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2307Y1 - 휴대폰 보호 케이스 - Google Patents

휴대폰 보호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2307Y1
KR200472307Y1 KR2020140000234U KR20140000234U KR200472307Y1 KR 200472307 Y1 KR200472307 Y1 KR 200472307Y1 KR 2020140000234 U KR2020140000234 U KR 2020140000234U KR 20140000234 U KR20140000234 U KR 20140000234U KR 200472307 Y1 KR200472307 Y1 KR 2004723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obile phone
main body
connection part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02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학
Original Assignee
최재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학 filed Critical 최재학
Priority to KR20201400002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3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3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30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18Ticket-hold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2Interior fittings; Means, e.g. inserts, for holding and packing art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폰 보호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따라서 전방커버와 후방커버를 휴대폰을 수납하는 본체로부터 분리가 가능토록 함과 아울러, 그 후방커버에 수납부를 구비토록 한 휴대폰 보호 케이스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휴대폰을 수납하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로부터 전방연결부(210)에 의해 젖힘 가능하게 결합되어 휴대폰의 전면을 덮는 전방커버(200);로 구성된 휴대폰 보호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는 연결부(210)를 내측으로 수용하기 위하여 개방부(110)가 형성되고, 개방부(110)가 형성된 부위의 바닥부(101)에는 상기 전방연결부(210)의 일부를 수용하는 고정홈부(120)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부(120)에는 복수의 걸림돌기(121)가 등간격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전방연결부(210)에는 걸림돌기(121)와 대응된 위치에 끼움공(211)이 형성되어 고정홈부(120)에서 걸림돌기(121)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고정홈부(120)를 상측을 덮도록 덮개(300)가 구비되면서 그 덮개(300)에는 상기 걸림돌기(121)와 대응된 부위에 고정공(310)이 형성되어 전방연결부(210)가 고정된 고정홈부(120)의 상측을 덮으면서 걸림돌기(121)에 고정공(310)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전방커버(200)의 전방연결부(210)에 젖힘 가능하게 후방연결부(410)가 결합되어 본체(100)의 후면을 덮는 후방커버(400)를 더 구비하며, 상기 후방커버(400)의 내측면에는 수납부(620) 또는 포켓(640)이 구비된다.

Description

휴대폰 보호 케이스{omitted}
본 고안은 휴대폰 보호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폰의 전면부와 후면부를 보호하기 위한 전방커버 및 후방커버를 손쉽게 교체가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후방커버에는 수납부를 구비한 휴대폰 보호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고가의 휴대폰을 외부의 충격이나 오염물질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휴대폰 보호 케이스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휴대폰 보호 케이스의 종래기술로서 본 출원인이 등록한 등록실용신안 제20-0470415호에 의하면 도1에 도시된 바와같이, 휴대폰을 수납하는 본체(100); 본체(100)로부터 연결부(210)에 의해 젖힘 가능하게 결합되어 휴대폰의 전면을 덮는 전방커버(200);로 구성된 휴대폰 보호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는 연결부(210)를 내측으로 수용하기 위하여 개방부(110)가 형성되고, 개방부(110)가 형성된 부위의 바닥부(101)에는 상기 연결부(210)의 일부를 수용하는 고정홈부(120)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부(120)에는 복수의 걸림돌기(121)가 등간격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연결부(210)에는 걸림돌기(121)와 대응된 위치에 끼움공(211)이 형성되어 고정홈부(120)에서 걸림돌기(121)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고정홈부(120)를 상측을 덮도록 덮개(300)가 구비되면서 그 덮개(300)에는 상기 걸림돌기(121)와 대응된 부위에 고정공(310)이 형성되어 연결부(210)가 고정된 고정홈부(120)의 상측을 덮으면서 걸림돌기(121)에 고정공(310)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이로인해, 전방커버를 다른 전방커버로 손쉽게 교체가 가능하게 되므로 다양한 휴대폰 보호 케이스의 연출이 가능하여 구매 비용의 절감 효과를 가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방커버(200)에는 투시창(220)이 형성되어 전화가 걸려올 때 전방커버(200)를 열지 않고도 발신자를 확인할 수 있고, 아울러 정전용량 방식에 의해 통화개시 버튼을 터치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전방커버(200)에 투시창(220)을 형성함으로써 신용카드나 멤버쉽 카드, 교통카드, 그리고 약간의 지폐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가 구비되기 위한 공간이 매우 협소하고, 협소한 공간 때문에 수납부를 구비하지 못하므로 사용자가 별도의 카드지갑을 소지하여야 하므로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여, 전방커버와 후방커버를 휴대폰을 수납하는 본체로부터 분리가 가능토록 함과 아울러, 그 후방커버에 수납부를 구비토록 한 휴대폰 보호 케이스를 제공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휴대폰을 수납하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로부터 전방연결부(210)에 의해 젖힘 가능하게 결합되어 휴대폰의 전면을 덮는 전방커버(200);로 구성된 휴대폰 보호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는 연결부(210)를 내측으로 수용하기 위하여 개방부(110)가 형성되고, 개방부(110)가 형성된 부위의 바닥부(101)에는 상기 전방연결부(210)의 일부를 수용하는 고정홈부(120)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부(120)에는 복수의 걸림돌기(121)가 등간격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전방연결부(210)에는 걸림돌기(121)와 대응된 위치에 끼움공(211)이 형성되어 고정홈부(120)에서 걸림돌기(121)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고정홈부(120)를 상측을 덮도록 덮개(300)가 구비되면서 그 덮개(300)에는 상기 걸림돌기(121)와 대응된 부위에 고정공(310)이 형성되어 전방연결부(210)가 고정된 고정홈부(120)의 상측을 덮으면서 걸림돌기(121)에 고정공(310)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전방커버(200)의 전방연결부(210)에 젖힘 가능하게 후방연결부(410)가 결합되어 본체(100)의 후면을 덮는 후방커버(400)를 더 구비하며, 상기 후방커버(400)의 내측면에는 수납부(620) 또는 포켓(640)이 구비된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르면 휴대폰 보호 케이스의 전방커버와 후방커버를 사용자가 손쉽게 교체가 가능하게 되므로 다양한 휴대폰 보호 케이스의 연출이 가능하며, 아울러 후방커버에는 카드 또는 지폐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를 구비함으로써 별도의 지갑을 소지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이 있다.
도1은 종래의 휴대폰 보호 케이스의 구조를 보인 도.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 보호 케이스의 전방커버 및 후방커버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보인 도.
도3은 전방커버와 후방커버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4는 휴대폰 보호 케이스의 본체에 전방커버와 후방커버가 닫혀진 상태를 보인 도.
도5는 본 고안의 전방커버 및 후방커버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
도6은 도5의 결합도.
도7은 후방커버에 구비된 수납부의 구성을 보인 도.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 1부터 도면 7까지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휴대폰을 수납학하기 위한 본체(100)의 구조 및 전방커버(200), 그리고 덮개(300)의 구조는 종래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구조는 설명하지 않고, 다만 후방커버(400)의 구조 및 그 연결상태를 설명한다.
도2에서와 같이 후방커버(400)는 본체(100)의 후면부위를 덮을 수 있는 크기를 가지며, 일측에는 전방커버(200)의 전방연결부(2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후방연결부(410)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후방커버(400)와 그 후방연결부(410)의 재질은 전방커버(200) 및 전방연결부(210)와 동일하게 할 수 있으며, 전방연결부(210)의 외측면에서 끼움공(211)을 막지 않는 위치에 후방연결부(410)가 박음질, 초음파 또는 열 융착, 접착제에 의한 본딩 등의 방법에 의해 도3에서와 같이 결합된다.
따라서, 도4에서와 같이 전방커버(200)는 본체(100)의 전면으로 젖혀져서 휴대폰의 전면부위를 폐쇄하고, 또한 후방커버(400)는 본체(100)의 후면으로 젖혀져서 본체(100)의 후면을 보호하게 된다.
아울러, 전방커버(200)에는 투시창(220)이 형성되어 있어서 수납공간이 충분하지 않게 되므로, 후방커버(400)의 내측면에는 도7에서와 같이 카드수납부(620,630)와 수납포켓(640)이 구비되어 있게 된다.
카드수납부(620,630)는 후방커버(400)의 내측 커버부위가 절개되어 카드를 수납할 수 있도록 하며, 수납포켓(640)은 상부가 개방된 주머니 형태로서, 그 양측부위에는 주름부(641,642)가 형성되어 있어서, 접혀진 지폐 또는 간단한 소품이 수납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주름부(641,642)에 의해 내측 공간이 확장되므로 약간의 두께를 갖는 소품을 수납할 수 있으며, 소품이 수납되지 않은 경우에는 납작하게 접혀진 상태를 가질 것이다.
또한, 이러한 수납포켓(640)의 상측과 후방커버(400)의 내측면 사이에는 벨크로, 스냅버튼, 지퍼 등으로 된 고정부(643,644)가 구비되어 있어서, 수납포켓(640)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도록 한다.
도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로서, 전방커버(500)는 도1의 전방커버(200)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되, 다만 전방연결부(510,520)가 차이가 있다.
전방연결부(510,520)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후방커버(600)의 경우에는 후방연결부(610)가 상기 전방연결부(510,520) 사이의 간격에 위치하도록 하여 서로 겹쳐지지 않도록 형성된다.
물론, 전방연결부가 하나로 구비될 수 있고, 후방연결부가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을 것이며, 또 다른 방안으로는 전방연결부(510,520)와 후방연결부(610)가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어 서로 겹쳐지게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전방연결부(510,520)와 후방연결부(610)에는 도1에서와 같이 걸림돌기(121)에 해당하는 위치에 각각 끼움공(511,521,611,612)이 형성되어 있어서, 도6에서와 같이 전방커버(500)와 후방커버(600)가 겹쳐진 상태에서 걸림돌기(121)에 각각 끼워져 결합되고, 덮개(300)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전방커버(500)의 본체(100)의 전면을 덮도록 젖혀지고, 후방커버(500)는 본체(100)의 후면을 덮도록 젖혀지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후방커버(600)에도 이미 설명한 도7에서와 같이 카드수납부(620,630)와 수납포켓(640)이 구비된다.
200, 500 : 전방커버
400,600 : 후방커버
210,510,520 : 전방연결부
410,610 : 후방연결부
620,630 : 카드수납부
640 : 수납포켓

Claims (3)

  1. 휴대폰을 수납하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로부터 전방연결부(210)에 의해 젖힘 가능하게 결합되어 휴대폰의 전면을 덮는 전방커버(200);로 구성된 휴대폰 보호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는 연결부(210)를 내측으로 수용하기 위하여 개방부(110)가 형성되고, 개방부(110)가 형성된 부위의 바닥부(101)에는 상기 전방연결부(210)의 일부를 수용하는 고정홈부(120)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부(120)에는 복수의 걸림돌기(121)가 등간격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전방연결부(210)에는 걸림돌기(121)와 대응된 위치에 끼움공(211)이 형성되어 고정홈부(120)에서 걸림돌기(121)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고정홈부(120)를 상측을 덮도록 덮개(300)가 구비되면서 그 덮개(300)에는 상기 걸림돌기(121)와 대응된 부위에 고정공(310)이 형성되어 전방연결부(210)가 고정된 고정홈부(120)의 상측을 덮으면서 걸림돌기(121)에 고정공(310)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전방커버(200)의 전방연결부(210)에 젖힘 가능하게 후방연결부(410)가 결합되어 본체(100)의 후면을 덮는 후방커버(400)를 더 구비하며, 상기 후방커버(400)의 내측면에는 수납부(620) 또는 포켓(64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보호 케이스.
  2. 휴대폰을 수납하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로부터 전방연결부(510)에 의해 젖힘 가능하게 결합되어 휴대폰의 전면을 덮는 전방커버(500); 상기 본체(100)로부터 후방연결부(610)에 의해 젖힘 가능하게 결합되어 본체(100)의 후면을 덮는 후방커버(600);로 구성된 휴대폰 보호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는 전방연결부(510) 및 후방연결부(610)를 내측으로 수용하기 위하여 개방부(110)가 형성되고, 개방부(110)가 형성된 부위의 바닥부(101)에는 상기 전방연결부(510) 및 후방연결부(610)의 일부를 수용하는 고정홈부(120)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부(120)에는 복수의 걸림돌기(121)가 등간격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전방연결부(510) 및 후방연결부(610)에는 걸림돌기(121)와 대응된 위치에 끼움공(511,521)(611,612)이 형성되어 고정홈부(120)에서 걸림돌기(121)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고정홈부(120)를 상측을 덮도록 덮개(300)가 구비되면서 그 덮개(300)에는 상기 걸림돌기(121)와 대응된 부위에 고정공(310)이 형성되어 전방연결부(510) 및 후방연결부(610)가 고정된 고정홈부(120)의 상측을 덮으면서 걸림돌기(121)에 고정공(310)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후방커버(600)의 내측면에는 수납부(620) 또는 포켓(64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보호 케이스.
  3. 2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커버(500)의 전방연결부(510,520)와 후방커버(600)의 후방연결부(610)는 서로 겹쳐지지 않는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보호 케이스.
KR2020140000234U 2014-01-09 2014-01-09 휴대폰 보호 케이스 KR2004723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0234U KR200472307Y1 (ko) 2014-01-09 2014-01-09 휴대폰 보호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0234U KR200472307Y1 (ko) 2014-01-09 2014-01-09 휴대폰 보호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2307Y1 true KR200472307Y1 (ko) 2014-04-17

Family

ID=51489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0234U KR200472307Y1 (ko) 2014-01-09 2014-01-09 휴대폰 보호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230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9557B1 (ko) * 2018-08-16 2019-11-27 주식회사 코리아 아피스 폴더블 휴대폰용 케이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374Y1 (ko) * 2013-05-24 2013-08-09 강성진 휴대폰 노출체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KR200470415Y1 (ko) * 2013-08-12 2013-12-12 최재학 휴대폰 보호 케이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374Y1 (ko) * 2013-05-24 2013-08-09 강성진 휴대폰 노출체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KR200470415Y1 (ko) * 2013-08-12 2013-12-12 최재학 휴대폰 보호 케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9557B1 (ko) * 2018-08-16 2019-11-27 주식회사 코리아 아피스 폴더블 휴대폰용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79723B2 (en) Battery charging case with changeable panel for an electronic device
KR200451310Y1 (ko)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
US20120021810A1 (en) Cell phone cover with pocket
KR101442157B1 (ko) 휴대폰 케이스
KR200472307Y1 (ko) 휴대폰 보호 케이스
KR200474129Y1 (ko) 휴대폰 보호 케이스
KR200479105Y1 (ko) 카드 수납부를 갖는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US20140144741A1 (en) Travel bag protective structure
KR20140037405A (ko)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KR200461407Y1 (ko) 휴대폰 케이스
KR200468398Y1 (ko)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
KR101246791B1 (ko) 휴대폰 훼손방지용 2중 케이스 구조물
WO2016001359A1 (en) Protective case for storing and protecting glasses
JP7491128B2 (ja) 電子機器収納ケース
KR20170003703U (ko) 카드 수납이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
CN203071992U (zh) 手机金属框
KR200475030Y1 (ko) 이륜차 취부가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가방
KR200436229Y1 (ko) 안경 휴대용 가방
KR101303345B1 (ko) 휴대기기용 수납 케이스
KR20120004888U (ko) 휴대폰 보호용 케이스
KR20160004269U (ko)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KR200463515Y1 (ko)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
KR200473292Y1 (ko) 히든포켓부가 구비된 모바일기기 케이스
KR200470206Y1 (ko) 모바일폰 케이스
KR20170001693U (ko) 다용도 휴대폰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