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2597A - 조립식 선반 - Google Patents

조립식 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2597A
KR20190122597A KR1020190095058A KR20190095058A KR20190122597A KR 20190122597 A KR20190122597 A KR 20190122597A KR 1020190095058 A KR1020190095058 A KR 1020190095058A KR 20190095058 A KR20190095058 A KR 20190095058A KR 20190122597 A KR20190122597 A KR 201901225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tray
nut
bolt
pos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5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규
Original Assignee
한길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길산업(주) filed Critical 한길산업(주)
Priority to KR1020190095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22597A/ko
Publication of KR20190122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25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83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with four vertical uprigh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수의 사각 트레이; 상하로 인접한 두 트레이 중 하부 측 트레이의 네 모서리 영역 상면에 안착되고 상부 측 트레이의 네 모서리 영역 하면을 지지하게 되는 네 개의 포스트; 및 상기 트레이를 사이에 두고 상하로 인접한 두 포스트를 상호 연결하는 커넥팅수단;을 포함하도록 구현함으로써, 상하 인접한 두 포스트 간의 조립이 포스트 상단 및 하단에 구비된 볼트와 너트에 의해 상호 결합되고, 볼트와 너트가 포스트 외형의 가압에 의해 변형된 돌기들에 의해 고정됨에 따라 견고하고 안정적인 선반 제작이 가능한 조립식 선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식 선반{ASSEMBLY RACK}
본 발명은 상하로 배치되는 트레이들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이들 사이로 수납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 선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트레이를 받치게 되는 포스트와 포스트 간의 상호 결합을 통해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함은 물론, 견고한 구조의 선반을 제공할 수 있는 조립식 선반에 관한 기술이다.
각종 물건 등을 진열하거나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선반 중 조립식 선반에 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40176호 (2001.07.16.등록, 이하에서는 '문헌 1'이라고 함) 『조립식 선반』이 제시되어 있는바,
문헌 1은 전,후,좌,우 4개의 지지기둥을 가지며, 4개의 지지기둥 사이에 임의간격으로, 다단으로 선반을 설치하는 조립식 선반에 관한 것으로, 선반부재로는 철판의 테두리를 'ㄷ'형상으로 절곡하여 일정두께의 판상으로 조성하되 4귀퉁이 모서리를 절단하여 절단부를 조성하며 각각의 절단부 양측면에는 결합구멍을 가지며, 선반부재내측으로 상기 선반부재의 결합구멍과 결합되는 결합돌기를 좌우 양측면에 갖는 체결부를 삽치하며, 결부의 중앙면을 펀칭하여 'ㄱ'형상으로 절곡한 체결편을 기둥부재의 중앙면에 형성한 체결구멍에 끼워 기둥부재와 선반부재를 일체로 연결 조립되도록 함으로써, 조립 설치나 분해 해체 시 연장의 도움없이 수작업만으로도 조립 및 해체를 가능토록 한 조립식 선반에 관한 기술이다.
다른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2-0124128호 (2012.11.13.공개, 이하에서는 '문헌 2'라고 함) 『선반 설치형 조립식 부스』가 제시되어 있는바,
문헌 2는 사각판 형태로 구비되고, 4개의 모서리에 각각 중공된 입방체의 하부 결합부재가 부착되는 바닥패널과, 상기 바닥패널의 4개의 모서리에 대응하여 상기 하부 결합부재에 상부측에 직립되게 구비되고 외부면에 다수의 제1 체결공이 형성되는 4개의 기둥부재와, 상기 기둥부재의 상단에 대응하여 4개의 모서리에 각각 중공된 입방체의 상부 결합부재가 상부측으로 돌출되게 부착되는 사각판 형태의 지붕패널과, 상기 하부 결합부재와 상기 기둥부재의 하단 사이에 설치되면서 상기 상부 결합부재와 상기 기둥부재의 상단 사이에 설치되고 내부 하면과 외측면 둘레에 다수의 제2 체결공을 가지며 상기 기둥부재에 상기 하부 결합부재와 상기 상부 결합부재를 각각 볼트로 상호 연결하여 분리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연결부재와, 전면으로 상기 기둥부재와 기둥부재의 사이에 설치되고 전방으로 돌출되는 선반을 가지는 전면 선반부와, 어느 하나의 측면 또는 양측면으로 상기 기둥부재와 기둥부재의 사이에 설치되고 측면으로 출입을 차단할 수 있는 측면부를 포함함으로써, 조립 및 분해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면서 야외에 설치되는 경우에 높은 견고성을 가져 폭설, 우수, 강풍 등과 같은 악천후에 의한 파손이나 손상이 방지되도록 하고 선반의 조립 및 분해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선반 설치형 조립식 부스에 관한 기술이다.
문헌 1.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40176호 (2001.07.16.등록) 문헌 2.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2-0124128호 (2012.11.13.공개)
본 발명은 상하로 인접하게 세워지는 두 포스트 간의 볼트와 너트 체결 구조를 통해 두 포스트 사이에 위치한 트레이를 안정적으로 고정함은 물론, 일정 높이의 수납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선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포스트 상단 및 하단 각각에 볼트와 너트를 구비하기 위하여 별도의 고정부재를 마련하지 않고, 포스트 외형을 가압하여 형성된 돌기 구조를 통해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고 볼트와 너트의 움직임을 최소화할 수 있어 견고하고 안정적인 선반 제작이 가능한 조립식 선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선반은,
상하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수의 사각 트레이;
상하로 인접한 두 트레이 중 하부 측 트레이의 네 모서리 영역 상면에 안착되고 상부 측 트레이의 네 모서리 영역 하면을 지지하게 되는 네 개의 포스트; 및
상기 트레이를 사이에 두고 상하로 인접한 두 포스트를 상호 연결하는 커넥팅수단;
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선반은,
상하 인접한 두 포스트 간의 조립이 포스트 상단 및 하단에 구비된 볼트와 너트에 의해 상호 결합되고, 볼트와 너트가 포스트 외형의 가압에 의한 돌기들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견고하고 안정적인 선반 제작이 가능함은 물론, 제조 단가를 낮추어 시장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가장 큰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선반을 나타낸 정면 구성도,
도 2는 포스트 및 커넥팅수단을 보여주기 위한 입체 구성도,
도 3은 도 2의 단면 구성도,
도 4는 도 1의 "A"에 대한 요부 확대 단면 구성도,
도 5는 도 1의 "B"에 대한 요부 확대 단면 구성도,
도 6은 도 1의 "C"에 대한 요부 확대 단면 구성도,
도 7은 코너마감부재를 보여주기 위한 입체 구성도 및 평면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선반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를 기준으로 볼트 측을 상부 또는 상방, 너트 측을 하부 또는 하방이라고 방향을 특정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선반은,
크게 트레이(10), 포스트(20) 및 커넥팅수단(30)으로 이루어진다.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트레이(10)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의 판형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트레이(10)는 금속이나 합성수지, 또는 강화유리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트레이(10)는 적어도 둘 이상이 구비되어 상하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다.
포스트(2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인접한 두 트레이(10) 중 하부 측 트레이(10)의 네 모서리 영역 상면에 안착되고 상부 측 트레이(10)의 네 모서리 영역 하면을 지지하게 되도록 네 개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포스트(20)는 속이 빈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지며, 수납되는 대상물품의 크기나 설치 환경 등에 따라 적정 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넥팅수단(3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레이(10)를 사이에 두고 상하로 인접한 두 포스트(20)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트레이(10)의 네 모서리 영역에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인서트홀(31),
상기 포스트(20) 상단에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인서트홀(31)에 삽입되는 볼트(32), 그리고
상기 포스트(20) 하단에 은닉되게 구비되는 너트(33)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결국 상기 트레이(10)를 사이에 두고 상하로 인접한 두 포스트(20) 중 상부 측 포스트(20)의 너트(33)와 하부 측 포스트(20)의 볼트(32)가 상호 체결됨으로써, 두 포스트(20) 간의 상호 결합이 이루어지고, 이 두 포스트(20) 사이에 위치한 트레이(10)가 상기 볼트(32)와 너트(33) 간의 체결에 의한 상기 두 포스트(20)에 의해 가압 고정된다.
본 발명의 특징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볼트(32)의 하단에는 일체로 연결된 플레이트(321)가 구비되고,
상기 포스트(20)의 상부 측 내부에 상기 플레이트(321)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포스트(20) 상단 둘레를 따라 별도의 가압장치 등을 이용해 가압하여 형성된 제1탑서포트(21)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321)의 상단이 가압 지지되고,
상기 포스트(20) 외벽 둘레를 따라 별도의 가압장치 등을 이용해 가압하여 형성된 제2탑서포트(22)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321)의 하단이 가압 지지됨으로써, 결국 상기 각 탑서포트(21, 22)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321)가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또 본 발명의 특징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스트(20)의 하부 측 내부에 상기 너트(33)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포스트(20) 하단 둘레를 따라 별도의 가압장치 등을 이용해 가압하여 형성된 제1바텀서포트(23)에 의해 상기 너트(33)의 하단이 가압 지지되고,
상기 포스트(20) 외벽 둘레를 따라 별도의 가압장치 등을 이용해 가압하여 형성된 제2바텀서포트(24)에 의해 상기 너트(33)의 상단이 가압 지지됨으로써, 결국 상기 각 바텀서포트(23, 24)에 의해 상기 너트(33)가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상기 포스트(20)의 내부는 원형의 구멍으로서, 이에 맞게 상기 플레이트(321)와 상기 너트(33) 또한 원형의 디스크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볼트(32)에는 상기 플레이트(321)가 상기 제1탑서포트(21)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게 상기 플레이트(321)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둘 이상의 통기공(322)이 구비된다.
한편,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볼트(32)에는 상기 인서트홀(31)과 상응한 직경을 갖도록 확경된 원통형 인서트(323)가 더 형성되는데,
상기 인서트(323)는 상기 인서트홀(31)에 삽입되어 상기 트레이(10)의 흔들림 등의 움직임을 최소화시켜 좀 더 안정적으로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선반은 상기 인서트(323)에 끼워져 상기 트레이(10)의 모서리 영역에서 인접한 두 변(邊)을 감싸면서 상기 트레이(10)의 하부면을 받치게 되는 코너마감부재(40)를 더 포함하는데,
도 7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너마감부재(40)는
상기 인서트(323)에 끼워지게 되는 코너마감본체(41), 그리고
상기 코너마감본체(41)의 단부에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트레이(10)의 인접한 두 변을 감싸게 되는 돌기부(4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도 7의 [나]에서와 같이, 상기 코너마감부재(40)를 이용해 상기 트레이(10)에서 각진 네 모서리 영역을 감싸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함은 물론, 신체가 부딪혀 다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선반은 상기 포스트(20) 중 최상단에 위치한 포스트(20)의 볼트(32)에 체결되는 탑캡(50)과, 상기 포스트(20) 중 최하단에 위치한 포스트(20)의 너트(33)에 체결되는 바텀캡(60)을 더 포함하는데,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탑캡(50)은 하단에 너트가 은닉되는 캡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바텀캡(60)은 상단에 상방으로 노출되는 볼트가 구비되는 캡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바텀캡(60)의 하부면에는 별도의 이동용 바퀴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선반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스트(20)의 상단에 너트(33)가 구비되고, 상기 포스트(20)의 하단에 볼트(32)가 구비되도록 구현할 수 있는데, 결국 상기 포스트(20) 사용 시 180도 뒤집어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포스트(20)의 상단에 너트(33)가, 하단에 볼트(32)가 배치되게 세워서 사용하게 되면, 최하단의 포스트(20)의 볼트(32)가 바닥을 향하고 있기에 상기 바텀캡(60)은 이에 체결되도록 너트를 갖는 구조로 이루어질 것이고, 최상단의 포스트(20)의 너트(33)가 하늘을 향하고 있기에 상기 탑캡(50)은 이에 체결되도록 볼트를 갖는 구조로 이루어질 것이다.
상기 포스트(20)의 상단에 볼트(32)가 구비되는 경우, 이의 볼트(32)는 상부 측 포스트(20)의 너트(33)와 체결되어야 함은 물론 이들 사이로 상기 트레이(10)가 개재(介在)되어야 하기에 적정 높이를 가져야 하므로, 상방으로의 돌출 길이가 상당하여 천장이나 천장에 매달린 다른 물품 등에 간섭받을 수 있고, 마감을 위한 상기 탑캡(50) 또한 상당한 높이를 가져야 한다.
상기 포스트(20)의 상단에 너트(32)가 구비되는 경우, 특히 최상단에 위치한 포스트(20)의 상단에 너트(32)가 구비되는 경우, 마감을 위한 상기 탑캡(50)의 볼트 크기를 줄일 수 있어 높이를 낮출 수 있음은 물론, 천장이나 천장에 매달린 다른 물품 등에 간섭받을 수 있는 범위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조립식 선반"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트레이
20 : 포스트
21 : 제1탑서포트
22 : 제2탑서포트
23 : 제1바텀서포트
24 : 제2바텀서포트
30 : 커넥팅수단
31 : 인서트홀
32 : 볼트
321 : 플레이트
322 : 통기공
323 : 인서트
33 : 너트
40 : 코너마감부재
41 : 코너마감본체
42 : 돌기부
50 : 탑캡
60 : 바텀캡

Claims (6)

  1. 상하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수의 사각 트레이(10);
    상하로 인접한 두 트레이(10) 중 하부 측 트레이(10)의 네 모서리 영역 상면에 안착되고 상부 측 트레이(10)의 네 모서리 영역 하면을 지지하게 되는 네 개의 포스트(20); 및
    상기 트레이(10)를 사이에 두고 상하로 인접한 두 포스트(20)를 상호 연결하는 커넥팅수단(30);
    을 포함하는 조립식 선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수단(30)은
    상기 트레이(10)의 네 모서리 영역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인서트홀(31)과,
    상기 포스트(20) 상단에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인서트홀(31)에 삽입되는 볼트(32)와,
    상기 포스트(20) 하단에 은닉되게 구비되는 너트(33)
    로 이루어져,
    상기 트레이(10)를 사이에 두고 상하로 인접한 두 포스트(20) 중 상부 측 포스트(20)의 너트(33)와 하부 측 포스트(20)의 볼트(32)가 상호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선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32)의 하단에는 일체로 연결된 플레이트(321)가 구비되고,
    상기 포스트(20)의 상부 측 내부에 상기 플레이트(321)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포스트(20) 상단 둘레를 따라 가압하여 형성된 제1탑서포트(21)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321)의 상단이 지지되고, 상기 포스트(20) 외벽 둘레를 따라 가압하여 형성된 제2탑서포트(22)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321)의 하단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선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20)의 하부 측 내부에 상기 너트(33)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포스트(20) 하단 둘레를 따라 가압하여 형성된 제1바텀서포트(23)에 의해 상기 너트(33)의 하단이 지지되고, 상기 포스트(20) 외벽 둘레를 따라 가압하여 형성된 제2바텀서포트(24)에 의해 상기 너트(33)의 상단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선반.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32)에는 상기 인서트홀(31)과 상응한 직경을 갖도록 확경된 원통형 인서트(323)가 형성되고,
    상기 인서트(323)에 끼워져 상기 트레이(10)의 모서리 영역에서 인접한 두 변(邊)을 감싸면서 상기 트레이(10)의 하부면을 받치게 되는 코너마감부재(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선반.
  6.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20) 중 최상단에 위치한 포스트(20)의 볼트(32)에 체결되는 탑캡(50)과, 상기 포스트(20) 중 최하단에 위치한 포스트(20)의 너트(33)에 체결되는 바텀캡(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선반.
KR1020190095058A 2019-08-05 2019-08-05 조립식 선반 KR201901225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058A KR20190122597A (ko) 2019-08-05 2019-08-05 조립식 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058A KR20190122597A (ko) 2019-08-05 2019-08-05 조립식 선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5854 Division 2018-04-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2597A true KR20190122597A (ko) 2019-10-30

Family

ID=68463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5058A KR20190122597A (ko) 2019-08-05 2019-08-05 조립식 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2259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5724A (ko) 2021-10-19 2023-04-26 진흥용 조립식 선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0176Y1 (ko) 2001-04-19 2001-10-11 조문철 조립식 선반
KR20120124128A (ko) 2011-05-03 2012-11-13 이유정 선반 설치형 조립식 부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0176Y1 (ko) 2001-04-19 2001-10-11 조문철 조립식 선반
KR20120124128A (ko) 2011-05-03 2012-11-13 이유정 선반 설치형 조립식 부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5724A (ko) 2021-10-19 2023-04-26 진흥용 조립식 선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218097A (en) Connection means for tubular frameworks
US11199211B2 (en) Bracket pool with a detachable storage tray
EP2292858B1 (en) Fastening device for curtain wall units
US5305571A (en) Structural frame assembly
KR200476249Y1 (ko) 진열대 조립용 연결구
US7802404B2 (en) Connector for geodesic dome structures
AU2014101401B4 (en) A modular platform assembly and a method of assembling a modular platform
KR101067629B1 (ko) 파고라의 기둥구조
CN104350967A (zh) 一种可拼接的塑木花箱
KR20190122597A (ko) 조립식 선반
US1919439A (en) Display stand
KR101742299B1 (ko) 시설물 기둥 어셈블리
KR101029360B1 (ko) 파고라의 기둥구조
US11598116B1 (en) Mounting system for separating and connecting fencing slabs
KR20180003885A (ko) 조립식 책상 프레임
JP3205008U (ja) フェンス
KR102119014B1 (ko) 조립식 원형지붕과 이를 이용한 조립식 하우스
EP2775072B1 (en) Fence
KR200367283Y1 (ko) 시설물의 골조 조립구조
KR20150003516U (ko) 야외용 조립식 테이블
KR200406549Y1 (ko) 유리칸막이 테이블
JP6146914B2 (ja) 屋根構造及びカーポート
KR102635581B1 (ko) 모형 건축물 전시대
CN113006548B (zh) 厂房
KR200492205Y1 (ko) 확장이 용이한 시스템 선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