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1952B1 - 울타리 - Google Patents

울타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1952B1
KR100431952B1 KR10-2002-0020116A KR20020020116A KR100431952B1 KR 100431952 B1 KR100431952 B1 KR 100431952B1 KR 20020020116 A KR20020020116 A KR 20020020116A KR 100431952 B1 KR100431952 B1 KR 100431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nce
cover
support
head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0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1749A (ko
Inventor
김기환
Original Assignee
(주)뉴그린 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뉴그린 밸리 filed Critical (주)뉴그린 밸리
Priority to KR10-2002-0020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1952B1/ko
Priority to US10/225,277 priority patent/US7100904B2/en
Publication of KR20030081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17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1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19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17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with vertical cross-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17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with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26Picket fences
    • E04H17/143Picket fences with separate pickets attached to the side of the horizontal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88Brackets for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48Adjustable, angled or hinged connec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56/00Fences
    • Y10S256/05Metal po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울타리에 관한 것이다.
이는특히, 메인프레임과 이를 커버링하는 커버로서 구성되며 그 상하단에 머리와 받침판이 각각 연결되는 지주; 상기 지주사이에 연결수단을 통하여 어느 한방향 이상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가로연결부재;및, 상기 가로부재의 길이방향에 교차 연결되는 세로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이에따라, 자유각의 구현이 가능하여 설치장소에 따른 제약이 없고, 각각의부재를 현장에서 조립하는 구성으로 설치가 용이하며, 수분등에 의한 부식이 방지되어 장시간 사용이 가능토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울타리{A Fence}
본 발명은 울타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로는, 복수개의 지주와 상기 지주사이에 연결수단을 통하여 어느 한 방향 이상으로 움직이도록 연결되는 가로연결부재및 상기 가로연결부재에 교차 연결되는 세로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자유각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하는 울타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울타리는, 보강재의 역활을 수행하는 복수개의 지주와 상기 지주사이에 각각 결합되는 가로부재및 상기 가로부재에 결합되는 세로부재로 구성되며, 단독 주택이나 아파트 단지등에 설치되어 내부의 시설물을 보호함은 물론 외부와의 경계를 이루도록 하고, 목재나 철재및 플라스틱 재질로서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울타리는, 지주와 가로및 세로부재가 일체로 결합되는 구성으로 일정구배를 갖는 지면에서는 적용하기가 힘들게 되고, 지면의 구배와 일치되는 부재를 별도로 제작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이와같은 울타리의 단점을 개량하기 위한 조립식 울타리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1594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 구성은 도1a, b에서와 같이, 조립식 울타리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원형지주(11)와, 상기 지주(11) 사이를 연결하는 횡대(21)와, 상기 지주(11)와 횡대(21)를 결합시키는 횡대고정바(22)와, 상기 횡대(21)에 일정간격으로 고정되고 전면판(32)과 후면판(33)이 서로 끼워맞춤되는 종대(31)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지고, 상기 지주(11)에 접촉되는 황대고정바(22)의 일측에 곡면부(24)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울타리는, 원형지주(11)의 측면에 밀착토록 곡면부(24)를 갖는 횡대고정바(22)를 결합시킨 다음 이에 횡대(21)를 고정하고, 상기 지주(11)의 일측에 고정되는 횡대와 일정각도를 유지토록 또 다른 횡대고정바(22)를 결합한후 이에 또 다른 횡대를 연결하며, 상기 횡대(21)에는 전면판(32)과 후면판(33)이 상호 결합되는 종대(31)를 일정간격으로 고정하여 울타리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울타리는, 횡대(21)와 지주(11)의 결합시 그 각도가 셋팅되어 높낮이가 다른 불규칙에 지면에서는 적용하기가 힘들고, 결합부가 외부에 노출되어 부식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울타리가 설치되는 지반면의 경사도에 상관없이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고, 결합부의 외부 노출을 완벽하게 방지하도록 하며, 충분한 강도를 갖도록 하는 울타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a,b는 각각 종래의 울타리를 도시한 단면도및 울타리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울타리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울타리의 가로연결부재 연결상태를 도시한 분해도 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울타리의 머리부를 도시한 분해도 이다.
도5a,b,c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울타리의 요부 단면도및 사시도 이다.
도6a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울타리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6b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울타리의 가로연결부재 연결상태를 도시한 분해도 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울타리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지주 110...몸체
120...머리 200...가로연결부재
300...세로연결부재 330...요부
340...장식판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하단에 머리와 받침판이 각각 연결되는 지주;
상기 지주사이에 연결된후 연결수단을 통하여 어느 한방향 이상으로 이동하도록 연결되는 가로연결부재;및,
상기 가로연결부재의 길이방향에 이격되어 교차 연결되는 세로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울타리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 내지 도7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지주(100)와 상기 지주(100)에 연결되는 가로연결부재(200)및 상기 가로연결부재(200)에 고정되는 세로연결부재(300)로서 이루어 진다.
상기 지주(100)는, 통상의 몸체(110)와 그 상단에 고정되는 머리(120)로서 구성된다.
상기 몸체(110)는, 저면에 받침판(110a-1)이 일체로 연결되는 금속재질의 메인프레임(110a)과 상기 메인프레임(110a)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커버(110b)로서 구성된다.
상기 커버(110b)는, 그 내측면에 다수의 리브(110b-1)가 일체로 돌출되고, 그 모서리부에 메인프레임(110a)과 일정공간을 갖도록 하는 챔버(110b-2)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받침판(110a-1)은, 지면의 매입되는 앵커볼트(130)와 유격을 가지면서 결합되도록 슬릿형상의 볼트공(110a-3)이 형성되며, 상기 받침판(110a-1)을 커버링하는 실링부재(110a-2)가 커버(110b)의 외면에 밀착 고정된다.
한편, 상기 머리(120)는, 커버(110b)의 상단에 밀착토록 저부 일면이 커버(110b)와 동일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머리(120)는, 빗물등의 고임이 방지되는 형상을 갖도록 된다.
또한, 상기 머리(120)는, 체결수단(160)에 의해 상호 분리및 결합가능토록 설치되는 제1머리(120a)와 제2머리(120b)로서 구성된다.
상기 체결수단(160)은, 제1머리(120a)의 저부에 형성되는 제1밀착면(160a), 상기 제1밀착면(160a)의 중앙에 돌출되는 고정돌기(160b), 상기 고정돌기(160b)의 둘레에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고정편(160c)과,
상기 제2머리(120b)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2밀착면(160d), 그 중앙부에 형성되는 지지요홀(160e), 상기 지지요홀(160e)의 둘레에 고정편(160c)과 대응토록 형성되는 고정홈(160f)으로서 구성되며, 상기 고정홈(160f)의 일측에 슬라이딩면을 갖는 걸림단턱(160g)이 형성된다.
상기 지주(100)의 측면에 가로방향으로 연결되는 가로연결부재(200)는, 상기 지주(100)의 측면에 고정되는 연결수단(210)을 통하여 연결되고, 커버(220)와 그 내측에 삽입되는 프레임(230)으로 구성되며, 상기 커버(220)의 내측면에 리브(220a)가 돌출된다.
더하여, 상기 연결수단(210)은, 도3에서와 같이 수납공간(210a-1)이 형성되는 지지몸체(210a)와 그 일면에 제2연결수단(210d)을 통하여 전방향 회전이 가능토록 연결되는 고정플레이트(210b)로서 구성된다.
상기 제2연결수단(210d)은, 상기 지지몸체(210a)에 결합되는 고정볼(210d-2)과 상기 고정볼(210a-2)이 수납되어 회전토록 고정플레이트(210b)의 일측에 설치되는 고정홀(210d-1)로서 구성된다.
상기 연결수단(210)은, 도6a, b에서와 같이 상기 가로연결부재(200)를 삼면에 지지토록 형성되는 지지몸체(210a)와 그 일면에 일체로 돌출되는 고정플레이트(210b)로서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 지지몸체(210a)에 장공(210a-1)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수단(210)의 외측에 가로연결부재(200)가 스윙이 가능하도록 개방홀을 갖는 커버부재(210c)가 고정된다.
상기 연결수단(210)은, 도7에서와 같이 수납공간(210a-1)이 형성되는 지지몸체(210a)와 그 일단에 일체로 연결되는 고정플레이트(210b)로서 구성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210b)의 내측에 가로연결부재(200)를 지지하는 지지편(210b-1)이 삽입되어도 좋다.
상기 가로연결부재(200)의 수직방향에서 교차 연결되는 세로 연결부재(300)는, 상기 가로연결부재(200)의 길이 방향에 일정간격을 갖도록 이격되어 각각 결합된다.
상기 세로 연결부재(300)는, 그 상단에 머리(310)가 고정되며, 상기 세로연결부재(300)의 하단부 역시 실링부재(320)가 밀착고정된다.
또한, 도5b, c에서와 같이 상기 세로연결부재(300)의 일면에 형성되는 요부(330)에 가이드레일(330a)을 형성한후 이에 장식판(340)이 압착되고, 상기 정식판(340)은 가이드레일(330a)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폭이 점차로 축소되는 밀착판(340a)이 양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실링부재(320)는, 상기 세로연결부재(300)의 하단부 내측면을 밀착 고정는 형태로 고정되어도 좋으며, 상기 세로연결부재(300)의 하단부 외측면에 밀착되는 상태로 고정되어도 좋다.
한편, 상기 세로연결부재(300)는, 도7에서와 같이 플라스틱재의 커버(330)와 그 내측에 삽입되는 금속재의 프레임(330a)으로 구성되며, 상기 프레임(330a)의 요동을 방지하는 리브(330b)가 설치되고, 그 상,하단에 실링부재(350)가 밀착 고정된다.
또한, 상기 세로연결부재(300)가 가로연결부재(200)에 관통형성되는 고정홈에 T형상의 밀착부재(360)를 개재하여 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그리고, 상기 볼트및 피스등으로서 체결되는 지주및 연결수단의 일측에 는 볼트(피스) 연결부(290a)가 더 형성되어 그 일측에 실링캡(290)이 고정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 내지 도7에서와 같이, 지주(100)와 상기 지주(100) 사이에 연결되는 가로연결부재(200)는 일정강도를 유지하도록 금속재의 메인프레임과 그 외측을 감싸는 플라스틱재의 커버로 이루어져 수분등의 접촉에 따른 부식을 방지함으로써 장시간 사용이 가능토록 된다.
또한, 상기 지주(100)와 가로연결부재(200)를 상호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연결수단(210)은, 이를 상호 연결하는 결합볼트가 삽입되도록 볼트연결부(290a)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볼트연결부에 결합볼트가 장착될때 이를 실링하도록 실링캡(290)이 고정되어 금속재의 볼트에 수분이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지주(100)의 상단부및 세로연결부재(300)의 상단부에는 물등이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자유롭게 흐르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머리(120)(310)가 각각 밀착고정되어 지주(100)및 세로연결부재(300) 부재 내측에 수분이 유입되어 발생되는 프레임의 부식을 방지한다.
더하여, 상기 지주(100)는, 커버 내측에 장착되는 메인프레임(110a)에 받침판(110a-1)이 일체로 연결되어 수직설치시 움직임이 방지토록 되고, 상기 받침판이 지면에 매립되어 고정되는 앵커볼트와 결합될때 지면의 상측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판(110a-1)에는 슬릿형상의 볼트공(110a-3)이 형성되어 지면에 고정되는 앵커볼트(130)에 대하여 받침판(110a-1)이 유격을 가지면서 결합되어 작업성이 향상된다.
이때, 상기 커버(110b)의 외측에 밀착 고정되는 실링부재(110a-2)에 의해 수분의 침부가 방지토록 된다.
또한, 상기 커버(110b)와 그 내측에 삽입되는 메인프레임(110a)은 커버내측에 돌출되는 다수의 리브에 의해 이격토록 되어 내부공간을 항상 건조하게 하고, 프레임의 외측에 커버를 삽입할때 유격조절이 용이함은 물론 커버(110b)의 유동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머리(120)는, 상호 분리및 결합가능토록 체결수단(160)으로 연결되는 제1머리(120a)와 제2머리(120b)로서 구성되어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다양한 모양을 갖는 제1머리(120a)를 지주(100)에 밀착되는 제2머리(120b)의 상측에 고정하여 울타리의 형상을 자유롭게 변화시킬수 있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는 다양한 형상을 갖는 제1머리(120a)를 교체하여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게 되고, 상기 고정돌기(160b)의 둘레에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편(160c)을 지지요홀(160e)의 둘레에 고정편(160c)과 대응토록 형성되는 고정홈(160f)에 삽입한후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해 상호 고정토록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편(160c)은, 상기 고정홈(160f)의 일측에 슬라이딩면을 타고 진입한후 걸림단턱(160g)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토록 되고, 상기 동작에 의해 제1,2머리가 상호 긴밀하게 밀착된다.
한편, 상기 지주(100)의 측면에 가로방향으로 연결되는 가로연결부재(200)는, 연결수단(210)에 의해 자유롭게 이동토록 되어 상이한 경사를 갖는 지면에 울타리의 설치가 용이하게 된다.
상기 연결수단(210)은, 도7에서와 같이 수납공간(210a-1)에 가로연결부재(200)가 결합될때 그 일면에 일체로 돌출되는 고정플레이트(210b)로서 지주(100)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플라스틱재의 고정플레이트(210b)에 삽입되는 ㄱ자 형성의 지지편(210b-1)에 의해 하향이 방지토록 된다.
또한, 상기 연결수단(210)은, 도6에서와 같이 지지몸체(210a)에 형성되는 장공(210a-1)을 통하여 지지몸체(210a)에 결합되는 가로연결부재(200)가 상,하이동가능토록 되고, 상기 지지몸체(210a)의 외측에 커버부재(210c)가 고정되어 금속재의 지지몸체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토록 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수단(210)은, 도3에서와 같이 수납공간(210a-1)이 형성되는 지지몸체(210a)와 그 일면에 제2연결수단(210d)을 통하여 전방향 회전이 가능토록 연결되는 고정플레이트(210b)로서 구성되어 지주(100)를 중심으로 가로연결부재(200)의 전방향 이동이 자유롭게 된다.
더하여, 상기 제2연결수단(210d)은, 상기 지지몸체(210a)에 돌출되는 고정볼(210a-2)과 상기 고정볼(210a-2)이 수납되어 회전토록 고정플레이트(210b)의 일측에 설치되는 고정홀(210b-1)로서 구성되어 볼을 통한 회전이 자유롭게 됨으로서 이에 연결되는 가로연결부재(200)의 이동이 자유롭게 된다.
한편, 도5b,c에서와 같이, 상기 세로연결부재(300)의 일면에 형성되는 요부(330)에 가이드레일(330a)을 형성한후 이에 장식판(340)이 전방에서 압입되어 고정되고, 이때 상기 장식판(340)의 양측면에 내측을 향하여 그 폭이 점차로 축소되는 밀착판(340a)이 돌출되어 손쉽게 압입토록 된다.
그리고, 다양한 컬러를 갖는 장식판(340) 삽입이 가능토록 되어 울타리의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게 됨은 물론 미려한 외관을 살리게 되고, 장식판(340)에 의해 볼트등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장지하여 이에따른 볼트의 부식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장식판(340)은, 가이드레일(330a)에 장착될때 세로연결부재(300)의 외면에 돌출되면서 폭이 축소토록 되는 밀착판(340a)에 의해 외부에서의 충격작용시 그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토록 됨으로써 외부의 충격이 지주에 직접전달되는 것을 방지토록 한다.
상기 머리(310)는, 물등이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자유롭게 흐르는 형상을 갖도록 되며, 저면에 세로연결부재(300)의 일단이 삽입토록 동일 향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세로연결부재(300)는, 커버(330)와 그 내측에 삽입되는 프레임(330a)으로 구성되어 가로부재(200)의 T형상의 밀착부재(360)를 개재하여 고정되며, 상기 프레임(330a)의 요동을 방지하는 리브(330b)가 커버(330)의 설치되고, 상하단에 실링부재(350)가 밀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울타리에 의하면, 자유스런 경사각 구현이 가능하며, 울타리가 설치되는 지반의 형상에 상관없이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고, 결합부의 외부 노출을 완벽하게 방지하도록 하며, 울타리가 충분한 강도를 갖도록 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울타리에 전달되는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하여 그 충격이 지주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 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 두고자 한다.

Claims (12)

  1. 통상의 몸체(110)와 그 상단에 교체 가능토록 밀착되는 머리(120)로서 이루어 지는 지주(100);
    상기 지주(100)의 측면에 연결된후 제2연결수단(210)을 통하여 적어도 한방향 이상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되고, 커버(220)과 그 내측에 삽입되는 프레임(230)으로 구성되며, 상기 커버(220)의 내측에 다수의 리브(220a)가 돌출되는 가로연결부재(200); 및,
    상기 가로연결부재(200)의 길이 방향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교차 연결되며, 머리(310)와 실링부재(320)가 상하단부에 밀착 고정되는 세로 연결부재(3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울타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는, 저면에 받침판(110a-1)이 고정되는 메인프레임(110a)과 상기 메인프레임(110a)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커버(110b)로서 구성되며, 상기 커버(110b)는 내측면에 다수의 리브(110b-1)가 돌출되고, 모서리부에 메인프레임(110a)과 일정공간을 갖도록 하는 챔버(110b-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울타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110a-1)은, 지면의 앵커볼트(130)와 고정토록 장홀(유격) 볼트공이 형성되며, 그 상부를 커버링하도록 커버(110b)의 외면에 실링부재(110a-2)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울타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120)는, 커버(110b)의 상단에 밀착토록 저면이 커버(110b)와 동일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머리(120)는, 빗물등의 고임이 방지되는 형상이며 상호 분리및 결합가능토록 체결수단(160)으로 연결되는 제1머리(120a)와 제2머리(120b)로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울타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160)은, 제1머리(120a)의 저부에 형성되는 a)제1밀착면(160a), 상기 제1밀착면(160a)의 중앙에 돌출되는 b)고정돌기(160b), 상기 고정돌기(160b)의 둘레에 이격되는 복수의 c)고정편(160c)및,
    상기 제2머리(120b)의 상부에 형성되는 d)제2밀착면(160d), 그 중앙부에 형성되는 e)지지요홀(160e), 상기 지지요홀(160e)의 둘레에 고정편(160c)과 대응토록 형성되는 f)고정홈(160f)로서 구성되며, 상기 고정홈(160f)의 일측에 슬라이딩면을 갖는 걸림단턱(160g)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울타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210)은, 수납공간(210a-1)이 형성되는 지지몸체(210a)와 그 일면에 일체로 돌출되는 고정플레이트(210b)로서 구성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210b)의 내측에 가로부재(200)를 지지하는 프레임(210b-1)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울타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210)은, 상기 가로연결부재(200)를 삼면에 지지토록 형성되는 지지몸체(210a)와 그 일면에 일체로 돌출되는 고정플레이트(210b)로서 구성되며, 상기 지지몸체(210a)에 장공(210a-1)이 형성되고, 상기 제2연결수단(210)의 외측에 가로연결부재(200)가 스윙이 가능하도록 개방홀을 커버부재(210c)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울타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210)은, 수납공간(210a-1)이 형성되는 지지몸체(210a)와 그 일면에 제2연결수단(210d)을 통하여 전방향 회전이 가능토록 연결되는 고정플레이트(210b)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울타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수단(210d)은, 상기 지지몸체(210a)에 돌출되는 고정볼(210d-2)과 상기 고정볼(210a-2)이 수납되어 회전토록 고정플레이트(210b)의 일측에 설치되는 고정홀(210d-1)로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울타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연결부재(300)는, 그 일면에 형성되는 요부(330)에 가이드레일(330a)을 설치한후 이에 가이드돌기(340a)가 양측면에 형성되는 장식판(340)이 탄성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울타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연결부재(300)는, 커버(330)와 그 내측에 삽입되는 프레임(330a)으로 구성되며, 가로부재(200)에 밀착부재(360)를 개재하여 고정되고, 상기 프레임(330a)의 요동을 방지하는 리브(330b)가 커버(330)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하단에 실링부재(350)가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울타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가 체결되는 지주와 연결수단의 일측에 볼트 연결부(290a)가 더 설치되어 그 일측에 실링캡(290)이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울타리
KR10-2002-0020116A 2002-04-12 2002-04-12 울타리 KR1004319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0116A KR100431952B1 (ko) 2002-04-12 2002-04-12 울타리
US10/225,277 US7100904B2 (en) 2002-04-12 2002-08-22 Adaptable fe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0116A KR100431952B1 (ko) 2002-04-12 2002-04-12 울타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1749A KR20030081749A (ko) 2003-10-22
KR100431952B1 true KR100431952B1 (ko) 2004-05-17

Family

ID=28786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0116A KR100431952B1 (ko) 2002-04-12 2002-04-12 울타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100904B2 (ko)
KR (1) KR10043195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0819B1 (ko) * 2006-11-06 2007-09-20 원승묵 펜스용 프레임 연결구
KR100782515B1 (ko) 2006-10-24 2007-12-06 (주) 웹스 조립식 울타리
WO2012011691A2 (en) * 2010-07-21 2012-01-26 Lg Hausys, Ltd. Articulated bracket for fence
KR101245666B1 (ko) * 2012-09-13 2013-03-20 (주)우리휀스산업 각도조절 및 설치가 용이한 연결구가 구비된 펜스
KR200468811Y1 (ko) 2013-01-21 2013-09-11 주식회사 동부휀스 조립식 경계휀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44450B2 (en) * 2001-05-23 2006-05-16 Suncor Stainless, Inc. Quick rail system with adjustable support
US6802496B1 (en) * 2002-12-09 2004-10-12 John Preta Fence bracket system and fence system using the fence bracket system
CA2422750C (en) * 2003-03-12 2012-05-01 Simon Walker Rail and railing system
US20050127346A1 (en) * 2003-12-16 2005-06-16 Steffes Stephen W. Bracket system for attaching elongated members
US20060091372A1 (en) * 2004-10-31 2006-05-04 Rosian Michael J Apparatus and method for attaching a rail and a post
US7934699B2 (en) * 2005-06-28 2011-05-03 Westech Building Products, Inc. Fence system
US20070080333A1 (en) * 2005-10-06 2007-04-12 Perry Lin C Fence system
US20070080334A1 (en) * 2005-10-06 2007-04-12 Perry Lin C Engineered fence system
US20090032792A1 (en) * 2005-12-14 2009-02-05 Ryan Lehmann Arrangement and method for connecting fence sections
US7681866B2 (en) * 2005-12-14 2010-03-23 Lehmann Ryan Articulated rail mount
US20070246696A1 (en) * 2006-04-19 2007-10-25 Norman Campbell Fencing system in particular for deer control
US7673853B2 (en) * 2006-10-12 2010-03-09 Cordell Eldred Ebeling Fencing section with adjustable fencing members
US20080217599A1 (en) * 2007-03-08 2008-09-11 Scruggs Donald E Postall easy install posts and fences
US8899555B2 (en) * 2007-09-06 2014-12-02 Fortress Iron, Lp Adjustable picket fence
US20090064607A1 (en) * 2007-09-06 2009-03-12 Howard Katz Adjustable stair rail
US20100270524A1 (en) * 2009-04-28 2010-10-28 Larry Stanley Equine fencing system
IT1394460B1 (it) * 2009-06-18 2012-06-15 Essevi Snc Di Savegnago C & Vigolo C Ora Effevi Snc Di Vigolo Claudio & Vigolo Fabio Staccionata modulare ad elevata versatilità per la delimitazione di aree ambientali
US7654506B1 (en) * 2009-06-21 2010-02-02 Chi-Chiang Tai Stairway handrail
US20110198553A1 (en) * 2010-02-17 2011-08-18 Holterman Steven W Wedge Post Base System
US8505880B2 (en) 2010-07-21 2013-08-13 Origin Point Brands, Llc Fence rail support system
US20140131647A1 (en) * 2012-11-15 2014-05-15 Dillon Fencing & Contracting,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braced sections of a fence
US9347262B1 (en) * 2013-03-15 2016-05-24 Leroy Richard Gate
USD749239S1 (en) * 2013-12-12 2016-02-09 Dee Volin Top rail end cup
CN104131732B (zh) * 2014-07-19 2016-07-13 河北瑞邦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仿竹景观护栏
US20160097217A1 (en) * 2014-10-06 2016-04-07 Preston Rudy Loehr Clamping Support for Assembly of Pipe Fencing and Method of Use
US9518404B2 (en) 2015-04-30 2016-12-13 Dee Volin Fence post system
US10472852B2 (en) * 2016-04-12 2019-11-12 Harry Rosario Adjustable and rackable fence system
US11035147B2 (en) 2018-01-08 2021-06-15 Fortress Iron, Lp Raking barrier panel
KR102451655B1 (ko) * 2021-11-02 2022-10-06 에스와이우드(주) 난간 상부 구조체
US11976489B2 (en) * 2023-05-17 2024-05-07 Long Xiang Shen Height adjustable and detachable fence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61904U (ko) * 1975-10-31 1977-05-07
US5547169A (en) * 1994-11-10 1996-08-20 The Anchor Group Fence assembly with swivel bracket
KR200201594Y1 (ko) * 2000-06-09 2000-11-01 노정남 조립식 울타리
KR200259650Y1 (ko) * 2001-09-06 2002-01-09 (주)내경엔지니어링 공사장용 안전펜스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225035A5 (ko) * 1973-04-04 1974-10-31 Fornells Sa
US3915434A (en) * 1975-01-02 1975-10-28 Glenn F Lister Cap for a stairstep railing post
US4150907A (en) * 1978-03-08 1979-04-24 Julius Blum & Co., Inc. Stanchion connector assembly
DE3440160A1 (de) * 1984-11-02 1986-05-07 Markus 6463 Freigericht Höfler Abgrenzung wie z.b. zaun
IT1207804B (it) * 1987-05-28 1989-06-01 Rovera Resine Srl Recinzione fissa o movibile e ad inclinazione variabile.
US5421556A (en) * 1993-03-02 1995-06-06 Associated Materials Inc. Modular fencing components
US5480126A (en) * 1994-03-23 1996-01-02 Soniplastics Inc. Fencing construction
US5556079A (en) * 1995-05-01 1996-09-17 West; Ronald R. Fencing system with mounting clips
CA2192504C (en) * 1996-12-10 2005-05-17 Vic De Zen Plastic fencing and components therefor
US5890702A (en) * 1997-05-20 1999-04-06 Lubore; Terry S. Ornamental fence
CA2225216C (en) * 1997-12-18 2004-10-12 Lino Simioni Fence system
US6467756B1 (en) * 1998-05-20 2002-10-22 Western Profiles Limited Post and rail system using extrudable plastic post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61904U (ko) * 1975-10-31 1977-05-07
US5547169A (en) * 1994-11-10 1996-08-20 The Anchor Group Fence assembly with swivel bracket
KR200201594Y1 (ko) * 2000-06-09 2000-11-01 노정남 조립식 울타리
KR200259650Y1 (ko) * 2001-09-06 2002-01-09 (주)내경엔지니어링 공사장용 안전펜스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515B1 (ko) 2006-10-24 2007-12-06 (주) 웹스 조립식 울타리
KR100760819B1 (ko) * 2006-11-06 2007-09-20 원승묵 펜스용 프레임 연결구
WO2012011691A2 (en) * 2010-07-21 2012-01-26 Lg Hausys, Ltd. Articulated bracket for fence
WO2012011691A3 (en) * 2010-07-21 2012-04-19 Lg Hausys, Ltd. Articulated bracket for fence
KR101245666B1 (ko) * 2012-09-13 2013-03-20 (주)우리휀스산업 각도조절 및 설치가 용이한 연결구가 구비된 펜스
KR200468811Y1 (ko) 2013-01-21 2013-09-11 주식회사 동부휀스 조립식 경계휀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193049A1 (en) 2003-10-16
US7100904B2 (en) 2006-09-05
KR20030081749A (ko) 2003-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1952B1 (ko) 울타리
US6752385B2 (en) Railing system
US20060202183A1 (en) Post and railing construction
US5601279A (en) Picket fence including slats having U-shaped attachment rails
JPH09125829A (ja) サッシの下横枠材取付構造
KR102339094B1 (ko) 칸막이 시공성이 향상된 펜스 조립체
KR102156673B1 (ko) 목재 펜스용 하이브리드 브래킷
KR20090058196A (ko) 조립식 인공 암벽 구조물
KR102092902B1 (ko) 견고성을 갖도록 형성한 조립형 기능성 휀스
KR101078604B1 (ko) 조립식 휀스
JP5660212B2 (ja) フェンス用の関節型ブラケット
KR100418619B1 (ko) 펜스용 브라켓
KR101006388B1 (ko) 펜스고정장치
KR20060088080A (ko) 조립식 펜스
US4290241A (en) Stave assemblies, staves, and tubs constructed therewith
KR101729175B1 (ko) 강성 구조의 목재 지주를 갖는 목재 펜스 구조체 및 그의 설치 방법
KR100596696B1 (ko) 어린이용 풀장이나 간이 양어장으로 사용될 수 있는 조립형 플라스틱 수조
KR200164602Y1 (ko) 놀이기구조립용다용도클램프구조물
JP4119445B2 (ja) 階段手摺の横桟材取付構造
JPH10159395A (ja) 転落防止柵用支柱及びそれを用いた柵体
JPH10159043A (ja) 転落防止柵用支柱及びそれを用いた柵体
JP4559268B2 (ja) 手摺
KR200358951Y1 (ko) 놀이시설의 바닥패널 결합구조
KR200358609Y1 (ko) 계단 난간 지주 조립체
KR200203596Y1 (ko) 조립하우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1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