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9438B1 - 독서실용 부스 - Google Patents

독서실용 부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9438B1
KR102419438B1 KR1020200052740A KR20200052740A KR102419438B1 KR 102419438 B1 KR102419438 B1 KR 102419438B1 KR 1020200052740 A KR1020200052740 A KR 1020200052740A KR 20200052740 A KR20200052740 A KR 20200052740A KR 102419438 B1 KR102419438 B1 KR 102419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partition plate
partition plates
coupled
b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2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3745A (ko
Inventor
민성윤
Original Assignee
민성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성윤 filed Critical 민성윤
Priority to KR1020200052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9438B1/ko
Publication of KR20210133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37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9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94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7/00Writing-tables
    • A47B17/04Writing-tables with secret or fireproof compartments ; Trays or the like countersunk in the table top and obturable, e.g. by means of a roller or sliding shut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9/00Reading-desks; Lecterns; Pulpits, i.e. free-standing
    • A47B19/06Reading-desks; Lecterns; Pulpits, i.e. free-standing with adjustable top leaf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1/00School desks or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4Partition wa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4Accessories for tables or desks
    • A47B2200/0085Supplementary support fixed on the edge of a desk or table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학습공간의 입구 위치를 달리하여 학생들간의 간섭이 감소되고 학습효과가 개선되는 독서실용 부스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독서실용 부스는 전방 및 후방에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는 제1 구획판들 및 상기 제1 구획판들 각각의 사이에서 상기 제1 구획판들의 일측 또는 타측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제2 구획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구획판들 사이에 형성되는 학습공간은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Description

독서실용 부스{BOOTH FOR READING ROOM}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부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독서실에서 사용되는 독서실용 부스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최근에는 도서실이나 공간이 밀폐된 독서실보다 공간 개방감이 뛰어나고 세련된 카페와 유사한 공간에서 학습하는 학생 또는 직장인들이 증가하고 있어, 이와 관련된 스터디 카페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스터디 카페들은 기존의 독서실과 다른 환경을 제공하지만, 학습목적이 뚜렷한 학생 또는 직장인들이 집중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공간제공 서비스가 미흡한 단점이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94033호는 다면 결속체를 이용한 학습용 부스를 개시하고 있고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24600호는 독서실용 책상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발명들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면서 학습효과를 개선하는 기술은 개시하지 않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94033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24600호
학습공간의 입구 위치를 달리하여 학생들간의 간섭이 감소되고 학습효과가 개선되는 독서실용 부스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독서실용 부스는 전방 및 후방에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는 제1 구획판들 및 상기 제1 구획판들 각각의 사이에서 상기 제1 구획판들의 일측 또는 타측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제2 구획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구획판들 사이에 형성되는 학습공간은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구획판들 각각은 상기 제1 구획판들의 일측 및 타측에 번갈아가며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구획판들을 'ㄹ' 형태로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구획판들 각각은 상부에 반투명 유리로 제작되는 칸막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독서실용 부스는 기존의 밀폐되고 답답한 구조의 독서실과 다른 개방감을 제공하고, 학습하는 학생들간의 간섭을 최소화하여 학생들의 학습 효율을 개선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독서실용 부스는 형태가 유사한 단일의 구획판들의 연결을 통해 학생들이 학습에 집중하기 위한 공간 형성이 용이하고, 구획판들의 제조 편의성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독서실용 부스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2는 도 1의 독서실용 부스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독서실용 부스의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독서실용 부스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독서실용 부스를 나타낸 사용상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독서실용 부스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독서실용 부스(100)는 제1 구획판(200)들 및 제2 구획판(400)을 포함한다.
제1 구획판(200)들 각각은 구획본체(210) 및 칸막이(220)를 포함한다.
제1 구획판(200)들 각각은 넓은 표면이 전방의 제1 방향(1) 또는 후방에 해당하는 제2 방향(2)을 향하는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각각의 제1 구획판(200)들은 서로 동일한 간격을 두고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따라 이격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구획본체(210)의 일단부는 일측에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연장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저면은 지면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일단부에서 타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제2 구획판(400)과 결합된다.
구획본체(210)들 각각은 책상(110)의 가로 길이만큼 이격된 거리를 사이에 두고 서로 연장방향이 평행하도록 이격 배치되고, 구획본체(210)들 각각의 사이에는 학습공간(10)이 형성된다.
학습공간(10)에는 책상(110) 및 의자(112)가 배치되고, 책상(110) 및 의자(112)는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다른 크기 또는 형태의 책상(110) 및 의자(112)가 배치될 수 있다.
칸막이(220)의 일단부는 구획본체(210)의 일단부 상부에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된 유리창 형태로 형성되어 구획본체(210)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일단부에서 타측을 향해 연장되어 구획본체(210)의 타단부 상부에 결합된다.
제1 구획판(200a) 및 구획본체(210a)는 제1 구획판(200) 및 구획본체(210) 각각과 동일하고 제1 구획판(200) 및 구획본체(210) 각각의 제2 방향(2)쪽에 책상(110)의 가로크기만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제1 구획판(200b) 및 구획본체(210b)는 제1 구획판(200) 및 구획본체(210) 각각과 동일하고 제1 구획판(200a) 및 구획본체(210a) 각각의 제2 방향(2)쪽에 책상(110)의 가로크기만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구획본체(210a, 210b)들 각각의 일단부는 일측에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연장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저면은 지면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일단부에서 타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다.
제2 구획판(400)은 구획본체(410), 디스플레이(420), 콘센트(430) 및 조명장치(440)를 포함한다.
제2 구획판(400)들 각각은 넓은 표면이 제1 방향(1)과 수직 방향인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하는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각각의 제2 구획판(400)들은 제1 구획판(200)들 각각의 사이에서 제1 구획판(200)들의 일측 및 타측에 번갈아가며 배치되어 제1 및 제2 구획판(200, 400)들을 'ㄹ' 형태로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구획본체(410)의 일단부는 제1 방향(1)쪽에서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연장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일측면은 구획본체(210)의 타단 끝단면과 면결합되고 저면은 지면에 고정되며, 타단부는 일단부에서 제2 방향(2)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타단부의 일측면은 구획본체(210a)의 타단 끝단면과 면결합된다.
디스플레이(420)는 외부전원과 연결된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구획본체(410)의 일측에 형성되고 학습공간(10)과 학습공간(10)의 숫자, 사용자의 정보, 사용시간, 사용가능시간 및 날짜를 포함하는 정보들을 표시한다.
콘센트(430)는 디스플레이(420)의 제1 방향(1)쪽에 이격 배치된 상태에서 구획본체(410)와 결합되고, 외부전원과 연결되어 콘센트(430)에 결합되는 플러그에 전원을 공급한다.
조명장치(440)의 일단은 구획본체(410)의 일측에 결합되어 외부전원과 연결되고, 타단은 학습공간(10)을 향해 연장되어 조명등 형태로 형성되며, 외부전원을 공급받아 학습공간(10)에 조명을 제공한다.
제2 구획판(400a) 및 구획본체(410a)는 제2 구획판(400) 및 구획본체(410)와 동일한 구조이고, 구획본체(410a)에는 디스플레이(420), 콘센트(430) 및 조명장치(440)가 구획본체(410)와 동일하도록 학습공간(10)을 향해 결합된다.
제2 구획판(400a)은 제1 구획판(200a, 200b)들 사이에서 제1 구획판(200a, 200b)들의 일측에 배치되어 제1 구획판(200a, 200b)들 각각의 일단부를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제2 구획본체(410a)의 일단부 타측면은 구획본체(210a)의 일단부 끝단면에 면결합되고, 타단부는 일단부에서 제2 방향(2)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며, 타단부의 타측면은 구획본체(210b)의 일단부 끝단면에 면결합된다.
따라서, 구획본체(210, 410, 210a, 410a, 410b)들은 서로 'ㄹ' 형태로 연결되고, 구획본체(210, 410, 210a, 410a, 410b)들이 둘러싸는 학습공간(10)들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해 개방되어 학습공간(10)에서 학습하는 학생들간의 간섭이 최소화되는 장점이 있다.
구획본체(210, 410, 210a, 410a, 410b)들 외에 추가적으로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동일한 형태의 구획본체(210, 410, 210a, 410a, 410b)들을 동일한 방식으로 연결하여 학습공간(10)들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독서실용 부스의 사용상태도를 도시한다.
독서실용 부스(120)는 제1 구획판(500, 500a)들, 제2 구획판(600) 및 데스크부(700)를 포함한다.
독서실용 부스(120)는 구획판 및 책상의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학습공간(11)에 형성되는 입구의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어 한정된 공간에서 학습공간(11) 입구의 위치가 제한적인 경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제1 구획판(500)은 구획본체(510) 및 칸막이(520)를 포함한다.
제1 구획판(500)들 각각은 넓은 표면이 전방의 제1 방향(1) 또는 제2 방향(2)을 향하는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각각의 제1 구획판(500)들은 서로 동일한 간격을 두고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따라 이격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구획본체(510)의 일단부는 일측에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연장된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어 저면은 지면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일단부에서 타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제2 구획판(600)과 결합된다.
구획본체(510)들 각각은 데스크부(700)의 가로 길이만큼 이격된 거리를 사이에 두고 서로 연장방향이 평행하도록 이격 배치되고, 구획본체(510)들 각각의 사이에는 학습공간(11)이 형성된다.
구획본체(510)의 제1 방향(1)쪽에는 구획본체(510)의 제1 방향(1)쪽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된 직사각형 형태의 전면 일부가 제2 방향(2)을 향해 확장되며 함몰되어 등변사다리꼴의 단면구조를 가지며 일측 및 타측 공간과 연결된 슬라이딩홈(511)이 형성된다.
구획본체(510)의 제2 방향(2)쪽에는 구획본체(510)의 제2 방향(2)쪽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된 직사각형 형태의 전면 일부가 제1 방향(1)을 향해 확장되며 함몰되어 등변사다리꼴의 단면구조를 가지며 일측 및 타측 공간과 연결된 슬라이딩홈(512)이 형성된다.
칸막이(520)의 일단부는 구획본체(510)의 일단부 상부에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된 유리창 형태로 형성되어 구획본체(510)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일단부에서 타측을 향해 연장되어 구획본체(510)의 타단부 상부에 결합된다.
제1 구획판(500a) 및 구획본체(510a)는 제1 구획판(500) 및 구획본체(510) 각각과 동일하고 제1 구획판(500) 및 구획본체(510) 각각의 제2 방향(2)쪽에 데스크부(700)의 가로크기만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구획본체(510a)의 일단부는 일측에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연장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저면은 지면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일단부에서 타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다.
구획본체(510a)의 제1 방향(1)쪽에는 구획본체(510a)의 제1 방향(1)쪽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된 직사각형 형태의 전면 일부가 제2 방향(2)을 향해 확장되며 함몰되어 등변사다리꼴의 단면구조를 가지며 일측 및 타측 공간과 연결된 슬라이딩홈(511a)이 형성된다.
구획본체(510a)의 제2 방향(2)쪽에는 구획본체(510a)의 제2 방향(2)쪽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된 직사각형 형태의 전면 일부가 제1 방향(1)을 향해 확장되며 함몰되어 등변사다리꼴의 단면구조를 가지며 일측 및 타측 공간과 연결된 슬라이딩홈(512a)이 형성된다.
제2 구획판(600)은 구획본체(610), 디스플레이(620) 및 콘센트(630)를 포함한다.
제2 구획판(600)들 각각은 넓은 표면이 제1 방향(1)과 수직 방향인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하는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각각의 제2 구획판(600)들은 제1 구획판(500)들 각각의 사이에서 제1 구획판(500)들의 일측 및 타측에 번갈아가며 배치되어 제1 및 제2 구획판(500, 600)들을 'ㄹ' 형태로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구획본체(610)의 일단부는 제1 방향(1)쪽에서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연장된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어 구획본체(510)와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부는 일단부에서 제2 방향(2)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구획본체(510a)와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구획본체(610)의 제1 방향(1)쪽에 형성되는 슬라이더(611)의 일단부는 구획본체(610)의 전면에 면결합되고, 타단부는 일단부에서 제1 방향(1)을 향해 확장 연장되며, 상하부로 절단하여 일측 또는 타측에서 주시하는 경우 등변 사다리꼴 형태의 단면구조를 가진다.
구획본체(610)의 제2 방향(2)쪽에 형성되는 슬라이더(612)의 일단부는 구획본체(610)의 배면에 면결합되고, 타단부는 일단부에서 제2 방향(2)을 향해 확장 연장되며, 상하부로 절단하여 일측 또는 타측에서 주시하는 경우 등변 사다리꼴 형태의 단면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슬라이더(611, 612)들 각각은 슬라이딩홈(512, 511a)에 각각 삽입되어 구획본체(510, 510a)들 각각과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삽입홈(613)은 슬라이더(611, 612)들 사이에 해당하는 구획본체(610)의 일측에 위치하고 제1 또는 제2 방향(1, 2)으로 연장된 직사각형 형태의 일측면이 타측을 향해 함몰되어 형성되며 구획본체(610)의 일측공간과 타측공간을 연결한다.
스토퍼(614)는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연장되는 자석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삽입홈(613)의 하부에 해당하는 구획본체(610)의 내측면에 결합되된다.
디스플레이(620)는 외부전원과 연결된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구획본체(610)의 일측에 형성되고 학습공간(11)과 학습공간(11)의 숫자, 사용자의 정보, 사용시간, 사용가능시간 및 날짜를 포함하는 정보들을 표시한다.
한편, 디스플레이(620) 대신에 번호판이 구획본체(610)에 결합되어 학습공간(11)에 해당하는 번호를 표시할 수 있다.
콘센트(630)는 디스플레이(620)의 제1 방향(1)쪽에 이격 배치된 상태에서 구획본체(610)와 결합되고, 외부전원과 연결되어 콘센트(630)에 결합되는 플러그에 전원을 공급한다.
조명장치(640)의 일단은 구획본체(610)의 일측에 결합되어 외부전원과 연결되고, 타단은 학습공간(11)을 향해 연장되어 조명등 형태로 형성되며, 외부전원을 공급받아 학습공간(11)에 조명을 제공한다.
제2 구획판(600a) 및 구획본체(610a)는 제2 구획판(600) 및 구획본체(610)와 동일한 구조이고, 구획본체(610a)에는 디스플레이(620), 콘센트(630) 및 조명장치(640)가 구획본체(610)와 동일하도록 학습공간(11)을 향해 결합된다.
데스크부(700)는 삽입홈(613)을 관통하여 제2 구획판(600)과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제2 구획판(600)과 슬롯 결합된다.
데스크부(700)는 책상(710) 및 스토퍼(720, 730)들을 포함한다.
데스크부(700)는 제2 구획판(600)과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제2 구획판(600)에 슬롯 결합되고, 양측에 형성된 자석을 통해 제2 구획판(600)이 데스크부(700)와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책상(710)의 일단부는 제1 방향(1)쪽에서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되는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부는 일단부에서 제2 방향(1)을 향해 연장되며, 일측 또는 타측은 삽입홈(613)에 삽입되어 구획본체(610)와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스토퍼(720)는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길게 연장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책상(710)의 일측 상부면에 결합되며, 스토퍼(730)는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길게 연장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책상(710)의 타측 상부면에 결합된다.
스토퍼(720, 730)들 각각은 동일한 자성을 가지도록 제작되고, 스토퍼(614)는 스토퍼(720, 730)들 각각과 반대에 해당하는 자성을 가지도록 제작된다.
따라서, 구획본체(610)의 책상(710)의 표면을 따라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고, 구획본체(610)가 책상(710)의 일측 또는 타측 끝단에 위치하는 경우 자성에 의해 고정되어 학습공간(11)의 형성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슬라이딩홈(511, 511a, 512, 512a)들 각각은 학생들의 필기도구나 학습도구들을 배치시킬 수 있는 간이 필통으로 사용될 수 있고, 제1 및 제2 구획판(500, 600)들은 독서실용 부스(100)처럼 'ㄹ' 형태로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독서실용 부스(120)는 제2 구획판(600)을 학습공간(11)의 중앙에 위치시키고, 데스크부(700)를 학습공간(11)의 중앙에 위치시켜 제2 구획판(600)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학습공간(11)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학습공간(11)들을 둘로 분리시켜 더 많은 고객들이 쉬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책상(710)의 일단부에는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길게 연장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책상(710)의 상부에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제1 방향(1)쪽 모서리가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림막(740)을 포함할 수 있다.
가림막(740)은 제1 방향(1)쪽 모서리를 축으로 제2 방향(2)쪽을 제1 방향(1) 및 상부를 향해 이동시켜 책상(710)의 상부공간과 슬라이딩홈(512) 사이를 차단하여 필기도구들이 슬라이딩홈(512)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책상(710)의 타단부에는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길게 연장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책상(710)의 상부에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제2 방향(2)쪽 모서리가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림막(740)을 포함할 수 있다.
가림막(740)은 제2 방향(2)쪽 모서리를 축으로 제1 방향(1)쪽을 제2 방향(2) 및 상부를 향해 이동시켜 책상(710)의 상부공간과 슬라이딩홈(511a) 사이를 차단하여 필기도구들이 슬라이딩홈(511a)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120: 독서실용 부스
200, 200a, 200b, 500, 500a: 제1 구획판
400, 400a, 600, 600a: 제2 구획판
700: 데스크부

Claims (3)

  1. 전방 및 후방에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는 제1 구획판들; 및
    상기 제1 구획판들 각각의 사이에서 상기 제1 구획판들의 일측 또는 타측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제2 구획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구획판들 사이에 형성되는 학습공간은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 구획판들 각각은 상기 제1 구획판들의 일측 및 타측에 번갈아가며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구획판들을 'ㄹ' 형태로 연결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학습공간에는 책상 및 의자가 배치되며,
    상기 제1 구획판들 각각은 구획본체와, 상기 구획본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반투명 유리로 제작되는 칸막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구획판의 일측에는 상기 학습공간의 숫자, 사용자의 정보, 사용시간, 사용가능시간 및 날짜를 포함하는 정보들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가 형성되며,
    상기 제2 구획판에는 콘센트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측에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2 구획판에는 조명장치가 상기 학습공간을 향해 연장된 상태로 결합되는 독서실용 부스.
  2. 삭제
  3. 삭제
KR1020200052740A 2020-04-29 2020-04-29 독서실용 부스 KR1024194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2740A KR102419438B1 (ko) 2020-04-29 2020-04-29 독서실용 부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2740A KR102419438B1 (ko) 2020-04-29 2020-04-29 독서실용 부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3745A KR20210133745A (ko) 2021-11-08
KR102419438B1 true KR102419438B1 (ko) 2022-07-11

Family

ID=78497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2740A KR102419438B1 (ko) 2020-04-29 2020-04-29 독서실용 부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943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6549Y1 (ko) * 2005-10-12 2006-01-23 주식회사 삼광씨스템 유리칸막이 테이블
KR101897976B1 (ko) * 2017-10-18 2018-09-12 권호걸 집중관리학습실이 구비된 독서실 및 집중관리 독서실 운영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3618Y1 (ko) * 1997-08-30 1999-08-02 이규남 독서실용 책상
KR100414546B1 (ko) * 2001-07-24 2004-01-07 성용진 독서실용 책상
KR101024600B1 (ko) 2008-08-19 2011-03-31 주식회사 신일퍼니처 독서실용 책상
KR102094033B1 (ko) 2019-02-26 2020-03-26 유성하 다면 결속체를 이용한 학습용 부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6549Y1 (ko) * 2005-10-12 2006-01-23 주식회사 삼광씨스템 유리칸막이 테이블
KR101897976B1 (ko) * 2017-10-18 2018-09-12 권호걸 집중관리학습실이 구비된 독서실 및 집중관리 독서실 운영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3745A (ko) 2021-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1117B1 (en) Laptop computer document holder
KR102419438B1 (ko) 독서실용 부스
US6092294A (en) Drawing board
US7694968B2 (en) Playing card viewer
KR101663981B1 (ko) 매장 환경 적응형 다단 담배 진열장용 광고판
KR102392366B1 (ko) 휴대용 책상 칸막이
JP6210637B2 (ja) 表札
KR200478573Y1 (ko) 모듈 타입의 독서용 가구 어셈블리
KR20150000060A (ko) 휴대 단말기 케이스
KR20210136746A (ko) 독서실용 부스
KR102047619B1 (ko) 사용 및 휴대가 편리한 악보 수납파일
US5113613A (en) Storage container for a pile of sheets
CN204551809U (zh) 屏风式活动墙面装置
KR200493921Y1 (ko) 문구용 투명 케이스
US20230169893A1 (en) Modular Art Display Assembly
CN206463980U (zh) 可定制的实验室仪器
CN210960894U (zh) 一种展览体验桌
JP2630297B2 (ja) スライドボード
KR100898947B1 (ko) 엘리베이터용 전단지 배포대
JPS63318238A (ja) 伸縮自在カバー
KR20140109621A (ko) 미닫이와 오르내리는 형식이 결합된 창호
CN212171782U (zh) 一种抽屉式书写记录板
KR200345849Y1 (ko) 책상 조립체
KR102418113B1 (ko) 인덱스 탭 가이드
CN103677102B (zh) 具有固定防窥片于前框的功能的固定机构及面板模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