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5581B1 - 모형 건축물 전시대 - Google Patents

모형 건축물 전시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5581B1
KR102635581B1 KR1020230139184A KR20230139184A KR102635581B1 KR 102635581 B1 KR102635581 B1 KR 102635581B1 KR 1020230139184 A KR1020230139184 A KR 1020230139184A KR 20230139184 A KR20230139184 A KR 20230139184A KR 102635581 B1 KR102635581 B1 KR 102635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orizontal
model building
support frame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39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배
Original Assignee
(주)소호모형
최영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소호모형, 최영배 filed Critical (주)소호모형
Priority to KR1020230139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55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5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5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10Adjustable or foldable or dismountable display stands
    • A47F5/13Adjustable or foldable or dismountable display stands made of tubes or wi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14Tubular connecting elements for wire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16Platform-type show stands with flat, inclined, or curved upper surface

Landscapes

  • Freezers Or Refrigerated Show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형 건축물 전시대는, 하부받침대; 상기 하부받침대 상에 배치되고,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금속 재질의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바깥면을 감싸고 상부면 덮어 외부에서 지지프레임이 보이지 않도록 하는 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하부받침대에 수평으로 안착되는 복수의 수평프레임; 및 하부에 단턱이 형성되어, 단턱이 상기 수평프레임에 안착되어 결합되고, 상부에 오목부가 형성된 복수의 수직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형 건축물 전시대{Model Building Exhibition Stand}
본 발명은 모형 건축물 전시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철골 구조물을 사용하여 재활용이 가능한 모형 건축물 전시대에 관한 것이다.
모형 건축물은 아파트 모델 하우스나 각종 전시회 등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모형 건축물은 용도에 따라 크기가 매우 다양한 형태로 제작된다. 이때 모형 건축물을 전시하기 위해서는 모형 건축물의 크기에 따라 모형 건축물을 지지할 수 있는 전시대가 필요하다.
모형 건축물 전시대는 관람자들에게 미감을 제공하고 광고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인조 대리석으로 많이 제조된다.
인조 대리석을 이용해 모형 건축물 전시대를 제작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목재를 전시대 사이즈에 맞춰 가공 후 목재 프레임을 제작하고, 목재 사이즈에 맞춰 인조 대리석을 굽고, 이를 목재에 부착 후 건조하는 방법으로 제작된다.
종래의 이러한 방식은 한번 사용 후 재활용이 불가능하여 자원 낭비가 심하고 비용도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KR 10-1348146 B1 KR 10-1388789 B1
본 발명은 재활용이 가능한 철제 프레임을 사용하여 모형 건축물 전시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모형 건축물의 크기에 따라 전시대의 쉽게 조절할 수 있는 모형 건축물 전시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형 건축물 전시대는, 하부받침대; 상기 하부받침대 상에 배치되고,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금속 재질의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바깥면을 감싸고 상부면 덮어 외부에서 지지프레임이 보이지 않도록 하는 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하부받침대에 수평으로 안착되는 복수의 수평프레임; 및 하부에 단턱이 형성되어, 단턱이 상기 수평프레임에 안착되어 결합되고, 상부에 오목부가 형성된 복수의 수직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프레임은 사각 형상이며, 하부면의 양측에는 하부면이 좁은 제1 단턱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단턱과 하부받침대 사이에 수평프레임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제1 수평프레임이 하부받침대에 안착되고, 상기 제1 단턱이 제1 수평프레임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프레임은, 상부면의 내측에는 상부면이 좁은 제2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단턱에 제2 수평프레임이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프레임은, 상부면의 외측면에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에는 제3 수평프레임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프레임은, 상기 오목부 상부 모서리는 소정의 곡률을 가진 호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프레임은, 외측 방향에 일측 하부에 형성된 제1 단턱, 상부 양측에 형성된 제2 단턱, 상기 제2 단턱의 일측 하부에 형성된 오목부; 및 상기 제1 단턱과 이격되어 하부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단턱의 세로측면에는 제1 리브가 돌출되고, 상기 제2 단턱에는 제2 리브가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돌출부에는 제3 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모형 전시물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형상의 전시대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시후 전시대를 분리하여, 수평프레임 및 수직프레임을 재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원을 절약하여 환경보호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형 건축물 전시대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도 1 모형 건축물 전시대의 분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 1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모형 건축물의 수직프레임을 분리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형 건축물 전시대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형 건축물의 수직프레임을 분리하여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또한,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며, 상충되는 경우에는, 정의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의 기재가 우선할 것이다.
도면에서 제안된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리고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기술한 "부"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단위 또는 블록을 의미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제1, 제2,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실시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실시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실시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의 구현예 및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의 이러한 구현예 및 실시예와 도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형 건축물 전시대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모형 건축물 전시대의 분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도 1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수직프레임을 분리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형 건축물 전시대는 하부받침대(100), 상기 하부받침대 상에 배치되고,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금속 재질의 지지프레임(200),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바깥면을 감싸고 상부면 덮어 외부에서 지지프레임이 보이지 않도록 하는 커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모형 건축물 전시대가 사각형 모양인 것을 예로 들었으나, 전시대의 모양은 모형 건축물의 모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하부받침대(100)는 전시대를 지지하는 기초 받침대로 금속이나 합성소재 등 다양한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200)은 금속 재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수직프레임(210)과 수평프레임(2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수직프레임(210)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고 수직프레임을 연결하는 수평프레임(220)이 결합될 수 있다. 수직프레임(210)은 모형 건축물의 크기에 따라 그 수를 조절할 수 있으며, 수평프레임(220)은 수평프레임의 하부와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직프레임(210)은 상부와 하부에 단턱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 단턱 아래의 일측면에는 오목부(21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직프레임(210)은 사각 형성일 수 있으며, 하부면의 양측에는 하부면이 좁은 제1 단턱(211)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면의 내측에는 상부면이 좁은 제2 단턱(212)이 형성될 수 있다. 수직프레임은 다각형 또는 원형과 같은 폐루프를 형성하고, 제2 단턱(212)은 지지프레임의 내측에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 수평프레임은 제1 단턱에 대응하여 나란하게 2개가 형성되며, 제2 수평 수프레임인 제2 단턱에 대응하여 상부에 한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단턱(211)에 의해 하부받침대(100)와 수직프레임(210)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하부받침대(100)에 제1 수평프레임(221)을 안착한 상태에서 수직프레임(210)을 결합하면 제1 단턱(211)에 의해 제1 수평프레임(221)이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다. 즉, 제1 수평프레임은 제1 단턱(212)에 삽입되어 하부받침대(100) 상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단턱(212)은 수직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되고, 제2 단턱(212)에 제2 수평프레임(222)이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수직프레임(210)의 외측면에는 오목부(213)가 형성될 수 있다. 오목부(213)는 상부에 형성되되, 제2 단턱의 반대편인 외측면에 형성되고, 제2 단턱(212) 보다 조금 아래 부분에 형성된다. 오목부(213)에는 제3 수평프레임(223)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오목부(213)는 일방이 개방된 'ㄷ'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수직프레임(210)의 오목부 상부 모서리는 소정의 곡률을 가진 호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직프레임(210)의 상부 외측 모서리는 커버(300)가 밀착되는 부분이므로 곡률을 주어 커버(300)와 밀착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수직프레임(210)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있어 무게를 줄일 수 있다.
상기 커버(300)는 철골 구조물 형태의 지지프레임(200)의 측면을 감싸며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안쪽으로 덮개 형태로 돌출되어 있다.
커버(300)는 인조 대리석으로 만들 수 있으며, 지지프레임의 크기에 맞도록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200)의 직선 부분은 상기 수직프레임(210)을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고 수평프레임(220)을 결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200)의 모서리부와 같이 곡선 부분은 수평프레임(220)의 끝단에 수평프레임(220)이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부(230)를 설치할 수 있다. 고정부(230)는 수평프레임(220) 상호간을 철제봉과 같은 막대를 연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230)는 수평 프레임들 사이에 수직으로 고정되어 지지하는 수직 고정부(231)와 수평 프레임들 사이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수평고정부(232)로 구성될 수 있다.
수평고정부 및 수직고정부는 수평프레임의 끝단에서 사각형 형상으로 상호 연결되어 모서리부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제2 수직고정부(232)는 이웃하는 제2 수직고정부(232)와 소정각도로 이격되어 형성되는데, 이웃하는 제2 수직고정부 사이에는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부채꼴 형상의 고정판(235)이 결합될 수 있다. 고정판(235)의 곡률은 커버(300)의 모서리 곡률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형 건축물 전시대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모형 건축물 전시대의 수직프레임을 분리하여 나타낸 것으로 도 6의 (a)는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의 (b)는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수직프레임(210)은 제1 단턱(211)이 외측 방향일측에만 형성되어 있으며, 하나의 제1 수평프레임(221)이 안착될 수 있고, 제2 단턱(212)은 상부 양측에 형성되어 두개의 제2 수평프레임(222)이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단턱의 일측 하부에는 오목부(213)가 형성될 수 있다. 오목부(213)는 수직프레임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3 수평프레임(223)이 삽입될 수 있다.
제1 단턱의 세로측면에는 제1 리브(214)가 돌출되고, 제2 단턱에는 제2 리브(215)가 수평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리브와 제2리브를 통해 수평 프레임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2 리브에는 나사공을 형성하여 수평프레임을 나사로 고정할 수 있다.
수직프레임(210)의 하부는 계단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1 단턱(211)과 이격되어 하부로 돌출된 돌출부(216)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단턱(211)과 돌출부(216)는 이격되어 소정 공간이 형성되어있으며, 상기 돌출부(216)에는 제3리브(217)가 형성될 수 있다. 제3리브(217)에는 간접 조명을 부착할 수 있다. 간접 조명을 부착함으로서 건축물 모형에 다양한 색상을 구현할 수 있어 전시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자들이 수행한 다양한 실시예 가운데 몇 개의 예만을 들어 설명하는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7)

  1. 하부받침대;
    상기 하부받침대 상에 배치되고,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금속 재질의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바깥면을 감싸고 상부면 덮어 외부에서 지지프레임이 보이지 않도록 하는 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하부받침대에 수평으로 안착되는 복수의 수평프레임; 및
    하부에 단턱이 형성되어, 단턱이 상기 수평프레임에 안착되어 결합되고, 상부에 오목부가 형성된 복수의 수직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프레임은 사각 형상이며, 하부면의 양측에는 하부면이 좁은 제1 단턱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단턱과 하부받침대 사이에 수평프레임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제1 수평프레임이 하부받침대에 안착되고, 상기 제1 단턱이 제1 수평프레임을 고정하고,
    상기 수직프레임은, 상부면의 내측에는 상부면이 좁은 제2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단턱에 제2 수평프레임이 안착되고,
    상기 수직프레임은, 상부면의 외측면에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에는 제3 수평프레임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형 건축물 전시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은, 상기 오목부 상부 모서리는 소정의 곡률을 가진 호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형 건축물 전시대.
  6. 하부받침대;
    상기 하부받침대 상에 배치되고,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금속 재질의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바깥면을 감싸고 상부면 덮어 외부에서 지지프레임이 보이지 않도록 하는 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하부받침대에 수평으로 안착되는 복수의 수평프레임; 및
    하부에 단턱이 형성되어, 단턱이 상기 수평프레임에 안착되어 결합되고, 상부에 오목부가 형성된 복수의 수직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프레임은,
    외측 방향에 일측 하부에 형성된 제1 단턱;
    상부 양측에 형성된 제2 단턱;
    상기 제2 단턱의 일측 하부에 형성된 오목부; 및
    상기 제1 단턱과 이격되어 하부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형 건축물 전시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턱의 세로측면에는 제1 리브가 돌출되고,
    상기 제2 단턱에는 제2 리브가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돌출부에는 제3 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형 건축물 전시대.
KR1020230139184A 2023-10-18 2023-10-18 모형 건축물 전시대 KR102635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9184A KR102635581B1 (ko) 2023-10-18 2023-10-18 모형 건축물 전시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9184A KR102635581B1 (ko) 2023-10-18 2023-10-18 모형 건축물 전시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5581B1 true KR102635581B1 (ko) 2024-02-08

Family

ID=89899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9184A KR102635581B1 (ko) 2023-10-18 2023-10-18 모형 건축물 전시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5581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4373A (ko) * 2009-11-17 2011-05-25 김세길 전선정리함 겸 차량용 트렁크 정리함
KR101348146B1 (ko) 2011-05-30 2014-01-06 이현우 프레임 및 그 프레임을 이용한 전시장의 조립식 구조물
CN103501660A (zh) * 2011-02-08 2014-01-08 Ip控股有限责任公司 托盘架
KR101388789B1 (ko) 2013-10-04 2014-04-23 (주)강남디자인모형 이동보호용 모형 전시대
KR200474944Y1 (ko) * 2013-09-26 2014-10-27 김태길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구조를 갖는 진열 평대
JP5909722B2 (ja) * 2012-01-23 2016-04-27 株式会社やのまん ディスプレイケース
KR101747872B1 (ko) * 2015-01-05 2017-06-15 최영수 구조물 조립체
KR20190080048A (ko) * 2017-12-28 2019-07-08 이진희 조립식 서랍장
CN114005351A (zh) * 2021-11-19 2022-02-01 厦门市屿川模型设计有限公司 一种房地产模型结构及其展示方法
CN114468699A (zh) * 2022-01-24 2022-05-13 宿迁小鲤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智能化建筑模型展示平台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4373A (ko) * 2009-11-17 2011-05-25 김세길 전선정리함 겸 차량용 트렁크 정리함
CN103501660A (zh) * 2011-02-08 2014-01-08 Ip控股有限责任公司 托盘架
KR101348146B1 (ko) 2011-05-30 2014-01-06 이현우 프레임 및 그 프레임을 이용한 전시장의 조립식 구조물
JP5909722B2 (ja) * 2012-01-23 2016-04-27 株式会社やのまん ディスプレイケース
KR200474944Y1 (ko) * 2013-09-26 2014-10-27 김태길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구조를 갖는 진열 평대
KR101388789B1 (ko) 2013-10-04 2014-04-23 (주)강남디자인모형 이동보호용 모형 전시대
KR101747872B1 (ko) * 2015-01-05 2017-06-15 최영수 구조물 조립체
KR20190080048A (ko) * 2017-12-28 2019-07-08 이진희 조립식 서랍장
CN114005351A (zh) * 2021-11-19 2022-02-01 厦门市屿川模型设计有限公司 一种房地产模型结构及其展示方法
CN114468699A (zh) * 2022-01-24 2022-05-13 宿迁小鲤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智能化建筑模型展示平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3542B1 (ko) 절첩식 육각 천막
KR200455707Y1 (ko) 이동식 칸막이 구조
KR102635581B1 (ko) 모형 건축물 전시대
WO2018139795A1 (ko) 조립식 부스
JP2009535538A (ja) モジュール式折りたたみ展示ブース構造体
KR20120004012U (ko) 평상 겸 텐트
US11767684B2 (en) Camouflaged portable toilet
KR101145902B1 (ko) 조립식 가구
CN217565489U (zh) 一种装配式展柜
KR100838783B1 (ko) 절첩식 대형 텐트
CN214090556U (zh) 斜坡结构的梁架和应用该梁架的吊顶
KR20210015285A (ko) 시스템 선반
KR20190122597A (ko) 조립식 선반
KR200233993Y1 (ko) 조립식 가구
KR102151266B1 (ko) 가설이 용이한 조립식 무대
JP2005315025A (ja) 組立ハウス
CN215195409U (zh) 一种积木装配结构的穹顶和亭子
CN215255151U (zh) 一种围栏
KR200460157Y1 (ko) 적층식 전시대
CN210002693U (zh) 一种节能彩板房用立柱装置
KR102496308B1 (ko) 전시용 가벽
JP2578585Y2 (ja) 合成樹脂製フェンス
JP3954358B2 (ja) 共有空間構造体
JPH08232567A (ja) 門 柱
JP2604324Y2 (ja) バルコニーの囲い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