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0060A - 휴대 단말기 케이스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0060A
KR20150000060A KR1020130071737A KR20130071737A KR20150000060A KR 20150000060 A KR20150000060 A KR 20150000060A KR 1020130071737 A KR1020130071737 A KR 1020130071737A KR 20130071737 A KR20130071737 A KR 20130071737A KR 20150000060 A KR20150000060 A KR 201500000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front plate
back plate
main body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1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은섭
Original Assignee
정은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은섭 filed Critical 정은섭
Priority to KR1020130071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0060A/ko
Publication of KR20150000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00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2Interior fittings; Means, e.g. inserts, for holding and packing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45C2200/15Articles convertible into a stand, e.g. for display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휴대 단말기의 일면을 가리는 앞판과, 상기 휴대 단말기의 타면을 가리는 제2전면과, 상기 앞판과 상기 뒤판을 접힘 가능하게 연결하는 접힘부와, 그리고 일측이 상기 앞판에 결합되어 있고 타측이 상기 뒤판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잠금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앞판과 상기 뒤판 사이에 위치하고, 일측이 상기 앞판 또는 뒤판에 고정된 연결부, 그리고 상기 연결부의 일면에 위치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가 고정될 수 있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휴대 단말기를 휴대 단말기 보다 작은 연결부에 고정되면서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가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크기에 제약 없이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케이스{CASE FOR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휴대폰과 의 장점을 결합한 스마트 폰(smart phone) 사용자가 급격히 늘고 있다. 스마트 폰의 크기는 액정의 크기 별로 분류할 수 있다. 액정 크기는 대략 3.2 인치 내지 10.1 인치 정도로 형성되는 추세이다.
그리고 스마트 폰 사용자는 외부 충격 및 이물질 따위로부터 스마트 폰을 보호하기 위하여 스마트 폰의 전면 및 후면을 감싸는 케이스 사용이 늘고 있다.
케이스의 크기는 스마트 폰 크기에 의해 결정된다. 스마트 폰의 크기가 다양하게 형성되므로 케이스 또한 스마트 폰의 크기에 맞추어 여러 크기로 제작해야 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246081호 (2013.03.15.)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4685호 (2011.07.12.)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크기에 제약 없이 사용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케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케이스는 휴대 단말기의 일면을 가리는 앞판과, 상기 휴대 단말기의 타면을 가리는 제2전면과, 상기 앞판과 상기 뒤판을 접힘 가능하게 연결하는 접힘부와, 그리고 일측이 상기 앞판에 결합되어 있고 타측이 상기 뒤판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잠금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앞판과 상기 뒤판 사이에 위치하고, 일측이 상기 앞판 또는 뒤판에 고정된 연결부, 그리고 상기 연결부의 일면에 위치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가 고정될 수 있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의 넓이는 상기 앞판 및 상기 휴대 단말기의 넓이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앞판, 상기 뒤판에 형성된 메인 수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연결부의 타면에 형성된 보조 수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접착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 케이스는, 일면에 상기 휴대 단말기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고, 타면이 상기 고정부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단말기 수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 수용부의 넓이는 상기 연결부의 넓이 보다 넓고, 상기 단말기 수용부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가 노출되는 노출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노출홈을 가리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케이스는 카메라 노출홈이 형성된 몸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카메라 노출홈을 단속하는 슬라이드 커버가 결합된다.
상기 카메라 노출홈은 상기 몸체의 전체 넓이의 25% 내지 35%에 해당되는 넓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의 일면에는 휴대 단말기 연결부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드 커버는 상기 몸체의 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 케이스는 상기 몸체와 상기 슬라이드 커버를 연결하고, 상기 슬라이드 커버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 케이스는 상기 몸체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몸체의 일면을 덮는 덮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덮개에는 수화기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덮개 및 상기 몸체에는 수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접착성을 갖는 고정부에 의해 다양한 모델의 휴대 단말기를 연결부에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모델에 제약 없이 휴대 단말기를 고정부에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를 고정하는 연결부가 휴대 단말기 보다 작게 형성된다. 그리고 연결부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를 가리지 않는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가 휴대 단말기 케이스에 보호된 상태에서도 카메라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 카메라와 대응되는 몸체 부분에 카메라 노출홈이 형성되어 있다. 카메라 노출홈은 몸체의 전체 넓이 중 25% 내지 35% 정도를 차지한다. 카메라 노출홈이 비교적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휴대 단말기를 연결부에 장착하여도 카메라는 카메라 노출홈을 통해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크기에 제약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사용시 슬라이드 커버를 내려 카메라 노출홈을 개방하고, 카메라를 사용하지 않을 시 슬라이드 커버를 올려 카메라 노출홈을 닫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충격 및 이물질 따위로부터 카메라 부분을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휴대 단말기에 단말기 수용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앞판과 뒤판의 겉 면이 서로 마주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한 받침대가 접혀 받침대 역할을 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연결부의 다른 실시예에를 나타낸 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케이스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한 휴대 단말기 케이스를 나타낸 정면 사시도.
도 8은 도 6에 도시한 VII-VII선을 따라 휴대 단말기 케이스를 자른 단면도.
도 9는 도 8에 도시한 A 부분 확대도.
도 10은 도 6에 도시한 슬라이드 커버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도 6에 도시한 슬라이드 커버에 렌즈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도 7에 도시한 수화기 홈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케이스를 나타낸 사진.
도 14는 도 13에 도시한 연결부가 접힌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15는 도 14의 연결부에 단말기 수용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16은 도 15에 도시한 휴대 단말기 케이스의 배면을 나타낸 사진.
도 17은 도 13에 도시한 연결부에 의해 단말기 수용부가 세워진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케이스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휴대 단말기에 단말기 수용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앞판과 뒤판의 외부면이 서로 마주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케이스(100)는 스마트 폰, 테블릿 피씨와 같은 휴대 단말기를 외부 충격 및 오염물질 따위로부터 보호한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 케이스(1a)는 본체(210), 연결부(220), 그리고 고정부(230)를 포함한다.
본체(210)는 휴대 단말기(2a)를 실질적으로 보호 하는 것으로, 앞판(211), 뒤판(212), 접힘부(213), 그리고 잠금부(214)를 포함한다.
앞판(211)과 뒤판(212)은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다. 앞판(211)과 뒤판(212)은 접힘부(213)로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앞판(211)과 뒤판(212) 사이에 휴대 단말기(2a)가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앞판(211)은 휴대 단말기(2a)의 전면을 뒤판(212)은 휴대 단말기(2a)의 뒷면을 지지한다. 앞판(211)에는 휴대 단말기(2a)의 수화기와 연결되는 수화기 홈(211a)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앞판(211)과 뒤판(212)은 외부 충격으로부터 휴대 단말기를 보호하도록 다소 딱딱하게 형성되어 있다. 즉, 앞판(211)과 뒤판(212)의 내부에는 강도 부재(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되어 있다. 강도 부재는 종이, 플라스틱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러한 강도 부재는 외피(도시하지 않음)로 감싸져 있다. 외피는 직물, 가죽, 합성수지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한편, 접힘부(213)의 내부에는 강도 부재가 생략된다. 즉, 접힘부(213)는 외피로만 이루어져 있다. 이에 따라 접힘부(213)의 두께는 앞판(211) 및 뒤판(212)의 두께 보다는 얇다. 따라서 접힘부(213)의 접힘이 용이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체(210)는 접힘부(213)의 접히는 방향에 따라 휴대 단말기(2a)를 사이에 두고 앞판(211)과 뒤판(212)이 서로 마주보도록 접힐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앞판(211)과 뒤판(212)의 외부면이 서로 마주하게 접힐 수도 있다. 그러나, 본체(210)는 접히지 않고 펼쳐진 상태로 사용할 수도 있다.
아울러, 앞판(211)과 뒤판(212)의 내부면에는 카드, 지폐, 신분증 따위의 수납물을 보관할 수 있는 메인 수납부(211a, 212a)가 형성되어 있다. 메인 수납부(211a, 212a)는 외피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외피와 강도 부재 사이에는 수납물을 수용하는 주머니(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잠금부(214)는 잠금부(214)는 앞판(211)과 뒤판(212)의 내부면이 서로 마주할 때, 또한 앞판(211)과 뒤판(212)의 외부면이 서로마주 때 앞판(211)과 뒤판(212)이 벌어지지 않도록 고정한다.
이러한, 잠금부(214)의 일측은 뒤판(212)에 고정되어 있고 타측은 앞판(211)에 연결되어 있다. 즉, 잠금부(214)의 일측은 앞판(211)에 봉제 방식으로 고정되며, 잠금부(214)의 타측은 자석, 스냅단추, 벨크로와 같은 고정 수단(도시하지 않음)으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잠금부(214)는 생략될 수도 있다.
연결부(220)는 휴대 단말기(2a)를 본체(210)에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연결부(220)는 본체(210)의 안쪽 중앙에 위치하게 된다. 즉, 연결부(220)는 본체(210) 내부에 위치하여 앞판(211)과 뒤판(212)의 내부면 사이에 위치한다. 연결부(220)는 본체(210)를 벗어나지 않는다. 연결부(220)는 본체(210)와 동일하게 강도를 갖는 보강 부재와 보강 부재를 감싸는 외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연결부(220)는 베이스(221) 및 받침대(222)를 포함한다.
베이스(221)는 휴대 단말기(2a)를 지지한다. 베이스(221)의 일측은 뒤판(212)의 내부면에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베이스(221)는 고주파 방식으로 뒤판(212)의 내부면에 고정된다. 그러나 베이스(221)의 일측은 뒤판(212)에 봉제, 스냅단추, 벨크로, 지퍼 따위로 고정될 수 있다.
위 설명과 도 1 내지 도 3에서 베이스(221)가 뒤판(212)에 고정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베이스(221)는 앞판(211) 또는 접힘부(213)에 고정될 수도 있다.
받침대(222)는 베이스(221)의 타측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받침대(222)의 넓이는 베이스(221)의 넓이보다는 작게 형성되어 있다. 받침대(222)의 넓이는 휴대 단말기(2a)에 접할 정도의 넓이로 형성된다.
한편, 연결부(220)가 뒤판에 연결되어 있으며, 앞판(211)의 내측에는 걸림부(6) (도 4 참조)가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6)는 홈, 돌기, 요철 따위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도 4에서 걸림부(6)가 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기설정된 위치에 하나만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6)가 간격을 두고 형성되면 휴대 단말기(2a)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위 설명에서 연결부(220)의 베이스(221)가 단일 부재로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베이스(221)는 제1 부재(도시하지 않음)와 제2 부재(도시하지 않음)로 이뤄질 수 있다. 또한, 베이스(221)가 본체(210)에 고정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베이스(221)는 본체(210)에 분리 가능하게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즉, 베이스(221)의 제1 부재가 본체(210) 내부 즉, 본체(210)의 외피 내부로 삽입되고, 제2 부재는 외피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본체(210) 내부로 삽입된 제1 부재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하여 제1 부재의 넓이는 제2 부재의 넓이보다 더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부재와 본체(210)의 접촉면적을 최대한 넓게 형성하여 제1 부재가 본체(210)에서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한다.
고정부(230)는 휴대 단말기(2a)를 연결부(220)에 고정한다. 고정부(230)는 받침대(222)의 일면에 결합되어 있다. 고정부(230)는 양면 테이프, 벨크로, 스냅단추 및 이들의조합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230)는 휴대 단말기(2a)의 크기에 따라 폭이 가변되는 클립 따위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고정부(230)의 형상 및 구조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고정부(230)가 휴대 단말기(2a)의 뒷면 적어도 일부분에만 결합되므로, 고정부(230)에 결합되는 휴대 단말기(2a)의 모델에 제약 없이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모델의 휴대 단말기(2a)가 휴대 단말기 케이스(1a)에 적용될 수 있다.
위 설명에서 휴대 단말기(2a)가 고정부(230)에 직접 고정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휴대 단말기(2a)를 감싸는 단말기 수용부(3a)가 고정부(230)에 고정될 수 있다.
단말기 수용부(3a)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케이스(1a)가 더 포함하는 것으로, 단말기 수용부(3a)의 일면에는 수용홈(4a)이 형성되어 있다. 수용홈(4a)은 휴대 단말기(2a)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수용홈(4a)은 휴대 단말기(2a)의 배면과 측면을 감싼다.
수용홈(4a)의 바닥면에는 휴대 단말기(2a)의 카메라가 노출되는 노출홈(4c)이 형성되어 있다. 노출홈(4c)은 단말기 수용부(3a)의 상부측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단말기 수용홈(4a)의 측면에는 휴대 단말기(2a)의 포트 들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포트홀(4b)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 수용부(3a)의 길이(L1)는 연결부(220)의 길이(L2)보다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단말기 수용부(3a)의 타면이 고정부(230)에 고정된다. 이때 고정부(230)는 단말기 수용부(3a)의 중앙 부분에 결합된다. 그리고 받침대(222)에 결합된 고정부(230)의 위치에 의해 고정부(230)는 접힘부(213)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단말기 수용부(3a)의 외측 부분에 결합된다. 이때 단말기 수용부(3a)의 길이(L1)가 연결부(220)의 길이(L2)보다 길므로 연결부(220)는 노출홈(4a)을 가리지 않게 된다.
여기서 단말기 수용부(3a)의 타면은 고정부(230)의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노출홈(4c)은 고정부(230) 및 연결부(220)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다.
그리고 앞판(211)과 뒤판(212)의 내부면이 서로 마주할 때 단말기 수용부(3a)가 보이지 않도록 단말기 수용부(3a)의 넓이는 앞판(211) 및 뒤판(212)의 넓이 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뒤판(212)이 단말기 수용부(3a) 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노출홈(4c)은 뒤판(212)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 수용부(3a)는 휴대 단말기(2a)의 모델에 따라 그 크기 및 형상이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 수용부(3a)는 연질의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한편, 위 설명과 도 1 내지 도 3에서 단말기 수용부(3a)가 휴대 단말기(2a)의 배면과 측면을 모두 감싸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단말기 수용부(3a)는 휴대 단말기(2a)의 일부분만 감쌀 수 있다.
이와 같이, 휴대 단말기(2a)를 감사는 단말기 수용부(3a)가 고정부(230)를 통하여 연결부(220)에 결합된다. 그리고, 본체(210)는 휴대 단말기(2a)를 외부 충격 및 오염물질로부터 보호하게 된다.
휴대 단말기(2a)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잠금부(214)의 잠금을 해제하고, 앞판(211)을 접힘부(213)를 기준으로 접어 휴대 단말기(2a)의 전면을 노출시킨다. 휴대 단말기(2a)의 전면이 노출되므로 휴대 단말기(2a)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앞판(211)이 휴대 단말기(2a)를 덮은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2a)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휴대 단말기(2a)의 카메라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앞판(211)을 접힘부(213)를 기준으로 뒤판(212) 방향으로 접는다. 이에 따라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앞판(211)과 뒤판(212)의 외부면이 서로 마주한 상태가 된다.
앞판(211)이 뒤판(212) 방향으로 접힘으로 뒤판(212)이 가리고 있던 단말기 수용부(3a)의 노출홈(4c)이 노출된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2a)의 카메라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체(210)가 펼쳐진 상태에서 베이스(211)가 기설정된 각도로 세워지고, 접힘부(213)에 근접된 단말기 수용부(3a)의 일측이 본체(210)에 지지된다. 이때 단말기 수용부(3a)는 걸림부에 걸린다. 단말기 수용부(3a)가 걸림부(4)에 걸리게 되면서 단말기 수용부(3a)는 미끄러지지 않는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2a)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기설정된 각도로 세워질 수 있다.
세워진 연결부(220)는 휴대 단말기(2a)의 스탠드 역할을 하게 된다. 휴대 단말기(2a)가 세워져 있으므로, 휴대 단말기 케이스(1a)를 책상, 탁자 따위에 올려 놓은 상태에서 동영상 시청이 용이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휴대 단말기 케이스(1a)는 접착성을 갖는 고정부(230)에 의해 다양한 모델의 휴대 단말기를 연결부(220)에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모델에 제약 없이 휴대 단말기를 고정부(230)에 고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케이스(1c)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케이스(1c)는 본체(210a), 연결부(220a), 그리고 고정부(230a)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본체(210a) 및 고정부(220a)는 도 1 내지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 및 고정부와 같은 구조 및 작용을 갖는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본체(210) 및 고정부(230a)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220a)는 도 1 내지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와 다른 구조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220a)에서는 받침대가 생략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220a)는 베이스로만 이루어져 있다. 베이스로만 이루어진 연결부(220a)의 일측은 본체(220a)의 뒤판(212)과 접힘부(213)의 경계에 위치하여 뒤판(212)과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도 5에서 연결부(220a)를 사각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연결부(220a)는 캐릭터, 하트, 크로버, 다이어몬드, 사과, 오렌지 따위와 같은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연결부(220a)의 타면에는 다양한 색상이 채색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230a)가 위치하지 않은 연결부(220a)의 타면에는 수납물을 보관할 수 있는 보조 수납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보조 수납부(도시하지 않음)는 연결부(220)의 외피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실시예에 살펴본 많은 특징들이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케이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케이스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한 휴대 단말기 케이스를 나타낸 정면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6에 도시한 VII-VII선을 따라 휴대 단말기 케이스를 자른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한 A 부분 확대도이다.
도 6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케이스(1b)는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 단말기를 외부 충격 및 오염물질 따위로부터 보호한다. 휴대 단말기 케이스(1b)는 몸체(10) 및 슬라이드 커버(20)를 포함한다.
몸체(10)는 기설정된 넓이로 형성되어 있다. 몸체(10)의 일면에는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2b)가 장착될 수 있다. 휴대 단말기(2b)의 뒷면에 배치된 카메라와 대응되는 몸체(10) 부분에는 카메라 노출홈(111)이 형성되어 있다. 카메라 노출홈(111)은 몸체(10)의 전체 넓이 중 25% 내지 35%에 해당되는 넓이로 형성되어 있다. 카메라 노출홈(111)은 다소 크게 형성되어 여러 크기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부분이 카메라 노출홈(111)에 위치할 수 있다.
슬라이드 커버(20)는 카메라 노출홈(111)을 단속한다. 슬라이드 커버(20)는 몸체(10)의 배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슬라이드 커버(20)는 카메라 노출홈(111)으로부터 벗어나 카메라 노출홈(111)을 개방할 수 있다. (도 9 (a) 참고) 이때 휴대 단말기(2b)의 카메라 부분이 카메라 노출홈(111)을 통하여 노출될 수 있다. 그러나 슬라이드 커버(20)는 카메라 노출홈(111) 주변부에 위치하여 카메라 노출홈(111)을 폐쇄할 수 있다. (도 9 (b) 참고)
슬라이드 커버(20)의 가장자리 몸체(10) 사이에는 결합부(30)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는 가이드 돌기(31) 및 가이드 홈(32)을 포함한다. 가이드 돌기(31)는 슬라이드 커버(20)의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홈(32)은 가이드 돌기(31)와 대응되는 몸체(10)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커버(20)는 가이드 홈(32) 범위 내에서 움직일 수 있다.
슬라이드 커버(20)의 표면에는 휴대 단말기 케이스(1b)의 외관미를 향상시키기 위한 문양(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 도 7 및 도 8에서 가이드 돌기(31)가 슬라이드 커버(20)에 형성되고, 가이드 홈(32)이 몸체(10)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슬라이드 커버(20)과 가이드 홈(32)의 형성 위치는 서로 바뀔 수 있다. 그리고 결합부(30)를 가이드 돌기(31)와 가이드 홈(32)으로 설명하였으나, 결합부(30)의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몸체(10)와 마주하는 슬라이드 커버(20)의 일면은 몸체(10)와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 이에 따라 슬라이드 커버(20)와 몸체(1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다. 이는 슬라이드 커버(20)가 슬라이드 이동할 때 몸체(10) 부분에 스크래치(scratch) 따위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아울러, 공간에는 카드(C) 따위가 수납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커버(20)가 카메라 노출홈(111)을 폐쇄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카메라 노출홈(111)과 이웃한 가이드 홈(32) 부분에는 가압 돌기(33)가 형성되어 있다. (도 9 참고) 가압 돌기(33)는 가이드 돌기(31)를 가이드 홈(32)의 내부면 방향으로 가압하여 슬라이드 커버(20)이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그러나 가압 돌기(33)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커버(20)가 카메라 노출홈(111)을 폐쇄한 상태에서 사진 촬영이 가능하도록 슬라이드 커버(20)는 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 커버(20)의 일부분에는 렌즈(21)가 형성되어 있다. (도 11 참고) 렌즈(21)는 카메라 촬영을 도모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케이스(1b)는 고정부(40) 및 덮개(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을 다시 참고하면, 고정부(40)는 몸체(10)의 일면에 장착되어 있다. 고정부(40)는 휴대 단말기(2b)를 몸체(10)에 고정한다. 고정부(40)는 벨크로, 접착제, 양면 테이프 따위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정부(40)에 휴대 단말기(2b)의 외부면을 1차 적으로 감싸고 있는 단말기 수용부(3b)가 접착 고정된다. 단말기 수용부(3b)에는 휴대 단말기(2b)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단말기 수용부(3b)가 고정부(40)에 접착 고정되므로 접착물이 휴대 단말기(2b)의 표면에 직접적으로 묻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2b)를 케이스(1b)에서 분리하였을 때 접착제에 의한 끈적임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휴대 단말기(2b)의 외부면이 직접 고정부(40)에 접착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40)는 간격 조절이 가능한 클립 따위로 형성될 수 있다. 클립은 휴대 단말기(2b)의 양측면을 파지한다. 클립은 휴대 단말기(2b)의 크기에 따라 그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아울러, 고정부(40)가 몸체(10)의 일면에 직접 고정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고정부(40)는 몸체(10)에 일측이 결합된 연결부(도시하지 않음)에 고정되어 몸체(10)와 연결 될 수 있다.
덮개(50)는 몸체(10)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있다. 그러나 덮개(50)는 별도의 부재가 봉제 방식으로 몸체(10)에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덮개(50)는 몸체(10)로부터 연장된 부분을 기준으로 접힐 수 있다. 접힌 덮개(50)는 몸체(10)에 장착된 휴대 단말기(2b)의 전면(액정)을 덮을 수 있다.
덮개(50)의 접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몸체(10)의 타측에는 덮개(50)에 결합되는 고정부(60)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60)는 덮개(50)에 스냅단추, 자석 따위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덮개(50)에는 수납부(52)들이 형성되어 있다. 수납부(52)는 포켓 방식으로 형성되어 지폐, 카드 따위가 수납될 수 있다.
덮개(50)가 휴대 단말기(2b)를 덮고 있을 때 휴대 단말기(2b)의 수화기 부분과 마주하는 덮개(50) 부분에는 수화기 홈(51)이 형성되어 있다. 수화기 홈(51)은 복수의 구멍들이 배열되어 형성된다. 구멍들은 덮개(50)의 상하 길이 방향 또는 좌우 폭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구멍들이 진원 형태로 형성되어 진원의 구멍들이 상하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12 a, b, c 참조)
또한, 휴대 단말기(2b)의 수화기 부분과 마주하는 덮개(50) 부분이 생략되어 수화기 홈(5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2 d 참조) 그러나, 덮개(50)는 전체적으로 생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휴대 단말기 케이스(1b)의 카메라 노출홈(111)은 몸체(10)의 전체 넓이 중 25% 내지 35% 정도를 차지한다. 카메라 노출홈(111)이 비교적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휴대 단말기를 고정부(40)에 장착하여도 카메라는 카메라 노출홈(111)을 통해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크기에 제약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실시예 및 도 5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살펴본 많은 특징들이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3 내지 1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케이스(1d)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케이스를 나타낸 사진, 도 14는 도 13에 도시한 연결부가 접힌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15는 도 14의 연결부에 단말기 수용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16은 도 15에 도시한 휴대 단말기 케이스의 배면을 나타낸 사진, 도 17은 도 13에 도시한 연결부에 의해 단말기 수용부가 세워진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3 내지 도 17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케이스(1d)는 본체(210b), 연결부(220b), 그리고 고정부(230b)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본체(210b)는 도 1 내지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와 같은 구조 및 작용을 갖는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본체(210b)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220b)는 도 1 내지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와 다른 구조를 가지며, 고정부(230b)의 위치는 상이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220c)는 기설정된 넓이를 갖는다. 연결부(220b)의 일측은 본체(210b)의 가장자리에 접힘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도면에서 연결부(220b)가 본체(210b)의 뒤판에 결합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연결부(220b)는 앞판의 가장자리에 결합될 수도 있다.
연결부(220b)는 본체(210b)의 내부면 방향으로 접힐 수 있다. 접힌 연결부(220b)의 일면은 본체(210b)의 내부면과 마주한다. 한편, 연결부(220b)가 펼쳐지게 되면 연결부(220b)의 일면은 본체(210b)의 내부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고 타면은 본체(210b)의 외부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한다.
고정부(230b)는 연결부(220b)의 타면에 결합되어 있다. 고정부(230b)에는 단말기 수용부(3c)의 배면 부분이 결합된다. 그러나 휴대 단말기(도시하지 않음)의 배면 부분이 고정부(230b)에 직접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연결부(220b)가 본체(210b)의 뒤판 가장자리에 결합된 상태에서 앞판과 뒤판이 벌어진 상태에서 접힌 연결부(220b)가 일측을 기준으로 펼쳐지게 되면 휴대 단말기 케이스(1d)는 도 1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삼각형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를 수용하는 단말기 수용부(3c)는 기설정된 각도로 세워질 수 있다.
아울러, 단말기 수용부(3c)가 세워질 때 본체(220b)의 앞판과 접하는 단말기 수용부(3c) 부분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앞판에는 걸림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는 돌기, 홈, 요철, 거친 표면 따위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실시예에 살펴본 많은 특징들이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도면에서 휴대 단말기(2a)를 스마트 폰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휴대 단말기(2a)는 배면에 카메라가 장착된 태블릿 피시(tablet PC),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장치P(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개인용 휴대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가 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a, 1b, 1c, 1d: 휴대 단말기 케이스 2a, 2b: 휴대 단말기
3a, 3b, 3c: 단말기 수용부 4a: 수용홈
4b: 포트홀 5: 노출홈
210: 본체 211: 앞판
212: 뒤판 211a, 212a: 메인 수납부
213: 접힘부 214: 잠금부
220: 연결부 221: 베이스
222: 받침대 230: 고정부
10: 몸체 111: 카메라 노출홈
20: 슬라이드 커버 21: 렌즈
30: 결합부 31: 가이드 돌기
32: 가이드 홈 33: 가압 돌기
40: 연결부 50: 덮개
51: 수화기 홈 52: 수납부
60: 고정부

Claims (7)

  1. 휴대 단말기의 일면을 가리는 앞판과, 상기 휴대 단말기의 타면을 가리는 뒤판과, 그리고 상기 앞판과 상기 뒤판을 접힘 가능하게 연결하는 접힘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앞판과 상기 뒤판 사이에 위치하고, 일측이 상기 앞판 또는 뒤판에 고정된 연결부, 그리고
    상기 연결부의 일면 또는 타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휴대 단말기가 고정될 수 있는 고정부
    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케이스.
  2. 제1항에서,
    상기 연결부는,
    일측이 상기 본체와 연결되어 있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타측에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일면에 상기 고정부가 결합되어 있는 받침대
    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케이스.
  3. 제2항에서,
    상기 받침대가 상기 베이스로부터 접히면 상기 연결부는 상기 휴대 단말기를 기설정된 각도로 세우는 스탠드가 되며, 상기 본체부의 내부면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휴대 단말기를 지지하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는 휴대 단말기 케이스.
  4. 제1항에서,
    상기 연결부의 넓이는 상기 앞판 및 상기 휴대 단말기의 넓이보다 작은 휴대 단말기 케이스.
  5. 제1항에서,
    상기 고정부는 양면 테이프, 벨크로, 스냅단추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된 휴대 단말기 케이스.
  6. 제1항에서,
    일면에 상기 휴대 단말기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고, 타면이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는 단말기 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케이스.
  7. 제1항에서,
    상기 단말기 수용부의 넓이는 상기 연결부의 넓이보다는 넓고, 상기 뒤판 또는 상기 앞판의 넓이보다는 좁으며, 상기 단말기 수용부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가 노출되는 노출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노출홈을 가리지 않는 휴대 단말기 케이스.
KR1020130071737A 2013-06-21 2013-06-21 휴대 단말기 케이스 KR201500000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1737A KR20150000060A (ko) 2013-06-21 2013-06-21 휴대 단말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1737A KR20150000060A (ko) 2013-06-21 2013-06-21 휴대 단말기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060A true KR20150000060A (ko) 2015-01-02

Family

ID=52474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1737A KR20150000060A (ko) 2013-06-21 2013-06-21 휴대 단말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006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3732U (ko) * 2014-04-02 2015-10-13 엔엠텍코리아 주식회사 휴대단말기 케이스
KR20160112145A (ko) * 2015-03-18 2016-09-28 최상효 휴대폰용 플립 케이스
KR20230108451A (ko) * 2022-01-11 2023-07-18 주식회사 모란카노코리아 수납 기능을 확장시킨 휴대 단말기용 유니버설 폰 지갑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3732U (ko) * 2014-04-02 2015-10-13 엔엠텍코리아 주식회사 휴대단말기 케이스
KR20160112145A (ko) * 2015-03-18 2016-09-28 최상효 휴대폰용 플립 케이스
KR20230108451A (ko) * 2022-01-11 2023-07-18 주식회사 모란카노코리아 수납 기능을 확장시킨 휴대 단말기용 유니버설 폰 지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1310Y1 (ko)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
US8997983B2 (en) Combination protective case and stand for a tablet device and keyboard
KR200466058Y1 (ko) 받침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 보호케이스
KR100934120B1 (ko) 휴대폰 케이스
KR200468374Y1 (ko) 휴대폰 노출체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US20130344925A1 (en) Phone case with key slot
KR101192287B1 (ko) 투시창이 마련된 지갑형 핸드폰 케이스
KR101265220B1 (ko) 이동통신단말기용 케이스
KR200474403Y1 (ko) 거치기능을 구비한 스마트폰용 카드지갑
KR101461004B1 (ko) 측면터치가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
KR200473708Y1 (ko) 지갑형 휴대기기 보호케이스
KR20160018306A (ko)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KR20150000060A (ko) 휴대 단말기 케이스
KR20150000251U (ko) 직선 운동이 가능한 휴대폰 홀더가 구비된 수첩형 휴대폰 케이스
KR200473012Y1 (ko) 휴대폰 케이스
KR200472146Y1 (ko) 탈부착이 가능한 어플부재를 구비하는 보호 케이스
KR200481246Y1 (ko) 슬라이딩 휴대전화 케이스
KR102025187B1 (ko) 다용도 카드지갑 홀더
KR101946952B1 (ko) 휴대폰 케이스
KR20160010778A (ko) 지갑겸용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KR200478502Y1 (ko) 카메라 보호용 핸드폰 보호케이스
KR200472573Y1 (ko) 지갑이 내장된 핸드폰 보호케이스
KR101373747B1 (ko) 핸드폰 거치대로도 사용될 수 있는 다용도 핸드폰케이스
KR200472661Y1 (ko) 카드수납을 겸비한 스마트폰케이스
KR101239088B1 (ko) 휴대용 전자기기를 수용하는 케이스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