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3515Y1 -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63515Y1 KR200463515Y1 KR2020120001318U KR20120001318U KR200463515Y1 KR 200463515 Y1 KR200463515 Y1 KR 200463515Y1 KR 2020120001318 U KR2020120001318 U KR 2020120001318U KR 20120001318 U KR20120001318 U KR 20120001318U KR 200463515 Y1 KR200463515 Y1 KR 20046351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ver
- connector
- locking
- mobile terminal
- protective cov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8—Carrying enclosures containing additional elements, e.g. case for a laptop and a printer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3—Protecting arrangement for the entire housing of the compu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테블릿 컴퓨터 등의 휴대용 컴퓨터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가, 사용자의 실수나 외력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테블릿 컴퓨터의 전면부를 보호하는 상부커버와, 후면부 및 측면부를 보호하는 하부커버가 용이하게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면서도, 구조적 특징에 의해 상단 커버와 하부 보호커버가 견고히 결합되며, 내부에 보관되는 태블릿 컴퓨터를 안정적으로 충분히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보호커버 전체가 아닌 상단 커버 또는 하부 보호커버의 교체만으로도 해당 태블릿 컴퓨터의 보호기능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상부커버 및 하부커버에 대하여 다양한 색상이나 형상 등으로 조합할 수 있어, 다양한 소비자 취향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는 소비자에 대한 신뢰성 및 대응성을 향상시키고, 해당 분야에서 제품의 상품가치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은 테블릿 컴퓨터의 전면부를 보호하는 상부커버와, 후면부 및 측면부를 보호하는 하부커버가 용이하게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면서도, 구조적 특징에 의해 상단 커버와 하부 보호커버가 견고히 결합되며, 내부에 보관되는 태블릿 컴퓨터를 안정적으로 충분히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보호커버 전체가 아닌 상단 커버 또는 하부 보호커버의 교체만으로도 해당 태블릿 컴퓨터의 보호기능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상부커버 및 하부커버에 대하여 다양한 색상이나 형상 등으로 조합할 수 있어, 다양한 소비자 취향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는 소비자에 대한 신뢰성 및 대응성을 향상시키고, 해당 분야에서 제품의 상품가치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테블릿 컴퓨터 등의 휴대용 컴퓨터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가, 사용자의 실수나 외력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스마트커버 등에 의한 테블릿 컴퓨터의 전면부 보호기능은 물론, 후면부 및 측면부에 대한 보호기능을 더 제공함과 동시에, 테블릿 컴퓨터의 전면부를 보호하는 상부커버와, 후면부 및 측면부를 보호하는 하부커버가 용이하게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면서도, 내부에 보관되는 태블릿 컴퓨터를 안정적으로 충분히 보호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무선통신망 및 무선인터넷 분야의 기술발전에 힘입어,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이 널리 보급되면서, 휴대가 간편하면서도 고성능의 연산처리가 가능한 휴대용 컴퓨터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컴퓨터의 대표적인 예로 테블릿 컴퓨터가 있으며, 테블릿 컴퓨터는 터치스크린과 같은 디스플레이부가 출력장치와 입력장치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한편, 테블릿 컴퓨터를 포함하는 휴대용 컴퓨터 등의 휴대단말기는 용이한 휴대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가벼우면서도 두께가 얇은 형태로 제공되고 있는 바, 이러한 휴대단말기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외력이나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해 쉽게 손상될 수 있다. 특히, 테블릿 컴퓨터는 터치스크린의 손상이 빈번하게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휴대단말기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테블릿 컴퓨터의 경우 스마트커버와 같은 보호커버가 제공되고 있다.
스마트커버는 테블릿 컴퓨터의 전면부 디스플레이를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일측에 자력을 갖는 바형상의 결합봉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마트커버를 테블릿 컴퓨터의 전면부에 덮은 후 결합봉을 해당 테블릿 컴퓨터의 측면에 부착하여 휴대하게 된다. 또한, 스마트커버는 테블릿 컴퓨터를 보호하는 기능과 동시에 테블릿 컴퓨터를 거치할 수 있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스마트커버는 테블릿 컴퓨터의 전면부를 보호할 뿐, 후면부에 대한 보호는 불가능하며, 스마트커버가 테블릿 컴퓨터와 자력에 의해 결합되므로, 테블릿 컴퓨터와 쉽게 분리되는 단점이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스마트커버 및 이와 결합되는 하부의 보호커버에 의해 테블릿 컴퓨터의 전면부는 물론 후면부 및 측면부를 모두 보호할 수 있는 보호커버도 제공되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93740호 "테블릿 컴퓨터용 보호케이스"를 살펴보면, 테블릿 컴퓨터를 보호하는 스마트커버가 하부의 케이스본체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커버의 일측에 힌지회동되는 결합봉 구성되고, 하부의 케이스본체의 일측에 걸림부가 형성되며, 걸림부에 결합봉을 끼워서 결합함으로써, 테블릿 컴퓨터를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93740호는, 하부의 케이스본체 내부에 결합봉이 위치하기 때문에, 외력에 의한 흔들림이나 스마트커버의 개폐 시, 결합봉이 불필요하게 흔들리면서 결합봉의 모서리 부분 등에 의해 내부에 보관되는 테블릿 컴퓨터의 외면에 손상을 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93740호는 내부에 보관되는 테블릿 컴퓨터를 충분히 보호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테블릿 컴퓨터의 전면부를 보호하는 상부커버와, 후면부 및 측면부를 보호하는 하부커버가 용이하게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면서도, 내부에 보관되는 태블릿 컴퓨터를 안정적으로 충분히 보호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적 특징에 의해 상부커버와 하부커버가 견고히 결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는, 휴대단말기의 하부면 및 측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에 결합부 및 걸림턱이 형성된 하부커버; 상기 하부커버의 상부를 덮도록 형성되는 상부커버; 및 상기 상부커버의 일측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고, 다른 일측에 상기 하부커버의 결합부에 밀착되어 걸림턱에 걸려는 걸림부가 형성된 연결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커버의 일측에는 상기 연결구가 끼워지는 개방부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개방부의 내측면을 따라 상기 걸림부의 하부면이 밀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은 상기 걸림부의 측면이 밀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연결구의 외측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결합부 및 걸림턱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절곡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걸림부는 상기 하부커버에 대한 상기 연결구의 결합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결합방향에 형성되는 전면걸림부; 및 상기 전면걸림부에서 측면부로 이어지도록 연장형성되는 측면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커버의 일측에는 상기 연결구가 삽입되는 관통홈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관통홈의 내측으로 상기 연결구의 하부면이 밀착되도록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은 상기 결합부의 상부면에 바형상의 돌기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걸림턱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연결구 하부면에 홈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
예를 들어, 상기 관통홈의 상부에는 상기 하부커버의 측면에 연장되어 제1 끼움턱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의 상부면에는 상기 제1 끼움턱에 걸려지는 제2 끼움턱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하부커버의 일측 측면의 외측면에는 상기 연결구의 상부면이 밀착되는 밀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밀착부의 외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의 상부면에는 상기 걸림돌기에 대응하는 걸림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수단에 의해, 본 고안은 상부커버와 하부커버의 결합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상부커버와 하부커버가 견고히 결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부커버와 하부커버가 용이하게 탈착될 수 있도록 구성하면서도, 내부에 보관되는 태블릿 컴퓨터를 안정적으로 충분히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고안은 상부커버 및 하부커버 중 어느 하나가 손상 등의 이유로 사용이 불가능한 경우, 보호커버 전체가 아닌 상단 커버 또는 하부 보호커버의 교체만으로도 해당 태블릿 컴퓨터의 보호기능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본 고안은 상부커버 및 하부커버에 대하여 다양한 색상이나 형상 등으로 조합할 수 있어, 다양한 소비자 취향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는 소비자에 대한 신뢰성 및 대응성을 향상시키고, 해당 분야에서 제품의 상품가치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결합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하부커버와 연결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 및 B-B선의 중요부분 확대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난 걸림부의 형상에 대한 수치적범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결합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C-C선의 중요부분 확대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결합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D-D선의 중요부분 확대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에 의한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중요부분 확대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하부커버와 연결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 및 B-B선의 중요부분 확대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난 걸림부의 형상에 대한 수치적범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결합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C-C선의 중요부분 확대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결합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D-D선의 중요부분 확대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에 의한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중요부분 확대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더불어,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하부커버와 연결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는 하부커버(100), 상부커버(200) 및 연결구(300)를 포함한다.
하부커버(100)는 테블릿 컴퓨터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의 하부면 및 측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해당 테블릿 컴퓨터를 보관할 수 있도록 공간부가 형성된다. 여기서, 하부커버(100)는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해당 테블릿 컴퓨터의 하부면을 충분히 보호할 수 있도록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서, 하부커버(100)는 일측에 결합부(110) 및 걸림턱(111)이 형성된다.
결합부(110)는 연결구(3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연결구(300)의 가장자리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부(110)는 하부커버(100)의 내측 바닥면에 계단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걸림턱(111)은 결합부(110)에 결합된 연결구(300)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걸림턱(111)은 결합부(110)의 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커버(200)는 연결구(300)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어, 하부커버(100)의 상부를 덮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상부커버(200)는 하부커버(100)의 내부에 보관되는 테블릿 컴퓨터의 상부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커버(200)는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해당 테블릿 컴퓨터의 디스플레이(터치스크린)를 보호하기 위하여, 부드러운 재질의 합성수지재 또는 직물재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연결구(300)는 상부커버(200)의 일측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연결구(300)의 다른 일측에는 하부커버(100)의 결합부(110)에 밀착되어 걸림턱(111)에 걸려는 걸림부(310)가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하부커버(100)의 일측에는 연결구(300)가 끼워지는 개방부(120)가 형성된다. 이때, 연결구(300)는 개방부(120)에 의해 제거된 하부커버(100)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부(110)는 개방부(120)의 내측면을 따라 걸림부(310)의 하부면이 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걸림턱(111)은 걸림부(310)의 측면이 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걸림부(310)는 연결구(300)의 외측가장자리를 따라 결합부(110) 및 걸림턱(111)에 대응하는 형상(계단형)으로 절곡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연결구(300)의 걸림부(310)가 걸림턱(111)에 밀착되어 결합부(110)에 끼워지면서, 하부커버(100)에 연결구(300)를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난 부분확대영역과 같이, 걸림부(310)의 종단부가 하부커버(100)의 측면부로 더 넓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구(300)가 하부커버(100)의 후방(도 2에서 우측상부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걸림부(310)는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하부커버(100)에 대한 연결구(300)의 결합방향(도 1에서 좌측하부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해당 결합방향에 형성되는 전면걸림부(311) 및 전면걸림부(311)에서 측면부로 이어지도록 연장형성되는 측면걸림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하부커버(100)와 연결구(300)의 결합 후, 구조적 안전성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3은 도 2의 A-A선 및 B-B선의 중요부분 확대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하부커버(100)의 결합부(110) 상측으로 결합되는 연결구(300)의 걸림부(310)는, 하부커버(100)의 내부에 보관되는 테블릿 컴퓨터(도시하지 않음)의 하중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지고, 결합부(110)에 의해 지지되면서 도 3의 'A-A'선 단면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안정적으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걸림부(310)의 양측부는 도 3의 'B-B'선 단면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결합부(110) 및 걸림턱(111)에 의해 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하부커버(100)와 연결구(300)가 결합된 상태에서, 하부커버(100)의 내부에 테블릿 컴퓨터가 놓여지게 되면, 테블릿 컴퓨터의 하중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과, 결합부(110) 및 걸림턱(111)에 의해 가해지는 지지력에 의해 하부커버(100)와 연결구(300)의 결합상태는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더불어, 이와 같은 하부커버(100)와 연결구(300)의 결합구조에 의해, 연결구(300)와 상부커버(200)가 회동가능하도록 하는 힌지결합부(미부호)를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테블릿 컴퓨터와 접촉되지 않는 부분, 다시 말해, 하부커버(100)의 측면에서 상단부에 구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힌지결합부에 의한 테블릿 컴퓨터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연결구(300)가 하부커버(100)에 안정적으로 결합되기 위해서는, 도 3의 'B-B'선 단면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연결구(300)의 걸림부(310) 중 측면걸림부(312)가 하부커버(100)의 측면에 대응하도록 연장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난 걸림부의 형상에 대한 수치적범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하부커버(100)와 연결구(300)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하여, 측면걸림부(312)의 형성각(θ)은 도 4의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연결구(300)의 결합방향을 기준으로 45° 내지 89°의 각도까지, 전면걸림부(311)에서 연장형성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하부커버(100)와 연결구(300)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하여, 측면걸림부(312)의 형성높이(H2)는 도 4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연결구(300)의 높이(H1)에 대하여 1:0.3 내지 1:0.9의 높이까지, 전면걸림부(311)에서 연장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결합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C-C선의 중요부분 확대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하부커버(100)는 일측에, 연결구(300)가 삽입되는 관통홈(130)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결합부(110')는 관통홈(130)의 내측으로 연결구(300)의 하부면이 밀착되도록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걸림턱(111')은 결합부(110')의 상부면에 바형상의 돌기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걸림턱(111')은 보다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Ω'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걸림부(310')는 걸림턱(111')에 대응하는 위치의 연결구(300) 하부면에 홈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걸림턱(111')이 'Ω'형으로 형성될 경우, 걸림부(310')는 'Ω'형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됨은 당연하다.
따라서, 연결구(300)의 걸림부(310')가 결합부(110')의 걸림턱(111')과 결합되어 안정정인 결합구조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 연결구(300)와 상부커버(200)가 연결되는 힌지결합부(미부호)가 하부커버(110)의 측면 외부에 위치함으로써, 힌지결합부에 의한 테블릿 컴퓨터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결합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D-D선의 중요부분 확대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관통홈(130)의 상부에는 하부커버(100)의 측면에 연장되어 제1 끼움턱(131)을 형성할 수 있고, 연결구(300)의 상부면에는 제1 끼움턱(131)에 걸려지는 제2 끼움턱(331)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구(300)는 홈형의 걸림부(310') 뿐만 아니라, 제2 끼움턱(331)에 의해 보다 견고하고 안정적인 결합구조를 얻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끼움턱(131) 및 제2 끼움턱(331)은 적어도 두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나타난 제1 끼움턱(131) 및 제2 끼움턱(331)을 각각 대응하도록 적어도 두 개로 분할하여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하부커버(100)의 일측 측면의 외측면에는, 연결구(300)의 상부면이 밀착되는 밀착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밀착부(140)는 하부커버(100)의 외측면에 대하여 계단형태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구(300)는 걸림부(310')가 걸림턱(111')에 끼워진 상태에서, 밀착부(140)에 밀착되도록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수평방향(도 7에서 좌측상부에서 우측하부 방향)에 대한 흔들림에 대하여 보다 안정적인 결합구조를 얻을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밀착부(140)의 외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돌기(141)를 형성할 수 있고, 연결구(300)의 상부면에는 걸림돌기에 대응하는 걸림홈(341)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걸림돌기(141)는 'Ω'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걸림홈(341)은 'Ω'형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고안에 의한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중요부분 확대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관통홈(130)은 하부커버(100)의 측면에 슬릿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연결구(300)는 외측에서 관통홈(130)을 통과하여 내측으로 삽입된 후, 결합부(110')의 상부면에 형성된 걸림턱(111')에 걸림부(310')가 끼워지면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구조를 위하여, 연결구(300)는 플랙시블한 재질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결구(300)는 관통홈(130)을 통과하는 부분에 대하여 플랙시블한 재질의 합성수지재로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연결구(300)는 관통홈(130)의 전단 및 후단에서 절곡되는 부분을 플랙시블한 재질의 합성수지재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구(300)는 용이하게 관통홈(130)을 통과하여 결합부(110')의 상부면에 결합될 뿐만 아니라, 연결구(300)의 걸림부(310')가 결합부(110')의 걸림턱(111')과 결합되어 안정정인 결합구조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 연결구(300)와 상부커버(200)가 연결되는 힌지결합부(미부호)가 하부커버(110)의 측면 외부에 위치함으로써, 힌지결합부에 의한 테블릿 컴퓨터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구(300)는 보다 더 안정적인 결합구조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 연결구(300)와 상부커버(200)가 연결되는 힌지결합부(미부호)가 하부커버(110)의 측면 외부에 위치함으로써, 힌지결합부에 의한 테블릿 컴퓨터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여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하부커버
110, 110' : 결합부 111, 111' : 걸림턱
120 : 개방부
130 : 관통홈 131 : 제1 끼움턱
140 : 밀착부 141 : 걸림돌기
200 : 상부커버
300 : 연결구
310, 310' : 걸림부
311 : 전면걸림부 312 : 측면걸림부
331 : 제2 끼움턱 341 : 걸림홈
110, 110' : 결합부 111, 111' : 걸림턱
120 : 개방부
130 : 관통홈 131 : 제1 끼움턱
140 : 밀착부 141 : 걸림돌기
200 : 상부커버
300 : 연결구
310, 310' : 걸림부
311 : 전면걸림부 312 : 측면걸림부
331 : 제2 끼움턱 341 : 걸림홈
Claims (9)
- 휴대단말기의 하부면 및 측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에 결합부 및 걸림턱이 형성된 하부커버;
상기 하부커버의 상부를 덮도록 형성되는 상부커버; 및
상기 상부커버의 일측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고, 다른 일측에 상기 하부커버의 결합부에 밀착되어 걸림턱에 걸려는 걸림부가 형성된 연결구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커버의 일측에는 상기 연결구가 끼워지는 개방부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개방부의 내측면을 따라 상기 걸림부의 하부면이 밀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은 상기 걸림부의 측면이 밀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연결구의 외측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결합부 및 걸림턱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절곡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하부커버에 대한 상기 연결구의 결합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결합방향에 형성되는 전면걸림부; 및
상기 전면걸림부에서 측면부로 이어지도록 연장형성되는 측면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걸림부는 상기 결합방향을 기준으로 45° 내지 89°의 각도까지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걸림부는 상기 연결구의 높이에 대하여 1:0.3 내지 1:0.9의 높이까지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커버의 일측에는 상기 연결구가 삽입되는 관통홈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관통홈의 내측으로 상기 연결구의 하부면이 밀착되도록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은 상기 결합부의 상부면에 바형상의 돌기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걸림턱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연결구 하부면에 홈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홈의 상부에는 상기 하부커버의 측면에 연장되어 제1 끼움턱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의 상부면에는 상기 제1 끼움턱에 걸려지는 제2 끼움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 - 제 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커버의 일측 측면의 외측면에는 상기 연결구의 상부면이 밀착되는 밀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의 외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의 상부면에는 상기 걸림돌기에 대응하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20001318U KR200463515Y1 (ko) | 2012-02-21 | 2012-02-21 |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20001318U KR200463515Y1 (ko) | 2012-02-21 | 2012-02-21 |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63515Y1 true KR200463515Y1 (ko) | 2012-11-08 |
Family
ID=47565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20001318U KR200463515Y1 (ko) | 2012-02-21 | 2012-02-21 |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63515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6384Y1 (ko) | 2013-07-31 | 2015-02-25 | 주식회사 뉴빛 | 분리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502886A (ja) | 1999-04-21 | 2003-01-21 | シーメン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 ハウジング |
-
2012
- 2012-02-21 KR KR2020120001318U patent/KR200463515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502886A (ja) | 1999-04-21 | 2003-01-21 | シーメン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 ハウジング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6384Y1 (ko) | 2013-07-31 | 2015-02-25 | 주식회사 뉴빛 | 분리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866663B2 (en) | Case having standing leg for electronic devices | |
US20170230072A1 (en) | Case having standing leg for electronic devices | |
EP2717660B1 (en) | Back-face protection cover for tablet terminal | |
KR101701157B1 (ko) | 접이식단말기 커버장치 | |
KR20160088067A (ko) | 휴대전자기기용 프로텍터 | |
US8805461B2 (en) | Protective device for mobile devices | |
US20140069824A1 (en) | Protective bumper case | |
USD741317S1 (en) | Notebook computer | |
US20140319190A1 (en) | Protective case for tablet electronic device | |
EP3093730B1 (en) | Separable electronic device | |
KR200463515Y1 (ko) |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 | |
US10498381B2 (en) | Protective tool | |
KR200472146Y1 (ko) | 탈부착이 가능한 어플부재를 구비하는 보호 케이스 | |
KR200464932Y1 (ko) |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 |
TWI611745B (zh) | 具有支架之保護套 | |
KR101437315B1 (ko) |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 |
JP2010226203A (ja) | 携帯機器の装飾取付具 | |
KR20140003032U (ko) |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 |
KR20130001381U (ko) | 이동통신단말기 케이스 | |
KR200463461Y1 (ko) |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 |
KR20130037022A (ko) | 태블릿 컴퓨터용 케이스 | |
KR200472307Y1 (ko) | 휴대폰 보호 케이스 | |
KR101303345B1 (ko) | 휴대기기용 수납 케이스 | |
JP6361777B2 (ja) | カバー | |
TW201347317A (zh) | 電子裝置保護套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