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8374Y1 - 휴대폰 노출체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 Google Patents

휴대폰 노출체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8374Y1
KR200468374Y1 KR2020130004152U KR20130004152U KR200468374Y1 KR 200468374 Y1 KR200468374 Y1 KR 200468374Y1 KR 2020130004152 U KR2020130004152 U KR 2020130004152U KR 20130004152 U KR20130004152 U KR 20130004152U KR 200468374 Y1 KR200468374 Y1 KR 2004683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fixed
exposed
case
further provi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41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진
Original Assignee
강성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진 filed Critical 강성진
Priority to KR20201300041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3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3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37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18Ticket-holders or the like
    • A45C11/182Credit card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69Arrangement of fasteners magnet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45C2200/15Articles convertible into a stand, e.g. for displaying purposes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폰 노출체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가 개시되는 것으로, 휴대폰(H)의 후면이 위치되는 후면부(1)와 상기 후면부(1)의 일측에 연결부(2)에 의해 연결되고 휴대폰(H)의 전면을 덮는 전면부(3)를 포함하고, 상기 후면부(1)의 내면에는 제1고정체(1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1고정체(10)에 탈부착되는 제2고정체(20)가 후면에 구비되고 전면에 휴대폰(H)이 부착되는 점착층(31)을 갖는 휴대폰 부착면(32)이 구비되며 상기 전면부(3)의 내면에 고정되되 재봉부(33)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면(34)을 갖는 휴대폰 노출체(30)가 더 구비되어, 상기 휴대폰 노출체(30)의 고정면(34)이 상기 전면부(3)의 내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후면부(1)와 전면부(3)로부터 노출되는 것에 의해 휴대폰(H)이 노출되도록 이루어진다.
본 고안은 휴대폰이 전면부와 후면부 사이에 위치됨으로써 휴대폰의 보호가 가능함은 물론 휴대폰이 전면부와 후면부로부터 완전히 노출됨이 가능하여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한 촬영시에 사용성이 크게 향상되고 렌즈구멍을 별도로 통공하지 않아도 되어 휴대폰의 기종에 관계없이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휴대폰의 세움 거치가 가능하여 동영상 감상이 용이하며 카드수납부에 의해 카드를 같이 보관하여 휴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폰 노출체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mobile phone case with exposure part of mobile phone}
본 고안은 휴대폰 노출체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갑형 케이스에 휴대폰 노출체를 더 구비하여 줌으로써 휴대폰의 보관은 물론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한 촬영시에 휴대폰을 노출시켜 촬영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휴대폰을 세워 동영상 등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한 휴대폰 노출체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의 외관 보호와 심미감 창출을 위해 제공되는 휴대폰 케이스는 사용자의 개성표현을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 기능하면서 최근 매우 다양한 형태의 소재와 외관을 갖는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종래 휴대폰 케이스는, 폴리카보네이트 소재의 일명 하드-케이스를 후가공 처리하여 표면 색상에 변화를 부여하고 있음은 물론이고 인조 및 천연가죽재질을 활용한 일명 가죽-케이스가 널리 활용됨에 따라 바-타입, 슬라이드-타입, 폴더-타입 등 각종 휴대폰이 장착되는 사출물의 외부를 감싸줌으로써 휴대폰을 보호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들은 휴대폰만을 보호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예컨대 교통카드나 신용카드 등을 보관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지갑을 필요로 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근자들어서는 휴대폰의 보호는 물론 교통카드나 신용카드를 같이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일명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가 안출되거나 시판되고 있다.
이러한,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는, 휴대폰이 수용되는 휴대폰수용부와 이 휴대폰수용부가 부착고정되는 후면부 및 후면부로부터 연장되고 휴대폰수용부의 전면에 위치하여 휴대폰수용부에 수용된 휴대폰의 전면을 커버하는 전면부로 구비되어 있다.
또한, 전면부 내측에는 각종 카드를 수납할 수 있는 카드 수납부들이 포켓형으로 더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휴대폰수용부를 이용하여 휴대폰을 수용 보관함으로써 휴대폰을 보호함과 동시에 카드 수납부에 카드를 꽂아 카드를 휴대할 수 있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휴대폰의 보호기능과 함께 카드의 수납기능을 동시에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의 일예로, 등록실용 20-0451310호인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절첩부에 의해 상호 접거나 펼 수 있도록 연결되는 한 쌍의 플랩부를 갖는 커버부재와, 상기 플랩부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휴대폰을 고정할 수 있도록 된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재에는 포켓이 형성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커버부재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에 따라, 홀더에 의해 휴대폰을 고정하여 휴대폰을 보호함과 동시에 포켓에 각종 카드 등을 꽂아 보관하도록 하여 지갑을 따로 휴대하지 않고도 카드와 휴대폰을 같이 휴대하고 다닐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는,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할 때 휴대폰 카메라 렌즈가 노출되도록 하기 위한 별도의 렌즈구멍을 통공하여야 하는 바, 각각의 휴대폰 기종마다 서로 다른 위치에 카메라 렌즈가 위치되기 때문에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 역시 휴대폰 기종마다 각각 제조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에 보관되는 휴대폰을 이용하여 카메라 촬영을 하고자 할 경우에 휴대폰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덮고 있는 전면부(커버)를 일측방향으로 젖힌 후 휴대폰 화면이 노출되도록 한 다음 카메라 촬영을 진행하여야 하는 바, 이 때 젖혀진 커버에 의해 사용자의 손이 간섭을 받게 되어 한 손으로 휴대폰 카메라를 조작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를 사용하고 있는 대부분의 사용자들이 한 손으로는 젖혀진 커버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 휴대폰을 잡은 상태에서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한 촬영을 하고 있으나, 이와 같이 양 손을 모두 사용함으로써 예컨대 셀프카메라(셀카) 촬영시에 다양한 포즈를 연출할 수 없는 또 다른 불편함이 뒤따르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등록실용 20-0451310호(2010.12.02 등록) 대한민국등록실용 20-0457433호(2011.12.13 등록)
본 고안은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에 보관된 휴대폰을 케이스의 외부로 완전히 노출시키도록 함으로써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한 촬영이 용이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이에 따라 휴대폰의 기종에 관계없이 하나의 지갑형 케이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지갑형 케이스에 렌즈구멍을 별도 가공하는 작업을 생략시킴에 따라 생산단가의 절감은 물론 작업효율성의 증대를 얻을 수 있으며 휴대폰을 세워 동영상 등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한 휴대폰 노출체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인 휴대폰 노출체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는, 휴대폰의 후면이 위치되는 후면부와 상기 후면부의 일측에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고 휴대폰의 전면을 덮는 전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면부의 내면에는 제1고정체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1고정체에 탈부착되는 제2고정체가 후면에 구비되고 전면에 휴대폰이 부착되는 점착층을 갖는 휴대폰 부착면이 구비되며 상기 전면부의 내면에 고정되되 재봉부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면을 갖는 휴대폰 노출체가 더 구비되어, 상기 휴대폰 노출체의 고정면이 상기 전면부의 내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후면부와 전면부로부터 노출되는 것에 의해 휴대폰이 노출되도록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제1고정체와 제2고정체는, 암수결합의 암수단추 또는 암수벨크로테잎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제1고정체와 제2고정체 중 어느 하나의 고정체는 자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고정체와 제2고정체 중 다른 하나의 고정체는 자석에 의해 부착되는 금속편으로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휴대폰 노출체의 후면 가장자리 양측에는 거치자석들이 각각 더 구비되고, 상기 후면부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거치자석들이 각각 부착되는 금속거치편들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전면부의 내면에는 포켓형 카드수납부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본 고안은 휴대폰이 전면부와 후면부 사이에 위치됨으로써 휴대폰의 보호가 가능함은 물론 휴대폰이 전면부와 후면부로부터 완전히 노출됨이 가능하여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한 촬영시에 사용성이 크게 향상되고 렌즈구멍을 별도로 통공하지 않아도 되어 휴대폰의 기종에 관계없이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휴대폰의 세움 거치가 가능하여 동영상 감상이 용이하며 카드수납부에 의해 카드를 같이 보관하여 휴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휴대폰 노출체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휴대폰 노출체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에 휴대폰 노출체 일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휴대폰 노출체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에 의해 휴대폰이 노출된 상태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인 휴대폰 노출체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인 휴대폰 노출체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인 휴대폰 노출체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 구성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노출체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휴대폰 노출체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는, 휴대폰(H)의 후면이 위치되는 후면부(1)와 상기 후면부(1)의 일측에 연결부(2)에 의해 연결되고 휴대폰(H)의 전면을 덮는 전면부(3)를 포함하고, 상기 후면부(1)의 내면에는 제1고정체(1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1고정체(10)에 탈부착되는 제2고정체(20)가 후면에 구비되고 전면에 휴대폰(H)이 부착되는 점착층(31)을 갖는 휴대폰 부착면(32)이 구비되며 상기 전면부(3)의 내면에 고정되되 재봉부(33)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면(34)을 갖는 휴대폰 노출체(3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후면부(1)와 연결부(2) 및 전면부(3)로 구성되는 휴대폰 케이스는 지갑형 케이스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후면부(1)에는 휴대폰(H)이 위치되어 보관되고 상기 전면부(3)는 후면부(1)에 위치 보관되는 휴대폰(H)의 전면을 덮어줌으로써 휴대폰(H)이 상기 후면부(1)와 전면부(3) 사이에 인입되어 위치 보관된다.
이 때, 상기 후면부(1)에는 휴대폰(H) 카메라 렌즈와 대응되는 렌즈구멍이 별도로 통공되지 않는 것으로, 이는 상기 휴대폰 노출체(30)에 의해 휴대폰(H)이 전면부(3)와 후면부(1)로부터 벗어나도록 노출되기 때문이다.
즉, 평소에는 휴대폰(H)을 후면부(1)와 전면부(3) 사이에 위치하여 보관 및 휴대하고 다니다가,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을 하고자 할 때 상기 휴대폰 노출체(30)를 이용하여 휴대폰(H)을 후면부(1)와 전면부(3)로부터 완전히 노출시켜 촬영하면 되는 것으로, 이와 같이 휴대폰(H)이 후면부(1)와 전면부(3)로부터 완전 노출이 가능함에 따라 별도의 렌즈구멍이 통공되지 않아도 된다.
상기 휴대폰 노출체(30)는,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직물원단 또는 가죽원단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휴대폰 노출체(30)에 의해 휴대폰(H)이 후면부(1)와 전면부(3)로부터 완전하게 노출되도록 하기 위함으로, 휴대폰 노출체(30)는 고정면(34)이 상기 전면부(3)의 내면에 재봉부(33)에 의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휴대폰 노출체(30)가 전면부(3)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상기 휴대폰 노출체(30)의 고정면(34)이 상기 전면부(3)의 내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후면부(1)와 전면부(3)로부터 노출되는 것에 의해 휴대폰(H)이 노출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전면부(3)에 고정된 고정면(34)은 전면부(3)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휴대폰 노출체(30)가 노출되기 때문에, 휴대폰 노출체(30)의 부착면(32)에 부착되는 휴대폰(H)은 완전한 노출이 가능하고 휴대폰 노출체(30)는 고정면(34)이 고정되어 노출되지 않은 상태로 고정면(34)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노출된다.
상기 휴대폰(H)이 부착되는 휴대폰 노출체(30)의 부착면(32)에는 점착층(31)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이 점착층(31)에 의해 상기 휴대폰(H)이 부착면(32)에 부착되는 것으로, 상기 점착층(31)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점착성을 갖는 것이면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체(10)와 제2고정체(20)는, 암수결합의 암수단추 또는 암수벨크로테잎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고정체(10)와 제2고정체(20) 중 어느 하나의 고정체는 자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고정체(10)와 제2고정체(20) 중 다른 하나의 고정체는 자석에 의해 부착되는 금속편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고정체(10)와 제2고정체(20)가 서로에 대해 탈부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휴대폰(H)을 노출시키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제1고정체(10)와 제2고정체(20)가 결합된 상태로 휴대폰(H)을 후면부(1)와 전면부(3) 사이에 위치된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폰(H)을 후면부(1)와 전면부(3) 사이에 위치한 상태로 보관 및 휴대시에 휴대폰(H)이 떨어지거나 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인 휴대폰 노출체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를 이용하여 휴대폰을 거치 사용할 때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폰 노출체(30)의 후면 가장자리 양측에는 거치자석(40)들이 각각 더 구비되고, 상기 후면부(1)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거치자석(40)들이 각각 부착되는 금속거치편(41)들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휴대폰(H)을 거치하여 동영상 등을 감상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후면부(1)와 전면부(3)를 뒤집은 상태에서 전면부(3)를 바닥에 위치한 후, 상기 후면부(1)를 전면부(3)측으로 꺾은 다음 상기 후면부(1) 가장자리에 구비된 금속거치편(41)들을 상기 휴대폰 노출체(30)의 가장자리 양측에 구비된 거치자석(40)을 부착하면 상기 휴대폰 노출체(30)에 부착되는 휴대폰(H)이 상기 바닥에 위치한 전면부(3)와 상기 후면부(1)에 의해 지지되어 거치된다.
이에 따라, 휴대폰을 이용한 동영상 감상이나 음악감상 또는 사진을 보거나 할 때 책상의 바닥 등에 휴대폰을 세운 상태에서 거치하여 감상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전면부(3)의 내면에 포켓형 카드수납부(5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카드수납부(50)가 더 구비됨으로써 휴대폰(H)은 물론 교통카드나 신용카드와 같은 카드를 상기 카드수납부(50)에 꽂아 휴대폰과 같이 보관하여 휴대할 수 있어 사용성 및 편의성이 크게 향상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H : 휴대폰 1 : 후면부
2 : 연결부 3 : 전면부
10 : 제1고정체 20 : 제2고정체
30 : 휴대폰 노출체 31 : 점착층
32 : 휴대폰 부착면 33 : 재봉부
34 : 고정면 40 : 거치자석
41 : 거치편 50 : 카드수납부

Claims (5)

  1. 휴대폰(H)의 후면이 위치되는 후면부(1)와 상기 후면부(1)의 일측에 연결부(2)에 의해 연결되고 휴대폰(H)의 전면을 덮는 전면부(3)를 포함하고,
    상기 후면부(1)의 내면에는 제1고정체(1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1고정체(10)에 탈부착되는 제2고정체(20)가 후면에 구비되고 전면에 휴대폰(H)이 부착되는 점착층(31)을 갖는 휴대폰 부착면(32)이 구비되며 상기 전면부(3)의 내면에 고정되되 재봉부(33)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면(34)을 갖는 휴대폰 노출체(30)가 더 구비되어,
    상기 휴대폰 노출체(30)의 고정면(34)이 상기 전면부(3)의 내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후면부(1)와 전면부(3)로부터 노출되는 것에 의해 휴대폰(H)이 노출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노출체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체(10)와 제2고정체(20)는,
    암수결합의 암수단추 또는 암수벨크로테잎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노출체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체(10)와 제2고정체(20) 중 어느 하나의 고정체는 자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고정체(10)와 제2고정체(20) 중 다른 하나의 고정체는 자석에 의해 부착되는 금속편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노출체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 노출체(30)의 후면 가장자리 양측에는 거치자석(40)들이 각각 더 구비되고,
    상기 후면부(1)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거치자석(40)들이 각각 부착되는 금속거치편(41)들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노출체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3)의 내면에는 포켓형 카드수납부(5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노출체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KR2020130004152U 2013-05-24 2013-05-24 휴대폰 노출체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KR2004683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4152U KR200468374Y1 (ko) 2013-05-24 2013-05-24 휴대폰 노출체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4152U KR200468374Y1 (ko) 2013-05-24 2013-05-24 휴대폰 노출체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8374Y1 true KR200468374Y1 (ko) 2013-08-09

Family

ID=51396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4152U KR200468374Y1 (ko) 2013-05-24 2013-05-24 휴대폰 노출체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8374Y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307Y1 (ko) * 2014-01-09 2014-04-17 최재학 휴대폰 보호 케이스
KR200473708Y1 (ko) 2014-04-03 2014-07-25 박종석 지갑형 휴대기기 보호케이스
KR200474213Y1 (ko) * 2013-09-23 2014-09-03 주식회사 솔로젠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KR101463606B1 (ko) * 2013-09-30 2014-11-21 (주)케이디프라텍 휴대폰 케이스
KR101472033B1 (ko) * 2014-08-08 2014-12-11 (주)씨에스테크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KR20150003732U (ko) * 2014-04-02 2015-10-13 엔엠텍코리아 주식회사 휴대단말기 케이스
WO2016021946A3 (ko) * 2014-08-08 2016-03-31 (주)씨에스테크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KR200480438Y1 (ko) 2015-03-06 2016-05-25 안성철 지갑기능이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WO2016088945A1 (ko) * 2014-12-05 2016-06-09 엔엠텍코리아 주식회사 휴대기기 케이스
KR200491398Y1 (ko) * 2019-03-18 2020-04-01 박진환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
KR20210001369U (ko) * 2019-12-11 2021-06-21 김진모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4292A (ko) * 2011-07-29 2013-02-07 주식회사 뉴빛 휴대기기용 지퍼케이스
KR200466058Y1 (ko) 2013-01-03 2013-04-03 (주)폭스자일코리아 받침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 보호케이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4292A (ko) * 2011-07-29 2013-02-07 주식회사 뉴빛 휴대기기용 지퍼케이스
KR200466058Y1 (ko) 2013-01-03 2013-04-03 (주)폭스자일코리아 받침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 보호케이스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213Y1 (ko) * 2013-09-23 2014-09-03 주식회사 솔로젠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KR101463606B1 (ko) * 2013-09-30 2014-11-21 (주)케이디프라텍 휴대폰 케이스
KR200472307Y1 (ko) * 2014-01-09 2014-04-17 최재학 휴대폰 보호 케이스
KR200479258Y1 (ko) * 2014-04-02 2016-01-11 엔엠텍코리아 주식회사 휴대단말기 케이스
KR20150003732U (ko) * 2014-04-02 2015-10-13 엔엠텍코리아 주식회사 휴대단말기 케이스
KR200473708Y1 (ko) 2014-04-03 2014-07-25 박종석 지갑형 휴대기기 보호케이스
KR101472033B1 (ko) * 2014-08-08 2014-12-11 (주)씨에스테크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WO2016021946A3 (ko) * 2014-08-08 2016-03-31 (주)씨에스테크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WO2016088945A1 (ko) * 2014-12-05 2016-06-09 엔엠텍코리아 주식회사 휴대기기 케이스
KR200480438Y1 (ko) 2015-03-06 2016-05-25 안성철 지갑기능이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KR200491398Y1 (ko) * 2019-03-18 2020-04-01 박진환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
KR20210001369U (ko) * 2019-12-11 2021-06-21 김진모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
KR200494079Y1 (ko) 2019-12-11 2021-07-29 김진모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8374Y1 (ko) 휴대폰 노출체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KR101394285B1 (ko)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의 전면 커버를 계폐하는 결합 장치 및 이를 포함한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KR200457590Y1 (ko) 스탠딩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
KR200480281Y1 (ko) 가변적 휴대폰 장착 위치 조절 구조의 착탈식 범용 휴대폰 케이스
KR101461004B1 (ko) 측면터치가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
KR20160018306A (ko)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KR101419199B1 (ko) 휴대폰용 케이스
KR101246081B1 (ko) 휴대폰 케이스
KR200473012Y1 (ko) 휴대폰 케이스
KR200488737Y1 (ko) 휴대폰 케이스
KR102123876B1 (ko) 휴대폰 케이스
KR101591302B1 (ko) 지갑겸용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KR20130007270U (ko)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
KR200479106Y1 (ko) 다용도 휴대폰 파우치
KR20150000060A (ko) 휴대 단말기 케이스
KR101373747B1 (ko) 핸드폰 거치대로도 사용될 수 있는 다용도 핸드폰케이스
KR200472573Y1 (ko) 지갑이 내장된 핸드폰 보호케이스
KR101556062B1 (ko) 지갑 겸용 휴대폰 케이스
KR101556061B1 (ko) 내부 케이스가 구비된 지갑 겸용 휴대폰 케이스
KR200464932Y1 (ko)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KR200473331Y1 (ko) 절개부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KR101463606B1 (ko) 휴대폰 케이스
KR20150025382A (ko) 카메라렌즈가 포함된 휴대폰 배터리커버
TWM484331U (zh) 手機保護套
KR102597365B1 (ko) 수납 기능을 확장시킨 휴대 단말기용 유니버설 폰 지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