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1475Y1 - 조립식 펜스 - Google Patents

조립식 펜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1475Y1
KR200361475Y1 KR20-2004-0016567U KR20040016567U KR200361475Y1 KR 200361475 Y1 KR200361475 Y1 KR 200361475Y1 KR 20040016567 U KR20040016567 U KR 20040016567U KR 200361475 Y1 KR200361475 Y1 KR 2003614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undary
support
fence
ba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65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동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죽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죽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죽산
Priority to KR20-2004-00165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14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14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147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07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not used
    • E04H12/2215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not used driven into the groun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53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 E04H12/2269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in a socke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52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the ends of the rails are fixed on the lateral sides of the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65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the rails being supported within blind or through holes of the po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펜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지대에 체결하여 일정 경계를 구획하는 경계구획바를 연속 반복적 되는 단순 볼트체결구조로 제작함으로써, 펜스의 설치가 용이하며, 조립성 및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그 구조가 단순하여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조립식 펜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펜스는 지면에 축조한 기초위에 수직으로 기립되게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다수개의 지주; 상기 지주에 삽입/설치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와 지지대 사이에 체결되어 경계구역을 구획하는 경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경계부재는 상기 연결홈과 관통공을 관통하도록 일측에 체결볼트가 돌출 형성된 제1 결속구; 상기 제1 결속구에 일측이 삽입/고정되며, 타측에 체결공이 형성된 경계구획바; 및 상기 경계구획바의 타측이 삽입되도록 내측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일측에 삽입공이 형성된 제2 결속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립식 펜스{Prefabricated Fence}
본 고안은 펜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지대에 체결하여 일정경계를 구획하는 경계구획바를 연속 반복되는 단순 볼트체결구조로 제작함으로써, 펜스의 설치가 용이하며, 조립성 및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그 구조가 단순하여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조립식 펜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펜스는 아파트단지, 공원, 놀이터 및 행사장 등에 설치되어 일정한 장소를 무단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또는 도로나 난간에 설치하여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설치한다.
이러한 펜스는 그 시공방법에 따라 연결부를 용접하여 고정하는 방식과, 고정판을 덧댄후, 볼트와 너트 등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방식이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를 용접하는 방식은 시공 및 해체작업이 어려워 공사기간이 지연될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연결부위가 변화되어 자칫 부실시공으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방식은 등록실용신안 제20-0291998호에 개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펜스의 구성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펜스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펜스(500)는 하측이 지면에 고정되어 중심부가 상방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지주(510)와, 상기 지주(510)와 지주(510) 사이에 설치되어 경계영역을 나타내기 위한 경계부재(520)와, 상기 지주(510)에 삽입되어 상기 펜스(500)의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보강부(530) 및 상기 경계부재(520)와보강부(530)를 별도의 볼트(531) 및 너트(532)를 이용하여 연결시키는 연결체(535)로 구성된다.
하지만, 종래의 펜스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펜스를 시공하기 위해서는 보강부와 경계부재 사이에 연결체를 위치시키는 작업과 이와 같이 위치시킨 경계부재, 보강부 및 연결체를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체결하는 작업이 따로 병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조립과정이 복잡하여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경계부재를 지주에 체결하기 위해서는 상기 경계부재를 체결부위에 위치시키기 위한 인력 외에도 이를 체결하기 위한 다른 추가인력이 소요되며, 또한, 그 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높은 공사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타측에 체결공이 형성된 경계구획바의 일측에 체결볼트가 형성된 제1 결속구를 삽입/고정하고, 그 타측에 삽입공이 형성된 제2 결속구를 삽입/고정하여 시공시 그 전단계의 체결공에 상기 체결볼트를 체결하는 단순체결구조로 제작함으로써, 조립성 및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립식 펜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구조가 단순하고, 작업자의 작업숙련도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시공함으로써,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조립식 펜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펜스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펜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펜스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및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펜스를 나타낸 설치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보호의 설명>
100 : 펜스 120 : 지지대
121 : 결합홈 123 : 연결홈
125 : 관통공 130 : 경계부재
131 : 구획경계바 134a : 제1 결속구
134b : 제2 결속구
본 고안에 따르면, 지면에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고정된 다수개의 지주; 상기 각 지주의 상부에 삽입/설치되며, 외주연에 서로 대칭을 이루는 한쌍의 연결홈이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각 한쌍의 연결홈 사이에 관통공이 형성된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와 지지대 사이에 체결되어 경계구역을 구획하는 경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경계부재는 상기 연결홈과 관통공을 관통하도록 일측에 체결볼트가 돌출 형성된 제1 결속구; 상기 제1 결속구에 일측이 삽입/고정되며, 타측에는 체결공이 형성된 경계구획바; 상기 경계구획바의 타측이 삽입되도록 내측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일측에 삽입공이 형성된 제2 결속구를 포함하는 조립식 펜스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지지대와 경계부재는 목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펜스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펜스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펜스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조립식 펜스(100)는 지면에 일정간격으로 이격 설치된 다수개의 지주(110)와, 상기 지주(110)에 각각 삽입/설치되어 후술할 경계부재(130)를 고정하기 위한 지지대(120) 및 상기 지지대(120)와 지지대(120)사이에 설치되어 일정 경계를 구획하기 위한 경계부재(130)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지주(110)는 펜스(100)를 설치하기 위한 예비단계로써,펜스(100)를 시공하기 위한 지면에 설치/고정된다.
이때, 상기 지주(110)는 기초볼트를 이용하여 지면에 체결할 수 있으며, 그 실시예에 따라 지면이나 콘크리트 바닥 등에 매립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지지대(120)는 그 하부에 결합홈(121)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120)에는 지지대(120)을 지름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125)이 적정간격으로 다수곳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관통공(125)의 양단에는 상기 관통공(125)보다 확대된 연결홈(12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경계부재(130)는 구획경계바(131), 제1 결속구(134a) 및 제2 결속구(134b)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획경계바(131)는 그 양측에 상기 구획경계바(131)와 서로 다른 내경을 갖는 연결봉(13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구획경계바(131)의 타측에 형성된 연결봉(132)의 내측에는 길이방향의 체결공(133)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봉(132)의 내경은 구획경계바(131)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구획경계바(131)의 형상은 도2 및 도3에서 원형 봉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그 실시예에 따라 삼각, 사각 및 다각형등의 어떠한 형상도 가능하다.
상기 제1 결속구(134a)는 그 내측에 제1 결합홈(136a)이 형성되고, 그 일측에는 체결볼트(135)가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결속구(134b)의 내측에는 제2 결합홈(136b)이 형성되고, 그 타측에는 삽입공(138)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120)와 구획경계바(131)는 자연미를 느낄 수 있도록 목재를 이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지지대(120)는 방충 방부처리 후 우레탄 코팅을 함으로써, 자연부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구획경계바(131)는 Polyester Powder Color 도장을 함으로써, 그 지역 특성에 맞는 색상을 이용하여 시공된 펜스(100)에 미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일련의 구성을 갖는 조립식 펜스의 결합관계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지주(110)의 상부에는 지지대(120)의 결합홈(121)이 삽입/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대(120)는 지주(110)에 의해 견고하게 직립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대(120)와 지지대(120)의 내측에 형성된 연결홈(123)중 그 일측에는 제1 결속구(134a)가 삽입/고정된다. 이때, 상기 제1 결속구(134a)의 체결볼트(135)는 연결홈(123) 및 관통공(125)을 관통한다.
그리고, 상기 제1 결속구(134a)의 제1 결합홈(136a)에는 상기 구획경계바(131)의 일측에 형성된 연결봉(132)에 삽입/고정되며, 상기 구획경계바(131)의 타측에 형성된 연결봉(132)에는 상기 제2 결속구(134b)의 제2 결합홈(136b)이 삽입/고정된다. 이때, 상기 제2 결속구(134b)는 상기 제1 결속구(134a)가 삽입/고정된 연결홈(123)과 동일한 높이를 갖는 연결홈(123)에 삽입/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봉(123)과 제1,2 결속구(134a,134b)는 억지끼워맞춤으로 삽입/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체결볼트(135)는 연결홈(123), 관통공(125) 및 삽입공(138)을 관통하여 그 전단계에 체결된 연결봉(132)의 체결공(133)에 체결됨으로써, 연속반복적인 볼트 체결구조를 갖게 된다.
이에, 상기와 같은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펜스는 단순 볼트체결구조에 의하여 용이한 시공이 가능한 구조로써, 이와 같은 일련의 사용관계 및 그에 따른 상호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펜스를 나타낸 설치상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조립식 펜스(100)를 설치하기 위한 경계구역의 지면에 지주(110)를 설치한다. 이후, 상기 지주(110)의 상부에 지지대(120)를 삽입/설치하여 상기 지지대(120)가 직립을 유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구획경계바(131)의 양측에 형성된 연결봉(132)에 제1,2 결속구(134a,134b)를 삽입/고정시킨 후, 상기 구획경계바(131)를 지지대(120)와 지지대(120) 사이에 형성된 연결홈(123)에 삽입/고정하여, 상기 경계구획바(131)를 연속반복되는 단순 볼트체결구조로 체결함으로써, 조립식 펜스(100)가 견고한 결합구조를 갖으며, 시공이 용이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경계구획바의 일측에 체결볼트가 형성된 제1 결속구를 삽입/고정하고, 그 타측에 삽입공이 형성된 제2 결속구를 삽입/고정하여 경계구획바를 연속반복적인 단순 볼트체결구조로 제작함으로써, 조립성 및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른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펜스의 구조가 단순하고, 작업자의 작업숙련도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기 때문에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조립식 펜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2)

  1. 지면에 축조한 기초위에 수직으로 기립되게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다수개의 지주;
    상기 각 지주의 상부에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지주의 지름방향을 관통하는 관통공이 적정간격으로 다수곳에 구비되고, 각 관통공의 양단에 확대된 연결홈을 구비한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와 지지대 사이에 체결되어 경계구역을 구획하는 경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경계부재는
    상기 연결홈과 관통공을 관통하도록 일측에 체결볼트가 돌출 형성된 제1 결속구;
    상기 제1 결속구에 일측이 삽입/고정되며, 타측에 체결공이 형성된 경계구획바; 및
    상기 경계구획바의 타측이 삽입되도록 내측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일측에 삽입공이 형성된 제2 결속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펜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와 경계부재는 목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펜스.
KR20-2004-0016567U 2004-06-14 2004-06-14 조립식 펜스 KR2003614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6567U KR200361475Y1 (ko) 2004-06-14 2004-06-14 조립식 펜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6567U KR200361475Y1 (ko) 2004-06-14 2004-06-14 조립식 펜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1475Y1 true KR200361475Y1 (ko) 2004-09-13

Family

ID=49437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6567U KR200361475Y1 (ko) 2004-06-14 2004-06-14 조립식 펜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147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9178B1 (ko) * 2006-03-22 2007-03-28 주식회사 중부기획 스텐 난간의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9178B1 (ko) * 2006-03-22 2007-03-28 주식회사 중부기획 스텐 난간의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68209B1 (en) Modular fence
US10006220B2 (en) Support system and structure supported thereby
US20160201313A1 (en) High-rise architectural structure and maintenance method therefor
NZ620475A (en) High-protein beverages comprising whey protein
US20070261333A1 (en) Enclosure panels
KR101707170B1 (ko) 지주 연결 구조물
KR100509408B1 (ko) 건축용 비탈면 보호시설
KR200361475Y1 (ko) 조립식 펜스
US5833181A (en) Outdoor support post apparatus
KR100587222B1 (ko) 건축물 조립식 담장
KR200350282Y1 (ko) 조립식 지주가 구비된 펜스
US2281967A (en) Wall construction
KR101694992B1 (ko) 정자의 지붕 구조물 연결 장치
JP4034045B2 (ja) 展示品用支柱支持台
US6795985B2 (en) Narrow buttress system structure for swimming pools
JP2002047662A (ja) 可搬柱状基礎体及びその設置方法
US8490287B2 (en) Fence end spacer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KR200232726Y1 (ko) 조립식 울타리
AU649629B2 (en) Demountable and relocatable interlocking building hoarding partitions and temporary security fencing
KR200392074Y1 (ko) 콘크리트구조물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협소한작업공간에 설치되는 트러스동바리
AU2010100852A4 (en) Fencing system
CN211396523U (zh) 一种装配式支撑施工平台
KR200493037Y1 (ko) 펜스에 사용되는 목재기둥 고정판용 덮개
CN219138626U (zh) 一种房建施工防护栏
KR102491817B1 (ko) 울타리 기둥의 확장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