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2202B1 - 건물 외장판넬구조체 및 상기 외장판넬구조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건물 외장판넬구조체 및 상기 외장판넬구조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2202B1
KR101682202B1 KR1020150032408A KR20150032408A KR101682202B1 KR 101682202 B1 KR101682202 B1 KR 101682202B1 KR 1020150032408 A KR1020150032408 A KR 1020150032408A KR 20150032408 A KR20150032408 A KR 20150032408A KR 101682202 B1 KR101682202 B1 KR 1016822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anel
exterior panel
protrusion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2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8937A (ko
Inventor
홍성진
Original Assignee
대진산업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진산업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진산업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32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2202B1/ko
Publication of KR20160108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8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2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2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외장판넬구조체 및 상기 외장판넬구조체의 시공방법은, a)건물의 외벽에 격자형으로 4각 파이프를 세우는 단계와, b)직각으로 형성되고 지면에 수평방향의 수평부에 지지체삽입홈이 형성된 직각브라켓를 상기 4각 파이프를 따라 종방향으로 다수의 직각브라켓를 고정시키는 단계와, c)상기 직각브라켓의 수평부의 지지체삽입홈에 지지체를 삽입하고 고정시키는 단계와, d)상기 지지체의 중간에 돌출된 중간돌출부에 절곡가공된 돌출장식테를 삽입고정하는 단계와, e)상기 지지체의 중간돌출부의 저면에 접하게 외장판넬의 상부절곡면이 배치되고 외장판넬의 상부 내측면은 지지체의 하부에 돌출된 빗물방지돌출부에 접하게 배치하고 상기 외장판넬의 상부절곡면과 중간돌출부를 리벳고정하는 단계와, f)상기 리벳시공된 하부의 중간돌출부상에 새로운 외장판넬의 하부절곡면을 삽입고정시키고 하부의 내측면이 상부에 돌출된 빗물방지돌출부에 접하게 하고 새로운 외장판넬의 상부절곡면이 위에 배치된 직각브라켓의 지지체의 중간돌출부의 저면에 접하게 외장판넬의 상부절곡면이 배치되고 외장판넬의 상부 내측면은 지지체의 하부에 돌출된 빗물방지돌출부에 접하게 배치하고 상기 외장판넬의 상부절곡면과 중간돌출부를 리벳고정하는 단계와, g) 상기 f)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식으로 수행되므로, 외장판넬의 설치시에 용접작업이 필요없게 되어 공정이 단축되고 물이 스며들게 되는 공간이 작게 되어 다량의 호우시에도 물소리가 나지 않게 되며 설치되는 외장판넬들의 색상이 동일하게 되어 색상의 이질감이 없으며 다양한 칼라로 건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건물 외장판넬구조체 및 상기 외장판넬구조체의 시공방법{ A exterior panels of a building }
본 발명은 건물 외장판넬구조체 및 상기 외장판넬구조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외장판넬의 설치시에 용접작업이 필요없게 되어 공정이 단축되고 물이 스며들게 되는 공간이 작게 되어 다량의 호우시에도 물소리가 나지 않게 되며 설치되는 외장판넬들의 색상이 동일하게 되어 색상의 이질감이 없으며 다양한 칼라로 건축하는 것이 가능한 건물 외장판넬구조체 및 상기 외장판넬구조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건물의 건축시에는 주로 조립식 건축공법을 이용하여 시공하는 것이 보편화되어 있고, 이러한 시공방법은 우선 건물의 골조를 구축한 후 건물의 각층에 해당하는 부분에 슬라브를 터설함과 동시에 옹벽을 타설하는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이 지어진 건물의 지붕 또는 외벽면에 대리석과 같은 자연석이나 인조석등을 부착시공하여 건물의 외관을 미려하게 함과 동시에 비바람 등의 외부환경으로부터 건물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도 있고, 단열 및 방수효과를 갖도록 하는 외장시공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외장시공방법으로는 석재, 금속패널과 같은 패널부재를 건물의 외벽에 부착하여 외관을 미려하도록 시공하는 방법이 널리 알려져 있는데, 건물외벽에 부착되는 패널사이의 틈새를 메우기 위해서 인접하는 패널사이에 실리콘등과 같은 마감재로서 코오킹 마감처리를 하는 경우, 코오킹 마감공정이 매우 불편하고, 코오킹 작업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코오킹 작업후 먼지친화성의 코오킹 마감재에 의해서 건물외벽을 심하게 오염시키고, 마감재가 녹아 외부로 흘러내려 건물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코오킹 마감처리하지 않고 패널사이를 오픈시켜 판넬외부와 내부에 공기가 순환이 되며, 또한, 코오킹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오픈조인트패널이 널리 채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 1(a)(b)는 일반적인 오픈조인트형 패널조립구조의 횡단면도와 종단면도로서, 도시한 바와같이, 건물벽부(B)에 고정된 앙카볼트(112)의 일단이 설치되는 지지브라켓(110)과, 한쌍의 브라켓(110)사이에 체결부재(122)로서 고정되는 스틸파이프(120)와, 상기 스틸파이프(120)의 전면에 스크류부재(132)로서 설치되는 'ㄷ'단면상의 프레임브라켓(130) 및 후면 및 측면테두리에 리벳(146)으로서 장착된 패널프레임(145)이 상기 프레임브라켓(130)의 선단에 제 1,2스크류부재(141)(142)를 매개로 조립되어 건물벽체를 구성하는 패널부재(140)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오픈조인트형 패널조립구조는 우천시 인접하는 패널부재(140)사이에 형성된 간격(G)을 통하여 빗물이 내부로 유입되기 때문에, 우천시 유입된 빗물에 의해 상기 패널부재(140)와 건물벽부(B)사이에 구비되는 구성부품을 손상시키고, 용접이나 가압에 의해서 재료조직이 손상되어 내구성을 저하시키며, 이로 인하여 패널부재(140)의 사용수명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인접하는 패널부재(140)사이에 형성된 간격(G)을 통하여 내부유입되는 빗물을 차단하기 위해서 별도의 배수프레임을 설치하는 경우, 패널부재(140)와 건물벽부(B)간의 간격이 넓어지면서 건축물의 유효면적을 축소시키는 문제점도 있었다. 그리고, 상기 간격(G)을 통하여 상기 패널부재(140)와 다른 소재로 이루어진 프레임브라켓(130)이 그대로 외부노출되어 건물외관의 통일성이 상실되기 때문에, 건축물의 미관을 저하시키는 문제점도 있었다.
공개특허 10-2004-0075176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외장판넬의 설치시에 용접작업이 필요없게 되어 공정이 단축되고 물이 스며들게 되는 공간이 작게 되어 다량의 호우시에도 물소리가 나지 않게 되며 설치되는 외장판넬들의 색상이 동일하게 되어 색상의 이질감이 없으며 다양한 칼라로 건축하는 것이 가능한 건물 외장판넬구조체 및 상기 외장판넬구조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은, a)건물의 외벽에 격자형으로 4각 파이프를 세우는 단계와, b)직각으로 형성되고 지면에 수평방향의 수평부에 지지체삽입홈이 형성된 직각브라켓를 상기 4각 파이프를 따라 종방향으로 다수의 직각브라켓를 고정시키는 단계와, c)상기 직각브라켓의 수평부의 지지체삽입홈에 지지체를 삽입하고 고정시키는 단계와, d)상기 지지체의 중간에 돌출된 중간돌출부에 절곡가공된 돌출장식테를 삽입고정하는 단계와, e)상기 지지체의 중간돌출부의 저면에 접하게 외장판넬의 상부절곡면이 배치되고 외장판넬의 상부 내측 수직면은 지지체의 하부에 돌출된 빗물방지돌출부에 접하게 배치하고 상기 외장판넬의 상부절곡면과 중간돌출부를 리벳고정하는 단계와, f)상기 리벳시공된 하부의 중간돌출부상에 새로운 외장판넬의 하부절곡면을 리벳으로 삽입고정시키고 하부의 내측 수직면이 상부에 돌출된 빗물방지돌출부에 접하게 하고 새로운 외장판넬의 상부절곡면이 위에 배치된 직각브라켓의 지지체의 중간돌출부의 저면에 접하게 외장판넬의 상부절곡면이 배치되고 외장판넬의 상부 내측 수직면은 지지체의 하부에 돌출된 빗물방지돌출부에 접하게 배치하고 상기 외장판넬의 상부절곡면과 중간돌출부를 리벳고정하는 단계와, g) 상기 f)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외장판넬구조체의 시공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은, 건물의 외벽에 격자형으로 직립으로 고정된 지지파이프와, 상기 지지파이프의 전면에 외장판넬의 길이만큼 이격되게 고정된 지지체삽입홈이 형성된 직각브라켓과, 상기 직각브라켓의 지지체삽입홈에 고정되는 삽입단부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중간돌출부와 빗물방지돌출부가 형성된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중간돌출부의 저면에 상부절곡면이 접하고 상부의 내측 수직면은 빗물방지돌출부에 접하게 배치시키고 상기 상부절곡면과 중간돌출부의 하부면이 리벳고정되고 하부절곡면은 하부에 배치된 다른 지지체의 중간돌출부의 상부면에서 리벳고정된 외장판넬을 포함하고 상기 외장판넬이 좌우상하로 연속적으로 설치된 것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외장판넬구조체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외장판넬구조체 및 상기 외장판넬구조체의 시공방법은, a)건물의 외벽에 격자형으로 4각 파이프를 세우는 단계와, b)직각으로 형성되고 지면에 수평방향의 수평부에 지지체삽입홈이 형성된 직각브라켓를 상기 4각 파이프를 따라 종방향으로 다수의 직각브라켓를 고정시키는 단계와, c)상기 직각브라켓의 수평부의 지지체삽입홈에 지지체를 삽입하고 고정시키는 단계와, d)상기 지지체의 중간에 돌출된 중간돌출부에 절곡가공된 돌출장식테를 삽입고정하는 단계와, e)상기 지지체의 중간돌출부의 저면에 접하게 외장판넬의 상부절곡면이 배치되고 외장판넬의 상부 내측면은 지지체의 하부에 돌출된 빗물방지돌출부에 접하게 배치하고 상기 외장판넬의 상부절곡면과 중간돌출부를 리벳고정하는 단계와, f)상기 리벳시공된 하부의 중간돌출부상에 새로운 외장판넬의 하부절곡면을 삽입고정시키고 하부의 내측면이 상부에 돌출된 빗물방지돌출부에 접하게 하고 새로운 외장판넬의 상부절곡면이 위에 배치된 직각브라켓의 지지체의 중간돌출부의 저면에 접하게 외장판넬의 상부절곡면이 배치되고 외장판넬의 상부 내측면은 지지체의 하부에 돌출된 빗물방지돌출부에 접하게 배치하고 상기 외장판넬의 상부절곡면과 중간돌출부를 리벳고정하는 단계와, g) 상기 f)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식으로 수행되므로, 외장판넬의 설치시에 용접작업이 필요없게 되어 공정이 단축되고 물이 스며들게 되는 공간이 작게 되어 다량의 호우시에도 물소리가 나지 않게 되며 설치되는 외장판넬들의 색상이 동일하게 되어 색상의 이질감이 없으며 다양한 칼라로 건축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a,1b는 종래의 외장판넬의 시공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평단면도 및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외장판넬구조체의 시공방법의 공정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물 외장판넬구조체의 각 공정에 따른 시공상태가 도시된 시공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물 외장판넬구조체의 분해 사시도
도 5a,5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물 외장판넬구조체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및 외장판넬의 형상만이 도시된 개략적인 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건물 외장판넬구조체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외장판넬구조체의 시공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a)건물의 외벽에 격자형으로 4각 파이프를 세우는 단계와, b)직각으로 형성되고 지면에 수평방향의 수평부에 지지체삽입홈이 형성된 직각브라켓를 상기 4각 파이프를 따라 종방향으로 다수의 직각브라켓를 고정시키는 단계와, c)상기 직각브라켓의 수평부의 지지체삽입홈에 지지체를 삽입하고 고정시키는 단계와, d)상기 지지체의 중간에 돌출된 중간돌출부에 절곡가공된 돌출장식테를 삽입고정하는 단계와, e)상기 지지체의 중간돌출부의 저면에 접하게 외장판넬의 상부절곡면이 배치되고 외장판넬의 상부 내측 수직면은 지지체의 하부에 돌출된 빗물방지돌출부에 접하게 배치하고 상기 외장판넬의 상부절곡면과 중간돌출부를 리벳고정하는 단계와, f)상기 리벳시공된 하부의 중간돌출부상에 새로운 외장판넬의 하부절곡면을 리벳으로 삽입고정시키고 하부의 내측 수직면이 상부에 돌출된 빗물방지돌출부에 접하게 하고 새로운 외장판넬의 상부절곡면이 위에 배치된 직각브라켓의 지지체의 중간돌출부의 저면에 접하게 외장판넬의 상부절곡면이 배치되고 외장판넬의 상부 내측 수직면은 지지체의 하부에 돌출된 빗물방지돌출부에 접하게 배치하고 상기 외장판넬의 상부절곡면과 중간돌출부를 리벳고정하는 단계와, g) 상기 f)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d)상기 지지체의 중간에 돌출된 중간돌출부에 절곡가공된 돌출장식테를 삽입고정하는 단계 대신에 LED 조명등이 들어 있는 조명선을 삽입고정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외장판넬구조체의 시공방법에서 상기 외장판넬의 상하부절곡면을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리벳고정하는 것으로 기술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으로 기술하였을 뿐이고 유사한 나사조립이나 스폿용접과 같은 고정방식도 동일하게 사용될 수가 있으며 이러한 방식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외장판넬구조체의 시공방법에 따라 실시된 제1실시예에 따른 외장판넬구조체(A)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외벽(W)에 격자형으로 직립으로 고정된 지지파이프(1)와, 상기 지지파이프(1)의 전면에 외장판넬의 길이만큼 이격되게 고정된 지지체삽입홈(21)이 형성된 직각브라켓(2)과, 상기 직각브라켓(2)의 지지체삽입홈(21)에 고정되는 삽입단부(31)가 일측 단부에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중간돌출부(32)와 빗물방지돌출부(33)가 형성된 지지체(3)와, 상기 지지체(3)의 중간돌출부(32)의 저면(32a)에 상부절곡면(41)이 접하고 상부의 내측 수직면(42)은 빗물방지돌출부(33)에 접하게 배치시키고 상기 상부절곡면(41)과 중간돌출부(32)의 저면(32a)이 리벳(5)고정되고 하부절곡면(43)은 하부에 배치된 다른 지지체(3)의 중간돌출부(32)의 상부면(32b)에서 리벳(5)고정된 외장판넬(4)을 포함한다.
상기 직각브라켓(2)은 수평연장부에는 지지체삽입홈(21)이 형성되고 수직연장부에는 상기 지지파이프(1)에 고정되는 고정공(22)이 형성되어 고정나사(61)로 상기 지지파이프(1)에 고정되며, 상기 외장판넬(4)의 길이만큼 이격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지지체(3)는 상기 직각브라켓(2)의 지지체삽입홈(21)에 고정되는 삽입단부(31)가 일측 단부에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중간돌출부(32)와 상기 중간돌출부(32)의 상하에 평행하게 형성된 빗물방지돌출부(3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하 빗물방지돌출부(33)의 서로 마주보는 단부에는 패킹고정홈(33a)이 형성되어 빗물방지패킹(34)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지지체(3)의 중간돌출부(32)에는 절곡가공된 돌출장식테(7)가 삽입고정되며, 돌출장식테(7)가 아닌 다른 장식물이 삽입고정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외장판넬(4)은 외측 수직면(42)은 외장판넬(4)의 외부로 노출되는 면으로서 필요한 색상으로 코팅되고, 상하부에는 수평으로 절곡된 상부 절곡면(41)과 하부 절곡면(43)이 형성되고 양측면은 'ㄱ'자 형태로 절곡된 ㄱ절곡면(44)과 측면절곡면(45)이 절곡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외장판넬(4)의 상부 절곡면(41)은 상기 지지체(3)의 중간돌출부(32)의 저면에 접하게 배치되고 리벳(5)으로 고정되고, 상기 외장판넬(4)의 하부 절곡면(43)은 하부에 배치된 지지체(3)의 중간돌출부(32)의 상부면에 접하게 배치되어 리벳(5)으로 고정된다. 상기 외장판넬(4)의 상부 내측 수직면(42')은 지지체(3)의 하부 빗물방지돌출부(33)에 고정된 빗물방지패킹(34)에 접하게 고정되고, 상기 외장판넬(4)의 하부 내측 수직면(42')은 지지체(3)의 상부 빗물방지돌출부(33)에 고정된 빗물방지패킹(34)에 접하게 고정되어, 빗물의 유입이 방지되게 되는 구조이다.
상기 외장판넬(4)의 지지체(3)에의 고정작업은, 상부 절곡면(41)은 상기 지지체(3)의 중간돌출부(32)의 저면에 배치된 상태에서 리벳공을 천공하고 고무패드(51)를 상부절곡면(41)과 중간돌출부(32)의 사이에 삽입시키고 리벳(5)으로 외장판넬(4)의 상부 절곡면(41)을 지지체(3)에 고정시킨다.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외장판넬(4)의 하부 절곡면(43)도 동일하게 리벳(5)으로 고정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외장판넬구조체에서 상기 외장판넬의 상하부절곡면을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리벳고정되는 것으로 기술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으로 기술하였을 뿐이고 유사한 나사조립이나 스폿용접과 같은 고정방식도 동일하게 사용될 수가 있으며 이러한 방식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외장판넬구조체(A)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외벽(W)에 격자형으로 직립으로 고정된 지지파이프(1)와, 상기 지지파이프(1)의 전면에 외장판넬의 길이만큼 이격되게 고정된 지지체삽입홈(21)이 형성된 직각브라켓(2)과, 상기 직각브라켓(2)의 지지체삽입홈(21)에 고정되는 삽입단부(31)가 일측 단부에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중간돌출부(32)와 빗물방지돌출부(33)가 형성되고 상기 중간돌출부(32)와 하부 빗물방지돌출부(33)의 사이에는 외장판넬(4)의 상부절곡면(41)이 삽입되게 연장돌부(36)가 형성된 지지체(3)와, 상기 지지체(3)의 중간돌출부(32)의 저면(32a)과 연장돌부(36)사이에 상부절곡면(41)이 삽입되고 상부의 내측 수직면(42)은 빗물방지돌출부(33)의 빗물방지패킹(34)에 접하게 배치시키고 하부절곡면(43)은 하부에 배치된 다른 지지체(3)의 중간돌출부(32)의 상부면(32b)에서 리벳(5)고정된 외장판넬(4)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외장판넬(4)의 상부절곡면(41)은 리벳(5)으로 고정되지 않고, 상기 지지체(3)의 중간돌출부(32)의 저면(32a)과 연장돌부(36)사이에 상부절곡면(41)이 삽입고정되므로, 외장판넬(4)의 설치가 더욱 용이하고 신속하게 수행될 수가 있게 되므로, 공기가 단축되고 시공비용이 절감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외장판넬구조체 및 상기 외장판넬구조체의 시공방법은 외장판넬의 설치시에 용접작업이 필요없게 되어 공정이 단축되고 물이 스며들게 되는 공간이 작게 되어 다량의 호우시에도 물소리가 나지 않게 되며 설치되는 외장판넬들의 색상이 동일하게 되어 색상의 이질감이 없으며 다양한 칼라로 건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외장판넬구조체 및 상기 외장판넬구조체의 시공방법은 일반적인 건축물의 외장판넬설치산업분야에서 동일한 제품을 반복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고 동일한 방법을 연속하여 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할 것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라고 할 것이다.
1. 지지파이프 2. 직각브라켓 3. 지지체

Claims (4)

  1. 외장판넬구조체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장판넬구조체의 시공방법은, 건물의 외벽에 격자형으로 4각 파이프를 세우는 단계와,
    직각으로 형성되고 지면에 수평방향의 수평부에 지지체삽입홈이 형성된 직각브라켓를 상기 4각 파이프를 따라 종방향으로 다수의 직각브라켓를 고정시키는 단계와,
    상기 직각브라켓의 수평부의 지지체삽입홈에 고정되는 삽입단부가 일측 단부에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중간돌출부와 빗물방지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하 빗물방지돌출부의 서로 마주보는 단부에는 패킹고정홈이 형성되어 빗물방지패킹이 고정되어 있는 지지체를 삽입하고 고정시키는 단계와,
    상기 지지체의 중간에 돌출된 중간돌출부에 절곡가공된 돌출장식테를 삽입고정되거나 조명선이 삽입고정되는 단계와,
    상기 지지체의 중간돌출부의 저면에 접하게 외장판넬의 상부절곡면이 배치되고 외장판넬의 상부 내측 수직면은 지지체의 하부에 돌출된 빗물방지돌출부에 접하게 배치하여 빗물방지패킹에 의해 수밀되게 상기 외장판넬의 상부절곡면과 중간돌출부를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하부의 중간돌출부상에 새로운 외장판넬의 하부절곡면을 고정시키고 하부의 내측 수직면이 상부에 돌출된 빗물방지돌출부에 접하게 하여 빗물방지패킹에 의해 수밀되고, 새로운 외장판넬의 상부절곡면이 위에 배치된 직각브라켓의 지지체의 중간돌출부의 저면에 접하게 외장판넬의 상부절곡면이 배치되고 외장판넬의 상부 내측 수직면은 지지체의 하부에 돌출된 빗물방지돌출부에 접하게 배치하여 빗물방지패킹에 의해 수밀되게 상기 외장판넬의 상부절곡면과 중간돌출부를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바로 위의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판넬구조체의 시공방법
  2. 삭제
  3. 외장판넬구조체(A)에 있어서,
    상기 외장판넬구조체(A)는, 건물의 외벽(W)에 격자형으로 직립으로 고정된 지지파이프(1)와,
    상기 지지파이프(1)의 전면에 외장판넬의 길이만큼 이격되게 고정된 지지체삽입홈(21)이 형성된 직각브라켓(2)과,
    상기 직각브라켓(2)의 지지체삽입홈(21)에 고정되는 삽입단부(31)가 일측 단부에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중간돌출부(32)와 빗물방지돌출부(33)가 형성되며, 상기 상하 빗물방지돌출부(33)의 서로 마주보는 단부에는 패킹고정홈(33a)이 형성되어 빗물방지패킹(34)이 고정되어 있는 지지체(3)와,
    상기 지지체(3)의 중간돌출부(32)의 저면(32a)에 상부절곡면(41)이 접하고 상부의 내측 수직면(42')은 빗물방지돌출부(33)에 접하게 배치시키고 상기 상부절곡면(41)과 중간돌출부(32)의 저면(32a)이 리벳(5)고정되고, 하부절곡면(43)은 하부에 배치된 다른 지지체(3)의 중간돌출부(32)의 상부면(32b)에서 리벳(5)고정되며, 상기 상부절곡면(41)에서 절곡연장된 상기 상부의 내측 수직면(42')은 상기 빗물방지패킹(34)에 의해 수밀되고, 상기 하부절곡면(43)에서 절곡연장된 하부의 내측 수직면(42')은 상기 빗물방지패킹(34)에 의해 수밀되는 외장판넬(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판넬구조체
  4. 외장판넬구조체(A)에 있어서,
    상기 외장판넬구조체(A)는, 건물의 외벽(W)에 격자형으로 직립으로 고정된 지지파이프(1)와,
    상기 지지파이프(1)의 전면에 외장판넬의 길이만큼 이격되게 고정된 지지체삽입홈(21)이 형성된 직각브라켓(2)과,
    상기 직각브라켓(2)의 지지체삽입홈(21)에 고정되는 삽입단부(31)가 일측 단부에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중간돌출부(32)와 빗물방지돌출부(33)가 형성되며, 상기 상하 빗물방지돌출부(33)의 서로 마주보는 단부에는 패킹고정홈(33a)이 형성되어 빗물방지패킹(34)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중간돌출부(32)와 하부 빗물방지돌출부(33)의 사이에는 외장판넬(4)의 상부절곡면(41)이 삽입되게 연장돌부(36)가 형성된 지지체(3)와,
    상기 지지체(3)의 중간돌출부(32)의 저면(32a)과 연장돌부(36)사이에 상부절곡면(41)이 삽입되고 상부의 내측 수직면(42')은 빗물방지돌출부(33)의 빗물방지패킹(34)에 접하게 배치시키고, 하부의 내측 수직면(42')은 상기 빗물방지패킹(34)에 접하게 배치시키고 하부절곡면(43)은 하부에 배치된 다른 지지체(3)의 중간돌출부(32)의 상부면(32b)에서 리벳(5)고정되어 수밀되는 외장판넬(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판넬구조체
KR1020150032408A 2015-03-09 2015-03-09 건물 외장판넬구조체 및 상기 외장판넬구조체의 시공방법 KR101682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2408A KR101682202B1 (ko) 2015-03-09 2015-03-09 건물 외장판넬구조체 및 상기 외장판넬구조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2408A KR101682202B1 (ko) 2015-03-09 2015-03-09 건물 외장판넬구조체 및 상기 외장판넬구조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8937A KR20160108937A (ko) 2016-09-21
KR101682202B1 true KR101682202B1 (ko) 2016-12-02

Family

ID=57079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2408A KR101682202B1 (ko) 2015-03-09 2015-03-09 건물 외장판넬구조체 및 상기 외장판넬구조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220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9903B1 (ko) 2018-05-18 2018-08-21 와이비코리아(주) 외장판넬 오픈조인트 구조체 및 상기 외장판넬 오픈조인트 시공방법
KR102054616B1 (ko) * 2019-04-19 2019-12-11 서광석 복합단열패널 시공방법
KR102173879B1 (ko) 2020-07-24 2020-11-04 대진산업건설 주식회사 조립성 및 방수성이 향상된 외장패널 조립체
KR200497020Y1 (ko) 2022-08-22 2023-07-04 고재영 건축물 외장판넬 구조
KR20230156500A (ko) 2022-05-06 2023-11-14 고재영 건축물 외장판넬 시공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5675B1 (ko) * 2021-01-19 2021-04-27 송재무 시설물 외장재 시공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3490A (ja) * 1998-08-21 2001-03-21 Sekisui Chem Co Ltd 壁面板取付け構造と壁面板及び壁面板の製造方法
KR200370209Y1 (ko) * 2004-09-17 2004-12-14 최익규 타일패널의 고정용 멀리온 바의 구조
KR200414076Y1 (ko) * 2006-01-14 2006-04-14 주식회사 스톤앵카산업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200451081Y1 (ko) * 2008-01-10 2010-11-23 기세진 석재마감용 사각 파이프 연결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5176A (ko) 2003-02-20 2004-08-27 주식회사 미앤지산업 내외장패널 조립용 서브프레임과 패널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3490A (ja) * 1998-08-21 2001-03-21 Sekisui Chem Co Ltd 壁面板取付け構造と壁面板及び壁面板の製造方法
KR200370209Y1 (ko) * 2004-09-17 2004-12-14 최익규 타일패널의 고정용 멀리온 바의 구조
KR200414076Y1 (ko) * 2006-01-14 2006-04-14 주식회사 스톤앵카산업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200451081Y1 (ko) * 2008-01-10 2010-11-23 기세진 석재마감용 사각 파이프 연결구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9903B1 (ko) 2018-05-18 2018-08-21 와이비코리아(주) 외장판넬 오픈조인트 구조체 및 상기 외장판넬 오픈조인트 시공방법
KR102054616B1 (ko) * 2019-04-19 2019-12-11 서광석 복합단열패널 시공방법
KR102173879B1 (ko) 2020-07-24 2020-11-04 대진산업건설 주식회사 조립성 및 방수성이 향상된 외장패널 조립체
KR20230156500A (ko) 2022-05-06 2023-11-14 고재영 건축물 외장판넬 시공구조
KR200497020Y1 (ko) 2022-08-22 2023-07-04 고재영 건축물 외장판넬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8937A (ko) 2016-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2202B1 (ko) 건물 외장판넬구조체 및 상기 외장판넬구조체의 시공방법
KR101676339B1 (ko) 단열 및 수밀성능이 증가된 pvc 복합 커튼월
JP2008031824A (ja) 柵のビーム取付構造
EP3284877A1 (en) Ventilated façade
KR101422586B1 (ko) 측벽용 갤러리 창호를 구비한 재래시장 아케이트
JP2020204260A (ja) 端部構造
JP2011094432A (ja) 手摺
JP5393135B2 (ja) 軒先構造
KR101465504B1 (ko) 건축물의 외벽 시스템
US20180132428A1 (en) Building Structure, Building and Greenhouse
KR101631224B1 (ko) 건축용 내외벽의 표면 마감 외장재를 지지하는 외장재 지지구 및 이를 이용한 내외벽 표면 마감 외장재 설치 구조
KR101057561B1 (ko) 건축물 벽체용 장식부재
KR200439059Y1 (ko) 갤러리 창호
KR102010253B1 (ko) 차양용 빗물받이
KR200174254Y1 (ko) 건축물의 외장재
KR102173879B1 (ko) 조립성 및 방수성이 향상된 외장패널 조립체
KR101029360B1 (ko) 파고라의 기둥구조
JP7043329B2 (ja) 簡易建物の製造方法、簡易建物
KR101963719B1 (ko) 환기용 루버 설치구조
KR200362809Y1 (ko) 조립식 건축물의 박공 및 처마 후레싱
KR200497020Y1 (ko) 건축물 외장판넬 구조
KR101721223B1 (ko) 갤러리 창호
KR102613505B1 (ko) 건축물 외장판넬 시공구조
KR101889903B1 (ko) 외장판넬 오픈조인트 구조체 및 상기 외장판넬 오픈조인트 시공방법
KR102463817B1 (ko) 캐노피용 패널지붕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