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20Y1 - 베이스플레이트와 지주대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베이스플레이트와 지주대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20Y1
KR200400120Y1 KR20-2005-0021788U KR20050021788U KR200400120Y1 KR 200400120 Y1 KR200400120 Y1 KR 200400120Y1 KR 20050021788 U KR20050021788 U KR 20050021788U KR 200400120 Y1 KR200400120 Y1 KR 2004001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stand
support
coupl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17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재
Original Assignee
(주)삼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화 filed Critical (주)삼화
Priority to KR20-2005-00217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1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01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9/00Reading-desks; Lecterns; Pulpits, i.e. free-standing
    • A47B19/002Free-standing music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9/00Reading-desks; Lecterns; Pulpits, i.e. free-standing
    • A47B19/002Free-standing music stands
    • A47B2019/004Free-standing music stands with adjustable fe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04Not free-standing music stands

Landscapes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싸인스탠드나 마이크스탠드, 보면대스탠드 등의 베이스플레이트와 지주대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플레이트, 연결부재 및 지주대를 하나의 체결나사로 결합함에 있어, 베이스플레이트 상측으로 관통공이 형성된 결합홈을 돌출형성시켜 체결나사의 결합시 체결나사의 머리부가 결합홈 내에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베이스플레이트의 두께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마이크스탠드나, 보면대스탠드 등을 사용함에 있어서 보다 안정적인 구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베이스플레이트와 지주대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베이스플레이트와 지주대의 결합구조는, 사인스탠드나 마이크스탠드, 보면대스탠드 등의 베이스플레이트와 지주대를 견고히 결합하기 위한 베이스플레이트와 지주대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관통공이 형성된 결합홈이 상측으로 돌출형성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베이스플레이트의 결합홈 상으로 안착되며 내부에 안내공이 형성되는 연결부재와, 연결부재 상으로 끼워지며 하측에 나사공이 형성되는 지주대와, 베이스플레이트의 관통공, 연결부재의 안내공을 차례로 관통하여 지주대의 나사공에 결합되며, 그 머리부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결합홈에 수용되는 체결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베이스플레이트와 지주대의 결합구조{CONNECTING STRUCTURE OF BASEPLATE AND POLE}
본 고안은 싸인스탠드나, 마이크스탠드, 보면대스탠드 등의 베이스플레이트와 지주대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연결부재 및 지주대를 하나의 체결나사로 고정함에 있어, 베이스플레이트 상측으로 관통공이 형성된 결합홈을 돌출형성시켜 체결나사의 결합시 체결나사의 머리부가 결합홈 내에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베이스플레이트의 두께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싸인스탠드나 마이크스탠드, 보면대스탠드 등을 사용함에 있어서 보다 안정적인 구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베이스플레이트와 지주대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싸인스탠드나 마아크스탠드, 보면대스탠드 등의 기구는 지지면을 형성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주대가 서로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통상의 베이스플레이트와 지주대의 결합구조의 경우에는, 베이스플레이트 상에 형성된 관통공과 지주대의 하단에 형성되는 나사공을 일치시킨 후, 베이스플레이트의 관통공으로 체결나사를 끼워 지주대의 나사공에 체결시키게 되는데, 이 경우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체결나사의 머리부이다.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부면은 바닥면과 변접촉되는 관계로, 체결나사의 머리부가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부면으로부터 돌출될 수는 없으므로, 체결나사의 머리부가 수용될 홈이 베이스플레이트에 일체로 형성되어야만 한다.
이러한 경우, 베이스플레이트의 두께는 적어도 체결나사의 머리부보다는 더 두꺼워질 수밖에 없는데, 이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를 필요 이상 두껍게 만들 경우에는 재료비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베이스플레이트가 필요 이상으로 무거워져 소정 장소로의 운반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도 있다.
또한, 베이스플레이트와 지주대를 직접 결합할 경우에는 결합구조가 견고하지 못해, 베이스플레이트와 지주대의 결합부위가 파손되기 쉬운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싸인스탠드나 마이크스탠드, 보면대스탠드 등의 베이스플레이트, 연결부재 및 지주대를 하나의 체결나사로 결합함에 있어, 베이스플레이트 상측으로 관통공이 형성된 결합홈을 돌출형성시켜 체결나사의 결합시 체결나사의 머리부가 결합홈 내에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베이스플레이트의 두께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싸인스탠드나 마이크스탠드, 보면대스탠드 등을 사용함에 있어서 보다 안정적인 구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베이스플레이트와 지주대의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싸인스탠드나 마이크스탠드, 보면대스탠드 등의 베이스플레이트와 지주대를 견고히 결합하기 위한 베이스플레이트와 지주대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관통공이 형성된 결합홈이 상측으로 돌출형성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베이스플레이트의 결합홈 상으로 안착되며 내부에 안내공이 형성되는 연결부재와, 연결부재 상으로 끼워지며 하측에 나사공이 형성되는 지주대와, 베이스플레이트의 관통공, 연결부재의 안내공을 차례로 관통하여 지주대의 나사공에 결합되며, 그 머리부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결합홈에 수용되는 체결나사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베이스플레이트 상에는 2개의 결합홈이 형성되며, 전술한 지주대는 전술한 결합홈에 각각 결합되는 2개의 수직봉이 수평연결대에 의해 서로 연결고정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본 고안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베이스플레이트, 연결부재 및 지주대의 재질은 금속 재질인 것으로 한다.
이하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플레이트(10)와 지주대(30)의 결합구조(1)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플레이트(10)와 지주대(30)의 결합구조(1)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3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플레이트(10)와 지주대(30)의 결합구조(1)의 부분확대 단면도가 도시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플레이트(10)와 지주대(30)의 결합구조(1)는 싸인스탠드나 마이크스탠드, 보면대스탠드 등의 베이스플레이트(10)와 지주대(30)를 견고히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관통공(14)이 형성된 결합홈(12)이 상측으로 돌출형성되는 베이스플레이트(10)와, 베이스플레이트(10)의 결합홈(12) 상으로 안착되며 내부에 안내공(22)이 형성되는 연결부재(20)와, 연결부재(20) 상으로 끼워지며 하측에 나사공(38)이 형성되는 지주대(30)와, 베이스플레이트(10)의 관통공(14), 연결부재(20)의 안내공(22)을 차례로 관통하여 지주대(30)의 나사공에 결합되며, 그 머리부가 베이스플레이트(10)의 결합홈(12)에 수용되는 체결나사(40)를 포함한다.
여기서, 베이스플레이트(10)는 싸인스탠드나 마이크스탠드, 보면대스탠드 등의 기구의 하부구조를 형성함과 동시에 전술한 기구들의 하부구조가 견고하게 무게중심을 잡고 지면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측으로는 관통공(14)이 형성된 결합홈(12)이 돌출형성된다.
베이스플레이트(10)는 지주대(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전술한 기구들이 무게중심을 잃고 넘어지지 않도록, 무거운 중량의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베이스플레이트(10)의 상측으로는 관통공(14)이 형성된 결합홈(12)이 돌출형성되는데, 이 결합홈(12)은 차후에 설명될 연결부재(20) 내로 끼워지는 돌출부를 형성하는 한편, 차후에 설명될 체결나사(30)의 머리부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그 상부면 상에는 체결나사(30)가 관통되는 관통공(14)이 형성된다. 결합홈(12)은 지주대(30)의 형상에 상응하게 1개 또는 다수개로 돌출형성된다.
전술한 베이스플레이트(10)의 경우, 체결나사(30)의 머리부가 수용될 결합홈(12)이 상측으로 돌출형성됨에 따라, 비교적 얇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베이스플레이트(10)의 결합홈(12) 상으로는 연결부재(20)가 안착되는데, 이 연결부재(20)는 전술한 베이스플레이트(10)와 차후에 설명될 지주대(30) 사이에 개재되어, 전술한 베이스플레이트(10)와 지주대(30)가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양자간의 결합부위를 보강하는 것으로, 그 내부에는 차후에 설명될 체결나사(40)가 관통되는 안내공(22)이 형성된다.
연결부재(20)는 차후에 설명될 지주대(30)가 베이스플레이트(10)에 대해 안정적으로 수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부로 갈수록 테이퍼진 형상을 가지며, 안내공(22)이 형성된 중앙격벽을 기준으로, 하측으로는 전술한 베이스플레이트(10)의 결합홈(12)이 끼워지고, 상측으로는 지주대(30)의 하단이 끼워진다.
또한, 연결부재(20)는 견고한 결합을 위해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안내공(22)은 체결나사(40)가 관통될 수 있도록 베이스플레이트(10)의 결합홈(12)에 형성되는 관통공(14)에 일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연결부재(20) 상으로는 지주대(30)가 끼워져 설치되는데, 이 지주대(30)는 전술한 베이스플레이트(10)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어 예를 들어, 옷, 악보, 마이크와 같은 물품들이 소정높이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연결부재(20) 상으로 끼워지는 하측에는, 차후에 설명될 체결나사(40)가 결합될 나사공(38)이 형성된다.
여기서 전술한 베이스플레이트(10) 상에는 2개의 결합홈(12)이 형성되며, 전술한 지주대(30)는 전술한 결합홈(12)에 각각 결합되는 2개의 수직봉(32)과, 수직봉(32)을 연결 고정하는 1개의 수평연결대(34)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주대(30)는 일측에 대해 타측이 상하로 슬라이딩가능하게 형성되어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경우에는 체결을 통해 일측에 대한 타측의 슬라이딩 상태를 안정적으로 고정함과 동시에, 해제를 통해 일측에 대한 타측의 슬라이딩을 가능하게 하는 고정나사(36)를 포함한다.
지주대(3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나사공(38)은 체결나사(40)가 관통될 수 있도록 베이스플레이트(10)의 결합홈(12)에 형성되는 관통공(14)과, 연결부재(20)에 형성된 안내공(22)에 일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베이스플레이트(10)의 관통공(14), 연결부재(20)의 안내공(22)으로는 체결나사(40)가 차례로 관통하여 전술한 지주대(30)의 나사공(38)에 결합되는데, 이 체결나사(40)는 베이스플레이트(10), 연결부재(20) 및 지주대(30)를 일체로 결합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머리부는 베이스플레이트(10)의 결합홈(12) 내에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체결나사(40)는 일반 나사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육각렌치에 의해 풀고 조일수 있는 육각렌치볼트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작하다.
도 4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플레이트(10)와 지주대(30)의 결합구조(1)의 사용상태도가 도시되고, 도 5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플레이트(10)와 지주대(30)의 결합구조(1')의 사용상태도가 도시되며, 도 6에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플레이트(10)와 지주대(30)의 결합구조(1')의 사용상태도가 도시된다.
베이스플레이트(10)와 지주대(30)의 결합구조(1)는, 지주대(30)의 형상 및 지주대(30)의 상단에 결합되는 구조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제품으로 활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도 4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2개의 수직봉(32)이 1개의 수평연결대(34)에 의해 연결 고정된 형태의 지주대(30)가 사용되고, 이 지주대(30)의 상단에 보면대(100)가 설치될 경우에는, 악기 연주시에 악보를 올려놓고 활용할 수 있으며, 도 5 또는 도 6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1개의 수직봉만으로 형성되는 형태의 지주대(30)가 사용되고, 이 지주대(30)의 상단에 싸인판넬(200)이 설치될 경우 싸인스탠드로 활용될 수 있으며, 마이크(300)가 설치될 경우에는 마이크스탠드로 활용될 수도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베이스플레이트(10)와 지주대(30)의 결합순서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관통공(14)이 형성된 결합홈(12)이 상측으로 돌출형성된 베이스플레이트(10)를 소정의 각도로 세운 상태에서, 결합홈(12)에 연결부재(20)를 안착사킨 후, 연결부재(20) 상으로 지주대(30)를 끼워넣게 되면, 자동적으로 베이스플레이트(10)의 관통공(14), 연결부재(20)의 안내공(22) 및 지주대(30)의 나사공(38)이 일치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베이스플레이트(10)의 관통공(14)으로 체결나사(40)를 끼워 연결부재(20)의 안내공(22)을 관통시킨 후, 적절히 회전시켜 지주대(30)의 나사공(38)에 최종적으로 결합하면 된다.
그 다음 베이스플레이트(10)의 하부면이 바닥면에 접하도록 세운 다음, 조절나사(36)를 통해 지주대(30)의 길이를 적절히 조절하면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베이스플레이트와 지주대의 결합구조에 따르면, 베이스플레이트, 연결부재 및 지주대를 하나의 체결나사로 결합함에 있어, 베이스플레이트 상측으로 관통공이 형성된 결합홈을 돌출형성시켜 체결나사의 결합시 체결나사의 머리부가 결합홈 내에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베이스플레이트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재료비를 대폭적으로 절감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베이스플레이트와 지주대 사이에 연결부재를 개재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이며 견고한 결합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플레이트와 지주대의 결합구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플레이트와 지주대의 결합구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플레이트와 지주대의 결합구조의 부분확대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플레이트와 지주대의 결합구조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플레이트와 지주대의 결합구조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플레이트와 지주대의 결합구조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베이스플레이트와 지주대의 결합구조
10 : 베이스플레이트
12 : 결합홈
14 : 관통공
20 : 연결부재
22 : 안내공
30 : 지주대
32 : 수직봉
34 : 수평연결대
36 : 조절나사
40 : 체결나사
100 : 보면대
200 : 싸인판넬
300 : 마이크

Claims (3)

  1. 싸인스탠드나 마이크스탠드, 보면대스탠드 등의 베이스플레이트와 지주대를 견고히 결합하기 위한 베이스플레이트와 지주대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관통공이 형성된 결합홈이 상측으로 돌출형성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결합홈 상으로 안착되며 내부에 안내공이 형성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 상으로 끼워지고 하측에 나사공이 형성되는 지주대;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관통공, 상기 연결부재의 안내공을 차례로 관통하여 상기 지주대의 나사공에 결합되며, 그 머리부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결합홈에 수용되는 체결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지주대의 결합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에는 2개의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지주대는 상기 결합홈에 각각 결합되는 2개의 수직봉이 수평연결대에 의해 서로 연결고정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지주대의 결합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연결부재 및 지주대의 재질은 금속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지주대의 결합구조.
KR20-2005-0021788U 2005-07-27 2005-07-27 베이스플레이트와 지주대의 결합구조 KR2004001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1788U KR200400120Y1 (ko) 2005-07-27 2005-07-27 베이스플레이트와 지주대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1788U KR200400120Y1 (ko) 2005-07-27 2005-07-27 베이스플레이트와 지주대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20Y1 true KR200400120Y1 (ko) 2005-11-02

Family

ID=43701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1788U KR200400120Y1 (ko) 2005-07-27 2005-07-27 베이스플레이트와 지주대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12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967Y1 (ko) * 2008-05-08 2010-11-18 주식회사 유아이케이 거치대
KR200466904Y1 (ko) * 2011-07-25 2013-05-14 고철환 다기능 광고 스텐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967Y1 (ko) * 2008-05-08 2010-11-18 주식회사 유아이케이 거치대
KR200466904Y1 (ko) * 2011-07-25 2013-05-14 고철환 다기능 광고 스텐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21631B2 (en) Far-side support for brackets
US20010011443A1 (en) Fixture for building boards, a building board having the fixture fixed thereto, and the method of fastening the building boards
CA2355529A1 (en) Fastening member and siding boards attachment structure
US6484983B1 (en) Speaker mounting device
KR200400120Y1 (ko) 베이스플레이트와 지주대의 결합구조
US8104723B2 (en) Mounting pedestal
KR200445427Y1 (ko) 진열대용 선반 높이조절장치
JP2008164212A (ja) エアコン置台
JP3020097B1 (ja) デッキ付パーゴラ
CN212574517U (zh) 一种家具用可调节地脚
JP4565104B2 (ja) 脚要素の取付構造及び家具
JP4800004B2 (ja) 家具の脚体
JP2007162295A (ja) 木造建築物の柱脚構造とその柱脚構造用金具
KR200201274Y1 (ko) 바닥 패널 설치부재
JP4166740B2 (ja) バルコニーの根太掛け取付け構造
KR200232277Y1 (ko) 간이용 보드 받침대
JP2007125229A (ja) 家具の脚体
KR200295308Y1 (ko) 컴퓨터용 책상
JP2001011990A (ja) 間仕切りの床レール
JP3280329B2 (ja) 手摺支柱の取付具
KR100683573B1 (ko) 휀스 부착물 고정구
JPH1113292A (ja) 木造建築物の土台補強金物
JPH1061000A (ja) 柱取付け構造
JP2002242315A (ja) 木造建物における柱の固定装置
KR200445366Y1 (ko) 천장용 캐링채널 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