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9908A - 정글짐 연결 구조 - Google Patents

정글짐 연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9908A
KR20110019908A KR1020090077521A KR20090077521A KR20110019908A KR 20110019908 A KR20110019908 A KR 20110019908A KR 1020090077521 A KR1020090077521 A KR 1020090077521A KR 20090077521 A KR20090077521 A KR 20090077521A KR 20110019908 A KR20110019908 A KR 201100199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panel
support surface
jungle gym
connection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7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9397B1 (ko
Inventor
노영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예건
(주) 아이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예건, (주) 아이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예건
Priority to KR1020090077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9397B1/ko
Publication of KR20110019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99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9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93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17/00Exercising apparatus combining several parts such as ladders, rods, beams, slides
    • A63B17/04Exercising apparatus combining several parts such as ladders, rods, beams, slides separ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16B7/185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with a node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9/00Connections of rods or tubular parts to flat surfaces at an angle
    • F16B9/02Detachable conn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9/00Climbing poles, frames, or stages
    • A63B2009/006Playground 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12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Furnitur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글짐 연결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정글짐에서 바가 연결되어 이루어진 개방면을 다양한 형태로 하고, 또한 바가 형성한 개방면의 일부를 임의적으로 폐쇄시킴으로써 유희성을 배가시킬 수 있으면서도 발판으로 사용하거나 추락시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조립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정글짐 연결 구조를 제공할 목적으로, 복수 개의 제1체결수단을 가지는 연결구(10); 상기 각 제1체결수단에 일측 단부가 고정되는 복수 개의 바(20); 상기 각 바(20)의 외측 면에 설치되고 외면에 슬릿홈(31)을 가지는 복수 개의 조인트링(30); 상기 각 바(20) 중 이웃한 2개 바(20)의 각 슬릿홈(31)에 결속되도록 레일(43)이 구비된 2개의 링 결속면(41)과, 상기 각 링 결속면(41)을 연결하는 지지면(42)이 상호 일체로 형성된 브라켓(40); 상기 브라켓(40)에 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복수 개의 바(20)가 연결되어서 형성된 개방면을 폐쇄하는 패널(60); 및 상기 브라켓(40)과 패널(60)을 상호 고정하는 제2체결수단(70)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정글짐 연결 구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정글짐 연결 구조{COUPLING STRUCTURE OF JUNGLE GYM}
본 발명은 금속재, 합성수지재 또는 목재의 바(또는 봉)을 입체격자로 만들어 격자속을 빠져나가기도 하고 올라갔다 내려왔다 하며 노는 형태의 운동놀이기구인 정글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바가 조립되어 형성된 개방면에 선택적으로 패널을 설치하여 개방면을 폐쇄한 정글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글짐은, 공원이나 놀이터 등에 설치되어 어린이들이 놀 수 있도록 마련된 유희용 시설물로서, 입체 격자 형태로 설치되어 어린이들이 오르고, 내리고, 건너고, 기고, 걸터앉아 놀기도 하며 즐길 수 있게 한 것이다.
전통적인 정글짐의 경우 금속 봉을 사각 격자 형태로 쌓아 올리고 연결 부분은 용접으로 고정한 것이지만, 이러한 정글짐은 연결 부분일 일일이 용접해서 고정시켜야 하므로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용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연결 부분이 이탈하여 놀던 어린이가 추락하는 등의 안전상 위험 요인이 내재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서,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 20-0225156호(특허문헌 1)는 용접이 아닌 단순 조립에 의하여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동일한 규격으로 된 단위봉을 상호 연결하여 정글짐을 시공하되, 단위봉의 양단 에 평탄부를 구성하고, 평탄부의 중앙에 장공을 형성하며, 이들 단위봉 평탄부 중심의 장공이 상호 일치하도록 하여 볼트 및 너트로 체결된 정글짐을 개시하였다
또한,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 20-0206153호(특허문헌 2)는 정글짐이 이루어지는 각 금속제 골조와 골조를 연결할 시에는 용접작업으로 연결하므로 용접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각 골조와 골조를 볼트너트로 간편하게 나착조립하여 적은 작업인원으로 단시간에 간편하게 정글짐을 조립할 수 있도록 한 반구형 정글짐을 개시하였다.
그러나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와 같은 정글짐은 연결 형태만 개선되었을 뿐, 놀이 방식은 전통적은 정글짐과 차이가 없다. 즉 어린이들이 정글짐에서 놀 때 손으로 바를 잡거나 발로 디뎌서 오르내리거나 이동할 수밖에 없는 단조로움 때문에 유희성에 한계가 있을 뿐 아니라, 어린이가 자칫 발을 헛디뎠을 경우 바닥으로 추락할 위험성은 여전히 남아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 정글짐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정글짐에서 뼈대를 형성한 바가 형성한 개방면을 다양한 형태로 하고, 또한 바가 형성한 개방면의 일부를 임의적으로 폐쇄시킴으로써 유희성을 배가시킬 수 있으면서도 발판으로 사용하거나 추락시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조립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정글짐 연결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제1체결수단을 가지는 연결구(10); 상기 각 제1체결수단에 일측 단부가 고정되는 복수 개의 바(20); 상기 각 바(20)의 외측 면에 설치되고 외면에 슬릿홈(31)을 가지는 복수 개의 조인트링(30); 상기 각 바(20) 중 이웃한 2개 바(20)의 각 슬릿홈(31)에 결속되도록 레일(43)이 구비된 2개의 링 결속면(41)과, 상기 각 링 결속면(41)을 연결하는 지지면(42)이 상호 일체로 형성된 브라켓(40); 상기 브라켓(40)에 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복수 개의 바(20)가 연결되어서 형성된 개방면을 폐쇄하는 패널(60); 및 상기 브라켓(40)과 패널(60)을 상호 고정하는 제2체결수단(70)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링 결속면(41)과 지지면(42)이 상호 직각을 이루고, 상기 패널(60)은 상기 지지면(42)의 내면과 접하여 고정되는 패널 고정부(61)가 일체로 형 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면(42)에 접한 패널 고정부(61)의 타측 면에 상기 제2체결수단(70)으로 고정되는 커버(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 결속면(41)의 내면에 결속홈(45)이 구비되고, 상기 커버(50)의 측면에 상기 결속홈(45)에 결합되는 결속돌기(51)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글짐의 뼈대를 형성한 바가 4각형 또는 6각형 등 다양한 형태의 공간이 혼합 설치되므로 외관이 미려할 뿐 아니라 시각적으로 유희성을 가질 수 있고, 또한 용접 없이 조립식으로 설치되므로 시공이 간편하고 신속한 이점이 있다.
또한, 4각형 또는 6각형으로 된 개방면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폐쇄한 패널을 설치하여 어린이들이 일부 개방면으로는 통과할 수 있고 폐쇄된 공간으로는 통과할 수 없게 하여 이동 가능한 공간을 제한함으로써 술래잡기 등의 놀이를 할 때 유희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놀이를 통해 공간 감각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게다가 어린이들이 정글짐을 오르내리거나 이동할 때, 바 뿐만 아니라 패널을 발판 삼아 디디고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이동이 자유로울 뿐 아니라, 발을 헛디뎌서 추락할 위험성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어 안전성이 극대화 된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통해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예시된 형태만으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글짐의 전체 조립 형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글짐의 일부를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글짐 연결 구조의 일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그짐은 금속재, 합성수지재 또는 목재 등의 일정 길이를 가지는 바(bar)를 종횡 또는 비정형으로 하여 입체식으로 조립한 것으로, 이곳에서 어린이들이 오르고, 내리고, 건너고, 기고, 걸터앉아 놀기도 하며 즐길 수 있게 한 것이며, 이러한 놀이는 어린이들의 자연적인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게 만든 것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정글짐의 바(20)는 구(救) 형태의 연결구(10)를 중심으로 연결된 4개의 바(20)가 사각 형태의 면을 이루기도 하고, 또한 6개의 바(20)가 6각 형태의 면을 이루기도 하며, 상기 바(20)에 의해서 생성된 4각 면 또는 6각 면의 일부에는 그 개방 면을 폐쇄하는 패널(60)이 설치된다.
상기 패널(60)은 정글짐 내부에서 어린이들이 이동할 때, 발판으로 사용되기도 하고, 또한 통과할 수 없는 영역을 제공하여 유희성을 배가하기도 하며, 정글짐 내부에서 발을 헛디뎠을 때 추락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안전판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이때 상기 패널(60)은 연결구(10) 및 바(20)를 설치할 때 그것들과 연동하여 간편하고 신속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정글짐 연결 구조는, 연결구(10), 상기 연결구(10)에 연결되고 일정 길이를 가져서 도시된 바와 같이 4각 혹은 6각 형태의 개방면을 형성하는 바(20)와, 상기 바의 외면에 설치되는 조인트링(30)과, 상기 조인트링(30)에 체결되는 브라켓(40) 및 상기 브라켓(40)에 고정되는 패널(60)로 대별되며, 상기 패널(60)은 바(20)가 연결됨으로써 형성된 4각 혹은 6각 형태의 개방면을 폐쇄할 수 있도록 4각 또는 6각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들 각 구성요소의 형태와 연결 구조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도 3 내지 도 7에서는 사각 형태의 개방면을 폐쇄할 수 있는 패널(60)의 연결 구조에 대해 개시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구(10)는 일종의 구(救) 형태일 수 있고, 그 외면에 상기 복수 개의 바(20)가 4각 또는 6각 형태로 연결될 수 있도록 일정한 방향으로 돌출된 제1체결수단(11)이 복수 개 구비되며, 상기 제1체결수단은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일 수 있다. 물론 상기 연결구(10)의 형태는 복수 개의 제1체결수단(11)이 구비된 것이면 반드시 구 형상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바(20)는 봉 형태로 되어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양측 단부에는 상기 제1체결수단(11)과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바홀(21)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바(20)가 연결구(10)에 고정된다.
상기 바(20)는 내부가 관통된 조인트링(30)에 삽입됨으로써 바(20)의 외면에 조인트링(30)이 설치되며, 조인트링(30)의 외면에는 복수 개의 슬릿홈(31)이 설치된다.
상기 브라켓(40)은 상기 바(20)가 연결되어 이룬 4각 형태의 개방면을 폐쇄하기 위해서 직각 형태로 된 링 결속면(41)이 구비되고, 상기 링 결속면의 외측 면에는 상기 슬릿홈(31)과 대응하여 결속되는 레일(4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직각 형태의 링 결속면(41)을 상호 고정 지지하도록 지지면(42)이 링 결속면(41)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면(42)에는 후술하는 제2체결수단(70)이 체결되는 브라켓 홀(44)이 천공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 결속면(41)과 지지면(42)은 상호 직각을 이루고,이때 상기 패널(60)은 상기 지지면(42)의 내면과 접하여 고정된다.
상기 패널(60)의 모서리 부분에는 상기 브라켓(40)의 지지면(42)에 고정될 수 있는 패널 고정부(61)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패널 고정부(61)에는 상기 브라켓 홀(44)과 대응하는 패널 홀(62)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제2체결수단(70)에 의해 상호 고정된다.
도 3에서 미설명 부호 '50'은 커버로서, 상기 커버(50)는 그 형태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 브라켓(40)의 지지면(42)과 동일한 형태로 된 판재일 수 있고, 상기 브라켓 홀(44) 및 패널 홀(62)과 각각 대응하는 커버 홀(52)이 천공되어 제2체결수단(70)에 의해 상호 고정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50)의 측면에는 결속돌기(51)가 돌출 형성되는 한편, 상기 브라켓(40)의 링 결속면(41)의 내측 면에는 상기 결속돌기(51)가 삽입되는 결속홈(45)이 형성되어 있으며, 물론 상기 결속돌기(51)와 결속홈(45)의 돌출 및 홈 방향은 도시된 것과 반대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링 결속면(41)의 내측 면에 돌출된 결속돌기가 형성되고 커버(50)의 측면에 결속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체결수단(70)은 브라켓(40)에 패널(60)을 고정하는 동시에 선택적으로 커버(50)를 함께 고정할 수 있게 한 것으로, 나사 혹은 볼트와 같은 수단일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브라켓 홀과 패널 홀 및/또는 커버 홀은 상기 제2체결수단(70)이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내부 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구성요소들의 조립 공정에 관하여 설명하며, 이를 통해 본 발명이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도 3의 정글짐 연결 구조의 조립 공정을 순서대로 보인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와 같이 먼저, 바(20)를 조인트링(30)의 내부로 삽입하여 바(20)의 외면에 조인트링(30)이 위치되게 한 후, 조인트링(30)의 단부에 형성된 바 홀(21)을 연결구(10)의 제1체결수단(11)에 체결하여 연결구(10)와 바(20)를 고정한다.
또한, 브라켓(40)의 일측에 형성된 레일(43)을 조인트링(30)의 슬릿 홈(31)에 결합시킨다. 이때 도 4의 확대도면과 같이 상기 레일(43)과 슬릿 홈(31)의 단면이 사다리꼴이 되도록 하는 경우,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조인트링(30)의 슬릿 홈(31) 위에서 브라켓(40)의 레일(43)을 끼워 아래로 내리면 레일(43)과 슬릿 홈(31)이 슬라이드 결합되면서도 결합 후, 브라켓(40)이 조인트링(30)에서 이탈되지 않고 고정된다.
다음으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나머지 하나의 조인트링(30), 즉 브라켓(40)에 고정되지 않은 조인트링(30)을 연결구(10) 방향으로 밀어 넣으면 브라켓(40)의 레일(43)에 조인트링(30)의 슬릿 홈(31)이 끼워져서 역시 슬라이드 결합되어 도 5의 상태가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레일(43)과 슬릿 홈(31)은 각각 단면이 사다리꼴로 되어 있기 때문에 하나의 브라켓(40)에 각각 고정된 2개의 조인트링(30)은 별도의 나사와 같은 체결수단 없이 상호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슬릿 홈(31)과 레일(43)의 단면 형태가 반드시 슬라이드 방식으로 조립되도록 하는 사다리꼴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슬릿 홈(31)과 레일(43)의 각 단면 형태를 삼각형 또는 사각형으로 하는 경우, 이웃한 2개의 조인트링(30)을 각각 연결구(10) 측에 접하도록 고정시킨 뒤 각 조인트링(30)의 슬릿 홈(31)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브라켓(40)의 레일을 끼울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패널(60)의 브라켓 고정부(61)를 상기 브라켓(40)의 지지면(42)에 맞댄 후, 지지면(42)에 접한 패널 고정부(61)의 타측 면에 커버(50)를 다시 맞댄다.
이때 상기 커버(50)에 형성된 결속돌기(51)를 브라켓 링 결속면(41)의 결속홈(45)에 삽입하면, 커버(50)를 브라켓(40)에 임시 고정시킬 수 있게 되어 조립성 이 향상된다.
이후, 예컨대 접시머리 볼트와 같은 제2체결수단(70)을 커버 홀(51)에 삽입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체결수단(70)이 패널 홀(62)과 브라켓 홀(44)에 연속적으로 삽입되어 나사 체결됨으로써 패널(60)을 브라켓(40)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커버(50)를 생략하고, 제2체결수단(70)을 직접 커버 홀(62)에 관통시켜서 브라켓(40)에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브라켓(40) 제조시 상기 링 결속면(41)의 결속홈(45)은 배제하여도 좋다.
이러한 공정을 반복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각 형태의 패널(60) 4개소(꼭지점 부분)를 각 연결구(10)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패널(60)은 4각 형태의 개방면을 폐쇄시킬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정글짐 연결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정글짐 연결 구조의 조립 완성 상태를 보인 사시도로서, 6각형 패널(60)의 각 꼭지점 부분을 연결구(10)에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40)이 개시된다.
상기 6각 패널(60)을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40)은 전술한 바와 같이 4각 패널을 고정하기 위한 것과 대비할 때 2개의 링 결속면(41)이 이룬 각도가 120°로 변형된 것만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구성요소들 및 그 결합관계는 동일하다. 물론 6각 패널 고정용 브라켓(40)이 조인트링(30)에 결합되기 위해서는 상기 연결구(10)의 제1체결수단(11)이 120°각도로 유지됨으로써 그에 대응하는 2개의 바(20)가 이 룬 각도가 120°로 유지되어야만 한다.
이러한 결합 관계를 통해, 상기 연결구(10)의 제1체결수단(11)의 설치 위치(각도)에 따라 상기 바(20)는 예시된 바와 같이 4각 혹은 6각 형태의 개방면을 이룰 수 있음은 물론, 3각, 5각 또는 8각 형태를 이룰 수 있게 된다. 나아가 그에 대응하는 브라켓(40)과 패널(60)을 구비하는 경우, 다각형의 개방면을 이루는 정글짐 조립이 가능하고, 그에 대응하여 다각형의 패널을 구비하면 어떤 형태의 개방면이라도 선택적으로 폐쇄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0은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6각 패널을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 형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6각 패널 고정용 브라켓(40)은 이웃한 2개의 링 결속면(41)이 상호 분리되도록 지지면(42)이 절개된 2개의 제1브라켓(40a)과 제2브라켓(40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절개된 지지면(42)이 상호 중첩 결합되도록 일측 지지면에 상부 지지면(42a)이 연장 형성되고, 타측 지지면에 하부 지지면(42b)이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상부 지지면(42a)과 하부 지지면(42b)에는 각각 상기 제2체결수단(70)이 체결될 수 있도록 동일 위치에 제1브라켓 홀(44a)과 제2브라켓 홀(44b)이 설치된다.
상기 6각 패널 고정용 브라켓(40)이 제1브라켓(40a)과 제2브라켓(40b)으로 분리된 이유는 다음과 같다.
도 2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4각 패널과 6각 패널이 혼합한 정글짐을 설치하 는 경우, 먼저 연결구(10)와 바(20)를 통해 도 2와 같은 형태의 정글짐 뼈대를 형성한 다음, 4각 개방면의 선택 위치에 도 4 내지 도 7의 공정으로 4각 패널을 설치한다.
이 경우 조인트링(30)은 4각 패널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6각 패널 브라켓이 분리되지 않은 경우 양쪽 링 결속면(41)을 2개의 조인트링(30)에 설치할 수 없다.
따라서 도 10과 같이 6각 패널 브라켓을 분리 설계한 다음, 4각 패널을 고정한 일측 조인트 링(30)에 제1브라켓(40a)을 슬라이드 조립하고, 다른 조인트 링(30)에는 제2브라켓(40b)을 설치하면, 제1브라켓(40a)과 제2브라켓(40b)이 결합할 때 상부 지지면(42a)과 하부 지지면(42b)이 중첩됨으로써 제2체결수단(70)을 체결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정글짐 연결 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일부 단면 구성도로서, 조인트링(30)의 고정 구조를 보인 것이다.
도 2, 도 3 및 도 11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연결구(10)의 제1체결수단(11)이 바 홀(21)과 나사 체결되는 구조를 통해 복수 개의 바(20)는 하나의 연결구(10)에 고정되고, 상기 바(20)의 외면에는 조인트링(30)이 설치되며, 패널(60)을 고정한 브라켓(40)은 2개의 조인트링(30)에 고정됨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때, 도 2와 같이 정글짐의 개방면 중 일부는 어린이가 통과할 수 있도록 패널(60)을 설치하지 않고, 패널(60)이 설치되지 않은 개방면과 접한 바(20)에는 브라켓(30)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브라켓(30)이 설치되지 않은 부분의 조인트링(30)을 바(20)의 양측 선단에 고정할 필요가 있다.
즉, 조인트링(30)이 바(20)에 고정되지 않고 그 외면에서 이동(도 4 참조)하게 되는 경우 어린이들이 노는 동안 바(20)의 외면에서 이동 가능하게 된 조인트링(30)에 의해 안전사고의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인트링(30)의 단부에 상기 바(20)의 선단 면과 접하도록 연장된 스토퍼(32)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써 도 11과 같이 조인트링(30) 중 연결구(10) 측으로 향한 단부의 내경이 바(20)의 직경보다 작은 크기가 되도록 중심으로 연장된 스토퍼(32)를 설치할 수 있고, 상기 스토퍼(32)는 조인트링(30)과 일체로 성형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토퍼(32)는 연결구(10)와 바(20) 선단 사이에 개재되어 끼워지므로 조인트링(30)이 바(20)의 외면에서 슬라이드 이동하지 않고 고정된다.
이에 따라 도 1에 예시된 것과 같은 정글짐을 구성할 때, 패널(60)이 설치되지 않은 개방면의 바(20)에는 스토퍼(32)가 구비된 조인트링(30)을 설치하고, 패널(60)이 설치되는 부분에는 스토퍼(32)가 구비되지 않은 조인트링(30)을 설치할 수 있다.
물론 부품의 공용화를 통해 제조원가를 절감하기 위해서는 도 11과 같이 스토퍼(32)가 구비된 조인트링(30) 한가지만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이웃한 2개의 조인트링(30)에 브라켓(40)을 체결할 때 슬릿홈(31)과 레일(43)이 슬라이드 방식으로 조립될 수 없으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슬릿 홈(31) 레일(41)의 각 단면 형태를 사다리꼴 형태가 아닌 삼각 혹은 사각 형태이거나 반원형 형태로 해야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글짐의 전체 조립 형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글짐의 부분 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글짐 연결 구조의 일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 내지 도 7은 도 3의 정글짐 연결 구조의 조립 공정을 순서대로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정글짐 연결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요부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정글짐 연결 구조의 조립 완성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도 8의 브라켓 형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정글짐 연결 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일부 단면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연결구 11... 제1체결수단
20... 바(bar) 21... 바 홀(bar hole)
30... 조인트링 31... 슬릿홈
32... 스토퍼
40... 브라켓(bracket)
40a...제1브라켓 40b... 제2브라켓
41... 링 결속면 42... 지지면
42a... 제1지지면 42b... 제2지지면
43... 레일 44... 브라켓 홀
44a... 제1브라켓 홀 44b... 제2브라켓 홀
45... 결속홈
50... 커버 51... 커버 홀
60... 패널(panel) 61... 패널 고정부
62... 패널 홀
70... 제2체결수단

Claims (10)

  1. 복수 개의 제1체결수단(11)을 가지는 연결구(10);
    상기 제1체결수단에 양측 단부가 고정되는 바(20);
    상기 바(20)의 외측 면에 설치되는 조인트링(30);
    이웃한 2개 조인트링(30)에 결속되도록 2개의 링 결속면(41)을 가지는 동시에 상기 각 링 결속면(41)을 상호 연결하는 지지면(42)을 가지는 브라켓(40);
    상기 브라켓(40)에 고정되고, 복수 개의 바가 복수 개의 연결구에 각각 연결되어 형성된 개방면을 폐쇄하도록 마련된 패널(60); 및
    상기 브라켓(40)과 패널(60)을 상호 고정하는 제2체결수단(70)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글짐 연결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링(30)의 외면에 슬릿홈(31)이 형성되고, 상기 링 결속면(41)에는 상기 슬릿홈(31)에 결속되는 레일(43)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글짐 연결 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슬릿홈(31)과 레일(43)은 각 단면은 삼각형, 사각형, 사다리꼴, 반원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글짐 연결 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링 결속면(41)과 지지면(42)은 상호 일체로 되고, 상기 패널(60)은 상기 지지면(42)에 접하여 체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글짐 연결 구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42)에 접한 패널(60)의 타측 면에 상기 제2체결수단(70)으로 고정되는 커버(5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글짐 연결 구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커버(50)의 측면에 결속돌기(51)가 구비되고, 링 결속면(41)의 내면에는 상기 결속돌기(51)가 체결되는 결속홈(45)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글짐 연결 구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링(30)의 단부에 상기 바(20)의 선단 면과 접하도록 연장된 스토퍼(3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글짐 연결 구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체결수단(70)은 나사 또는 볼트이고, 상기 브라켓(40) 및 상기 브라 켓(40)에 고정되는 패널(60)에 각각 제2체결수단이 체결되는 홀이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글짐 연결 구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40)은 이웃한 2개의 링 결속면(41)이 상호 분리되도록 지지면(42)이 절개된 2개의 제1브라켓(40a)과 제2브라켓(40b)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절개된 일측 지지면에 상부 지지면(42a)이 연장 형성되고, 타측 지지면에 하부 지지면(42b)이 연장 형성되어 각 지지면(42a)(42b)이 상호 중첩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글짐의 연결 구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지면(42a)과 하부 지지면(42b) 및 상기 상, 하부 지지면에 고정되는 패널(60)에 각각 볼트 또는 나사인 제2체결수단이 체결되는 홀이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글짐 연결 구조.
KR1020090077521A 2009-08-21 2009-08-21 정글짐 연결 구조 KR101059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7521A KR101059397B1 (ko) 2009-08-21 2009-08-21 정글짐 연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7521A KR101059397B1 (ko) 2009-08-21 2009-08-21 정글짐 연결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9908A true KR20110019908A (ko) 2011-03-02
KR101059397B1 KR101059397B1 (ko) 2011-08-29

Family

ID=43929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7521A KR101059397B1 (ko) 2009-08-21 2009-08-21 정글짐 연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93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7053B1 (ko) 2015-04-16 2016-03-28 이승왕 정글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2570B1 (ko) 2010-03-03 2012-07-05 (주) 아이붐 정글짐 연결 구조
CA3141269A1 (en) * 2019-06-13 2020-12-17 Troy ROFF Geometric play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9314Y1 (ko) 1999-11-11 2000-04-15 박영욱 블럭완구
KR200310236Y1 (ko) 2002-12-24 2003-04-26 주식회사 신일플라스틱 조립식 놀이시설용 패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7053B1 (ko) 2015-04-16 2016-03-28 이승왕 정글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9397B1 (ko) 2011-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2570B1 (ko) 정글짐 연결 구조
KR101622886B1 (ko) 확장 변형 가능한 모듈화된 구조체 놀이기구
CA2726609A1 (en) Temporary viewing platforms
KR101059397B1 (ko) 정글짐 연결 구조
ES2574330B1 (es) Sistema y método constructivo prefabricado con nudos estructurales tridimensionales
KR101077744B1 (ko) 나사블록을 이용한 미끄럼틀
CN109138513B (zh) 一种凉亭建筑系统
JP2018131841A (ja) 組立式ステージおよびジャッキ機構
JP2019208581A (ja) ボルダリング壁体
KR200361475Y1 (ko) 조립식 펜스
KR20080004895U (ko) 조립식 무대장치
KR100573911B1 (ko) 정글짐과 미끄럼틀을 연결하는 결합부재
EP2145560A1 (en) Dismountable outdoor ping-pong table
KR200445698Y1 (ko) 조립식 기둥
DE1949400U (de) Zerlegbarer kindersandkasten.
EP3296000B1 (de) Spielgerät mit raumelement
KR102658392B1 (ko) 다목적 조형 구조체
KR200270775Y1 (ko) 어린이 유희용 조립식 설치물
KR20190001512U (ko) 가구 지지파이프의 크로스 고정장치
KR200493037Y1 (ko) 펜스에 사용되는 목재기둥 고정판용 덮개
KR101050219B1 (ko)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 인공 암벽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인공 암벽 구조체
KR200453469Y1 (ko) 조립형 동물 울타리
KR102097359B1 (ko) 조립식 평상 구조물 및 이 평상 구조물이 구성된 조립식 가제보
KR200443081Y1 (ko) 놀이시설용 지주대 구조
KR200206153Y1 (ko) 반구형 정글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