 볼트/너트 또는 리벳으로 조립하여 구성되고, 상기 지주와 지주 상단부를 커버하는 덮개부재로 구성되는 것으로 외관이 미려하고 조립이 용이한 새로운 조립식 휀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지상으로부터 지면에 수직 설치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 일측면에서 소정의 등간격으로 다수개 수평으로 설치되는 횡바로 이루어지는 조립식 휀스에 있어서,
상기 지주는,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보강부재와, 상기 보강부재 양측면에 각각 수직으로 설치되며, 수직의 길이방향으로 양측단부에 절곡되는 장편이 형성되고, 상기 장편의 일측단과 절곡연장되어 수용홈을 형성하도록 단편이 형성되는 결속프레임과,
상기 보강부재 전/후측에 각각 형성되어 대면하는 결속프레임의 수용홈에 양측단이 결속되는 연결판재로 구성되는 조립식 휀스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결속프레임의 일측면에 수직의 길이방향에 소정의 등간격으로 다수개의 결속구가 형성되는 조립식 휀스를 제공된다.
한편, 상기 지면에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지주와 지주의 각 상단부를 연결하여 커버하며, 하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는 한쌍의 돌출편이 형성되는 덮개부재가 더 포함되는 조립식 휀스를 제공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조립식 휀스는 현장용접 또는 브라켓 등 별도의 구성부품 없이도 체결수단의 간소화로 의해 단위 휀스를 지주에 신속 용이하게 연결 설치할 수 있으므로 소요부품과 조립공수의 최소화에 의해 원가절감과 작업성 향상을 구현할 수 있고, 조립된 상태가 견고함은 물론 구성부품의 유동 및 이에 기인하는 유지보수의 용이함과 사용자의 제품신뢰도 및 도시미관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등의 광범위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조립식 휀스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휀스의 사시도(1)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휀스에서 지주-횡바의 조립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휀스에서 지주의 결속프레임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휀스에서 지주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휀스에서 지주에 횡바를 연결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휀스에서 덮개부재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휀스에서 덮개부재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휀스의 사시도(2)
도 10은 도 9의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휀스에서 지주-횡바의 조립분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휀스에서 지주에 연결되는 횡바의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휀스의 사시도(3)
도 13은 도 12의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휀스에 조형부재가 설치된 정면도.
도 14는 도 12의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휀스에서 횡바의 조립분해도.
도 15는 도 12의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휀스에서 횡바의 단면도.
도 16은 도 12의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휀스에서 보강바의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휀스에서 또다른 형태의 보강바가 설치된 정면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2에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상으로부터 지면에 수직 설치되는 지주(200a)와, 상기 지주(200a) 일측면에서 소정의 등간격으로 다수개 수평으로 설치되는 횡바(300a)로 이루어지는 조립식 휀스(100)에 있어서, 상기 지주(200a)는,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보강부재(210)와, 상기 보강부재(210) 양측면에 각각 수직으로 설치되며, 수직의 길이방향으로 양측단부에 절곡되는 장편(221)이 형성되고, 상기 장편(221)의 일측단과 절곡연장되어 수용홈(223)을 형성하도록 단편(222)이 형성되는 결속프레임(220)과, 상기 보강부재(210) 전/후측에 각각 형성되어 대면하는 결속프레임(220)의 수용홈(223)에 양측단이 결속되는 연결판재(230)로 구성되는 조립식 휀스(100)를 제공한다.
상기 결속프레임(220)과 연결판재(230)는 알루미늄 압출바 또는 주물형태로 구성되어 형성되며, 상기 압출바는 압출공정을 통해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압출바 형태로 형성되어 표면에 색상을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표면에 문양과 이미지를 넣어 외관의 미려함을 줄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보강부재(210)는 지정된 장소에서 지면의 지중에 고정하여 수직으로 설치하며, 그 형상에 있어서는 단면이 사각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보강부재(210) 양측면을 커버하는 결속프레임(220)에 있어 상기 결속프레임(220)은 양측단의 길이방향으로 각각 절곡되어 연장되는 장편(221)이 형성되고, 상기 장편(221)의 일측단과 절곡되어 연장되는 단편(222)이 형성되어, 상기 장편(221)과 단편(222) 사이에는 수용홈(223)이 형성되도록 제공된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낸 상기 장편(221)과 단편(222)의 폭은 장편(221)이 단편(222)보다 소정의 길이로 더 연장되어 형성되며, 이는 상기 장편(221)과 단편(222)의 사이에 형성된 수용홈(223)에 연결판재(230)의 일측단이 삽입되어 체결됨에 있어 연결판재(230)의 일측단 후면을 더 면접하도록 하여 견고한 연결판재(230)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함에 장편(221)의 폭이 더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렇게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보강부재(210)의 양측면에 각각 결속프레임(220)을 설치하고, 상기 각각의 연결판재(230)에 대면하는 수용홈(223)에 연결판재(230)를 설치함으로서 즉, 보강부재(210)의 정/후면을 커버하는 형태로 상기 연결판재(230)가 형성되어 보강부재(210)의 사방(四方)측면에 결속프레임(220)과 연결판재(230)로 커버하여 체결하게 된다.
상기 결속프레임(220)의 수용홈(223)에 일측단이 삽입된 연결판재(230)는 상기 결속프레임(220)의 단편(222)의 일면을 통해 리벳을 통과하여 연결판재(230) 일면과 장편(221)의 일면을 통과하여 체결하게 된다.
한편, 도 3, 도 4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결속프레임(220) 일측면에 수직의 길이방향에 소정의 등간격으로 결속구(225)가 형성된 연결소켓(224)이 다수개 구비됨으로서, 상기 지주(200a)와 지주(200a) 사이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황바(300a)를 결속하기 위해 결속구(225)가 형성된 연결소켓(224)이 수평으로 연장되어 더 설치하며, 상기 연결소켓(224) 내부로 횡바(300a)의 일측 단부를 삽입하여 체결하여 제공된다.
상기 연결소켓(224)은 결속프레임(220)과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분리되어 조립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한편, 도 7과 도 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면에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지주(200a)와 지주(200a)의 각 상단부를 연결하여 커버하며, 하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는 한쌍의 돌출편(410)이 형성되는 덮개부재(400)가 더 포함되며, 도 8의 (b)와 같이 상기 덮개부재(400) 내부에는 수직으로 연계되는 격벽(420)이 더 형성되어 덮개부재(400)의 외부로부터 충돌시 쉽게 변형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데 조립식 휀스(100)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결속프레임(220)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연결소켓(224)에 체결되는 횡바(300a) 대신에 도 9에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횡바(300b)의 일측단을 결속프레임(220)의 일면에 직접 면접하여 체결하게 되는 횡바(300b)는, 상기 횡바(300b) 내부의 내주면에 횡바(300b)의 길이방향으로 제1조인트구(310a)가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제공된다.
이에, 상기 결속프레임(220)의 일측면에 횡바(300b)의 일단면을 면접하여 상기 결속프레임(220)의 타측면을 통해 리벳 또는 볼트를 통과하여 횡바(300b)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1조인트구(310a)에 체결하여 횡바(300b)를 고정하게 된다.
한편,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횡바(300b) 대신에 횡바(300c)의 내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제1보강리브(320a)가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횡바(300c)의 물성을 보강하도록 제공되며, 또한, 상기 횡바(300c) 대신에 횡바(300d)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1보강리브(320a)가 서로 연결된 형태로 형성하여 횡바(300d)의 물성을 견고하게 유지하도록 제공된다.
또한, 도 12, 도 14,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주(200a)와 지주(200a) 사이에 상/하부에 횡바(300e)를 연결하고, 상기 상/하부의 횡바(300e) 사이에 등간격으로 수직형 보강바(350a)를 형성하여 제공될 수 있으며, 또한 도 12와 같이 상기 등간격으로 형성된 보강바(350a) 중앙에 조형부재(500b)를 더 형성하여 조립식 휀스(100)의 미려함을 주도록 하였으며, 또한 도 12와 같이 상부에 형성된 횡바(300e)의 상부면에 조형부재(500b)를 설치하여 더 미려함을 주는 조립식 휀스(100)를 제공한다.
한편, 도 14,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횡바(300e)는 지주(200a)와 지주(200a) 사이를 수평으로 연결하며, 내부에 조인트구(310b)가 형성된 수평부재(330)와, 상기 수평부재(330) 일면을 커버하는 커버부재(340)가 형성되는 횡바(300e)를 구성하고, 상기 수평부재(330)의 제2조인트구(310b)는 상기 지주(200a)의 일면에 면접시 상기 지주(200a)의 외측에서 리벳(50)이 통과하여 제2조인트구(310b)에 결속하도록 형성되어 지주(200a)와 지주(200a) 사이에 수평부재(330)가 고정되도록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부재(330)가 지주(200a)와 지주(200a)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한쌍이 형성되며, 상기 수평부재(330)와 수평부재(330) 사이에 보강바(350a)가 수직으로 설치되어 제공된다.
이때, 상기 보강바(350a)가 면접되어 고정되도록 수평부재(330) 일면에 상기 보강바(350a)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재(330) 타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커버부재(340)를 씌워 고정됨으로 미려한 외관을 형성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보강바(350a)의 내부 내주단에 제3조인트구(310c)가 형성되거나 내주단에 보강된 다수의 제2보강리브(320b)가 형성되어 상기 제2보강리브(320b)가 연결되는 중앙에 제3조인트구(310c)가 형성되어 제공된다.
한편,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14에 나타낸 원통형의 수직형 보강바(300a) 대신에 판상형의 보강바(300b)를 설치할 수 있으며, 조립식 휀스(100)의 미려함을 주기 위해 제공된다.
상기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조립식 휀스는 다양하게 설계변경하여 제작할 수 있는 것으로 상시 실시예를 통하여 그 원리를 본 발명의 구성으로 한정하여 제작하되 그 원리를 통한 기구에 있어서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설계변경으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는 것을 밝힌다.
조립식 휀스 : 100, 지주 : 200a, 보강부재 : 210, 결속프레임 : 220, 장편 : 221, 단편 : 222, 수용홈 : 223, 연결소켓 : 224, 연결판재 : 230, 횡바 : 300a, 300b, 300c, 300d, 300e, 제1조인트구 : 310a, 제2조인트구 : 310b, 제3조인트구 : 310c, 제1보강리브 : 320a, 제2보강리브 : 320b, 수평부재 : 330, 커버부재 : 340, 보강바 : 350a, 350b, 덮개부재 : 400, 돌출편 : 410, 격벽 : 420, 광고판 : 500a, 조형부재 : 500b

Claims (4)

  1.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보강부재(210)와, 상기 보강부재(210) 양측면에 각각 수직으로 설치되고, 일측의 단편(222)과 타측의 장편(221)이 형성되어 상기 단편(222)과 장편(221) 사이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수용홈(223)을 형성하는 구조가 양측단부에 각각 수직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결속프레임(220) 및, 상기 보강부재(210) 전/후측에 각각 형성되어 대면하는 결속프레임(220)의 수용홈(223)에 양측단이 결속되는 연결판재(230)로 구성되어 지상으로부터 지면에 수직 설치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200a) 일측면에서 소정의 등간격으로 다수개 수평으로 설치되는 횡바(300a);로 이루어지는 조립식 휀스(100)에 있어서,
    상기 결속프레임(220) 일측면에 수직의 길이방향에 소정의 등간격으로 결속구(225)가 형성된 연결소켓(224)이 다수개 구비되고,
    상기 지면에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지주(200a)와 지주(200a)의 각 상단부를 연결하여 커버하며, 하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는 한쌍의 돌출편(410)이 형성되는 덮개부재(40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휀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횡바(300a) 대신에 내부의 내주면에 길이방향으로 제1조인트구(310a)가 내주면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횡바(300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휀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횡바(300b) 대신에 내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제1보강리브(320a)가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횡바(300c) 또는 내주면에 형성된 제1보강리브(320a)가 서로 연결된 형태로 형성되는 횡바(300d)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휀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횡바(300a) 대신에 상기 지주(200a)와 지주(200a) 사이의 상/하부에 횡바(300e)를 연결하고, 상기 상/하부의 횡바(300e) 사이에 등간격으로 연결되어 내부의 내주단에 제3조인트구(310c) 형성된 수직형 보강바(350a)를 설치하며,
    상기 횡바(300e)는 지주(200a)와 지주(200a) 사이를 수평으로 연결하여 내부에 조인트구(310b)가 형성된 수평부재(330)와, 상기 수평부재(330) 일면을 커버하는 커버부재(34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휀스.
KR1020120074408A 2012-07-09 2012-07-09 조립식 휀스 KR101178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4408A KR101178881B1 (ko) 2012-07-09 2012-07-09 조립식 휀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4408A KR101178881B1 (ko) 2012-07-09 2012-07-09 조립식 휀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1718A Division KR101204913B1 (ko) 2011-04-06 2011-04-06 조립식 휀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8881B1 true KR101178881B1 (ko) 2012-08-31

Family

ID=46888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4408A KR101178881B1 (ko) 2012-07-09 2012-07-09 조립식 휀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88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6291B1 (ko) 2013-09-26 2015-01-28 박경식 창문안전대 겸용 방범창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1527Y1 (ko) 2006-04-28 2006-07-14 더남마을 주식회사 펜스의 프레임 연결구조
KR100812621B1 (ko) 2007-12-16 2008-03-13 (주) 금성산업 휀스용 프레임 조립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1527Y1 (ko) 2006-04-28 2006-07-14 더남마을 주식회사 펜스의 프레임 연결구조
KR100812621B1 (ko) 2007-12-16 2008-03-13 (주) 금성산업 휀스용 프레임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6291B1 (ko) 2013-09-26 2015-01-28 박경식 창문안전대 겸용 방범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3528B1 (ko) 프로파일을 이용한 조립식 구조물
KR100968216B1 (ko) 조립식 지붕구조물
KR20110115049A (ko) 철망 지지 프레임 및 그를 이용한 철망 울타리
KR101078604B1 (ko) 조립식 휀스
KR20120113997A (ko) 조립식 휀스
KR101250505B1 (ko) 조립식 구조물 구조와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178881B1 (ko) 조립식 휀스
KR20110113092A (ko) 울타리 지주 결합구조
KR20110112101A (ko) 합성목재 울타리 결합구조
KR100865371B1 (ko) 휀스
KR100812621B1 (ko) 휀스용 프레임 조립체
KR101222115B1 (ko) 지붕구조물
KR100969826B1 (ko) 데크로드 시스템
KR20130007219U (ko) 조립용 파티션
CN109750769A (zh) 一种可互锁的分隔板及其制造方法
KR101006388B1 (ko) 펜스고정장치
KR20180093544A (ko) 크기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수영장
KR20200100959A (ko) 조립식 휀스
KR100885651B1 (ko) 조립형 펜스
KR20090009275U (ko) 벽체 구조
KR20090008735U (ko) 벽체 구조
KR200418372Y1 (ko) 휀스
KR200468276Y1 (ko) 압출바를 이용한 개선된 형태의 조립식 기둥
KR102201160B1 (ko) 조경시설물 및 데크용 난간
EP2415952B1 (en) Swimming p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