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4205A - 구조물 조립체 - Google Patents

구조물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4205A
KR20160084205A KR1020150000817A KR20150000817A KR20160084205A KR 20160084205 A KR20160084205 A KR 20160084205A KR 1020150000817 A KR1020150000817 A KR 1020150000817A KR 20150000817 A KR20150000817 A KR 20150000817A KR 20160084205 A KR20160084205 A KR 201600842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ole
support member
structure assembly
ben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0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7872B1 (ko
Inventor
최영수
Original Assignee
최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수 filed Critical 최영수
Priority to KR1020150000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7872B1/ko
Publication of KR20160084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42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7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7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고 설치가 간편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견고하게 조립하여 규모가 큰 조립체를 형성하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외관이 미려함과 동시에 광고 문안 등을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여 광고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구조물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몸체(110)의 각 모서리에 나사(S1)가 끼워지는 나사공(120) 및 직각으로 개방된 조립홈(131)이 형성되도록 직각절곡부(130)를 구비하고, 몸체(110)의 사면 양측으로 절개부(141)가 형성된 연결공(140)을 구비하는 지지부재(100); 상기 지지부재(100)의 각 조립홈(131)으로 각각 끼워져 나사(S1)가 체결되는 나사결합공(210)을 구비하고, 사면 중앙으로 절개부(221)가 형성된 연결공(220)을 구비하는 제1프레임(200); 상기 제1프레임(200)의 내측 코너에 끼워지도록 몸체(310)의 각 모서리에 직각절곡부(320)를 통해 조립홈(321)을 구비하고, 직각절곡부(320)와 마주하는 제1프레임(200)의 연결공(220)으로 끼워지는 티볼트(B1)가 삽입되도록 볼트체결홈(321)을 구비하는 보강부재(300); 상기 지지부재(100)와 제1프레임(200)의 양측 절개부(141)(221)에 끼워져 고정되는 광고판(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구조물 조립체{Structure assembly}
본 발명은 공연장이나 전시장 등의 행사 현장에 설치되는 구조물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고 설치가 간편하여 시공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간단하면서도 견고하게 조립하여 규모가 큰 조립체를 형성하는 경우에도 매우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며, 외관이 미려함과 동시에 광고 문안 등을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여 광고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구조물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조물 조립체는 트러스와 커넥터 등과 같은 다수의 부재들을 상호 결합하여서 공연장, 전시장, 광고탑 및 조형물 등과 같은 분해 조립식의 구조물 조립체를 다양하게 구축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또한 이러한 구조물 조립체에는 특히, 전시장 등과 같은 곳에서 별도의 패널로서 설치되는 부스(Booths)도 포함된다.
이와 같이 공연장이나 전시장 등과 같은 행사 현장에서 대형 현수막 또는 전시품 및 광고판 등을 설치하기 위한 시설물로서 구조물 조립체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구조물 조립체는 상호 조립성이 우수하고, 운반이 양호하여 실내 또는 실외의 다양한 공간에서 사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구조물 조립체의 선행기술로는 하기 특허문헌인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7699호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구조물 조립체는 복수의 트러스부재와 상기 트러스부재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다면결합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다면결합체는 상기 트러스부재를 다양한 방향으로 연결하여 그 설치 공간 또는 설치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 및 규모의 조립체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보조구성재로서, 일반적으로 육면체 또는 구형의 형상을 가진다.
구조물 조립체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트러스부재가 다면결합체에 결합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다면결합체가 결합 구조를 갖도록 하는 것이 구조물 조립체에서 중요한 요소라고 할 것이다.
종래에는 구조물 조립체가 결합 구조를 갖도록 하기 위해서 다면결합체에 트러스부재를 핀을 사용하여 결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핀은 트러스부재와 다면결합체가 연결되는 부위에 충분한 강성을 제공하지 못하므로, 구조물 조립체의 규모가 커지게 되면 연결부의 핀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구조물 조립체는 구성요소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 부위가 취약하여 조립체가 일정 규모 이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안정적이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핀을 연결하기 위해서 트러스부재는 4개의 중공의 파이프와 이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바아로 구성되며, 상기 다면결합체 또는 연결커넥터와 결합되기 위해서는 4개의 핀을 일일이 상기 4개의 종공의 파이프에 결합하여야 하기 때문에 구조물 조립체의 조립이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구조물 조립체는 구조가 복잡하여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고, 구조적으로 원가 상승 및 광고 효과를 얻을 수 없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7699호(등록일자 : 2004.11.03)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고 설치가 간편하여 시공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구조물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하면서도 견고하게 조립하여 규모가 큰 다양한 규모의 조립체를 형성하는 경우에도 매우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구조물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관이 미려함과 동시에 광고 문안 등을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여 광고 효과를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구조물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여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 후 간단하게 분리시켜 보관과 함께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구조물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면이 사각으로 형성된 지지부재의 몸체 각 모서리에 나사가 끼워지는 나사공과 직각으로 개방된 조립홈이 구비된 직각절곡부 및 몸체의 사면 양측으로 절개부가 구비된 연결공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지지부재의 각 조립홈으로 각각 끼워져 나사가 체결되는 나사결합공이 구비된 제1프레임의 전후좌우 사면 중앙으로 절개부가 구비된 연결공을 각각 형성하며, 상기 제1프레임의 내측 코너에 끼워지도록 사면이 호형으로 요입된 보강부재의 몸체 각 모서리에 직각절곡부가 구비된 조립홈과 직각절곡부와 마주하는 제1프레임의 연결공으로 끼워지는 티볼트가 삽입되도록 직각절곡부에 볼트체결홈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부재와 제1프레임의 양측 절개부에 광고판의 양단을 끼워 만곡형으로 고정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프레임의 연결공에 제2프레임의 후크부를 탄력적으로 끼워 고정하되, 상기 제2프레임의 상,하면과 전,후면으로 절개부가 구비된 연결공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의 절개부에 패널을 끼워서 고정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부재와 보강부재의 중앙부에는 조명설치공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지지부재와 보강부재에는 다수의 보강리브를 각각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부재의 사방 가장자리에는 수직과 수평으로 관통되는 다수의 수평,수직연결공을 각각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부재의 직각절곡부에는 제1프레임의 연결공으로 끼워지는 티볼트가 삽입되도록 볼트체결공을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프레임의 사면 연결공 중앙부에는 보조연결공을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프레임의 연결공에는 너트가 인서트된 연결구의 후크부를 끼워 90도 회전시켜 고정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보강부재의 직각절곡부에 형성된 일측 볼트체결홈은 상부가 개구되는 수직으로 형성하고, 타측 볼트체결홈은 하부가 개구되는 수직으로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보강부재의 직각절곡부에는 제1프레임의 연결공으로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돌기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보강부재의 직각절곡부 일측에는 볼트체결공을 형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조물 조립체에 따르면, 지지부재와 제1프레임 및 보강부재를 나사와 티볼트를 이용하여 간단하고 용이하게 조립 및 분해할 수 있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구조물 조립체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고 설치가 간편하여 시공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4개의 제1프레임이 한 조로 이루어져 구조물 조립체의 수직프레임 및 수평프레임을 견고하게 구성하고, 지지부재와 제1프레임이 나사 및 티볼트를 통해 이중으로 간단하면서도 견고하게 조립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규모가 큰 다양한 규모의 구조물 조립체를 형성하는 경우에도 매우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면 양측 제1프레임의 절개부에 광고판의 양단이 끼워져 만곡형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외관이 미려함과 동시에 광고 문안 등을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여 광고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체적으로 구조가 간단하여 구조물 조립체의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사용 후 구조물 조립체를 간단하게 분리시켜 보관과 함께 재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 3a,3b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재를 보인 사시도.
도 4a,4b,4c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재와 지지부재의 다양한 연결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프레임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프레임과 제1프레임의 연결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보강부재를 보인 사시도.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의 연결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프레임과 연결구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프레임과 연결구의 연결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13a,13b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상태의 일례를 보인 참고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구조물 조립체는 도 1 내지 도 13a,13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사면이 사각으로 형성된 몸체(110)의 각 모서리에 나사(S1)가 끼워지는 나사공(120) 및 직각으로 개방된 조립홈(131)이 형성되도록 직각절곡부(130)를 구비하고, 몸체(110)의 사면 양측으로 절개부(141)가 형성된 연결공(140)을 구비하는 지지부재(100); 상기 지지부재(100)의 각 조립홈(131)으로 각각 끼워져 나사(S1)가 체결되는 나사결합공(210)을 구비하고, 사면 중앙으로 절개부(221)가 형성된 연결공(220)을 구비하는 제1프레임(200); 상기 제1프레임(200)의 내측 코너에 끼워지도록 사면이 호형으로 요입된 몸체(310)의 각 모서리에 직각절곡부(320)를 통해 조립홈(321)을 구비하고, 직각절곡부(320)와 마주하는 제1프레임(200)의 연결공(220)으로 끼워지는 티볼트(B1)가 삽입되도록 직각절곡부(320)에 형성된 볼트체결홈(330)을 구비하는 보강부재(300); 상기 지지부재(100)와 제1프레임(200)의 양측 절개부(141)(221)에 양단이 끼워져 만곡형으로 고정되는 광고판(40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조물 조립체는 도 9,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프레임(200)의 연결공(220)에 탄력적으로 끼워져 고정되는 후크부(510)를 구비하고, 상,하면과 전,후면으로 절개부(521)가 형성된 연결공(520)을 구비하는 제2프레임(500); 상기 제1프레임(200)과 제2프레임(500)의 절개부(221)(521)에 끼워지는 패널(6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조립체는 공연장, 전시장, 광고탑, 조형물 및 부스 등을 포함하는 분해 조립식의 구조물 조립체를 도 13a,13b에서와 같이 다양하게 구축하는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조립체는 지지부재(100), 제1프레임(200), 보강부재(300), 광고판(400), 제2프레임(500) 및 패널(6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부재(100)는 다수의 제1프레임(200)을 지지하는 것으로, 이러한 지지부재(100)는 사면이 사각으로 형성된 몸체(110)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100)는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부재(100)는 도 1,2에서와 같이 제1프레임(200)이 수직으로 설치되는 경우 제1프레임(200)의 상부와 하부에 서로 대응하도록 각각 설치할 수 있고, 도 4b에서와 같이 지지부재(100)의 하부에 또 다른 지지부재(100)를 맞대어 서로 연결하여 설치할 수도 있으며, 도 4a,4c에서와 같이 지지부재(100)와 지지부재(100)를 수평 또는 수직으로 맞대어 서로 연결할 수도 있으며, 상기 제1프레임(200)이 수평으로 설치되는 경우 제1프레임(200)의 양측에 지지부재(100)를 서로 대응하도록 각각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00)의 몸체(110)의 각 모서리에는 나사(S1)가 끼워지는 나사공(120)이 관통되고, 몸체(110)의 각 모서리에는 직각으로 개방된 조립홈(131)이 형성되도록 돌출된 직각절곡부(130)가 일체로 구비되며, 몸체(110)의 사면 양측에는 절개부(141)가 형성된 연결공(14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프레임(200)의 상부에 조립되는 지지부재(100)의 경우에는 직각절곡부(130)가 하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프레임(200)의 하부에 조립되는 지지부재(100)의 경우에는 직각절곡부(130)가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재(100)의 중앙부에는 광고용 조명장치를 설치할 수 있도록 조명설치공(150)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100)에는 다수의 보강리브(16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보강리브(160)에 의해 지지부재(100)의 전체 중량은 감소시키면서도 강도는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재(100)의 사방 가장자리에는 수직과 수평으로 관통되는 다수의 수평,수직연결공(170)(180)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수평연결공(170)은 도 4a에서와 같이 지지부재(100)와 지지부재(100)를 서로 맞대어 수평으로 연결할 때 볼트(171)가 끼워지는 체결용으로 이용되고, 상기 수직연결공(180)은 도 4b에서와 같이 지지부재(100)와 지지부재(100)를 서로 맞대어 수직으로 연결할 때 볼트(181)가 끼워지는 체결용으로 이용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도 4c에서와 같이 상기 수평,수직연결공(170)(180)을 이용하여 지지부재(100)와 지지부재(100)를 수평과 수직으로 서로 맞대어 볼트 체결로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재(100)의 직각절곡부(130)에는 제1프레임(200)의 연결공(220)으로 끼워지는 티볼트(B2)가 삽입되도록 볼트체결공(13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프레임(200)의 연결공(220)에 티볼트(B2)를 끼우고, 상기 티볼트(B2)와 볼트체결공(132)이 마주하도록 제1프레임(200)을 지지부재(100)의 조립홈(131)에 끼운 후, 상기 볼트체결공(132)으로 통해 외부로 돌출된 티볼트(B2)에 너트(N2)를 체결하면 제1프레임(200)과 지지부재(100)를 간단하고도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조립의 역으로 제1프레임(200)과 지지부재(100)를 간단하게 분해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재(100)를 수평으로 설치하여 제1프레임(200)을 수직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고,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지지부재(100)를 수직으로 설치하여 제1프레임(200)을 수평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제1프레임(200)이 수직으로 연결된 지지부재(100)와 제1프레임(200)이 수평으로 연결된 지지부재(100)를 서로 맞대어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제1프레임(200)은 사각으로 형성되어 지지부재(100)의 각 조립홈(131)에 각각 끼워진 상태에서 나사(S1)와 티볼트(B2) 체결을 통해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으로, 이러한 제1프레임(200)은 4개가 한 조로 이루어져 구조물 조립체의 수직 및 수평프레임을 견고하게 구성한다. 이때, 상기 제1프레임(200)은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프레임(200)은 필요에 따라 지지부재(100)에 수직 및 수평으로 각각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200)의 중앙에는 나사(S1)가 체결되는 나사결합공(210)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1프레임(200)의 사면 중앙부에는 절개부(221)가 형성된 연결공(220)이 각각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프레임(200)을 지지부재(100)의 각 조립홈(131)에 각각 끼운 상태에서 나사공(120)으로 나사(S1)를 끼워 나사결합공(210)에 체결하면 제1프레임(200)과 지지부재(100)를 간단하고도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조립의 역으로 제1프레임(200)과 지지부재(100)를 간단하게 분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제1프레임(200)과 지지부재(100)가 나사(S1) 및 티볼트(B2)를 통해 조립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제1프레임(200)과 지지부재(100)를 이중으로 한층 더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200)의 연결공(220)과 지지부재(100)의 연결공(140)는 서로 대응하도록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1프레임(200)의 절개부(221)와 지지부재(100)의 절개부(141)는 서로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프레임(200)의 사면 연결공(220) 중앙부에는 보조연결공(230)이 관통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보조연결공(230)은 도 6에서와 같이 제1프레임(200)과 제1프레임(200)을 서로 맞대어 연결할 때 볼트(231)가 끼워지는 체결용으로 이용된다.
상기 보강부재(300)는 다수의 제1프레임(200)을 부가적으로 견고하게 지지하는 것으로, 이러한 보강부재(300)는 사면이 호형으로 요입 형성된 몸체(310)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보강부재(300)는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보강부재(300)는 도 1에서와 같이 제1프레임(200)의 중앙부에 하나를 설치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제1프레임(200)에 적정 간격을 두고 다수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300)의 몸체(310)의 각 모서리에는 직각절곡부(320)를 통해 제1프레임(200)이 끼워지는 조립홈(321)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직각절곡부(320)와 마주하는 제1프레임(200)의 연결공(220)으로 끼워지는 티볼트(B1)가 삽입되도록 직각절곡부(320)에는 볼트체결홈(330)이 각각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프레임(200)을 보강부재(300)의 조립홈(321)에 끼운 상태에서 연결공(220)과 볼트체결홈(330)으로 티볼트(B1)를 끼우고, 상기 티볼트(B1)에 너트(N1)를 체결하면 제1프레임(200)과 보강부재(300)를 간단하고도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조립의 역으로 제1프레임(200)과 보강부재(300)를 간단하게 분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보강부재(300)의 중앙부에는 광고용 조명장치를 설치할 수 있도록 조명설치공(340)이 형성되고, 상기 보강부재(300)에는 다수의 보강리브(35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보강리브(350)에 의해 보강부재(300)의 전체 중량은 감소시키면서도 강도는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보강부재(300)의 직각절곡부(320)에 형성된 일측 볼트체결홈(330)은 상부가 개구되는 수직으로 형성되고, 타측 볼트체결홈(330)은 하부가 개구되는 수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보강부재(300)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8a에서와 같이, 상기 보강부재(300)의 직각절곡부(320)에는 제1프레임(200)의 연결공(220)으로 끼워지는 고정돌기(360)가 형성된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강부재(300)는 도 8a에서와 같이 고정돌기(360)가 형성된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360)는 제1프레임(200)의 연결공(220)으로 끼워져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강부재(300)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8b에서와 같이, 상기 보강부재(300)의 직각절곡부(320) 일측에는 볼트체결공(370)이 형성된다. 이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강부재(300)는 도 8bb에서와 같이 볼트체결공(370)이 형성된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볼트고정공(370)에는 티볼트(B1)가 끼워진다.
상기 광고판(400)은 해당 지지부재(100)와 제1프레임(200)의 양측 절개부(141)(221)에 그 양단이 각각 끼워져 만곡형으로 고정되는 것으로, 이러한 광고판(400)은 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 알코, 포맥스 수지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광고판(400)은 지지부재(100)와 제1프레임(200)의 전후좌우 사면에 모두 설치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부분적으로 광고가 요구되는 해당 면에만 설치할 수도 있으며, 한편 상기 제1프레임(220)들의 내측에는 광고판(400)으로 다양한 색상의 빛을 조사시키도록 조명설치공(150)(340)을 통해 별도의 조명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광고판(400)은 외부로 노출되는 면, 즉 관람자에게 노출되는 면에 이미지, 광고문구, 광고도형 등을 인쇄한 광고층과, 상기 광고층의 전면에 밀착 고정된 투명한 보호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광고판(400)은 아크릴 등과 같이 자체적으로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하여 평상시에는 평판을 유지하다가 양단을 절개부(410)(221)에 끼우면 탄력적으로 휘어지면서 만곡형으로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고,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광고판(400)을 만곡형으로 형성하여 양단을 절개부(410)(221)에 끼우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2프레임(500)은 제1프레임(200)에 직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제2프레임(500)의 양측에는 제1프레임(200)의 연결공(220)에 탄력적으로 끼워져 고정되는 후크부(510)가 구비되고, 제1프레임(200)의 상,하면과 전,후면에는 절개부(521)가 형성된 연결공(52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2프레임(500)의 양측 후크부(510)에 제1프레임(200)을 각각 연결하면 구조물 조립체를 구축할 수 있고, 한편 상기 제1프레임(200)의 각 연결공(520)에는 필요에 따라 해당 부위의 연결공(520)으로 패널(600) 또는 또 다른 제2프레임의 후크부를 각각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제2프레임(500)의 후크부(510)가 제1프레임(200)의 절개부(221)에 끼워질 때는 오므려진 상태로 놓이게 되어 쉽게 절개부(221)로 끼워지고, 절개부(221)에 후크부(510)를 끼운 상태에서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조절핀(511)을 돌리게 되면 후크부(510)가 벌어지면서 절개부(221)의 내측 연결공(220)에 걸리고, 이에 의해 제2프레임(500)의 후크부(510)는 제1프레임(200)의 연결공(220)에 간단하고도 견고하게 조립 고정된다.
상기 패널(600)은 제1프레임(200)과 제2프레임(500)의 절개부(221)(521)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으로, 이러한 패널(600)은 합성수지, 금속, 목재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패널(600)은 광고판의 기능 또는 칸막이의 기능을 가지도록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고,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필요에 따라서는 도 13b에서와 같이 구조물 조립체에 패널(600) 대용으로 현수막(610))을 직접 걸어서 광고용 등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도 11,12에서와 같이, 상기 제1프레임(200)의 연결공(220)에는 너트(710)가 인서트된 연결구(700)의 후크부(720)가 끼워져 90도 회전으로 고정된다. 이때, 상기 후크부(720)를 수직방향으로 세워 연결공(220)의 절개부(221)에 끼운 상태에서 연결구(700)를 90도 회전시키면 후크부(720)가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연결공(220)에 걸리고, 이에 의해 연결구(700)는 제1프레임(200)의 연결공(220)에 간단하게 조립 고정된다. 이와 같이 제1프레임(200)에 고정된 연결구(700)의 너트(710)에는 별도의 수평바(800)를 나사결합으로 간단하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지지부재(100), 제1프레임(200), 보강부재(300), 광고판(400), 제2프레임(500), 패널(600), 연결구(700)를 서로 간단하고 견고하게 다양한 구조로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공연장, 전시장, 광고탑, 조형물 및 부스 등을 포함하는 분해 조립식의 다양한 구조물 조립체를 도 13a,13b에서와 같이 효율적으로 구축할 수 있다. 이때, 도 13a,13b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상태의 일례를 보였으나, 본 발명의 구조물 조립체는 도 13a,13b에 도시된 구조물 조립체뿐만 아니라 이 외에도 다양한 구조로 구조물 조립체를 구축할 수 있는 것임을 분명히 밝혀둔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은 지지부재(100)와 제1프레임(200) 및 보강부재(300)를 나사(S1)와 티볼트(B1)(B2)를 이용하여 간단하고 용이하게 조립 및 분해할 수 있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구조물 조립체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고 설치가 간편하여 시공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은 4개의 제1프레임(200)이 한 조로 이루어져 구조물 조립체의 수직 및 수평프레임을 견고하게 구성하고, 지지부재(100)와 제1프레임(200)이 나사(S1) 및 티볼트(B2)를 통해 이중으로 간단하면서도 견고하게 조립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규모가 큰 다양한 규모의 구조물 조립체를 형성하는 경우에도 매우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본 발명은 전면 양측 제1프레임(200)의 연결공(200)에 광고판(400)의 양단이 끼워져 만곡형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외관이 미려함과 동시에 광고 문안 등을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여 광고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러한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구조가 간단하여 구조물 조립체의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사용 후 구조물 조립체를 간단하게 분리시켜 보관과 함께 재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0 : 지지부재 110 : 몸체
120 : 나사공 130 : 직각절곡부
131 : 조립홈 132 : 볼트체결공
140 : 연결공 141 : 절개부
150 : 조명설치공 160 : 보강리브
170 : 수평연결공 180 : 수직연결공
200 : 제1프레임 210 : 나사결합공
220 : 연결공 221 : 절개부
230 : 보조연결공 300 : 보강부재
310 : 몸체 320 : 직각절곡부
321 : 조립홈 330 : 볼트체결홈
340 : 조명설치공 350 : 보강리브
360 : 고정돌기 370 : 볼트체결공
400 : 광고판 500 : 제2프레임
510 : 후크부 520 : 연결공
521 : 절개부 600 : 패널
700 : 연결구 710 : 너트
720 : 후크부 S1 : 나사
B1,B2 : 티볼트

Claims (10)

  1. 사면이 사각으로 형성된 몸체(110)의 각 모서리에 나사(S1)가 끼워지는 나사공(120) 및 직각으로 개방된 조립홈(131)이 형성되도록 직각절곡부(130)를 구비하고, 몸체(110)의 사면 양측으로 절개부(141)가 형성된 연결공(140)을 구비하는 지지부재(100);
    상기 지지부재(100)의 각 조립홈(131)으로 각각 끼워져 나사(S1)가 체결되는 나사결합공(210)을 구비하고, 사면 중앙으로 절개부(221)가 형성된 연결공(220)을 구비하는 제1프레임(200);
    상기 제1프레임(200)의 내측 코너에 끼워지도록 사면이 호형으로 요입된 몸체(310)의 각 모서리에 직각절곡부(320)를 통해 조립홈(321)을 구비하고, 직각절곡부(320)와 마주하는 제1프레임(200)의 연결공(220)으로 끼워지는 티볼트(B1)가 삽입되도록 직각절곡부(320)에 형성된 볼트체결홈(330)을 구비하는 보강부재(300);
    상기 지지부재(100)와 제1프레임(200)의 양측 절개부(141)(221)에 양단이 끼워져 만곡형으로 고정되는 광고판(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200)의 연결공(220)에 탄력적으로 끼워져 고정되는 후크부(510)를 구비하고, 상,하면과 전,후면으로 절개부(521)가 형성된 연결공(520)을 구비하는 제2프레임(500); 상기 제1프레임(200)과 제2프레임(500)의 절개부(221)(521)에 끼워지는 패널(6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100)와 보강부재(300)의 중앙부에는 조명설치공(150)(340)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100)와 보강부재(300)에는 다수의 보강리브(160)(350)가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조립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100)의 사방 가장자리에는 수직과 수평으로 관통되는 다수의 수평,수직연결공(170)(180)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조립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100)의 직각절곡부(130)에는 제1프레임(200)의 연결공(220)으로 끼워지는 티볼트(B2)가 삽입되도록 볼트체결공(13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조립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200)의 사면 연결공(220) 중앙부에는 보조연결공(230)이 관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조립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200)의 연결공(220)에는 너트(710)가 인서트된 연결구(700)의 후크부(720)가 끼워져 90도 회전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조립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300)의 직각절곡부(320)에 형성된 일측 볼트체결홈(330)은 상부가 개구되는 수직으로 형성되고, 타측 볼트체결홈(330)은 하부가 개구되는 수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조립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300)의 직각절곡부(320)에는 제1프레임(200)의 연결공(220)으로 끼워지는 고정돌기(36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조립체.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300)의 직각절곡부(320) 일측에는 볼트체결공(37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조립체.
KR1020150000817A 2015-01-05 2015-01-05 구조물 조립체 KR101747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0817A KR101747872B1 (ko) 2015-01-05 2015-01-05 구조물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0817A KR101747872B1 (ko) 2015-01-05 2015-01-05 구조물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4205A true KR20160084205A (ko) 2016-07-13
KR101747872B1 KR101747872B1 (ko) 2017-06-15

Family

ID=56505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0817A KR101747872B1 (ko) 2015-01-05 2015-01-05 구조물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78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41678A (zh) * 2019-01-31 2019-05-10 常州市超艺标牌有限公司 一种拼接式标识牌及其安装方法
KR20200120146A (ko) * 2019-04-11 2020-10-21 최영수 구조물 조립체용 코너연결부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5581B1 (ko) * 2023-10-18 2024-02-08 (주)소호모형 모형 건축물 전시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7699Y1 (ko) 2004-08-16 2004-11-12 김인태 26방향 연결이 가능한 조립식 구조물용 복합 조립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7699Y1 (ko) 2004-08-16 2004-11-12 김인태 26방향 연결이 가능한 조립식 구조물용 복합 조립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41678A (zh) * 2019-01-31 2019-05-10 常州市超艺标牌有限公司 一种拼接式标识牌及其安装方法
CN109741678B (zh) * 2019-01-31 2021-06-18 常州市超艺标牌有限公司 一种拼接式标识牌及其安装方法
KR20200120146A (ko) * 2019-04-11 2020-10-21 최영수 구조물 조립체용 코너연결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7872B1 (ko) 2017-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0684B1 (ko) 목재데크 결합구조물 및 그의 시공 방법
KR100751898B1 (ko) 엘이디 전광판의 프레임 구조
JP5061253B2 (ja) 壁板材及び木造軸組構造
KR101747872B1 (ko) 구조물 조립체
US20190318670A1 (en) Display module for a temporary exhibition stand
KR100751850B1 (ko) 엘이디 전광판의 연결장치
KR101755098B1 (ko) 광고판 및 천정판 조립 구조물
KR100876905B1 (ko) 엘이디 전광판의 연결장치
KR102169617B1 (ko) 구조물 조립체용 코너연결부재
KR20180134006A (ko) 조립과 분해가 용이한 전시용 부스
KR20110001689U (ko) 가설식 트러스 구조물
JP3151022U (ja) ブース構造
KR20070056397A (ko) 조립식 구조물
KR101537086B1 (ko) 조립과 분해가 용이한 친환경 부스
KR101156301B1 (ko) 종이 기표대
KR101746528B1 (ko) 조립식 등신대 장치
KR101839436B1 (ko) 안내표지판 구조물
JP2008164212A (ja) エアコン置台
KR20190030292A (ko) 데크 조립용 클립 및 이를 이용한 데크 결합구조물
JP4367940B2 (ja) 軽金属製手摺
KR20170124297A (ko) 전시부스용 프레임구조 및 그 프레임구조를 이용한 전시부스 시공 방법
KR101018325B1 (ko) 입체문자식 간판의 프레임
KR101285812B1 (ko) 조립식 구조물 및 그의 패널 설치방법
KR101682977B1 (ko) 간판용 프레임
KR20140100211A (ko) 조립식 구조물 및 그의 패널 설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