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2515B1 - 조립식 울타리 - Google Patents

조립식 울타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2515B1
KR100782515B1 KR1020060103247A KR20060103247A KR100782515B1 KR 100782515 B1 KR100782515 B1 KR 100782515B1 KR 1020060103247 A KR1020060103247 A KR 1020060103247A KR 20060103247 A KR20060103247 A KR 20060103247A KR 100782515 B1 KR100782515 B1 KR 100782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hole
horizontal
fence
connection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3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춘
Original Assignee
(주) 웹스
이재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웹스, 이재춘 filed Critical (주) 웹스
Priority to KR1020060103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25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2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25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04F11/1834Connections therefor with adjustable angle, e.g. pivotal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52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the ends of the rails are fixed on the lateral sides of the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04F2011/1819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posts and horizontal or sloping balustrad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울타리에 관한 것이며, 바닥면으로부터 지지되어 수직 방향으로 뻗어 있는 복수의 세로부재와; 상기 복수의 세로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수평 방향으로 뻗어 있는 가로부재와; 상기 세로부재와 가로부재를 연결하도록, 상기 세로부재의 일 측에 배치되고 그 중앙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멍 내부에는 복수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방향조절부재와; 상기 가로부재의 일 단부에 끼워지고, 중앙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커버와; 상기 방향조절부재와 연결커버를 결합하도록, 방향조절부재측 일 단부에는 중심 영역이 구형이며 주변 영역이 원판 형상인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연결커버측 타 단부에는 너트가 결합할 수 있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수단을 포함하며, 이동할 수 있는 방향 및 각도가 제한되도록 상기 연결수단의 볼록부는 상기 방향조절부재에 대칭적으로 형성된 홈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원하는 각도로 울타리를 조립할 수 있으며 조립 후에도 울타리가 일정한 범위 내에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조립된 울타리를 다른 방향으로 다시 조립하는 것도 용이하게 된다.
조립식 울타리, 세로부재, 가로부재, 연결커버, 방향조절부재, 연결수단

Description

조립식 울타리 {KNOCK-DOWN FENCE}
도1은 종래의 울타리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종래의 울타리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울타리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울타리의 연결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5a 및 도5b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울타리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6a 및 도6b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울타리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7a 및 도7b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울타리의 방향을 조절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세로부재
20: 가로부재
30: 연결부재
31: 방향조절부재
32: 연결커버
33: 연결수단
35: 고정수단
본 발명은 조립식 울타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하는 각도로 조립할 수 있으며 조립 후에 울타리의 이동 없이 견고한 고정을 가능하게 하는 조립식 울타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울타리는 기둥의 역할을 하는 복수의 세로부재와 상기 세로부재 사이에 연결되는 복수의 가로부재, 그리고 상기 세로부재와 가로부재에 결합되는 연결부재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울타리는 주택이나 아파트 단지 등의 경계에 설치되어 내부의 시설물을 보호하는데 이용되며, 주로 목재나 철재, 플라스틱 등의 재질이 사용된다.
이러한 종래의 조립식 울타리가 도1 및 도2에 개시되어 있다.
우선,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울타리는 세로부재(10), 가로부재(20), 연결부재(30)로 구성되어 있다. 연결부재(30)는 세로부재(10)와 가로부재(20)를 연결시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연결부재(30)의 구체적인 구성이 도2에 도시되어 있다. 도2에 도시된 것처럼, 조립식 울타리의 연결부재(30)는 방향조절부재(31), 연결커버(32), 연결수 단(33)을 포함한다.
방향조절부재(31)는 세로부재(10) 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구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연결커버(32)는 가로부재(20) 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가로부재(20)에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연결수단(33)은 방향조절부재(31)와 연결커버(32)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중앙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수단(33)의 중앙에 형성된 구멍에 방향조절부재(31)가 끼워지고, 볼트(34)와 너트(35)에 의해 연결커버(32), 연결수단(33), 방향조절부재(31)가 결합한다.
이렇게 결합된 연결부재(30)는 연결커버(32)가 가로부재(20)에 끼워지고 연결수단(33)이 볼트(36)에 의해 세로부재(10)에 고정됨으로써 울타리가 형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울타리는 방향조절부재(31)가 구의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방향조절부재(31)를 돌림으로써 가로부재(20)의 방향 및 각도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울타리는 방향조절부재(31)가 구의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하는 방향 및 각도를 정확히 제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즉, 방향조절부재(31)가 구의 형상이기 때문에 울타리가 조립된 상태에서도 방향조절부재가 정확하게 고정되지 않고 의도하지 않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하는 각도에 맞춰 울타리를 조립할 수 있으며, 조립 후에 울타리가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울타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조립된 울타리를 다른 방향으로 다시 조립하는 것도 용이하게 하는 조립식 울타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바닥면으로부터 지지되어 수직 방향으로 뻗어 있는 복수의 세로부재와; 상기 복수의 세로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수평 방향으로 뻗어 있는 가로부재와; 상기 세로부재와 가로부재를 연결하도록, 상기 세로부재의 일 측에 배치되고 그 중앙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멍 내부에는 복수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방향조절부재와; 상기 가로부재의 일 단부에 끼워지고, 중앙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커버와; 상기 방향조절부재와 연결커버를 결합하도록, 방향조절부재측 일 단부에는 중심 영역이 구형이며 주변 영역이 원판 형상인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연결커버측 타 단부에는 너트가 결합할 수 있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수단을 포함하며, 이동할 수 있는 방향 및 각도가 제한되도록 상기 연결수단의 볼록부는 상기 방향조절부재에 대칭적으로 형성된 홈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울타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울타리에 있어서, 상기 방향조절부재의 구멍에는 내부에 네 개 이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울타리에 있어서, 상기 연결커버는 구멍에는 각이 진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방향조절부재의 중간 부분에는 상기 연결 커버의 구멍 형상에 대응되도록 각이 진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울타리의 일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우선, 도3 및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울타리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울타리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며, 도4는 연결부재의 결합구조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울타리는, 도3에 도시된 것처럼, 바닥면으로부터 지지되며 수직 방향으로 뻗어 있는 복수의 세로부재(10), 상기 복수의 세로부재(10) 사이에 배치되어 수평 방향으로 뻗어 있는 가로부재(20), 세로부재(10)와 가로부재(20)를 결합하는 연결부재(30)를 포함한다.
연결부재(30)는, 도3에 도시된 것처럼, 방향조절부재(31), 연결커버(32), 연결수단(33), 너트(35), 볼트(36)를 포함한다.
방향조절부재(31)는, 도4에 도시된 것처럼, 세로부재(10)의 일 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그 중앙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방향조절부재(31)의 구멍 내부에는 복수의 홈(31a)이 형성되어 있다. 이 방향조절부재(31)의 구멍 내부에 형성된 홈(31a)들은 서로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네 개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방향조절부재(31)의 구멍에 형성된 홈(31a)의 수가 많을수록 울타리를 원하는 방향 으로 정밀하게 방향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연결커버(32)는 가로부재(20)의 일 단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그 중앙에 구멍(32a)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수단(33)은, 방향조절부재(31)와 연결커버(32)를 결합하도록 하기 위해, 방향조절부재(31)측 일 단부에 중심 영역이 구형이며 주변 영역이 원판 형상인 볼록부(33a)가 형성되어 있으며 연결커버(32)측 타 단부에는 너트(35)가 결합할 수 있는 나사산(33c)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수단(33)의 볼록부(33a)는 연결커버(31)의 홈(31a)에 끼워지고, 연결수단(33)의 나사산(33c)은 도3에 도시된 것처럼 너트(35)와 결합한다. 이때, 연결수단(33)의 중간 부분(33b)은 연결커버(32)의 구멍(32a)과 대응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연결커버(32)의 구멍(32a)이 팔각 형상인 경우 연결수단(33)의 중간 부분(33b)도 팔각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위에서 설명한 연결부재가 결합된 구조가 도5a 및 도5b에 도시되어 있다. 도5a는 연결커버(32) 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5b는 방향조절부재(31) 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연결부재가 결합된 구조인 도5b를 절단한 상태가 도6a 및 도6b에 도시되어 있다.
연결수단(33)은 방향조절부재(31)의 홈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기 때문에, 수평 방향(도6b의 A-A'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며 수직 방향(도6b의 B-B' 방향)이나 다른 방향으로 이동할 수는 없다.
이러한 수평 방향(A-A' 방향)으로의 이동 각도가 도7a 및 도7b에 도시되어 있다.
도7a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울타리가 수평 방향(A-A' 방향) 중 한쪽으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하고, 도7b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울타리가 수평 방향(A-A' 방향) 중 다른 쪽으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7a 및 도7b에 도시된 것처럼, 연결 수단(33)은 방향조절부재(31)의 홈에 의해 수평 방향(A-A'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또한, 수평 방향(A-A' 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 예를 들어 수직 방향으로의 이동을 전혀 할 수가 없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울타리는 방향조절부재(31)의 구멍에 홈이 형성되고 이 홈에 연결수단(33)가 끼워지기 때문에, 울타리가 이동할 수 있는 방향 및 각도가 제한된다. 이에 따라 조립식 울타리의 설치시 더욱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조립식 울타리를 다른 방향이나 각도로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방향조절부재(31)의 구멍에 형성된 홈 중에서 다른 홈에 연결수단(33)를 끼움으로써, 조립식 울타리의 방향과 각도를 조절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변형할 수 있는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 범위 내에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울타리에 의하면, 종래와 달리 원하는 각도에 맞춰 울타리를 조립할 수 있으며, 조립 후에 울타리가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의해 조립된 울타리를 다른 방향으로 다시 조립하는 것도 용이하게 된다.

Claims (3)

  1. 바닥면으로부터 지지되어 수직 방향으로 뻗어 있는 복수의 세로부재와;
    상기 복수의 세로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수평 방향으로 뻗어 있는 가로부재와;
    상기 세로부재와 가로부재를 연결하도록, 상기 세로부재의 일 측에 배치되고 그 중앙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멍 내부에는 복수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방향조절부재와;
    상기 가로부재의 일 단부에 끼워지고, 중앙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커버와;
    상기 방향조절부재와 연결커버를 결합하도록, 방향조절부재측 일 단부에는 중심 영역이 구형이며 주변 영역이 원판 형상인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연결커버측 타 단부에는 너트가 결합할 수 있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수단를 포함하며, 이동할 수 있는 방향 및 각도가 제한되도록 상기 연결수단의 볼록부는 상기 방향조절부재에 대칭적으로 형성된 홈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울타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조절부재의 구멍에는 내부에 네 개 이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울타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커버는 구멍에는 각이 진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방향조절부재의 중간 부분에는 상기 연결커버의 구멍 형상에 대응되도록 각인 진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울타리.
KR1020060103247A 2006-10-24 2006-10-24 조립식 울타리 KR100782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3247A KR100782515B1 (ko) 2006-10-24 2006-10-24 조립식 울타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3247A KR100782515B1 (ko) 2006-10-24 2006-10-24 조립식 울타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2515B1 true KR100782515B1 (ko) 2007-12-06

Family

ID=39139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3247A KR100782515B1 (ko) 2006-10-24 2006-10-24 조립식 울타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2515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894B1 (ko) 2008-04-18 2008-10-13 (주)중동 각도조절이 용이한 연결구
KR100903934B1 (ko) 2008-10-20 2009-06-19 최규웅 난간대 결합장치
KR100941698B1 (ko) 2009-08-20 2010-02-12 (주)오라클우드 펜스용 힌지
KR200452619Y1 (ko) * 2010-08-09 2011-03-09 주식회사 임성 펜스 연결수단
KR101032763B1 (ko) 2010-10-19 2011-05-06 주식회사 대현금속 각도 조절이 가능한 펜스
KR101054261B1 (ko) 2010-11-04 2011-08-08 (주)이건환경 각도 조절이 용이한 디자인형 울타리의 기둥과 난간 체결부재
KR200464742Y1 (ko) 2010-04-16 2013-02-15 합자회사 현대스틸우드 합성목재 울타리 결합구조
KR101358101B1 (ko) * 2012-09-06 2014-02-13 태성정밀부품(주) 연결장치
CN105970856A (zh) * 2016-05-23 2016-09-28 太仓市武锋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具有照明功能的金属护栏
KR101777374B1 (ko) * 2017-06-05 2017-09-12 (유)송원이엔지 난간 일체형 데크
KR102216052B1 (ko) * 2020-09-14 2021-02-17 주식회사 미로 가로대의 회전이 방지되는 각도조절 난간 구조체
KR102452912B1 (ko) * 2021-10-18 2022-10-07 조진수 수평 및 경사도 조절 기능을 구비한 디자인형 울타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1952B1 (ko) 2002-04-12 2004-05-17 (주)뉴그린 밸리 울타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1952B1 (ko) 2002-04-12 2004-05-17 (주)뉴그린 밸리 울타리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894B1 (ko) 2008-04-18 2008-10-13 (주)중동 각도조절이 용이한 연결구
KR100903934B1 (ko) 2008-10-20 2009-06-19 최규웅 난간대 결합장치
KR100941698B1 (ko) 2009-08-20 2010-02-12 (주)오라클우드 펜스용 힌지
KR200464742Y1 (ko) 2010-04-16 2013-02-15 합자회사 현대스틸우드 합성목재 울타리 결합구조
KR200452619Y1 (ko) * 2010-08-09 2011-03-09 주식회사 임성 펜스 연결수단
KR101032763B1 (ko) 2010-10-19 2011-05-06 주식회사 대현금속 각도 조절이 가능한 펜스
KR101054261B1 (ko) 2010-11-04 2011-08-08 (주)이건환경 각도 조절이 용이한 디자인형 울타리의 기둥과 난간 체결부재
KR101358101B1 (ko) * 2012-09-06 2014-02-13 태성정밀부품(주) 연결장치
CN105970856A (zh) * 2016-05-23 2016-09-28 太仓市武锋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具有照明功能的金属护栏
KR101777374B1 (ko) * 2017-06-05 2017-09-12 (유)송원이엔지 난간 일체형 데크
KR102216052B1 (ko) * 2020-09-14 2021-02-17 주식회사 미로 가로대의 회전이 방지되는 각도조절 난간 구조체
KR102452912B1 (ko) * 2021-10-18 2022-10-07 조진수 수평 및 경사도 조절 기능을 구비한 디자인형 울타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2515B1 (ko) 조립식 울타리
KR200481829Y1 (ko) 조립식 캣타워
US8011156B1 (en) Construction set
US11136784B2 (en) Outdoor structure
US20110067340A1 (en) Modular floor tile with connector system
KR101734343B1 (ko) 데크 지지판, 이를 포함하는 데크 구조체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104830B1 (ko) 합성 목재 난간대
CA2646702C (en) Sectional fence assembly
KR102184096B1 (ko) 물탱크용 지지 조립체
KR20100011049U (ko) 미끄럼틀
KR102527056B1 (ko) 조립식 안전 펜스
US5157229A (en) Video game joystick switch control mechanism with position adjustors
KR20010110458A (ko) 주택이나 창고 건축 요소
KR20180067881A (ko) 지오데식 돔 하우스 연결 구조체
KR102188085B1 (ko) 이중 긴장재 도입형 기둥과 보의 구조물
US20180223897A1 (en) Gearshift Assembly
CN210251223U (zh) 建筑玩具中柱子与地面构件搭建组件
KR20110019908A (ko) 정글짐 연결 구조
US20200305393A1 (en) Toy for Pets
KR101910951B1 (ko) 데크 플레이트 연결구
US11504601B1 (en) Combination ramp system for sports
KR102480059B1 (ko) 타일데크블럭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타일데크블럭 구조체
KR102300166B1 (ko) 다기능 목재기둥.
KR102527914B1 (ko) 모듈형 캣 타워
KR200367283Y1 (ko) 시설물의 골조 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