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9557B1 - 폴더블 휴대폰용 케이스 - Google Patents

폴더블 휴대폰용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9557B1
KR102049557B1 KR1020180095486A KR20180095486A KR102049557B1 KR 102049557 B1 KR102049557 B1 KR 102049557B1 KR 1020180095486 A KR1020180095486 A KR 1020180095486A KR 20180095486 A KR20180095486 A KR 20180095486A KR 102049557 B1 KR102049557 B1 KR 102049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member
mobile phone
case
foldable mobile
branch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5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명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 아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 아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 아피스
Priority to KR1020180095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95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9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9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45C2200/10Transparent wall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포개어지도록 접을 수 있는 폴더블 휴대폰의 제1 본체부와 제2 본체부를 보호하는 폴더블 휴대폰용 케이스로서, 상기 제1 본체부의 외면을 둘러싸는 제1 케이스 부재 및 상기 제2 본체부의 외면을 둘러싸는 제2 케이스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케이스 부재와 제2 케이스 부재는 서로 포개어지도록 상기 제1 케이스 부재와 제2 케이스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케이스 부재에 구비된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케이스 부재에 구비된 제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1 본체부와 제2 본체부가 접히거나 펼쳐질 때 상기 제1 본체부 및 제2 본체부의 회동에 따른 폴더블 휴대폰의 두께 변화에 대응하도록 신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휴대폰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제1 케이스 부재와 제2 케이스 부재가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즉 신축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폴더블 휴대폰의 회동에 따른 두께 변화에 방해를 받지 않고 케이스 및 휴대폰이 완전히 포개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폴더블 휴대폰용 케이스{Case for foldable mobile phone}
본 발명은 접거나 펼쳐서 사용할 수 있는 폴더블 휴대폰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케이스는 휴대폰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휴대폰의 외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더하여, 휴대폰 케이스는 내측 또는 외측에 포켓을 구비하여 신용카드나 현금을 보관하는 지갑의 역할도 할 수 있다.
이러한 휴대폰 케이스는 휴대폰의 액정을 제외한 배면과 측면만을 보호하는 구조, 그리고 휴대폰의 액정 부분을 절첩 가능한 덮개로 개방 및 폐쇄하는 구조 등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개발에 따라 접어서 액정을 보관하거나 사용할 수 있는 플렉서블 스마트폰이 개발 및 출시 예정이다. 이러한 폴더블 스마트폰의 경우, 서로 포개어지는 두 부분의 스마트폰 본체를 보호하기 위해 접을 수 있는 2개의 커버가 필요하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폰 케이스는 케이스 본체와 커버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두 부분의 스마트폰이 각각 소정의 두께를 갖고 있기 때문에, 스마트폰이 접혀서 포개어질 때 포개어진 스마트폰의 측면 두께보다 케이스의 접히는 부분의 폭이 더 작기 때문에, 스마트폰과 케이스 사이의 간섭에 의해 케이스가 포개어지도록 완전히 접히는 않는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포개어진 스마트폰의 두께보다 케이스의 접히는 부분의 폭을 더 크게 만들어야 한다. 그러나 이 경우, 폴더블 스마트폰을 펼쳐놓으면, 케이스의 접히는 부분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미관상 좋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접을 수 있는 기존의 폴더폰 역시 전술한 문제점을 갖고 있다.
선행기술문헌 1: 등록특허공보 제10-1070429호(2011.10.05.)
선행기술문헌 2: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7424호(2010.01.25.)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회동에 따른 휴대폰의 두께 변화에도 완전히 포개어질 수 있고, 케이스의 접히는 부분이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폴더블 휴대폰용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서로 포개어지도록 접을 수 있는 폴더블 휴대폰의 제1 본체부와 제2 본체부를 보호하는 폴더블 휴대폰용 케이스로서, 상기 제1 본체부의 외면을 둘러싸는 제1 케이스 부재 및 상기 제2 본체부의 외면을 둘러싸는 제2 케이스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케이스 부재와 제2 케이스 부재는 서로 포개어지도록 상기 제1 케이스 부재와 제2 케이스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케이스 부재에 구비된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케이스 부재에 구비된 제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1 본체부와 제2 본체부가 접히거나 펼쳐질 때 상기 제1 본체부 및 제2 본체부의 회동에 따른 폴더블 휴대폰의 두께 변화에 대응하도록 신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연결부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일측으로 연장된 복수의 제1 브랜치들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1 브랜치들 사이 사이에 끼워지는 복수의 제2 브랜치들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브랜치들과 제2 브랜치들은 상기 제1 본체부와 제2 본체부가 접히거나 펼쳐질 때 폴더블 휴대폰의 두께 변화에 대응하여 서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특징하는 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연결부의 제1 브랜치들 사이 사이에는 상기 제2 연결부의 제2 브랜치가 삽입되는 복수의 제1 슬라이딩 홈들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연결부의 제2 브랜치들 사이 사이에는 상기 제1 연결부의 제1 브랜치가 삽입되는 복수의 제2 슬라이딩 홈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브랜치들과 제2 브랜치들은 판형 부재이고, 제1 슬라이딩 홈들과 제2 슬라이딩 홈들은 상기 제1 브랜치들과 제2 브랜치들의 형상과 대응하는 판형 슬릿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1 케이스 부재 또는 제2 케이스 부재는 폴더블 휴대폰의 외측 디스플레이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투명 창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제1 케이스 부재의 장측면을 따라 일측으로 소정폭 연장된 판형 부재이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2 케이스 부재의 장측면을 따라 상기 제1 연결부가 삽입될 수 있는 판형 슬릿 형태의 슬라이딩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제1 케이스 부재의 단측면을 따라 일측으로 소정폭 연장된 판형 부재이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2 케이스 부재의 단측면을 따라 상기 제1 연결부가 삽입될 수 있는 판형 슬릿 형태의 슬라이딩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의 폭은 상기 제1 본체부와 제2 본체부가 서로 포개어진 상태의 폴더블 휴대폰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케이스 부재는 폴더블 휴대폰의 제1 본체부의 외면 및 회동되는 부분을 제외한 3개의 측면을 보호하도록 상기 폴더블 휴대폰과 대면하는 일면 및 회동되는 부분의 1개의 측면이 개방된 형상이고, 상기 제2 케이스 부재는 상기 제1 케이스 부재와 대응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1 케이스 부재 및 제2 케이스 부재는 실리콘, 플라스틱 또는 인조 가죽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케이스 부재와 제2 케이스 부재가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즉 신축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폴더블 휴대폰의 회동에 따른 두께 변화에 방해를 받지 않고 케이스 및 휴대폰이 완전히 포개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케이스 부재와 제2 케이스 부재가 폴더블 휴대폰의 두께 변화에 대응하여 서로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케이스의 연결부가 외측으로 돌출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케이스 부재와 제2 케이스 부재가 별도의 체결 수단 없이도 서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휴대폰용 케이스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휴대폰용 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휴대폰용 케이스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휴대폰용 케이스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휴대폰용 케이스가 완전히 접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휴대폰용 케이스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휴대폰용 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휴대폰용 케이스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휴대폰용 케이스가 완전히 접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휴대폰용 케이스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휴대폰용 케이스를 분해 도시한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 휴대폰용 케이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아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휴대폰용 케이스는 서로 포개어지도록 접을 수 있는 폴더블 휴대폰(10)의 제1 본체부(11)와 제2 본체부(12)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고, 제1 케이스 부재(100)와 제2 케이스 부재(200)로 이루어진다.
먼저, 폴더블 휴대폰(10)은 휘어질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폴더블 스마트폰으로서, 내측 및 외측에 액정을 각각 구비한 제1 본체부(11) 및 제2 본체부(12)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 제1 본체부(11)와 제2 본체부(12)는 서로 포개어지도록 접힐 수 있도록 구성된다.
폴더블 휴대폰용 케이스의 제1 케이스 부재(100)는 폴더블 휴대폰(10)의 제1 본체부(11)의 외면을 둘러싸는 형상을 갖고, 제2 케이스 부재(200)는 폴더블 휴대폰(10)의 제2 본체부(12)의 외면을 둘러싸는 형상을 갖는다. 여기서, 제1 케이스 부재(100)는 폴더블 휴대폰의 제1 본체부(11)의 외면 및 제2 케이스 부재(200)와 회동되는 부분을 제외한 제1 본체부(11)의 3개의 측면을 보호하도록 폴더블 휴대폰의 제1 본체부(11)와 대면하는 일면 및 제2 케이스 부재(200)와 회동되는 부분에 있는 1개의 측면이 개방된 형상을 갖는다. 또한, 제2 케이스 부재(200)는 폴더블 휴대폰의 제2 본체부(12)의 외면 및 제1 케이스 부재(100)와 회동되는 부분을 제외한 제2 본체부(12)의 3개의 측면을 보호하도록 폴더블 휴대폰의 제2 본체부(12)와 대면하는 일면 및 제1 케이스 부재(100)와 회동되는 부분에 있는 1개의 측면이 개방된 형상을 갖는다. 즉, 제1 케이스 부재(100)와 제2 케이스 부재(200)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제1 케이스 부재(100)와 제2 케이스 부재(200)는 서로 소정의 마찰력을 갖는 실리콘, 플라스틱 또는 인조 가죽 등의 소재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케이스 부재(100)와 제2 케이스 부재(200)는 서로 포개어질 수 있도록 각각 연결부(110, 210)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제1 케이스 부재(100)는 4개의 측면 중 상대적으로 긴 장측면들 중 하나에 제1 연결부(110)를 구비하고, 제2 케이스 부재(200)는 4개의 측면 중 상대적으로 긴 장측면들 중 하나에 제2 연결부(210)를 구비하며, 제1 연결부(110)와 제2 연결부(210)는 서로 연결되어 제1 케이스 부재(100)와 제2 케이스 부재(200)가 서로 회동되어 포개어질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제1 케이스 부재(100)의 제1 연결부(110)와 제2 케이스 부재(200)의 제2 연결부(210)는 폴더블 휴대폰(10)의 제1 본체부(11)와 제2 본체부(12)가 접히거나 펼쳐질 때 제1 본체부(11)와 제2 본체부(12)의 회동에 따라 변화하는 폴더블 휴대폰의 측면 두께에 대응하도록 신축 가능하게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케이스 부재(100)의 제1 연결부(110)는 제1 케이스 부재(100)의 장측면을 따라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외측으로, 정확하게는 제2 케이스 부재(200) 측으로 연장된 복수의 제1 브랜치들(111)을 구비한다. 그리고, 제2 케이스 부재(200)의 제2 연결부(210)는 제2 케이스 부재(200)의 장측면을 따라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외측으로, 정확하게는 제1 케이스 부재(100) 측으로 연장된 복수의 제2 브랜치들(211)을 구비한다. 여기서, 제1 연결부(110)의 제1 브랜치들(111)이 제2 연결부(210)의 제2 브랜치들(211) 사이 사이에 끼워지도록, 제1 브랜치들(111)과 제2 브랜치들(211)은 장측면을 따라 서로 옵셋되어 배치된다. 또한, 제1 브랜치들(111)과 제2 브랜치들(211)은 폴더블 휴대폰(10)의 제1 본체부(11)와 제2 본체부(12)가 접히거나 펼쳐질 때 폴더블 휴대폰(10)의 측면 두께 변화에 대응하여 서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연결부(110)의 제1 브랜치들(111) 사이 사이에는 각각 제2 연결부(210)의 제2 브랜치(211)가 개별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제1 슬라이딩 홈(112)이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제2 연결부(210)의 제2 브랜치들(211) 사이 사이에는 각각 제1 연결부(110)의 제1 브랜치(111)가 개별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제2 슬라이딩 홈(212)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1 연결부(110)의 제1 브랜치들(111)은 제2 연결부(210)의 제2 슬라이딩 홈들(212)에 개별적으로 삽입되고, 제2 연결부(210)의 제2 브랜치들(211)은 제1 연결부(110)의 제1 슬라이딩 홈들(112)에 개별적으로 삽입되어, 제1 케이스 부재(100)와 제2 케이스 부재(200)가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즉 신축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폴더블 휴대폰(10)의 제1 본체부(11)와 제2 본체부(12)가 서로 포개어지도록 접히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 휴대폰용 케이스는 제1 케이스 부재(100)와 제2 케이스 부재(200)가 서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폴더블 휴대폰(10)의 측면 두께 변화에도 방해를 받지 않고 완전히 포개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케이스 부재(100)와 제2 케이스 부재(200)가 폴더블 휴대폰의 두께 변화에 대응하여 서로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케이스의 연결부가 외측으로 돌출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제1 케이스 부재(100)의 제1 연결부(110)의 제1 브랜치들(111)과 제2 케이스 부재(200)의 제2 연결부(210)의 제2 브랜치들(211)은 판형 부재로 이루어지고, 제1 연결부(110)의 제1 슬라이딩 홈들(112)과 제2 연결부(210)의 제2 슬라이딩 홈들(212)은 제1 브랜치들(111) 및 제2 브랜치들(211)의 형상과 대응하는 판형 슬릿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1 브랜치들(111)/제2 브랜치들(211) 그리고 제1 슬라이딩 홈들(112)/제2 슬라이딩 홈들(212)의 형상과 케이스 부재들(100, 200)의 소재 특성에 의해, 브랜치들(111, 211)과 슬라이딩 홈들(112, 212)은 서로 마찰 접촉하여 결합됨으로써, 별도의 체결 수단 없이도 제1 케이스 부재(100)와 제2 케이스 부재(200)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특히, 제1 연결부(110)와 제2 연결부(210)의 폭은 제1 본체부(11)와 제2 본체부(12)가 서로 포개어진 상태의 폴더블 휴대폰의 측면 두께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제1 케이스 부재(100)와 제2 케이스 부재(200)가 서로 슬라이딩 이동하더라도 제1 케이스 부재(100)와 제2 케이스 부재(200)가 서로 분리되지 않는다.
한편, 제1 케이스 부재(100) 및/또는 제2 케이스 부재(200)는 폴더블 휴대폰의 외면에 구비된 외측 디스플레이로부터 표시되는 콘텐츠(예를 들면, 시계, 메세지 알림 내용 등)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투명 창(120, 220)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투명 창(120, 220)은 투명 플라스틱으로 형성되거나, 케이스 부재(100, 200)를 절개하여 관통 창일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장측면을 따라 포개어질 수 있는 폴더블 휴대폰용 케이스의 일 예를 설명한 것으로서, 제1 연결부(110)와 제2 연결부(210)가 케이스 부재(100, 200)의 장측면을 따라 일측으로 소정폭 연장된 판형 브랜치들(111, 211) 및 이 판형 브랜치들 사이 사이에 형성된 판형 슬릿 형태의 슬라이딩 홈들(112, 212)로 형성되고, 제1 연결부(110)와 제2 연결부(210)가 서로 슬라이딩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별도의 체결 수단 없이도 제1 케이스 부재(100)와 제2 케이스 부재(200)가 서로 결합될 수 있고, 제1 케이스 부재(100)와 제2 케이스 부재(200)가 서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폴더블 휴대폰(10)의 측면 두께 변화에도 방해를 받지 않고 완전히 포개어질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휘어질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폴더블 스마트폰용 케이스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존의 폴더폰에 적용될 수도 있다.
도 6 내지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휴대폰용 케이스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 케이스 부재(300) 및 제2 케이스 부재(400)로 이루어지고, 제1 케이스 부재(300)는 제1 연결부(310)를 포함하고, 제2 케이스 부재(400)는 제2 연결부(410)를 포함하며, 제1 연결부(310)와 제2 연결부(410)는 서로 신축 가능하게, 즉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휴대폰용 케이스의 제1 연결부(310)는 제1 케이스 부재(300)의 장측면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된 하나의 판형 부재로 이루어지고, 제2 연결부(410)는 제2 케이스 부재(400)의 장측면을 따라 소정 폭으로 형성된 하나의 슬라이딩 홈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1 연결부(310)의 판형 부재는 제2 연결부(410)의 슬라이딩 홈에 삽입되어, 제1 케이스 부재(300)와 제2 케이스 부재(400)가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즉 신축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휴대폰용 케이스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측면 개방형 케이스로 구성된다.
또한,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 연결부(310)와 제2 연결부(320)의 폭은 제1 본체부(11)와 제2 본체부(12)가 서로 포개어진 상태의 폴더블 휴대폰의 측면 두께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제1 케이스 부재(300)와 제2 케이스 부재(400)가 서로 슬라이딩 이동하더라도 제1 케이스 부재(300)와 제2 케이스 부재(400)가 서로 분리되지 않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휴대폰용 케이스는 제1 연결부(310)가 제1 케이스 부재(300)의 장측면을 따라 일측으로 소정폭 연장된 판형 부재로 형성되고, 제2 연결부(410)가 제2 케이스 부재(400)의 장측면을 따라 제1 연결부(410)가 삽입될 수 있는 판형 슬릿 형태의 슬라이딩 홈으로 형성됨으로써, 별도의 체결 수단 없이도 제1 케이스 부재(300)와 제2 케이스 부재(400)가 서로 결합되고, 제1 케이스 부재(300)와 제2 케이스 부재(400)가 서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폴더블 휴대폰(10)의 측면 두께 변화에도 방해를 받지 않고 완전히 포개어질 수 있다.
도 10 내지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휴대폰용 케이스는 전술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 케이스 부재(500) 및 제2 케이스 부재(600)로 이루어지고, 제1 케이스 부재(500)는 제1 연결부(510)를 포함하고, 제2 케이스 부재(600)는 제2 연결부(610)를 포함하며, 제1 연결부(510)와 제2 연결부(610)는 서로 신축 가능하게, 즉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휴대폰용 케이스의 제1 연결부(510)는 제1 케이스 부재(500)의 단측면을 따라 형성된 하나의 판형 부재로 이루어지고, 제2 연결부(610)는 제2 케이스 부재(600)의 단측면을 따라 형성된 하나의 슬라이딩 홈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1 연결부(510)의 판형 부재는 제2 연결부(610)의 슬라이딩 홈들에 삽입되어, 제1 케이스 부재(500)와 제2 케이스 부재(600)가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즉 신축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휴대폰용 케이스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하 개방형 케이스로 구성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제1 연결부(510)와 제2 연결부(610)의 폭은 제1 본체부(11)와 제2 본체부(12)가 서로 포개어진 상태의 폴더블 휴대폰의 측면 두께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제1 케이스 부재(500)와 제2 케이스 부재(600)가 서로 슬라이딩 이동하더라도 제1 케이스 부재(500)와 제2 케이스 부재(600)가 서로 분리되지 않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휴대폰용 케이스는 제1 연결부(510)가 제1 케이스 부재(500)의 단측면을 따라 일측으로 소정폭 연장된 판형 부재로 형성되고, 제2 연결부(610)가 제2 케이스 부재(600)의 단측면을 따라 제1 연결부(510)가 삽입될 수 있는 판형 슬릿 형태의 슬라이딩 홈으로 형성됨으로써, 별도의 체결 수단 없이도 제1 케이스 부재(500)와 제2 케이스 부재(600)가 서로 결합되고, 제1 케이스 부재(500)와 제2 케이스 부재(600)가 서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폴더블 휴대폰(10)의 두께 변화에도 방해를 받지 않고 완전히 포개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보여준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마땅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휘어질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폴더블 스마트폰에 적용되는 케이스를 예로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지 않는 기존의 폴더폰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인 바, 본 발명과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서로 포개어지도록 접을 수 있는 폴더블 휴대폰의 제1 본체부와 제2 본체부를 보호하는 폴더블 휴대폰용 케이스로서,
    상기 제1 본체부의 외면을 둘러싸는 제1 케이스 부재 및 상기 제2 본체부의 외면을 둘러싸는 제2 케이스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케이스 부재와 제2 케이스 부재는 서로 포개어지도록 상기 제1 케이스 부재와 제2 케이스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케이스 부재에 구비된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케이스 부재에 구비된 제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1 본체부와 제2 본체부가 접히거나 펼쳐질 때 상기 제1 본체부 및 제2 본체부의 회동에 따른 폴더블 휴대폰의 두께 변화에 대응하도록 신축 가능하고,
    상기 제1 연결부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일측으로 연장된 복수의 제1 브랜치들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1 브랜치들 사이 사이에 끼워지는 복수의 제2 브랜치들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브랜치들과 제2 브랜치들은 상기 제1 본체부와 제2 본체부가 접히거나 펼쳐질 때 폴더블 휴대폰의 두께 변화에 대응하여 서로 슬라이딩 이동하고,
    상기 제1 연결부의 제1 브랜치들 사이 사이에는 상기 제2 연결부의 제2 브랜치가 삽입되는 복수의 제1 슬라이딩 홈들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연결부의 제2 브랜치들 사이 사이에는 상기 제1 연결부의 제1 브랜치가 삽입되는 복수의 제2 슬라이딩 홈들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브랜치들과 제2 브랜치들은 판형 부재이고, 제1 슬라이딩 홈들과 제2 슬라이딩 홈들은 상기 제1 브랜치들과 제2 브랜치들의 형상과 대응하는 판형 슬릿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휴대폰용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 부재 또는 제2 케이스 부재는 폴더블 휴대폰의 외측 디스플레이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투명 창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휴대폰용 케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제1 케이스 부재의 장측면 또는 단측면을 따라 일측으로 소정폭 연장된 판형 부재이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2 케이스 부재의 장측면 또는 단측면을 따라 상기 제1 연결부가 삽입될 수 있는 판형 슬릿 형태의 슬라이딩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휴대폰용 케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 부재는 폴더블 휴대폰의 제1 본체부의 외면 및 회동되는 부분을 제외한 3개의 측면을 보호하도록 상기 폴더블 휴대폰과 대면하는 일면 및 회동되는 부분의 1개의 측면이 개방된 형상이고, 상기 제2 케이스 부재는 상기 제1 케이스 부재와 대응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휴대폰용 케이스.
  5. 삭제
  6. 삭제
KR1020180095486A 2018-08-16 2018-08-16 폴더블 휴대폰용 케이스 KR102049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486A KR102049557B1 (ko) 2018-08-16 2018-08-16 폴더블 휴대폰용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486A KR102049557B1 (ko) 2018-08-16 2018-08-16 폴더블 휴대폰용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9557B1 true KR102049557B1 (ko) 2019-11-27

Family

ID=68729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5486A KR102049557B1 (ko) 2018-08-16 2018-08-16 폴더블 휴대폰용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955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62455A1 (ko) * 2020-02-11 2021-08-19 삼성전자 주식회사 폴더블 장치용 보호 케이스
WO2021185369A1 (zh) * 2020-03-20 2021-09-23 深圳市太维新材料科技有限公司 折叠式手机壳及连接件
KR20220000047U (ko) * 2020-06-30 2022-01-06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케이스
KR200496143Y1 (ko) 2022-06-21 2022-11-11 (주)케이디랩 폴더블 휴대 단말기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케이스 유닛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307Y1 (ko) * 2014-01-09 2014-04-17 최재학 휴대폰 보호 케이스
KR101421220B1 (ko) * 2013-07-16 2014-07-25 이유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KR20140005210U (ko) * 2013-03-21 2014-10-07 주식회사 플레이텍 휴대 전자기기 보호케이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5210U (ko) * 2013-03-21 2014-10-07 주식회사 플레이텍 휴대 전자기기 보호케이스
KR101421220B1 (ko) * 2013-07-16 2014-07-25 이유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KR200472307Y1 (ko) * 2014-01-09 2014-04-17 최재학 휴대폰 보호 케이스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62455A1 (ko) * 2020-02-11 2021-08-19 삼성전자 주식회사 폴더블 장치용 보호 케이스
WO2021185369A1 (zh) * 2020-03-20 2021-09-23 深圳市太维新材料科技有限公司 折叠式手机壳及连接件
KR20220000047U (ko) * 2020-06-30 2022-01-06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케이스
KR200496347Y1 (ko) * 2020-06-30 2023-01-06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케이스
KR200496143Y1 (ko) 2022-06-21 2022-11-11 (주)케이디랩 폴더블 휴대 단말기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케이스 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9557B1 (ko) 폴더블 휴대폰용 케이스
KR200451310Y1 (ko)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
US9038979B2 (en) Multifunctional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40097102A1 (en)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a reversible retaining clip
KR20210100565A (ko) 영상표시장치의 케이스
KR101421220B1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KR101533085B1 (ko) 가상 현실 고글 겸용 휴대폰 케이스
KR101754584B1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단일면 폴딩장치
KR20180071900A (ko) 인폴딩과 아웃폴딩을 동시에 구현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힌지장치
US20140197058A1 (en) Padfolio With Rotating Electronic Tablet Case
KR101450311B1 (ko) 휴대폰 케이스
EP2887179B1 (en) Protective cover for electronic device
KR20110004307U (ko) 휴대폰 보호케이스
KR200479865Y1 (ko) 카드수납공간부를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KR200486397Y1 (ko) 지갑형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KR20170142597A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단일면 폴딩장치
KR20140003587U (ko) 휴대폰 보호 케이스
KR200481246Y1 (ko) 슬라이딩 휴대전화 케이스
US20210052053A1 (en) Cover for a mobile device with a screen and a case having such a cover
KR200491616Y1 (ko) 결속밴드가 설치된 책 표지
KR102626226B1 (ko) 폴더블 휴대기기용 부착형 자동 힌지 보호 커버
KR101620780B1 (ko) 이중플립형 스마트폰 보호커버
KR102064505B1 (ko) 휴대단말기의 거치각도 조절이 용이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KR102285558B1 (ko) 사진 지갑
KR20150059430A (ko) 스마트폰 수납 기능을 갖는 지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