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6549Y1 - 유리칸막이 테이블 - Google Patents

유리칸막이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6549Y1
KR200406549Y1 KR2020050029112U KR20050029112U KR200406549Y1 KR 200406549 Y1 KR200406549 Y1 KR 200406549Y1 KR 2020050029112 U KR2020050029112 U KR 2020050029112U KR 20050029112 U KR20050029112 U KR 20050029112U KR 200406549 Y1 KR200406549 Y1 KR 2004065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plate
bolt
hollow portion
part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91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홍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광씨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광씨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광씨스템
Priority to KR20200500291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65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65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654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4Partition wa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7/00Writing-tables
    • A47B17/04Writing-tables with secret or fireproof compartments ; Trays or the like countersunk in the table top and obturable, e.g. by means of a roller or sliding shutter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수의 유리칸막이를 구비한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테이블의 상판(100)과, 내외측 다리파이프(110, 110')와, 상하부 구획판(120, 120') 및 중앙구획판(130)을 구비한 테이블의 칸막이에 있어서, 다수의 내측 수용홈(111)과 외측 수용홈(112)이 형성된 내외측 다리파이프(110, 110')와, 내외측 다리파이프(110, 110')에 일측부가 결합되는 수직프레임(140, 140')과, 상기 상하부 구획판(120, 120') 사이에 결합되는 수평프레임(150)과, 상기 수직프레임(140, 140')의 일측부 및 수평프레임(150)의 양 측부에 끼워지는 커버(160)와 좌우와 상하부에 플랜지(131)를 구비한 중앙구획판(130)과, 좌우와 상하부에 플랜지(121)를 갖춘 하부 구획판(120') 및, 상기 중앙구획판(130)의 상부 선단 일부에 올려지는 중앙 덮개판(170)으로 구성되어 유리칸막이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으면서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고, 외부 충격에 유리칸막이가 쉽게 파손되지 않으면서도 외관이 미려한 각별한 효과가 있다.
유리칸막이, 수직프레임, 수평프레임, 패널

Description

유리칸막이 테이블{Table with Glass Partition}
도 1은 종래 원형 칸막이 테이블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종래 원형 칸막이 테이블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유리칸막이 테이블을 나타낸 사시도,
도 4 내지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내외측 다리파이프의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 유리칸막이 테이블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하부 구획판의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 유리칸막이 테이블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수직프레임과 커버의 분해 사시도,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수평프레임과 커버의 분해 사시도,
도 14는 커버가 결합된 수직프레임의 단면도,
도 15는 커버가 결합된 수평프레임의 단면도,
도 16은 본 고안 유리칸막이 테이블의 평면도,
도 17은 본 고안 유리칸막이 테이블의 저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상판 101 : 구멍
110 : 내측 다리파이프 110' : 외측 다리파이프
111 : 내측 수용홈 112 : 외측 수용홈
113 : 설편 113a : 볼트구멍
120 : 상부 구획판 120' : 하부 구획판
121 : 플랜지 121a : 볼트구멍
122 : 볼트 123 : 상판 받침대
123' : 받침편 130 : 중앙 구획판
130a, 130b : 패널 131 : 플랜지
131' : 플랜지 연장부 131a : 볼트구멍
132 : 볼트 133 : 받침편
134 : 콘센트박스 140, 140' : 수직프레임
141 : 공간부 142 : 결합면
143 : 중공부 143a : 돌기부
144 : 볼트구멍 145 : 결합대
146 : 볼트 150 : 수평프레임
151 : 볼트구멍 152 : 결합대
153 : 제1중공부 153a : 돌기부
154 : 제2중공부 154a : 돌기부
154a' : 받침돌기 155 : 볼트
160 : 커버 161 : 밑면
162 : 수직부 162a : 돌기부
162b : 요홈 170 : 중앙 덮개판
180 : 캡
본 고안은 다수의 유리칸막이를 구비한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리칸막이를 용이하면서도 견고하게 고정하여 설치할 수 있는 유리칸막이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티션(Partition)이라고 하는 칸막이는 보통 사무환경 개선 및 독립적이 사무공간을 부여하고자 사무실 등의 공간을 구획하는 것으로, 소정의 두께를 갖는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패널과, 이 패널의 양측에 장착되는 프레임과, 설치 바닥면으로부터 패널을 세워 지지하기 위한 받침다리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프레임은 양 측면에 세로방향으로 마련되는데 여기에는 이웃하는 것들과 조립하기 위한 조립장치가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무실의 크기 및 환경에 따라 다수개의 조립식 칸막이를 서로 조립하여 공간을 구획하고 여기에 책상과 의자 등을 배치하면, 더욱 좋은 환경에서 사무처리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칸막이에 있어서 칸막이용 패널은 대개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 2장의 장방형 보드와 이들 사이에 채워진 충전재로 이루어지는 형태이 며, 이와 같은 보드 및 충전재의 재질은 다양한 종류로 제조되어 그 특성별로 사용 목적에 따라 적당한 것을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칸막이용 패널로는 일반적으로 석고보드 또는 합판과 같은 재질이 널리 사용되며, 내부 충전재로는 종이 또는 합성수지재의 허니컴이나 스티로폼, 글라스 울과 같은 재질을 사용한 것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칸막이는 필요에 따라 책상이나 테이블을 구획하는 곳에서도 사용되는데 칸막이용 패널이 석고보드 또는 합판과 같은 재질인 경우에는 설치에 별 어려움이 없으나 칸막이용 패널이 유리인 경우에는 설치에 많은 어려움을 수반하게 된다.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설치하기 용이한 "원형 칸막이 테이블"이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45497호로서 2004년 3월 9일자로 등록되어 그 등록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45497호 고안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3방향으로 외주면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어 다각형으로 배열된 다수의 포스트(2)와, 서로 인접한 포스트(2)의 마주보는 슬라이딩 홈에 양측 단이 끼워져 뒷부분을 막는 후판체(4)와, 상기 포스트(2)의 앞 측 슬라이딩 홈에 일 측 단이 끼워져 옆부분을 막는 측판체(6)와, 상기 후판체(4)와 상기 측판체(6) 사이에 수평으로 결합되는 상판(8)으로 구성되고, 상기 후판체(4)는 상기 상판(8)의 하측 부분 위치에 결합되어 상기 상판에 놓이는 물품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하측 후판(12)과, 상기 상판(8)의 상측 부분 위치에 결합되는 상측 후판(14)으로 이루어 지고, 상기 측판체(6)는 상기 상판(8)의 하측 부분 위치에 결합되며 앞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보조 포스트(16)가 결합되어 상기 상판에 놓이는 물품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하측 측판(18)과, 상기 상판(8)의 상측 부분 위치에 결합되어 옆의 사용자와 간섭되지 않게 하는 상측 측판(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후판체(4)의 하측 후판(12)의 양측면에는 상기 포스트(2)의 슬라이딩 홈(하측부)에 끼워지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걸림홈이 형성된 쫄대(26)가 고정부재(28)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상기 쫄대(26)는 하측 후판(12)의 하단에서 지면에 닿도록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후판체(4)의 상측 후판(14)의 양측면에는 상기 포스트(2)의 슬라이딩 홈(상측부)에 끼워지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걸림홈이 형성된 쫄대(30)가 고정부재(28)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상기 측판체(6)의 하측 측판(18)의 후측면에는 상기 포스트(2)의 슬라이딩 홈(하측부)에 끼워지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걸림홈이 형성된 쫄대(32)가 고정부재(도시안됨)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상기 쫄대(32)는 하측 측판(18)의 상단 및 하단에서 양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측판체(6)의 하측 측판(18)의 앞측면에는 상기 보조 포스트(16)가 고정대(34)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측판체(6)의 상측 측판(20)은 상기 하측 측판(18)의 상단면 및 상기 쫄대(32)의 상측 연장부에 고정되는 브라켓(35)에 끼워져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 "원형 칸막이 테이블"은 테이블의 칸막이로서 사용되는 불투명 유리판인 상측 측판(20)을 브라켓(35)에 끼워서 고정함으로써 구 성체의 조립 및 해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지만, 측판(20)을 브라켓(35)에 끼워서 고정하기 때문에 브라켓(35)에 의해 불투명 유리판인 상측 측판(20)이 손상될 우려가 있으며, 특히 상측 측판(20)의 선단부 중 극히 일부분만 브라켓(35)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이어서 상측 측판(20)이 견고하게 고정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고, 상측 측판(20)이 충격을 받으면 충격력이 브라켓(35)에 끼워진 부분의 측판(20)에만 집중되어 그 부분이 쉽게 파손된다고 하는 결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브라켓(35)으로 인해 외관이 미려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유리칸막이를 용이하게 고정하여 설치할 수 있는 유리칸막이 테이블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유리칸막이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유리칸막이 테이블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외부 충격에 유리칸막이가 쉽게 파손되지 않으면서도 외관이 미려한 유리칸막이 테이블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 유리칸막이 테이블은 테이블의 상판과, 내외측 다리파이프와, 상하부 구획판 및 중앙 구획판을 구비한 테이블의 칸막이에 있어서, 다수의 내측 수용홈과 외측 수용홈이 형성된 내외측 다리파이프와, 내외측 다리파이프에 일측부가 결합되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상하부 구획판 사이에 결합되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일측부 및 수평프레임의 양 측부에 끼 워지는 커버와, 좌우와 상하부에 플랜지를 구비한 중앙 구획판과, 좌우와 상하부에 플랜지를 갖춘 하부 구획판 및, 상기 중앙 구획판의 상부 선단 일부에 올려지는 중앙 덮개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 유리칸막이 테이블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 유리칸막이 테이블을 나타낸 사시도, 도 4 내지 도 8는 는 본 고안에 따른 내외측 다리 파이프의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 유리칸막이 테이블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하부 구획판의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 유리칸막이 테이블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수직프레임과 커버의 분해 사시도,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수평프레임과 커버의 분해 사시도, 도 14는 커버가 결합된 수직프레임의 단면도, 도 15는 커버가 결합된 수평프레임의 단면도, 도 16은 본 고안 유리칸막이 테이블의 평면도, 도 17은 본 고안 유리칸막이 테이블의 저면도로서, 도3 내지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 유리칸막이 테이블은 테이블의 상판(100)과, 내외측 다리파이프(110, 110')와, 상하부 구획판(120, 120') 및 중앙 구획판(130)을 구비한 칸막이 테이블에 있어서, 내측 수용홈(111)과 외측 수용홈(112)이 형성된 내외측 다리파이프(110, 110')와, 내외측 다리파이프(110, 110')에 일측부가 결합되는 수직프레임(140, 140')과, 상기 상하부 구획판(120, 120') 사이에 결합되는 수평프레임(150)과, 상기 수직프레임(140, 140')의 일측부 및 수평프레임(150)의 양 측부에 길이방 향을 따라 끼워지는 커버(160)와, 좌우와 상하부에 플랜지(131)를 구비한 중앙 구획판(130)과, 좌우와 상하부에 플랜지(121)를 갖춘 하부 구획판(120') 및, 상기 중앙 구획판(130)의 상부 선단 일부에 올려지는 중앙 덮개판(170)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4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내외측 다리파이프(110, 110')에는 내측 수용홈(111)과 외측 수용홈(112)이 형성되어 있고, 내측 다리파이프(110)와 외측 다리파이프(110')의 외측 수용홈(112)에 도 9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편(113)이 삽입되어 설편(113)의 볼트구멍(113a)에 좌우측 플랜지(121)에 형성된 볼트구멍(121a)을 통해 볼트(122)가 체결되어 내외측 다리파이프(110, 110') 사이에 하부 구획판(120')이 설치되고, 이와 마찬가지로 내측 다리파이프(110) 들 사이에는 중앙 구획판(130)이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중앙 구획판(130)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좌우에 플랜지(131)를 구비한 패널(130a)과 중앙 덮개판(170)을 얹어 설치하기 위한 패널(130b)로 구성되며, 상기 패널(130a)의 중앙부 좌우에는 패널의 일부를 절개하여 패널에 수직으로 절곡시킨 볼트구멍(131a)을 갖는 받침편(133)이 형성되어 있고, 그 아래의 패널(130a)에는 전원및 통신용 콘센트가 내장되는 콘센트박스(134)가 볼트와 너트의 체결로 설치되어 있다. 하부 플랜지(131)의 연장부(131')에 다수의 볼트구멍(131a)이 형성되어 있어서, 하측 플랜지(131)의 연장부(131')에 상기 패널(130b)의 하부 선단부가 다수의 볼트구멍(131a)을 통해 볼트(132)가 체결됨으로써 고정 설치되어 패널(130b)의 상부 선단에 중앙 덮개판(170)에 얹혀져 설치되어 있다.
상기 내외측 다리파이프(110, 110') 사이에 설치되는 하부 구획판(120')은 도 9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좌우에 플랜지(121)를 구비한 것으로서 좌우측 플랜지(121)는 패널의 선단부가 전면을 향하여 직각으로 절곡되어 절곡면에 다수의 볼트구멍(121a)이 형성되고 절곡된 선단부가 다시 패널과 평행하게 패널을 향하여 직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것이고, 하측 플랜지(121)는 패널의 선단부가 전면을 향하여 직각으로 절곡되고 절곡된 선단부가 다시 패널과 평행하게 패널을 향하여 직각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진 것이며, 상측 플랜지(121)는 패널의 선단부가 전면을 향하여 직각으로 절곡되어 절곡면에 다수의 볼트구멍(121a)이 형성되고 절곡된 선단부가 다시 패널과 형행하게 패널을 향하여 직각으로 절곡되어 절곡된 선단부가 또 다시 전면을 향하여 직각으로 절곡되어 다수의 볼트구멍(121a)이 형성된 상판 받침대(123)를 이루고 있고, 상판 받침대(123)의 반대편에는 패널의 일부를 절개하여 패널에 수직으로 절곡시킨 볼트구멍(121a)을 갖는 다수의 받침편(123')이 형성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다리파이프의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내외측 다리파이프(110, 110')는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즉,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내측 수용홈(111) 6개 또는 4개와 외측 수용홈(112) 6개 또는 4개가 형성된 내외측 다리파이프(110, 110')와 같이 내외측 수용홈(111, 112)의 수효를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수용홈(111) 없이 외측 수용홈(112) 만을 형성한 것이어도 되며,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수용홈(111)과 외측 수용홈(112)이 없는 원통관이어도 된다.
도 12와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직프레임(140, 140')은 내측 다리파이프(110)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밀착되는 중앙에 공간부(141)를 갖는 결합면(142)과, 결합면(142)의 반대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부(143)가 형성되어 다수의 볼트구멍(144)이 형성된 결합대(145)에 의해 상기 공간부(141)와 중공부(143)가 분리됨과 동시에, 선단이 상기 중공부(143) 측으로 돌출된 돌기부(143a)가 형성되어 있다.
도 13과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평프레임(150)은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볼트구멍(151)이 형성된 결합대(152)에 의해 분리되는 제1,2중공부(153, 154)가 형성되고, 제1중공부(153)측 선단이 제1중공부(153) 측으로 돌출된 돌기부(153a)가, 제2중공부(154)의 선단측에 받침돌기(154a')가 형성됨과 동시에, 선단이 제2중공부(154) 측으로 돌출된 돌기부(154a)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커버(160)는 밑면(161)에 직각으로 절곡되어 양측면 수직부(162)가 형성되어 있고, 선단이 바깥측으로 돌출되어 돌기부(162a)를 이루며, 상기 돌기부(162a) 아래의 양측면 수직부(162)의 외주면에 상기 수직프레임(140)의 돌기부(143a) 또는 수평프레임(150)의 돌기부(153a, 154a)가 삽입되는 요홈(162b)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160)가 삽입된 수직프레임(140, 140')과 수평프레임(150)에는 상부 구획판(120)의 선단이 끼워져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상부 구획판(120)은 불투명 유리재로 되어 잇으나 목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 것으로서, 상부 내측 다리파이프(110) 각각의 수직프레임(140)에 끼워져 설치된 커버(160)의 양측면 수직부(162) 사이에 유리칸막이인 상부 구획판(120)의 일측 선단부를 끼우고 동시에, 타측 선단부 일부는 상기 외측 다리파이프(110') 각각의 수직프레임(140')에 끼워져 설치된 커버(160)의 양측면 수직부(162) 사이에 끼우며, 상기 상부 구획판(120)의 하단 선단부는 수평프레임(150)에 끼워져 설치된 커버(160)의 양측면 수직부(162)에 사이에 끼워져 상부 구획판(120)이 유리칸막이로서 설치되어 있다.
도 16과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 구획판(130)의 받침편(133)과 하부 구획판(120')의 받침편(123') 및 상판 받침대(123)에는 상판(100)이 올려져 고정되어 있다. 즉, 상판(100)의 이면측 선단부는 중앙 구획판(130)의 받침편(133)에 얹혀진 상태로 볼트구멍(131a)을 통해 볼트(132)로 체결되고, 상판(100)의 우측 선단부는 하부 구획판(120')의 받침편(123')에 얹혀진 상태로 볼트구멍(121a)을 통해 볼트(122)로 체결되며, 상판(100)의 좌측 선단부는 하부 구획판(120')의 상판 받침대(123)에 얹혀진 상태로 볼트구멍(121a)을 통해 볼트(122)가 체결되어 상판(100)이 고정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101은 전원선 또는 통신용 케이블을 콘센트에 연결하기 위해 상판(100)에 뚫은 놓은 구멍이고, 180은 내외측 나리파이프(110, 110')의 상부 선단에 씌워지는 캡이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유리칸막이 테이블의 조립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내측 다리파이프(110)들 사이에 중앙 구획판(130)을 설치한다. 즉, 내측 다리파이프(110)의 외측 수용홈(112)에 설편(113)을 삽입하여 설편(113)에 형성되어 있는 볼트구멍(113a)에 중앙 구획판(130)의 좌우측 플랜지(131)에 형성된 볼트구멍(131a)를 통해 볼트(132)를 체결하고, 하측 플랜지(131)의 연장부(131')에 패널(130b)을 세워 볼트구멍(131a)을 통해 볼트(132)를 체결하여 내측 다리파이프(110)들 사이에 중앙 구획판(130)의 설치한다.
다음으로 내측 다리 파이프(110)의 외측 수용홈(112)에 설편(113)을 삽입하여 설편(113)의 볼트구멍(113a)에 좌측 플랜지(121)에 형성된 볼트구멍(121a)을 통해 볼트(122)를 체결하고, 외측 다리파이프(110')의 외측 수용홈(112)에 설편(113)을 삽입하여 설편(113)의 볼트구멍(113a)에 우측 플랜지(121)에 형성된 볼트구멍(121a)을 통해 볼트(122)를 체결하여 내측 다리 파이프(110)의 하부와 외측 다리파이프(110') 사이에 하부 구획판(120')을 설치한다.
계속하여 각각의 내측 다리파이프(110) 상부의 외측 수용홈(112)에 설편(113)을 삽입하여 설편(113)의 볼트구멍(113a)에 수직프레임(140)의 결합대(145)에 형성된 볼트구멍(144)을 통해 볼트(146)를 체결하여 내측 다리파이프(110) 상부에 수직프레임(140)을 설치함과 동시에 이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외측 다리파이프(110')의 상단부에 수직프레임(140')을 설치 하고, 상기 수직프레임(140)의 중공부(143)에 커버(160)를 설치하는데, 커버(160)의 밑면(161)이 수직프레임(140)의 결합대(145)에 맞닫고 수직프레임(140)의 돌기부(142a)가 커버(160)의 요홈(162b) 끼워지도록 수직프레임(140)의 중공부(143)에 커버(160)를 삽입하여 설치한다.
이어 수평프레임(150)의 제1중공부(153)에는 커버(160)를 끼워 설치하는데 커버(160)의 밑면(161)이 수평프레임(150)의 결합대(152)에 맞닫고 수평프레임(150)의 돌기부(153a)가 커버(160)의 요홈(162b) 끼워지도록 수평프레임(150)의 제1중공부(153)에 커버(160)를 삽입하여 설치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제1중공부(153)에 커버(160)가 설치된 수평프레임(150)을 상기 하부 구획판(120') 상부에 설치하는데, 하부 구획판(120') 상부 플랜지(121)에 형성된 볼트구멍(121a)과 수평프레임(150)의 결합대(152)에 형성된 볼트구멍(151)을 통해 볼트(155)를 체결함으로써 하부 구획판(120') 상부에다 수평프레임(150)을 설치하고, 상기 수평프레임(150)의 제2중공부(154)에 커버(160)를 설치하는데, 커버(160)의 밑면(161)이 받침돌기(154a')에 맞닫고 수평프레임(150)의 돌기부(154a)가 커버(160)의 요홈(162b) 끼워지도록 수평프레임(150)의 제2중공부(154)에 커버(160)를 삽입하여 설치한다.
그 후 상부 내측 다리파이프(110) 각각의 수직프레임(140)에 끼워져 설치된 커버(160)의 양측면 수직부(162) 사이에 유리칸막이인 상부 구획판(120)의 일측 선단부를 끼우고 동시에, 타측 선단부 일부는 상기 외측 다리파이프(110) 각각의 수직프레임(140')에 끼워져 설치된 커버(160)의 양측면 수직부(162) 사이에 끼우며, 상기 상부 구획판(120)의 하단 선단부는 수평프레임(150)에 끼워져 설치된 커버(160)의 양측면 수직부(162)에 사이에 끼워 상부 구획판(120)을 유리칸막이로서 설치한다.
다음으로 중앙 구획판(130)의 받침편(133)과 하부 구획판(120')의 받침편 (123') 및 상판 받침대(123)에 상판(100)을 올려 고정한다. 즉, 상판(100)의 이면측 선단부는 중앙 구획판(130)의 받침편(133)에 얹혀진 상태로 볼트구멍(131a)을 통해 볼트(132)를 체결하고, 상판(100)의 우측 선단부는 하부 구획판(120')의 받침편(123')에 얹혀진 상태로 볼트구멍(121a)을 통해 볼트(122)를 체결하며, 상판(100)의 좌측 선단부는 하부 구획판(120')의 상판 받침대(123)에 얹혀진 상태로 볼트구멍(121a)을 통해 볼트(122)를 체결하여 상판(100)을 설치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내외측 다리파이프(110, 110')의 상단부에 캡(101)를 씌움으로써 유리칸막에 테이블의 조립을 완료한다.
지금까지 본 고안은 테이블을 예로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고안의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유리칸막이를 필요로 하는 책상 등에도 그대로 채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작용하는 본 고안 유리칸막이 테이블은 유리칸막이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으면서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고, 외부 충격에 유리칸막이가 쉽게 파손되지 않으면서도 외관이 미려한 각별한 효과가 있다.

Claims (9)

  1. 테이블의 상판(100)과, 내외측 다리파이프(110, 110')와, 상하부 구획판(120, 120') 및 중앙구획판(130)을 구비한 테이블의 칸막이에 있어서, 다수의 내측 수용홈(111)과 외측 수용홈(112)이 형성된 내외측 다리파이프(110, 110')와, 내외측 다리파이프(110, 110')에 일측부가 결합되는 수직프레임(140, 140')과, 상기 상하부 구획판(120, 120') 사이에 결합되는 수평프레임(150)과, 상기 수직프레임(140, 140')의 일측부 및 수평프레임(150)의 양 측부에 끼워지는 커버(160)와 좌우와 상하부에 플랜지(131)를 구비한 중앙구획판(130)과, 좌우와 상하부에 플랜지(121)를 갖춘 하부 구획판(120') 및, 상기 중앙구획판(130)의 상부 선단 일부에 올려지는 중앙 덮개판(17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칸막이 테이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다리파이프(110, 110')에는 다수의 내측 수용홈(111)과 외측 수용홈(112)이 형성되어 있고, 내측 다리파이프(110)의 외측 수용홈(112)에 설편(113)이 삽입되어 설편(113)의 나사구멍(113a)에 패널(130a)의 좌우측 플랜지(131)에 형성된 볼트구멍(131a)을 통해 볼트(132)가 체결되고, 다수의 볼트구멍(131a)이 형성되어 있는 하측 플랜지(131)의 연장부(131')에 패널(130b)의 하부 선단부가 다수의 볼트구멍(131a)을 통해 볼트(132)로 고정 설치되어 패널(130b)의 상부 선단에 중앙 덮개판(170)에 얹혀져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칸막이 테이블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외측 다리파이프(110, 110')에는 다수의 내측 수용홈(111)과 외측 수용홈(112)이 형성되어 있고, 내측 다리파이프(110)와 외측 다리파이프(110')의 외측 수용홈(112)에 설편(113)이 삽입되어 설편(113)의 볼트구멍(113a)에 좌우측 플랜지(121)에 형성된 볼트구멍(121a)을 통해 볼트(122)가 체결되어 내외측 다리파이프(110, 110') 사이에 하부 구획판(12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칸막이 테이블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내외측 다리파이프(110, 110')에 내측 수용홈 없이 다수의 외측 수용홈(112)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칸막이 테이블
  5.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내외측 다리파이프(110, 110')가 내외측 수용홈 없는 원통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칸막이 테이블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140, 140')은 내외측 다리파이프(110, 110')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밀착되는 중앙에 공간부(141)를 갖는 결합면(142)과, 결합면(142)의 반대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부(143)가 형성되어 다수의 볼트구멍(144)이 형성된 결합대(145)에 의해 상기 공간부(141)와 중공부(143)가 분리됨과 동시에, 선단이 상기 중공부(142) 측으로 돌출된 돌기부(142a)가 형성되며, 상기 내외측 다리파이프(110, 110')의 외측 수용홈(112)에 설편(113)이 삽입되어 설편(113)의 볼트구멍(113a)에 수직프레임(140)의 결합대(145)에 형성된 볼트구멍(144)을 통해 볼트(146)를 체결하여 내외측 다리파이프(110, 110')에 수직프레임(140, 140')이 설치되고, 상기 커버(160)의 밑면(161)이 수직프레임(140, 140')의 결합대(145)에 맞닫고 수직프레임(140)의 돌기부(142a)가 커버(160)의 요홈(162b) 끼워지도록 수직프레임(140)의 중공부(143)에 커버(160)가 삽입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칸막이 테이블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150)은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볼트구멍(151)이 형성된 결합대(152)에 의해 분리되는 제1,2중공부(153, 154)가 형성되고, 제1중공부(153)측 선단이 제1중공부(153) 측으로 돌출된 돌기부(153a)가, 제2중공부(154)의 선단측에 받침돌기(154a')가 형성됨과 동시에, 선단이 제2중공부(154) 측으로 돌출된 돌기부(154a)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커버(160)의 밑면(161)이 수평프레임(150)의 결합대(152)에 맞닫고 수평프레임(150)의 돌기부(153a)가 커버(160)의 요홈(162b)에 끼워지도록 수평프레임(150)의 제1중공부(153)에 커버(160)가 삽입설치되고, 제1중공부(153)에 커버(160)가 설치된 수평프레임(150)의 결합대(152)에 형성된 볼트구멍(151)과 하부 구획판(120') 상부 플랜지(121)에 형성된 나사구멍(121a)을 통해 볼트(155)의 체결로 하부 구획판(120') 상부에 수평프레임(150)이 설치되며, 상기 커버(160)의 밑면(161)이 받침돌기(154a')에 맞닫고 수평프레임(150)의 돌기부(154a)가 커버(160)의 요홈(162b) 끼워지도록 수평프레임(150)의 제 2중공부(154)에 커버(160)가 삽입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칸막이 테이블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내외측 다리파이프(110, 110')에 설치되는 상기 수직프레임(140, 140)의 중공부(142)에 삽입설치된 커버(160)의 양측면 수직부(162) 사이 및 상기 수평프레임(150)의 제2중공부(154)에 삽입설치된 커버(160)의 양측면 수직부(162) 사이에 유리칸막이의 선단이 삽입되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칸막이 테이블
  9. 제 1항에 있어서, 상판(100)의 이면측 선단부가 중앙 구획판(130)의 받침편(133)에 얹혀진 상태로 볼트구멍(131a)을 통해 볼트(132)가 체결되고, 상판(100)의 우측 선단부는 하부 구획판(120')의 받침편(123')에 얹혀진 상태로 볼트구멍(121a)을 통해 볼트(122)를 체결되며, 상판(100)의 좌측 선단부는 하부 구획판(120')의 받침대(123)에 얹혀진 상태로 볼트구멍(121a)을 통해 볼트(122)의 체결로 상판(10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칸막이 테이블
KR2020050029112U 2005-10-12 2005-10-12 유리칸막이 테이블 KR2004065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112U KR200406549Y1 (ko) 2005-10-12 2005-10-12 유리칸막이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112U KR200406549Y1 (ko) 2005-10-12 2005-10-12 유리칸막이 테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6549Y1 true KR200406549Y1 (ko) 2006-01-23

Family

ID=41758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9112U KR200406549Y1 (ko) 2005-10-12 2005-10-12 유리칸막이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654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666U (ko) * 2018-04-17 2019-10-25 금성에이스산업(주) 평면 형태 외관 파이프 랙 시스템 및 상기 평면 형태 외관 파이프 랙 시스템을 구성하는 평면 형태 외관 형성 사각 랙 파이프 및 랙 파이프 연결용 사각 조인트
KR20210133745A (ko) * 2020-04-29 2021-11-08 민성윤 독서실용 부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666U (ko) * 2018-04-17 2019-10-25 금성에이스산업(주) 평면 형태 외관 파이프 랙 시스템 및 상기 평면 형태 외관 파이프 랙 시스템을 구성하는 평면 형태 외관 형성 사각 랙 파이프 및 랙 파이프 연결용 사각 조인트
KR200491006Y1 (ko) * 2018-04-17 2020-02-05 금성에이스산업(주) 평면 형태 외관 파이프 랙 시스템 및 상기 평면 형태 외관 파이프 랙 시스템을 구성하는 평면 형태 외관 형성 사각 랙 파이프 및 랙 파이프 연결용 사각 조인트
KR20210133745A (ko) * 2020-04-29 2021-11-08 민성윤 독서실용 부스
KR102419438B1 (ko) * 2020-04-29 2022-07-11 민성윤 독서실용 부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19169A (ko) 조립선반용의 코너 브라켓
US10327541B2 (en) Bar section for a portable modular bar
KR200416201Y1 (ko) 조립구조를 갖는 놀이방의 울타리
EP0247129A1 (en) Panel structures
KR200406549Y1 (ko) 유리칸막이 테이블
KR200168537Y1 (ko) 파티션 연결구조
JP4635647B2 (ja) 家具の脚装置
JP2015104584A (ja) 組立式デスク
JPH10205178A (ja) フェンス
JP2004124685A (ja) 太陽電池板取り付け用枠部材
JP4749853B2 (ja) 組立式デスク
JPS6144662Y2 (ko)
KR200494494Y1 (ko) 테이블 다리 조립구조
KR20090010039U (ko) 판넬과 판넬을 수직, 수평하게 연결하여 조립하는 조립식가구
KR200345497Y1 (ko) 원형 칸막이 테이블
KR200184697Y1 (ko) 방음판
KR200400120Y1 (ko) 베이스플레이트와 지주대의 결합구조
KR102480059B1 (ko) 타일데크블럭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타일데크블럭 구조체
JP4972759B2 (ja) 天板連結構造、及びこれを用いることが可能な家具及び天板連結具の組
CN207944738U (zh) 一种集装板房
JPH0727877Y2 (ja) 机等における衝立パネル取付構造
KR100929008B1 (ko) 테이블을 이용한 공간분할기구
CN215532411U (zh) 一种拼装桌子
CN212456419U (zh) Led格栅屏组件
JP2534124Y2 (ja) 机とテーブルの連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