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9617B1 - 구조물 조립체용 코너연결부재 - Google Patents

구조물 조립체용 코너연결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9617B1
KR102169617B1 KR1020190042649A KR20190042649A KR102169617B1 KR 102169617 B1 KR102169617 B1 KR 102169617B1 KR 1020190042649 A KR1020190042649 A KR 1020190042649A KR 20190042649 A KR20190042649 A KR 20190042649A KR 102169617 B1 KR102169617 B1 KR 102169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crew
support part
support
structur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2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0146A (ko
Inventor
최영수
Original Assignee
최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수 filed Critical 최영수
Priority to KR1020190042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9617B1/ko
Publication of KR20200120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01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9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9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26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longitudinal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1/1903Connecting n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1/1912Connecting n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central cubical connecting el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2001/195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nodes and stru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06Connection n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urnitur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너연결부재에 패널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코너연결 및 패널연결을 간단한 작업공정으로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구조물 조립체용 코너연결부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후방향과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프레임(10)의 나사체결공(11)에 체결되는 나사(20)가 각각 끼워지도록 나사머리홈(111)(121)(131)이 형성된 나사공(110)(120)(130)을 구비하는 육면체로 이루어진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100)의 일측면과 배면 및 저면에 제1면(210)(310)(410)과 제2면(220)(320)(420)이 직각을 이루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프레임(10)을 각각 지지하는 지지부(200)(300)(400); 상기 지지부(200)(300)(400)들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어 패널(30)의 나사공(31)에 끼워지는 나사(40)가 각각 체결되도록 나사체결공(510)(610)(710)을 구비하는 연결부(500)(600)(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구조물 조립체용 코너연결부재{Connection material of corner for structure assembly}
본 발명은 공연장이나 전시장 등의 행사 현장에 설치되는 구조물 조립체용 코너연결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코너연결부재에 패널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코너연결 및 패널연결을 간단한 작업공정으로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구조물 조립체용 코너연결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시장, 진열장, 부스 등의 제작에 구조물 조립체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구조물 조립체는 통상 조립식 프레임으로 제작된다. 즉, 구조물 조립체는 전시장, 진열장, 부스 등의 제작시 기초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 구조물을 형성한다.
구조물 조립체는 다양한 길이의 프레임과 이러한 다양한 길이의 프레임을 종방향이나 횡방향으로 서로 연결하기 위한 코너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 구조물 조립체의 다양한 길이로 이루어진 프레임들이 코너연결부재에 의해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서로 연결되어 소정 규모의 구조물 조립체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소정 규모의 구조물 조립체는 다양한 길이로 이루어진 프레임을 코너연결부재를 통해 서로 연결하는 방식에 의해 제작되는 것이므로, 프레임과 코너연결부재 간의 연결구조가 구조물 조립체를 제작하는 작업성에 상당히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그러나 현재 제공되고 있는 다양한 종류의 구조물 조립체는 그 프레임을 코너연결부재를 통해 서로 연결시키는 구조가 비교적 복잡한 것이 현실이다.
이에 따라 소정 규모의 구조물 조립체를 제작함에 있어, 비교적 소형의 구조물 조립체라 해도 상당수의 프레임이 사용되므로, 상당히 숙련된 작업자가 아니면 구조물 조립체를 제작하는데 어려움이 따르는 동시에, 구조물 조립체 제작에 소요되는 작업 시간이 비교적 길어진다. 이는 구조물 조립체의 사용 후 해체에 소요되는 작업 시간 역시 비교적 길게 되는 현상으로 이어진다.
그리고 종래의 구조물 조립체는 프레임 구조물의 형태에 따라 비교적 다양한 형태의 프레임 및 코너연결부재를 필요로 하는 경향이 있고, 이러한 이유로 특정의 프레임이나 코너연결부재가 없으면 더 이상의 구조물 조립체 설치 작업이 불가능하게 된다. 다시 말해 사전에 구조물 조립체의 형태를 정확히 파악하는 동시에, 그 설치에 필요한 프레임 및 코너연결부재를 완벽하게 준비하지 않으면, 구조물 조립체의 설치 도중에 작업이 중단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제작이 완료된 구조물 조립체를 확장, 변경, 축소하는 작업이 여의치 못하거나, 경우에 따라 구조물 조립체를 해체한 후, 다시 설치해야만 하는 난점이 있다.
특히, 디지털 영상기술이나 정보통신기술 등 기술 개발 속도가 타 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빠른 전자통신 산업분야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해, 각종 전시회나 박람회의 개최가 매우 잦은 최근의 상황을 고려할 때, 용이한 작업 과정을 통해 소정 규모의 구조물 조립체를 보다 신속하게 설치 및 해체할 수 있는 동시에, 소수의 구성품만으로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 조립체를 연출할 수 있고, 또한 제작이 완료된 구조물 조립체의 확장, 변경 축소가 용이한 구조물 조립체의 제공이 절실히 요구되는 상황이다.
한편, 하기 특허문헌인 국내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3822호에는 프레임 구조물을 형성하는 조립식 프레임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x축 방향의 양측 표면으로부터 제1 나사홈이 각각 천공되고 y축 방향의 양측 표면으로부터 제2 나사홈이 각각 천공되며 z축 방향의 양측 표면으로부터 제3 나사홈이 각각 천공되되, 상기 제1 내지 제3 나사홈은 각 나사홈의 중심을 통과하는 x,y,z축이 블록 내측의 어느 한 점을 중심으로 서로 교차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연결블록; 상기 연결블록의 제1 내지 제3 나사홈에 일측이 나사 결합되는 고정볼트; 원기둥의 형태로 이루어져, 길이 방향의 일측에 상기 고정볼트의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홈이 형성되고, 지름이 축소된 홈 형태의 단차부가 중앙에 형성되는 체결블록; 길이 방향의 양측에 상기 체결블록을 삽입시키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폭 방향의 나사홀이 형성되되, 상기 나사홀은 상기 나사홈의 입구에서 단차부 간의 거리와 상응하는 간격으로 길이 방향의 일단으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나사홀과 통하는 나선홀을 각각 형성한 상태로 서로 수직을 이루며 연결되는 두 평판부를 포함하며, 상기 두 평판부 간의 연결 부분에 볼트홀이 형성되는 지지브라켓; 상기 지지브라켓의 나선홀과 프레임의 나사홀에 차례로 결합되어 그 선단이 상기 체결블록의 단차부를 조이는 동시에 그 머리부가 상기 평판부를 프레임의 표면으로 조이는 체결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프레임의 연결구조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3822호에 기재된 조립식 프레임의 연결구조는 프레임 구조물의 코너 내측에 엘(L)자 형상의 지지브라켓을 다시 체결볼트로 체결하고, 이 지지브라켓 측면으로 천공된 나선홀과 패널의 결합홀을 볼트로 체결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패널을 결합하기 위한 별도의 지지브라켓을 체결하는 작업으로 인하여 작업공정이 복잡하고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에는 연결블록과 지지브라켓이 서로 분리되었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지지브라켓을 프레임이 고정하는 작업으로 인하여 작업시간의 소모가 많고, 부품수의 증가로 작업공정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3822호(공개일자 : 2010.04.09)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코너연결부재에 패널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코너연결 및 패널연결을 간단한 작업공정으로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구조물 조립체용 코너연결부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코너연결부재에 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지지부에 프레임을 끼운 상태에서 지지부의 제1,2면과 프레임을 티볼트로 한층 더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한 구조물 조립체용 코너연결부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육면체로 이루어지는 몸체부의 전후방향과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프레임의 나사체결공에 체결되는 나사가 각각 끼워지도록 나사머리홈이 형성된 나사공을 각각 관통 형성하고,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과 배면 및 저면에 프레임을 각각 지지하도록 제1면과 제2면이 직각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부를 각각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지지부들 사이에 패널의 나사공에 끼워지는 나사가 각각 체결되도록 나사체결공이 구비된 연결부를 각각 일체로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지지부의 제1,2면은 몸체부의 일측면 하부와 후부에 수평 및 수직으로 각각 형성하고, 상기 몸체부의 배면에 형성되는 지지부의 제1,2면은 몸체부의 배면 하부와 일측에 수평 및 수직으로 각각 형성하며, 상기 몸체부의 저면에 형성되는 지지부의 제1,2면은 몸체부의 저면 일측 및 후부에 수직으로 각각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각 지지부의 제1면과 제2면에는 프레임의 절개부를 통해 연결공에 연결되는 티볼트가 끼워지도록 티볼트공을 각각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 지지부와 배면 지지부 사이에 형성되는 연결부는 일측면 지지부의 제2면과 배면 지지부의 제2면 상단에 수평으로 형성하고,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 지지부와 저면 지지부 사이에 형성되는 연결부는 일측면 지지부의 제1면과 저면 지지부의 제1면 선단에 수직으로 형성하며, 상기 몸체부의 배면 지지부와 저면 지지부 사이에 형성되는 연결부는 배면 지지부의 제1면과 저면 지지부의 제2면 타단에 수직으로 형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조물 조립체용 코너연결부재에 따르면, 몸체부의 일측면과 배면 및 저면에 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각각 일체로 형성되고, 지지부들 사이에는 패널의 나사공에 끼워지는 나사를 각각 체결할 수 있도록 나사체결공이 구비된 연결부가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종래와 달리 패널을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지지브라켓을 프레임에 고정하는 작업공정을 생략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코너연결 및 패널연결을 간단한 작업공정으로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 지지부의 제1면과 제2면에는 프레임의 절개부를 통해 연결공에 연결되는 티볼트가 끼워지도록 티볼트공이 각각 형성되기 때문에, 몸체부와 프레임을 나사체결을 통해 1차적으로 조립한 후, 각 지지부와 프레임을 티볼트와 너트체결을 통해 2차적으로 조립할 수 있으므로 프레임과 코너연결부재를 이중으로 한층 더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조립체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조립체의 코너부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조립상태를 보인 평단면도.
도 4는 도 2의 조립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코너연결부재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배면을 보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구조물 조립체용 코너연결부재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후방향과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프레임(10)의 나사체결공(11)에 체결되는 나사(20)가 각각 끼워지도록 나사머리홈(111)(121)(131)이 형성된 나사공(110)(120)(130)을 구비하는 육면체로 이루어진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100)의 일측면과 배면 및 저면에 제1면(210)(310)(410)과 제2면(220)(320)(420)이 직각을 이루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프레임(10)을 각각 지지하는 지지부(200)(300)(400); 상기 지지부(200)(300)(400)들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어 패널(30)의 나사공(31)에 끼워지는 나사(40)가 각각 체결되도록 나사체결공(510)(610)(710)을 구비하는 연결부(500)(600)(7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조립체는 공연장, 전시장, 광고탑, 조형물 및 부스 등을 포함하는 분해 조립식의 구조물 조립체를 다양하게 구축하는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조립체는 프레임(10)과 패널(30) 및 코너연결부재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본 발명의 구조물 조립체용 코너연결부재는 몸체부(100), 지지부(200)(300)(400) 및 연결부(500)(600)(700)로 이루어지고, 상기 코너연결부재의 몸체부(100), 지지부(200)(300)(400) 및 연결부(500)(600)(700)는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10)은 사각으로 형성되어 지지부(200)(300)(400)에 각각 끼워진 상태에서 나사(20)체결을 통해 각각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으로, 이러한 프레임(10)은 구조물 조립체의 수직 및 수평프레임을 견고하게 구성한다. 이때, 상기 프레임(10)은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임(10)은 필요에 따라 지지부(200)(300)(400)에 수직 및 수평으로 각각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의 중앙에는 나사(20)가 체결되는 나사체결공(11)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10)의 사면 중앙부에는 절개부(12a)가 형성된 연결공(12)이 각각 구비된다. 이때, 상기 프레임(10)을 지지부(200)(300)(400)에 각각 끼운 상태에서 몸체부(100)의 나사공(110)(120)(130)으로 나사(20)를 끼워 나사체결공(11)에 체결하면 프레임(10)과 몸체부(100)를 간단하고도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조립의 역으로 프레임(10)과 몸체부(100)를 간단하게 분해할 수 있다.
상기 나사(20)는 몸체부(100)의 나사공(110)(120)(130)에 각각 끼워지는 것으로, 이러한 나사(20)는 프레임(10)의 나사체결공(11)에 체결된다.
상기 패널(30)은 연결부(500)(600)(700)에 나사(40)체결로 고정되는 것으로, 이러한 패널(30)은 합성수지, 금속, 목재 등으로 이루어지고, 패널(30)의 각 모서리부에는 연결부(500)(600)(700)의 나사체결공(510)(610)(710)에 대응하는 나사공(31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패널(30)은 광고판의 기능 또는 칸막이의 기능을 가지도록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100)는 육면체로 이루어져 코너연결부재의 연결블록을 구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몸체부(100)의 중앙에는 전후방향과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서로 교차하도록 나사머리홈(111)(121)(131)이 형성된 나사공(110)(120)(130)이 각각 구비되고, 몸체부(100)의 나사공(110)(120)(130)에는 프레임(10)의 나사체결공(11)에 체결되는 나사(20)가 각각 끼워진다. 이때, 상기 나사공(110)(120)(130)과 나사머리홈(111)(121)(131) 사이에는 나사(20)체결시 나사(20)의 머리가 걸리도록 걸림턱이 형성된다. 즉, 나사공(110)(120)(130)의 내경은 나사머리홈(111)(121)(131)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200)(300)(400)는 몸체부(100)의 일측면과 배면 및 저면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지지부(200)(300)(400)는 제1면(210)(310)(410)과 제2면(220)(320)(420)이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지지부(200)(300)(400)의 제1면(210)(310)(410)과 제2면(220)(320)(420)에는 프레임(10)이 각각 끼워진다. 이때, 상기 지지부(200)(300)(400)에 프레임(10)을 각각 끼운 상태에서, 몸체부(100)의 나사공(110)(120)(130)에 나사(20)를 끼워 프레임(10)의 나사체결공(11)에 각각 체결하면 구조물 조립체의 코너부를 간단하고도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200)의 제1면(210)은 몸체부(100)의 일측면 하부에 수평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200)의 제2면(220)은 몸체부(100)의 일측면 후부에 수직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300)의 제1면(310)은 몸체부(100)의 배면 하부에 수평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300)의 제2면(320)은 몸체부(100)의 배면 일측에 수직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400)의 제1면(410)은 몸체부(100)의 저면 일측에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400)의 제2면(420)은 몸체부(100)의 저면 후부에 수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200)에 프레임(10)을 끼우고 몸체부(100)의 나사공(120)에 나사(20)를 끼워 나사체결공(11)에 체결하면 구조물 조립체의 좌우 수평방향으로 프레임(10)을 연결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지지부(300)에 프레임(10)을 끼우고 몸체부(100)의 나사공(110)에 나사(20)를 끼워 나사체결공(11)에 체결하면 구조물 조립체의 전후 수평방향으로 프레임(10)을 연결할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지지부(400)에 프레임(10)을 끼우고 몸체부(100)의 나사공(130)에 나사(20)를 끼워 나사체결공(11)에 체결하면 구조물 조립체의 상하 수직방향으로 프레임(10)을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200)(300)(400)의 제1면(210)(310)(410)과 제2면(220)(320)(420)에는 프레임(10)의 절개부(12a)를 통해 연결공(12)에 연결되는 티볼트(50)가 끼워지도록 티볼트공(230)(330)(430)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티볼트공(230)(330)(430)과 티볼트(50)의 머리는 서로 대응하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티볼트공(230)(330)(430)과 프레임(10)의 절개부(12a)는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200)(300)(400)에 프레임(10)을 끼워 나사(20)체결로 각각 고정한 후, 티볼트공(230)(330)(430)과 프레임(10)의 절개부(12a)에 티볼트(50)의 머리를 끼운 상태에서, 티볼트(50)를 90도 회전시키면 티볼트(50)의 머리가 프레임(10)의 연결공(12) 양측에 걸려 빠지지 않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 티볼트(50)에 너트(60)를 체결하면 구조적으로 프레임(10)과 코너연결부재를 이중으로 한층 더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몸체부(100)와 프레임(10)이 나사(20)체결을 통해 1차적으로 조립되고, 지지부(200)(300)(400)와 프레임(10)이 티볼트(50)와 너트(60)체결을 통해 2차적으로 조립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프레임(10)과 코너연결부재를 이중으로 한층 더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500)(600)(700)는 지지부(200)(300)(400)들 사이에 일체로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연결부(500)(600)(700)에는 패널(30)의 나사공(31)에 끼워지는 나사(40)가 각각 체결되는 나사체결공(510)(610)(71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200)(300)(400)들 사이에는 나사체결공(510)(610)(710)이 구비된 연결부(500)(600)(700)가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패널(30)의 나사공(31)에 나사(40)를 끼워 나사체결공(510)(610)(710)에 체결하면 구조물 조립체의 패널(30)을 간단하고도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코너연결부재에 패널(30)을 나사(40)체결로 연결하는 연결부(500)(600)(700)가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종래와 달리 패널을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지지브라켓을 프레임에 고정하는 작업공정을 생략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500)는 지지부(200)의 제2면(220)과 지지부(300)의 제2면(320) 상단에 수평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600)는 지지부(200)의 제1면(210)과 지지부(400)의 제1면(410) 선단에 수직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700)는 지지부(300)의 제1면(310)과 지지부(400)의 제2면(420) 타단에 수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500)의 외면은 몸체부(100)의 상면과 동일한 수평면을 이루도록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600)의 외면은 몸체부(100)의 전면과 동일한 수직면을 이루도록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700)의 외면은 몸체부(100)의 타측면과 동일한 수직면을 이루도록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은 몸체부(100)의 일측면과 배면 및 저면에 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부(200)(300)(400)가 일체로 형성되고, 지지부(200)(300)(400)들 사이에는 패널(30)의 나사공(31)에 끼워지는 나사(40)를 각각 체결할 수 있도록 나사체결공(510)(610)(710)이 구비된 연결부(500)(600)(700)가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종래와 달리 패널을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지지브라켓을 프레임에 고정하는 작업공정을 생략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코너연결 및 패널연결을 간단한 작업공정으로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은 지지부(200)(300)(400)의 제1면(210)(310)(410)과 제2면(220)(320)(420)에는 프레임(10)의 절개부(12a)를 통해 연결공(12)에 연결되는 티볼트(50)가 끼워지도록 티볼트공(230)(330)(430)이 각각 형성되기 때문에, 몸체부(100)와 프레임(10)을 나사(20)체결을 통해 1차적으로 조립한 후, 지지부(200)(300)(400)와 프레임(10)을 티볼트(50)와 너트(60)체결을 통해 2차적으로 조립할 수 있으므로 프레임(10)과 코너연결부재를 이중으로 한층 더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 프레임 11 : 나사체결공
12 : 연결공 12a : 절개부
20 : 나사 30 : 패널
31 : 나사공 40 : 나사
50 : 티볼트 100 : 몸체부
110,120,130 : 나사공 111,121,131 : 나사머리홈
200,300,400 : 지지부 210,310,410 : 제1면
220,320,420 : 제2면 230,330,430 : 티볼트공
500,600,700 : 연결부 510,610,710 : 나사체결공

Claims (4)

  1. 전후방향과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프레임(10)의 나사체결공(11)에 체결되는 나사(20)가 각각 끼워지도록 나사머리홈(111)(121)(131)이 형성된 나사공(110)(120)(130)을 구비하는 육면체로 이루어진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100)의 일측면과 배면 및 저면에 제1면(210)(310)(410)과 제2면(220)(320)(420)이 직각을 이루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프레임(10)을 각각 지지하는 지지부(200)(300)(400);
    상기 지지부(200)(300)(400)들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어 패널(30)의 나사공(31)에 끼워지는 나사(40)가 각각 체결되도록 나사체결공(510)(610)(710)을 구비하는 연결부(500)(600)(700)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500)는 지지부(200)의 제2면(220)과 지지부(300)의 제2면(320) 상단에 수평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600)는 지지부(200)의 제1면(210)과 지지부(400)의 제1면(410) 선단에 수직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700)는 지지부(300)의 제1면(310)과 지지부(400)의 제2면(420) 타단에 수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조립체용 코너연결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00)의 제1면(210)은 몸체부(100)의 일측면 하부에 수평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200)의 제2면(220)은 몸체부(100)의 일측면 후부에 수직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300)의 제1면(310)은 몸체부(100)의 배면 하부에 수평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300)의 제2면(320)은 몸체부(100)의 배면 일측에 수직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400)의 제1면(410)은 몸체부(100)의 저면 일측에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400)의 제2면(420)은 몸체부(100)의 저면 후부에 수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조립체용 코너연결부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00)(300)(400)의 제1면(210)(310)(410)과 제2면(220)(320)(420)에는 프레임(10)의 절개부(12a)를 통해 연결공(12)에 연결되는 티볼트(50)가 끼워지도록 티볼트공(230)(330)(430)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조립체용 코너연결부재.
  4. 삭제
KR1020190042649A 2019-04-11 2019-04-11 구조물 조립체용 코너연결부재 KR102169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649A KR102169617B1 (ko) 2019-04-11 2019-04-11 구조물 조립체용 코너연결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649A KR102169617B1 (ko) 2019-04-11 2019-04-11 구조물 조립체용 코너연결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0146A KR20200120146A (ko) 2020-10-21
KR102169617B1 true KR102169617B1 (ko) 2020-10-23

Family

ID=73034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2649A KR102169617B1 (ko) 2019-04-11 2019-04-11 구조물 조립체용 코너연결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96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8158B1 (ko) 2021-09-03 2022-03-25 주식회사 코랙코리아 구조체 조립용 프레임 결속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62453B (zh) * 2021-03-24 2022-09-02 机械工业第九设计研究院股份有限公司 一种装配式钢结构建筑异形结构柱
CN113047428B (zh) * 2021-04-07 2022-06-21 青岛理工大学 螺纹拼接式钢木组合节点及安装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5026B1 (ko) * 2010-08-18 2011-02-17 (주) 나라디자인 친환경 다용도 파티션 조립 큐브블록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3822U (ko) 2008-10-01 2010-04-09 아이젠전시문화 주식회사 조립식 프레임의 연결구조
KR101747872B1 (ko) * 2015-01-05 2017-06-15 최영수 구조물 조립체
KR20180000163U (ko) * 2016-07-06 2018-01-16 조택연 행사장 구조물용 블럭 조립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5026B1 (ko) * 2010-08-18 2011-02-17 (주) 나라디자인 친환경 다용도 파티션 조립 큐브블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8158B1 (ko) 2021-09-03 2022-03-25 주식회사 코랙코리아 구조체 조립용 프레임 결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0146A (ko) 2020-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9617B1 (ko) 구조물 조립체용 코너연결부재
US9920521B2 (en) Construction panel assembly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same
KR101477410B1 (ko) 프레임 어셈블리
KR20110001689U (ko) 가설식 트러스 구조물
KR20100003822U (ko) 조립식 프레임의 연결구조
KR101747872B1 (ko) 구조물 조립체
KR20180000163U (ko) 행사장 구조물용 블럭 조립체
KR101537086B1 (ko) 조립과 분해가 용이한 친환경 부스
JP2022158445A (ja) 接合金物及びこれを用いた接合構造
JP7090518B2 (ja) パネル体
RU2297556C1 (ru) Узел соединения щитовых деталей мебели
CA3146397A1 (en) Coupling device for modular construction of structures or objects
JPH05311743A (ja) 建築構造材の連結工法及びそれに用いる連結材
CN108442576B (zh) 一种立柱结构及其组合式隔间
CN211691065U (zh) 一种带有连接机构的夹芯外墙板
KR100381770B1 (ko) 벽체용 조립식 프레임
KR200210940Y1 (ko) 구조물 조립 구조
JPH0449658Y2 (ko)
JP2019065668A (ja) 床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200225503Y1 (ko) 벽체용 조립식 프레임
JP3126638U (ja) 木造住宅用連結金具
JP2024008920A (ja) フレーム構造体、間仕切り構造およびフレーム構造体施工方法
KR20200063509A (ko) 가설 구조물의 모서리 3축 연결구조 및 그 연결방법
JPH0718779A (ja) パネル枠およびパネル並びにパネル製造法
JP2002115331A (ja) 複合梁と木製柱との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