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0219B1 -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 인공 암벽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인공 암벽 구조체 - Google Patents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 인공 암벽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인공 암벽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0219B1
KR101050219B1 KR1020100091601A KR20100091601A KR101050219B1 KR 101050219 B1 KR101050219 B1 KR 101050219B1 KR 1020100091601 A KR1020100091601 A KR 1020100091601A KR 20100091601 A KR20100091601 A KR 20100091601A KR 101050219 B1 KR101050219 B1 KR 101050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ficial rock
frame
wall
module
plat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1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봉일
Original Assignee
디스커버리씨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스커버리씨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스커버리씨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1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02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0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02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48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mountaineering, e.g. climbing-walls, grip elements for climbing-wa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 인공 암벽용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인공 암벽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여러 개의 인공 암벽 모듈을 결합하여 인공 암벽 구조체를 만들 수 있도록 하는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과 이를 포함하는 인공 암벽 모듈, 그리고, 인공 암벽 모듈을 결합하여 암벽타기용 구조물 또는 인테리어용 구조물로 활용되는 인공 암벽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실시예에 따른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은, 평판부 및 평판부로부터 소정의 두께를 갖고 수직으로 연장되는 벽부를 포함하며, 평판부는 하나 이상의 패널 결합공과 하나 이상의 벽체 결합공을 갖고, 벽부는 하나 이상의 프레임 결합공을 갖는다. 그리고, 인공 암벽 모듈은 이러한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을 포함하고 있으며, 인공 암벽 모듈을 복수개 결합하여 인공 암벽 구조체를 형성하게 된다. 실시예에 따른 인공 암벽 모듈은 인공 암벽 모듈 상호간의 결합이 간단하고, 단차 또는 틈의 발생하지 않고, 시공자에 따라 인공 암벽 구조체의 완성도가 크게 다르지 않게 한다.

Description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 인공 암벽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인공 암벽 구조체{FRAME FOR ARTIFICIAL CLIMBING WALL MODULE AND ARTIFICIAL CLIMBING MODULE AND ARTIFICIAL CLIMBING WALL STRUCTURE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 인공 암벽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인공 암벽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여러 개의 인공 암벽 모듈을 결합하여 인공 암벽 구조체를 만들 수 있도록 하는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과 이를 포함하는 인공 암벽 모듈, 그리고, 인공 암벽 모듈을 결합하여 암벽타기용 구조물 또는 인테리어용 구조물로 활용되는 인공 암벽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인공 암벽은 스포츠 클라이밍과 같은 스포츠에 사용되기도 하고 장식을 위한 간이벽으로 사용되는 등 여러 용도로 사용된다. 스포츠 클라이밍이란, 현대의 바쁜 생활 속에서 자연암벽까지 가는 시간과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으며, 자연암벽에서와 같은 위험성이 없이 적은 비용으로 안전하게 즐길 수 있는 운동으로써, 실내 또는 실외에 설치된 조립식 인공암벽을 오르는 운동을 말한다.
스포츠 클라이밍은, 건물 벽이나 암벽을 연상케 하는 거대한 합판, FRP (Fiberglass Reinforced Plastic) 등에 인공 홀드(손으로 잡는 돌출물)를 부착시키고 손과 발만을 사용해 벽면을 따라 이동하는 운동으로서, 원래, 전문산악인들의 교육훈련을 하는 운동으로 많이 알려졌지만 현재는 레져 스포츠를 즐기는 일반인들에게도 급속도로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실내에서 스포츠 클라이밍 연습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여러 종류의 인공암벽이 고안되어 왔는데, 통상적인 종래의 조립식 인공암벽은 암벽모양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사각형 블록을 벽면에 결합시키도록 구성되며, 벽면에 블록을 결합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체결방법으로는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한 나사결합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전문가용, 고난이도의 인공 암벽뿐만 아니라, 실내 또는 실외에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는 초급자용 저난이도의 인공 암벽에 대한 수요, 즉 일반인들도 쉽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인공 암벽에 대한 수요도 늘고 있다.
종래의 인공 암벽은 통상적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작하거나, 조립식 인공 암벽 패널을 조합하여 제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콘크리트 타설 방식의 시공은 일일히 수작업으로 진행되고, 인공 암벽의 형상 및 견고한 정도가 작업자의 노하우나 감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어서, 언제나 어디서나 균일한 완성도의 인공 암벽을 구현하는 것이 쉽지 않았다. 이와 같이 일반인들이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인공 암벽 패널을 만드는 것은 사실상 어려웠다. 그리고, 또한 종래의 조립식 인공 암벽 패널을 조합하여 인공 암벽의 제작하는 경우에는, 수직, 수평을 맞추는 것이 쉽지 않고, 특히 인공 암벽 패널 또는 인공 암벽 모듈이 여러 개 결합되면서 각 모듈 사이의 간격이 제 각각으로 되고, 인접한 모듈간의 결합이 견고하지 않게 되며, 결국 설치된 인공 암벽의 완성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실시예는 인공 암벽 모듈 상호간의 결합이 간단한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 인공 암벽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인공 암벽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실시예는 인공 암벽 패널 상호간의 결합에 의해 인공 암벽 구조체가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인공 암벽 패널이 부착된 인공 암벽 모듈 상호간의 결합에 의해 인공 암벽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 인공 암벽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인공 암벽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실시예는 인공 암벽 모듈 사이에 단차 또는 벌어진 틈이 발생하지 않는 및 단차 또는 벌어진 틈이 발생하지 않는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 인공 암벽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인공 암벽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실시예는 시공자에 따라 인공 암벽 구조체의 완성도가 크게 다르지 않고 균일하도록 하는,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 인공 암벽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인공 암벽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른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은, 평판부 및 평판부로부터 소정의 두께를 갖고 수직으로 연장되는 벽부를 포함하며, 평판부는 하나 이상의 패널 결합공과 하나 이상의 벽체 결합공을 갖고, 벽부는 하나 이상의 프레임 결합공을 갖는다
실시예에 따른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은, 평판부 및 평판부의 모서리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측판부를 포함하며, 평판부는 하나 이상의 패널 결합공과 하나 이상의 벽체 결합공을 갖고, 측판부는 하나 이상의 프레임 결합공을 갖는다.
실시예에 따른 인공 암벽 모듈은, 하나 이상의 패널 결합공과 하나 이상의 벽체 결합공을 갖는 평판부, 하나 이상의 프레임 결합공을 가지고 소정의 두께를 가진채로 평판부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벽부를 포함하는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 및 평판부 상에 형성된 패널 결합공을 관통하는 고정쇠에 의해 평판부에 고정되는 인공 암벽 패널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인공 암벽 모듈은, 하나 이상의 패널 결합공과 하나 이상의 벽체 결합공을 갖는 평판부, 하나 이상의 프레임 결합공을 가지고 평판부의 모서리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측판부를 포함하는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 및 평판부 상에 형성된 패널 결합공을 관통하는 고정쇠에 의해 평판부에 고정되는 인공 암벽 패널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인공 암벽 구조체는, 평판부, 평판부로부터 소정의 두께를 갖고 수직으로 연장되는 벽부를 포함하며 평판부는 하나 이상의 패널 결합공과 하나 이상의 벽체 결합공을 갖고, 벽부는 하나 이상의 프레임 결합공을 갖는 복수의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 및 복수의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의 평판부 상에 고정되는 복수의 인공 암벽 패널을 포함하며, 복수의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은, 인접한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의 벽부에 형성된 프레임 결합공을 관통하는 고정쇠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른 인공 암벽 구조체는, 평판부, 상기 평판부의 모서리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측판부를 포함하며 평판부는 하나 이상의 패널 결합공과 하나 이상의 벽체 결합공을 갖고, 측판부는 하나 이상의 프레임 결합공을 갖는 복수의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 및 복수의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의 평판부 상에 고정되는 복수의 인공 암벽 패널을 포함하며, 복수의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은, 인접한 인공 암벽 패널용 프레임의 측판부에 형성된 프레임 결합공을 관통하는 고정쇠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실시예는 인공 암벽 모듈 상호간의 결합이 간단한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 인공 암벽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인공 암벽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인공 암벽 패널 상호간의 결합에 의해 인공 암벽 구조체가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인공 암벽 패널이 부착된 인공 암벽 모듈 상호간의 결합에 의해 인공 암벽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 인공 암벽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인공 암벽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인공 암벽 모듈 사이에 단차 또는 벌어진 틈이 발생하지 않는 및 단차 또는 벌어진 틈이 발생하지 않는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 인공 암벽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인공 암벽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시공자에 따라 인공 암벽 구조체의 완성도가 크게 다르지 않고 균일하도록 하는,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 인공 암벽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인공 암벽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의 제1 실시예의 평면도
도 2는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
도 3은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의 제2 실시예의 사시도
도 4는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의 제3 실시예의 평면도
도 5는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의 제3 실시예를 두 개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의 제4 실시예의 평면도
도 7은 인공 암벽 패널이 결합된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이 결합되어 인공 암벽 모듈을 이루고, 인공 암벽 모듈이 다수 결합하여 인공 암벽 구조체를 형성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인공 암벽 패널과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이 결합되어 인공 암벽 모듈을 이루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도 8의 인공 암벽 모듈이 벽체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상, 하, 좌, 우, 위, 아래에 대한 기준은 특별한 언급이 없으면,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의 제1 실시예>
도 1은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10)의 제1 실시예의 평면도이고, 도 2는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10)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10)은 평판부(11), 및 평판부(11)로부터 소정의 두께를 갖고 수직으로 연장되는 벽부(12)를 포함한다. 그리고 평판부(11)는 하나 이상의 패널 결합공(15)과 하나 이상의 벽체 결합공(14)을 가지며, 벽부(12)는 하나 이상의 프레임 결합공(16)을 갖는다.
평판부(11)는 직사각형의 형상을 취하고 있으며, 가운데 부위에는 개구부를 갖는다. 또한 직사각형 중에서도 정사각형의 형상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정사각형이 아닌 직사각형의 형상을 취하더라도 여러 개의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10)을 결합하는 데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 다만, 정사각형 형상을 취하는 경우에는 가로, 세로를 구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여러 개의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10)을 결합하기가 더욱 용이하고, 따라서 시공, 설치가 더욱 더 쉬운 장점이 있다. 본 제1 실시예에서는 개구부의 크기가 평판부(11)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프레임에 요구되는 강도 및 재료의 단가를 고려하여 개구부의 크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보다 클 수도 작을 수도 있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평판부(11)의 중앙 부위에는 개구부가 없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평판부(11)의 각 꼭지점 부위는 1/4호를 그리면서 움푹 들어간 채로 형성된다. 다만, 꼭지점 부위가 반드시 1/4호의 형상을 취해야 할 필요는 없고, 본 제1 실시예의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10)이 서로 인접하여, 각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10)의 꼭지점 부분이 만난 채로 결합되었을 때, 꼭지점 부위에 빈 공간이 생기면 된다. 다시 말해, 그 꼭지점 부위에서는 평판부(11)의 상면으로부터 평판부(11)의 하면으로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면 된다.
벽부(12)는 평판부(11)로부터 소정의 두께를 갖고 수직으로 연장된다. 벽부(12)는 평판부(11)의 외곽을 따라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사각형 띠의 형상을 취하고 있다. 또한 평판부(11)의 외곽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어야 하기 때문에 평판부(11) 외곽의 형상과 벽부(12)의 형상은 일치하거나 거의 일치하게 된다. 벽부(12) 중에서 평판부(11)의 꼭지점 부위에 대응되는 부위는 평판부(11)의 꼭지점에 대응되도록 1/4호의 형상을 취하고 있다. 즉, 평판부(11)의 각 꼭지점으로부터 벽부(12)가 연장되어 있는 방향을 따라서 함몰면(17)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평판부(11)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이 함몰면(17)이 반드시 1/4호의 형상을 취해야 할 필요는 없다. 그런데, 도 2에서 꼭지점 부위의 확대도 부분을 보면 평판부(11)의 꼭지점 부위와 벽부(12)의 함몰면(17)이 동일 평면상에 있는 것이 아니라 약각 단차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평판부(11)의 꼭지점이 그리는 1/4호의 길이보다 벽부(12)의 함몰면(17)이 이루는 1/4호의 길이가 더 짧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것이 유리한 이유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게 되면, 여러 개의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10)이 꼭지점 부분이 맞닿은 채로 결합되었을 때 평판부(11)의 꼭지점 부위가 이루는 원이 함몰면(17)이 이루는 원보다 직경이 크게 된다. 따라서 여러 개의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10)이 만났을 때 생기게 되는 구멍에 볼트를 끼워 넣게 되면 볼트의 머리 부분이 평판부(11)의 상면 위로 튀어 나오지 않고 평판부(11)의 상면보다 낮거나 적어도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한 채로 볼트가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이 단차는 사용될 볼트 머리의 크기에 따라서 크게 하거나 작게 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단차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기는 하지만 반드시 단차가 있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고 볼트 머리가 평판부(11)의 상면으로 튀어 나오도록 단차를 없앨 수도 있다. 다만, 단차가 없는 경우에는 차후에 설명할 인공 암벽 패널(20)을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10)에 결합할 때 단차가 있는 경우에 비해서 상호간의 조립이 까다로울 수 있다.
평판부(11)는 벽체 결합공(14)을 갖는데, 도 1 및 도 2에서는 평판부(11) 상에 있는 관통공 중에서 가장 꼭지점에 가까운 부위에 있는 관통공이 이에 해당한다. 또한 평판부(11)는 패널 결합공(15)을 갖는데, 도 1 및 도 2에서는 평판부(11) 상에 있는 관통공 중에서 프레임 결합공(16)에 가까이 있는 작은 구멍이 이에 해당한다. 다만, 벽체 결합공(14)과 패널 결합공(15)이 반드시 이와 같이 위치할 필요는 없고, 상호 간에 위치가 바뀌어도 무방하다. 또한 본 실시예 1과 같이 평판부(11)가 직사각형의 형상을 취하고 있는 경우에는 각 꼭지점의 주변 부위마다 패널 결합공(15)과 벽체 결합공(14)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각 모서리의 중앙 부위도 벽체 결합공(14)과 패널 결합공(15)을 가질 수 있다. 즉, 패널 결합공(15)과 벽체 결합공(14)의 개수는 크게 제한 받지 않는다. 다만 구멍이 너무 많이 뚫려 있게 되면 구조 자체의 강도가 약해지므로 이러한 경우는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벽부(12)는 하나 이상의 프레임 결합공(16)을 갖는다. 도 2를 참조하면, 벽부(12)는 네 개의 얇은 판이 이어져서 직사각형의 띠 형상을 이루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프레임 결합공(16)은 네 개의 얇은 판 상에 하나 이상은 뚫려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임 결합공(16)은 여러 개의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10)을 서로 인접시켜 결합할 때, 인접한 프레임들을 서로 연결해 주는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구멍이다. 그리고, 이 체결부재는 한 조의 볼트와 너트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여러 개의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10)이 결합되어 만들어지게 되는 인공 암벽 구조체에서 요구되는 강도를 만족하기 위해서는 네 개의 얇은 판 상에 하나 이상 프레임 결합공(16)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네 개의 얇은 판 상에 두 개의 프레임 결합공(16)이 뚫려 있는 것도 좋다. 또한 두 개를 초과하여 여러 개의 프레임 결합공(16)이 뚫려 있을 수도 있으나, 구조 자체의 강도를 위해서 너무 여러 개의 프레임 결합공(16)을 뚫는 것은 지양해야 한다.
평판부(11)에는 프레임 결합공(16)으로부터 벽부(12)를 따라 평판부(11)를 향해 수직으로 연장한 선상에 홀이 뚫려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반원 형상의 홀이 뚫려 있다. 이 홀은 평판부(11)의 상면에서도 프레임 결합공(16)에 체결부재를 결합할 수 있는 작업 공간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홀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반드시 반원 형상을 취할 필요는 없고, 삼각형, 사각형과 같은 다각형 또는 비정형의 형상을 취해도 무방하다.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의 제2 실시예>
도 3은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10)의 제2 실시예의 사시도다.
제2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실시예와 중복되는 부분은 반복 설명을 방지하기 위하여 생략하도록 하고,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부분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10)은 평판부(11), 및 평판부(11)의 모서리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측판부(13)를 포함한다. 그리고 평판부(11)는 하나 이상의 패널 결합공(15)과 하나 이상의 벽체 결합공(14)을 가지며, 측판부(13)는 하나 이상의 프레임 결합공(16)을 갖는다.
평판부(11)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와 비교하였을 때, 꼭지점 부위가 1/4호를 그리면서 움푹 들어가지 않고 꼭지점이 직각을 이루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와 같을 필요는 없고,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평판부(11)의 각 꼭지점 부위는 1/4호를 그리면서 움푹 들어간 채로 형성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측판부(13)는 평판부(11)의 모서리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다. 본 제2 실시예에서 평판부(11)는 직사각형이므로 총 네 개의 모서리가 있고, 따라서 측판부(13)는 총 네 개가 된다. 측판부(13)에 하나 이상의 프레임 결합공(16)을 갖고 있는 것가 이 프레임 결합공(16)에 체결부재가 결합되는 것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의 제3 실시예>
도 4는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10)의 제3 실시예의 평면도이고, 도 5는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10)의 제3 실시예를 두 개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3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실시예와 중복되는 부분은 반복 설명을 방지하기 위하여 생략하도록 하고,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부분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제3 실시예는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와는 달리 평판부(11)의 형상이 삼각형이다. 따라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처럼 여러 개의 인공 암벽 모듈(1)의 어떠한 면을 서로 맞닿게 하더라도 결합되는 것과는 달리 두 개의 제3 실시예의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10)이 있을 때 빗변을 서로 맞닿게 하여 인공 암벽 모듈(1)을 결합시켜야만 한다. 도 5가 바로 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두 개의 제3 실시예의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10)이 빗변이 서로 맞닿은 채로, 평판부(11)에서 소정의 두께를 갖고 수직으로 연장되는 벽부(12) 또는 평판부(11)의 각 모서리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측판부(13) 상에 있는 프레임 결합공(16)에 결합되는 한 조의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두 개의 제3 실시예의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10)이 결합된다. 이렇게 제3 실시예의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10) 두 개가 결합된 상태를 하나의 단위로 보면, 이러한 단위 구조체를 여러 개 결합하는 방식은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와 같다. 본 제3 실시예의 평판부(11)의 3개의 꼭지점 부위 중에서 직각을 이루는 꼭지점의 부위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의 구조를 가지고 있고, 나머지 두 개의 꼭지점 부위는 1/8호를 그리면서 움푹 들어간 채로 형성된다. 다만, 꼭지점 부위가 반드시 1/8호의 형상을 취해야 할 필요는 없고, 본 제3 실시예의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10) 두 개가 단위 구조체를 이루고, 이 단위 구조체가 서로 인접하여, 각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10)의 꼭지점 부분이 만난 채로 결합되었을 때, 꼭지점 부위에 빈 공간이 생기면 된다. 다시 말해, 그 꼭지점 부위에서는 평판부(11)의 상면으로부터 평판부(11)의 하면으로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면 된다.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의 제4 실시예>
도 6은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10)의 제4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제4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실시예와 중복되는 부분은 반복 설명을 방지하기 위하여 생략하도록 하고,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부분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4 실시예는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와 비교했을 때 평판부(11)의 중앙 부위의 형상이 다르고, 나머지 구성은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와 동일하다. 제4 실시예의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10)에는 평판부(11)의 중앙 부위에 형성된 개구부를 가로 지르면서 강도 보강 지지체(18)가 설치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강도 보강 지지체(18)가 2개 설치되어서 평판부(11)의 중앙 부위가 개구부를 4개 가질 수도 있고, 이것 과는 달리, 강도 보강 지지체(18)가 1개 설치되어서 평판부(11)의 중앙 부위가 개구부를 2개 가질 수도 있다. 즉, 강도 보강 지지체(18)의 개수는 요구되는 평판부(11)의 하중 및 재료의 단가를 고려하여 설계된다.
<인공 암벽 모듈 및 인공 암벽 구조체>
도 7은 인공 암벽 패널(20)이 결합된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10)이 결합되어 인공 암벽 모듈(1)을 이루고, 인공 암벽 모듈(1)이 다수 결합하여 인공 암벽 구조체를 형성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인공 암벽 패널(20)과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10)이 결합되어 인공 암벽 모듈(1)을 이루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인공 암벽 모듈(1)이 벽체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7은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의 인공 암별 모듈용 프레임과 인공 암벽 패널(20)이 결합되어 인공 암벽 모듈(1)을 형성하고, 이렇게 형성된 인공 암벽 모듈(1)이 다수 결합되어 인공 암벽 구조체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다만, 도 7은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의 인공 암별 모듈용 프레임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제3 및 제4 실시예에도 이하의 설명이 그대로 혹은 약간의 변형만으로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제1 실시예의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10)을 사용한 인공 암벽 모듈(1)은 하나 이상의 패널 결합공(15)과 하나 이상의 벽체 결합공(14)을 갖는 평판부(11), 하나 이상의 프레임 결합공(16)을 가지고 소정의 두께를 가진채로 평판부(11)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벽부(12)를 포함하는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10)을 갖고 이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그리고, 평판부(11) 상에 형성된 패널 결합공(15)을 관통하는 고정쇠에 의해 평판부(11)에 고정되는 인공 암벽 패널(20)을 포함한다. 즉, 제1 실시예의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10)을 사용한 인공 암벽 모듈(1)은 제1 실시예의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10)의 평판부(11)의 상면에 인공 암벽 패널(20)을 위치 시키고 패널 결합공(15)에 볼트 등의 고정쇠를 이용하여 인공 암벽 패널(20)을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10)에 고정 시킨 것을 말한다.
제2 실시예의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10)을 사용한 인공 암벽 모듈(1)은 제1 실시예의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10)을 사용한 인공 암벽 모듈(1)과 거의 동일한데, 하나 이상의 프레임 결합공(16)을 가지고 소정의 두께를 가진채로 상기 평판부(11)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벽부(12) 대신 하나 이상의 프레임 결합공(16)을 가지고 상기 평판부(11)의 모서리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측판부(13)를 가진 것만이 다르다.
인공 암벽 모듈(1)에 사용되는 인공 암벽 패널(20)은 각 모서리 부위에 구멍이 뚫려 있고, 이 구멍과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10)의 패널 결합공(15)을 대향 시킨채로 볼트 등의 고정쇠가 이 두개의 구멍을 통과하여 두 개의 부재를 결합시키게 된다. 인공 암벽 패널(20)에는 인공 홀드가 부착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4개의 구멍이 뚫려 있을 수도 있고, 구멍의 개수는 이보다 적거나 더 많을 수도 있다.
도 7에는 각 프레임의 하나의 프레임 결합공(16)이 인접한 프레임의 하나의 프레임 결합공(16)과 대향하여 위치한 채로 이 두개의 결합공을 관통하는 한 조의 볼트와 너트가 조여지게 되어 프레임이 서로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종래에 브라켓만을 사용하여 인공 암벽 패널(20) 자체를 직접 연결 시키는 것에 비해 일반인이 훨씬 쉽게 인공 암벽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왜냐하면 도 7에서 볼 수 있듯이 각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10)의 꼭지점은 모두 직각이므로 여러 개의 인공 암벽 패널(20)을 결합하기 위하여 수평 수직을 정확히 맞출 필요가 없고, 단지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10)을 서로 맞닿게 하여 결합하고, 이어서 다른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10)을 연속하여 결합하는 것만으로도 완벽하게 규격이 맞게 되며, 따라서 인공 암벽 모듈(1) 사이에 단차 또는 벌어진 틈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렇게 간단하게 결합이 되는 것은 프레임 결합공(16)을 대향 시켜 결합하는 것만으로도 수직, 수평이 딱 맞게 결합되는 본 발명의 구조 때문이다. 이렇게 결합이 쉽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인공 암벽 모듈(1)을 결합한 인공 암벽 구조체는 시공자에 따라 그 완성도가 크게 다르지 않고 대체적으로 균일하기 때문에 인공 암벽 설치 전문가 뿐만이 아니라, 일반인도 쉽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7에서 각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10)의 꼭지점 4개가 맞닿게 되어 비로소 생기게 되는 구멍에도 볼트와 같은 고정쇠를 넣게 되며 이를 통해 벽체와 인공 암벽 모듈(1) 간의 결합이 더욱 공고해질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인공 암벽 패널(20)의 중앙 부위에는 인공 홀드가 결합되어 있고, 그 보다 가장자리에는 두 개의 구멍이 있다. 그리고 이 두 개의 구멍이 뚫려 있는 방향의 연장선 상에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10)의 패널 결합공(15)이 위치하여 있다. 그리고 패널 결합공(15)은 평판부(11)의 상면에서 보면 단순히 구멍이 뚫려 있는 것으로 보일 수 있으나 평판부(11)의 하면에서 보면 평판부(11)의 하면에 너트가 형성되어 있어서, 인공 암벽 패널(20)의 구멍과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10)의 패널 결합공(15)을 대향시킨 채로 인공 암벽 패널(20)의 상면에서 볼트를 끼워 넣는 것만으로 쉽게 두 개의 부재가 결합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패널 결합공(15)에 형성되어 있는 너트는 패널 결합공(15)의 하면에 용접 또는 접착제를 통하여 부착되어 있을 수 있고, 용접의 방식이 강도 확보면에서 더욱 바람직하며, 반드시 너트가 패널 결합공(15)의 하면에 부착되어 있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고 별도의 분리된 너트여도 인공 암벽 패널(20)과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10)을 서로 결합시킬 수는 있다. 그러나, 너트가 분리되어 있는 경우에는 너트가 패널 결합공(15)에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서 인공 암벽 패널(20)을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10)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추가적인 공정이 필요하고, 결합 강도면에서 불안정하기 때문에, 너트가 패널 결합공(15)에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에서 패널 결합공(15)에 끼워지는 볼트 외에 그보다 더 외곽쪽에 도시되어 있는 볼트가 있는데 이 볼트는 인공 암벽 패널(20) 상에 있는 구멍에 직접적으로 끼워지는 것이 아니라, 도 7을 참조했을 때 네 개의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10)의 각 꼭지점이 만나서 비로소 생기게 되는 구멍에 끼워지게 되는 나사이다. 이 나사를 벽체에 결합하여 인공 암벽 모듈(1)과 벽체 간의 결합을 더욱 강하게 할 수 있음은 이미 설명한 바 있다. 또한 도 8에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인공 암벽 패널(20)을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10)에 결합하기 전에, 평판부(11)에 있는 벽체 결합공(14)에 볼트를 끼워 넣어 돌려서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10)을 벽체와 결합하게 된다.
도 9은 인공 암벽 모듈(1)이 벽체와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며, 이는 인공 암벽 구조체의 평면도를 도시하는 도 7의 측면도라고 할 수 있다. 인공 홀드를 인공 암벽 피널에 결합할 때는 인공 홀드를 결합하기 위한 볼트 또는 너트가 벽체에 닿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인공 홀드를 결합하기 위한 볼트 또는 너트가 벽체까지 닿도록 너무 큰 경우라면 인공 암벽 모듈(1)이 벽체에 결합되는 결합력에 지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이상에서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가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인공 암벽 모듈 10 :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
11 : 평판부 12 : 벽부
13 : 측판부 14 : 벽체 결합공
15 : 패널 결합공 16 : 프레임 결합공
17 : 함몰면 18 : 강도 보강 지지체
20 : 인공 암벽 패널

Claims (16)

  1. 평판부; 및
    상기 평판부로부터 소정의 두께를 갖고 수직으로 연장되는 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평판부는 인공 암벽 패널과의 결합을 위한 고정부재가 관통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패널 결합공 및 벽체와의 결합을 위한 고정부재가 관통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벽체 결합공을 갖고,
    상기 벽부는 하나 이상의 프레임 결합공을 갖으며,
    상기 평판부의 각 꼭지점으로부터 상기 벽부의 각 외곽 모서리를 따라서는 함몰면이 형성되는,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부는 직사각형 또는 직각삼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프레임 결합공으로부터 상기 벽부를 따라 상기 평판부를 향해 수직으로 연장한 선상에 홀을 갖는,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부는 중앙 부위에 개구부를 갖는,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부의 중앙 부위의 개구부를 가로 지르면서 설치되는 강도 보강 지지체를 더 포함하는,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
  7. 평판부; 및
    상기 평판부의 각 모서리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측판부를 포함하며,
    상기 평판부는 인공 암벽 패널과의 결합을 위한 고정부재가 관통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패널 결합공 및 벽체와의 결합을 위한 고정부재가 관통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벽체 결합공을 갖고,
    상기 측판부는 하나 이상의 프레임 결합공을 갖는,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부는 직사각형 또는 직각삼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프레임 결합공으로부터 상기 측판부를 따라 상기 평판부를 향해 수직으로 연장한 선상에 홀을 갖는,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부의 각 꼭지점 부위가 모따기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
  11.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부는 중앙 부위에 개구부를 갖는,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부의 중앙 부위의 개구부를 가로 지르면서 설치되는 강도 보강 지지체를 더 포함하는,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
  13. 하나 이상의 패널 결합공, 및 벽체와의 결합을 위한 고정부재가 관통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벽체 결합공을 갖는 평판부,
    하나 이상의 프레임 결합공을 가지고 소정의 두께를 가진채로 상기 평판부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평판부의 각 꼭지점으로부터 상기 벽부의 각 외곽 모서리를 따라서는 함몰면이 형성되는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 및
    상기 평판부 상에 형성된 패널 결합공을 관통하는 고정쇠에 의해 평판부에 고정되는 인공 암벽 패널을 포함하는,
    인공 암벽 모듈.
  14. 하나 이상의 패널 결합공, 및 벽체와의 결합을 위한 고정부재가 관통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벽체 결합공을 갖는 평판부,
    하나 이상의 프레임 결합공을 가지고 상기 평판부의 모서리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측판부를 포함하는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 및
    상기 평판부 상에 형성된 패널 결합공을 관통하는 고정쇠에 의해 평판부에 고정되는 인공 암벽 패널을 포함하는,
    인공 암벽 모듈.
  15. 평판부, 상기 평판부로부터 소정의 두께를 갖고 수직으로 연장되는 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평판부는 인공 암벽 패널과의 결합을 위한 고정부재가 관통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패널 결합공 및 벽체와의 결합을 위한 고정부재가 관통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벽체 결합공을 갖고, 상기 벽부는 하나 이상의 프레임 결합공을 가지며, 상기 평판부의 각 꼭지점으로부터 상기 벽부의 각 외곽 모서리를 따라서는 함몰면이 형성되는 복수의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 및
    상기 복수의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의 평판부 상에 고정되는 복수의 인공 암벽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은, 인접한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의 벽부에 형성된 프레임 결합공을 관통하는 고정쇠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암벽 구조체.
  16. 평판부, 상기 평판부의 모서리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측판부를 포함하며 상기 평판부는 인공 암벽 패널과의 결합을 위한 고정부재가 관통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패널 결합공 및 벽체와의 결합을 위한 고정부재가 관통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벽체 결합공을 갖고, 상기 측판부는 하나 이상의 프레임 결합공을 갖는 복수의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 및
    상기 복수의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의 평판부 상에 고정되는 복수의 인공 암벽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은, 인접한 인공 암벽 패널용 프레임의 측판부에 형성된 프레임 결합공을 관통하는 고정쇠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암벽 구조체.
KR1020100091601A 2010-09-17 2010-09-17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 인공 암벽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인공 암벽 구조체 KR1010502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1601A KR101050219B1 (ko) 2010-09-17 2010-09-17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 인공 암벽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인공 암벽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1601A KR101050219B1 (ko) 2010-09-17 2010-09-17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 인공 암벽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인공 암벽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0219B1 true KR101050219B1 (ko) 2011-07-19

Family

ID=44923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1601A KR101050219B1 (ko) 2010-09-17 2010-09-17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 인공 암벽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인공 암벽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02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7079A (ko) * 2021-06-11 2022-12-20 허송회 암벽등반 트레이닝을 위한 블록 가변형 보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3629A (ko) * 2001-12-22 2003-07-02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강제 거푸집
JP2008190295A (ja) 2007-02-08 2008-08-21 Kfc Ltd タイルパネル並びにその取付構造および取付方法
KR20090039172A (ko) * 2007-10-17 2009-04-22 김형성 지하벽체 마감부재
KR20100042097A (ko) * 2008-10-15 2010-04-23 주식회사 예림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 외벽체의 결로방지용 패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3629A (ko) * 2001-12-22 2003-07-02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강제 거푸집
JP2008190295A (ja) 2007-02-08 2008-08-21 Kfc Ltd タイルパネル並びにその取付構造および取付方法
KR20090039172A (ko) * 2007-10-17 2009-04-22 김형성 지하벽체 마감부재
KR20100042097A (ko) * 2008-10-15 2010-04-23 주식회사 예림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 외벽체의 결로방지용 패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7079A (ko) * 2021-06-11 2022-12-20 허송회 암벽등반 트레이닝을 위한 블록 가변형 보드
KR102596696B1 (ko) * 2021-06-11 2023-10-31 허송회 암벽등반 트레이닝을 위한 블록 가변형 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103601A1 (en) Building structure and modular construction method
KR20180085984A (ko) 스틸 돔 하우스 제작을 위한 유닛 세트 및 이를 이용한 스틸 돔 하우스 제작 방법
KR101050219B1 (ko) 인공 암벽 모듈용 프레임, 인공 암벽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인공 암벽 구조체
CN108331194A (zh) 一种内含节点加固与抗震阻尼装置的耗能雀替
KR20160084205A (ko) 구조물 조립체
JP4263317B2 (ja) 構造物の設置角度調整方法
JP2948761B2 (ja) 木軸用構造体の接合法
JP4863231B2 (ja) ドーム型建築物用三角パネル、当該パネルを用いたドーム型建築物及び当該ドーム型建築物の構築方法
JP3213425U (ja) ホールダウン金物の接合構造
KR100371941B1 (ko) 트러스 구조물용 조인트 박스의 모서리 결속구
JP2023001096A (ja) 木材接合部の補強部材構造
JP2014231700A (ja) 建物の耐震面補強構造
JP4656460B2 (ja) 建物の補強構造
JP2011144509A (ja) 建築構造材の接合構造
KR100297922B1 (ko) 알루미늄 바 조인트 기구
JP4390654B2 (ja) 電波吸収パネル及び電波吸収パネルの固定方法
JPH05179716A (ja) 横架材接合用金具、その金具に接合される横架材およびそれらの接合方法
JP5650383B2 (ja) 多段組子接合軸組
CN108442576B (zh) 一种立柱结构及其组合式隔间
KR200230336Y1 (ko) 트러스 구조물용 조인트 박스의 모서리 결속구
JPH0813962A (ja) 組立式門柱
KR100671883B1 (ko) 조립식 건축물
TWI616576B (zh) Column structure and combined compartment thereof
JP2003064770A (ja) 建物の柱の据付構造および基礎プレート
JPH03674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