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4505B1 - 휴대단말기의 거치각도 조절이 용이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의 거치각도 조절이 용이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4505B1
KR102064505B1 KR1020190035423A KR20190035423A KR102064505B1 KR 102064505 B1 KR102064505 B1 KR 102064505B1 KR 1020190035423 A KR1020190035423 A KR 1020190035423A KR 20190035423 A KR20190035423 A KR 20190035423A KR 102064505 B1 KR102064505 B1 KR 102064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portable terminal
case
present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5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6704A (ko
Inventor
이차주
Original Assignee
이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차주 filed Critical 이차주
Priority to KR1020190035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4505B1/ko
Publication of KR20190126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67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4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4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18Ticket-holders or the like
    • A45C11/182Credit card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45C2200/15Articles convertible into a stand, e.g. for displaying purpose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거치각도 조절이 용이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단말기를 보호하고, 카드 또는 명함 등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형 케이스 기능 뿐만 아니라, 수납된 카드나 명함을 이용하여 휴대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의 거치각도 조절이 용이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거치각도 조절이 용이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A PORTABLE TERMINAL CASE WITH EASY-TO-FOLLOW ANGLE CONTROL}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거치각도 조절이 용이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단말기를 보호하고, 카드 또는 명함 등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형 케이스 기능 뿐만 아니라, 수납된 카드나 명함을 이용하여 휴대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의 거치각도 조절이 용이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가 간편하면서 영상출력장치를 통해 많은 데이터를 제공하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PC, 스마트폰 등의 휴대단말기와 같은 전자기기가 많이 출시되고 있다.
특히 휴대단말기는 본래 이동통신 기능 이외의 TV, 영화감상, 사진기 등의 부가 기능을 추가하여 많은 인기를 끌고 있다.
이러한 휴대단말기를 통해 데이터를 보기 위해서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영상출력부(디스플레이부)를 사용자가 잘 볼 수 있도록 적절한 각도로 유지해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들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벽과 같은 곳에 기대어 세워야 한다.
하지만,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들고 있으면 어깨와 손목에 무리가 가게 되므로 장시간 그 상태를 유지하기 힘들며, 벽에 기대어 세우는 것은 장소에 제한을 받으므로 매우 불편하다.
따라서 위와 같은 휴대단말기를 어느 장소에서도 장시간 세울 수 있도록 휴대단말기용 거치대를 장착하게 된다.
이러한 휴대단말기용 거치대는 그 구조가 매우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81064호 등에는 판스프링을 이용한 휴대단말기용 거치대가 나타나 있다.
그러나, 판스프링을 이용하여 종래의 휴대단말기용 거치대는 단순히 휴대단말기만을 경사지게 거치할 뿐, 신용카드 등을 보관하는 기능이 없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의 해결을 위해 개시되어 있었던 카드를 수납할 수 있는 스마트폰 케이스와 관련된 종래기술로써,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 20-0451310호에는 절첩부에 의해 상호 접거나 펼 수 있도록 연결되는 한 쌍의 플랩부를 갖는 커버부재와, 상기 플랩부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휴대폰을 고정할 수 있도록 된 홀더를 포함하여, 상기 커버부재에는 포켓이 형성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커버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들은 수납과 거치를 동시에 실현할 수 없기 때문에, 여러가지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기를 보호하고, 카드 또는 명함 등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형 케이스 기능 뿐만 아니라, 수납된 카드나 명함을 이용하여 휴대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의 거치각도 조절이 용이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기울기를 갖는 복수의 거치부가 형성되어, 카드 또는 명함의 장측 및 단측 모서리부분을 선택적으로 삽입가능하여 휴대단말기의 거치 각도가 조절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의 거치각도 조절이 용이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거치부로부터 탈착가능한 커버부가 형성되어, 지면과 접촉되는 카드 또는 명함의 모서리부분에 대한 보호가 가능하며, 상기 커버부에 미끄럼방지패드가 부설되어 보다 안정적인 거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휴대단말기의 거치각도 조절이 용이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버부에 접착부재가 형성되어, 휴대단말기를 거치하기 위한 카드 또는 명함을 사용자가 케이스부의 후면 임의의 위치에 선택적으로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 휴대단말기의 거치각도 조절이 용이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거치각도 조절이 용이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는 휴대단말기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휴대단말기가 삽입되도록 전면방향에 공간부(110)가 구비되는 케이스부(100); 상기 케이스부의 후면에 형성되어 카드 또는 명함이 수납되는 포켓부(200); 상기 케이스부의 후면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카드 또는 명함의 일측 모서리 부분이 삽입되도록 홈 형상의 거치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거치부는 상기 케이스부의 후면을 기준으로 설정된 각도만큼 기울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치부는 적어도 둘 이상의 거치부가 형성되며, 각각의 거치부는 서로 다른 기울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치부는 카드 또는 명함의 장(長)측 모서리 부분이 삽입되도록 제1거치홈(310)이 포함하며, 상기 제1거치홈의 내측에 카드 또는 명함의 단(短)측 모서리 부분이 삽입되도록 제2거치홈(32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거치부는 내측에 삽입되도록 돌출리브(410)가 구비되며, 탈착이 가능한 커버부(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커버부는 후면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끄럼방지패드(4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를 보호하고, 카드 또는 명함 등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형 케이스 기능 뿐만 아니라, 수납된 카드나 명함을 이용하여 휴대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기울기를 갖는 복수의 거치부가 형성되어, 카드 또는 명함의 장측 및 단측 모서리부분을 선택적으로 삽입가능하여 휴대단말기의 거치 각도가 조절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거치부로부터 탈착가능한 커버부가 형성되어, 지면과 접촉되는 카드 또는 명함의 모서리부분에 대한 보호가 가능하며, 상기 커버부에 미끄럼방지패드가 부설되어 보다 안정적인 거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버부에 접착부재가 형성되어, 휴대단말기를 거치하기 위한 카드 또는 명함을 사용자가 케이스부의 후면 임의의 위치에 선택적으로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거치각도 조절이 용이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거치각도 조절이 용이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의 일측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을 나타낸 일측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부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치부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거치각도 조절이 용이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거치각도 조절이 용이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거치각도 조절이 용이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경첩부재의 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거치각도 조절이 용이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거치각도 조절이 용이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의 일측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을 나타낸 일측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부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치부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거치각도 조절이 용이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거치각도 조절이 용이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거치각도 조절이 용이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경첩부재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거치각도 조절이 용이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는 크게 케이스부(100), 포켓부(200) 및 거치부(300)로 구성된다.
이에 상기 케이스부(10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휴대단말기가 삽입되도록 전면방향에 공간부(11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케이스부는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또는 젤리형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금속 또는 목재로도 제작될 수 있는 것으로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부는 휴대단말기과 결합 시, 바람직하게는 휴대단말기의 작동버튼, 카메라 또는 스피커 등 부설된 장치를 간섭하지 않도록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포켓부는 상기 케이스부의 후면에 형성되어 카드 또는 명함이 수납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포켓부는 바람직하게는 다단으로 형성되어 다수의 카드 또는 명함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포켓부는 케이스부의 전면(내측면)에도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거치부(300)는 도 1 내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부의 후면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카드 또는 명함의 일측 모서리 부분이 삽입되도록 홈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거치부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포켓부를 기준으로 양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측은 카드 또는 명함의 장측 모서리를 삽입하도록 하고, 타측은 카드 또는 명함의 단측 모서리가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부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포켓부를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에도 형성될 수 있으며, 카드 또는 명함의 단측 모서리가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명함은 카드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지며, 통상 종이재질로 형성되므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장 이상(카드 두께와 유사)겹쳐서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거치부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부의 후면을 기준으로 설정된 각도만큼 기울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거치부의 기울기를 포켓부 방향으로 설정함으로써, 카드 또는 명함을 삽입한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중량이 무거운 휴대단말기를 장착한 상태의 케이스부를 거치하여도 카드 또는 명함이 이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거치부는 도 4a 및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적어도 둘 이상의 거치부가 형성되며, 각각의 거치부는 서로 다른 기울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각각의 거치부는 카드 또는 명함의 장측 및 단측 모서리를 서로 다른 기울기를 갖는 거치부에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휴대단말기를 다양한 각도로 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부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카드 또는 명함의 장(長)측 모서리 부분이 삽입되도록 제1거치홈(310)을 포함하며, 상기 제1거치홈의 내측에 카드 또는 명함의 단(短)측 모서리 부분이 삽입되는 제2거치홈(32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하나의 거치부에 카드 또는 명함의 장측 및 단측 모서리를 모두 사용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거치부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거치부의 내측에 삽입되도록 돌출리브(410)가 구비되며, 탈착이 가능한 커버부(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커버부는 카드 또는 명함의 특성 상,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지기 때문에, 바닥면과의 접촉면적이 적은 것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일측 모서리가 상기 거치부에 삽입되는 카드 또는 명함의 타측 모서리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커버부는 바닥면과의 접촉면적을 넓게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휴대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커버부는 바람직하게는 후면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끄럼방지패드(4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미끄럼방지패드는 바닥면과의 마찰력을 증대시켜 견고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커버부는 도 7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돌출리브의 일측에 카드 또는 명함의 장(長)측 모서리 부분이 삽입되도록 제3거치홈(411)이 형성되고, 상기 제3거치홈의 내측에 카드 또는 명함의 단(短)측 모서리 부분이 삽입되도록 제4거치홈(41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제3거치홈 및 제4거치홈은 상기 거치부와 마찬가지로, 하나의 커버부에 카드 또는 명함의 장측 및 단측 모서리를 모두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커버부는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부의 후면에 부착되도록 접착부재(4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접착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자석재질의 접착부재가 내장될 수 있으며, 암/수 벨크로(미도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커버부는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접착부재에 의해 사용자가 케이스부의 원하는 부위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형태로 거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따른 거치부는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포켓부의 일측이 상기 케이스부에 부착되어 회절되도록 경첩부재(210)가 형성되고, 상기 경첩부재의 대향되는 방향의 타측 모서리에 형성되는 지지부재(2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내측에 자석체(230)가 형성되어 상기 포켓부와 케이스부의 폐쇄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경첩부재는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부에 고정되는 고정축(211)과, 상기 고정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며 상기 포켓부와 연결되는 회전축(212)을 더 포함하되, 상기 고정축은 선단 일측에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단속돌기(213)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단속돌기에 대응되는 단속홈(214)이 형성되어 상기 포켓부가 상기 케이스부로부터 설정된 각도만큼만 개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첩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스부의 미관을 해치지 않도록 매설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지면과 접촉 시 마찰력을 유지하기 위해 고무와 같은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미끄럼방지패드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를 보호하고, 카드 또는 명함 등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형 케이스 기능 뿐만 아니라, 수납된 카드나 명함을 이용하여 휴대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기울기를 갖는 복수의 거치부가 형성되어, 카드 또는 명함의 장측 및 단측 모서리부분을 선택적으로 삽입가능하여 휴대단말기의 거치 각도가 조절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거치부로부터 탈착가능한 커버부가 형성되어, 지면과 접촉되는 카드 또는 명함의 모서리부분에 대한 보호가 가능하며, 상기 커버부에 미끄럼방지패드가 부설되어 보다 안정적인 거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버부에 접착부재가 형성되어, 휴대단말기를 거치하기 위한 카드 또는 명함을 사용자가 케이스부의 후면 임의의 위치에 선택적으로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케이스부 200 ... 포켓부
300 ... 거치부 310 ... 제1거치홈
320 ... 제2거치홈 400 ... 커버부
410 ... 돌출리브 420 ... 미끄럼방지패드
430 ... 접착부재

Claims (1)

  1. 휴대단말기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휴대단말기가 삽입되도록 전면방향에 공간부(110)가 구비되는 케이스부(100);
    상기 케이스부의 후면에 형성되어 카드 또는 명함이 수납되는 포켓부(200);
    상기 케이스부의 후면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카드 또는 명함의 일측 모서리 부분이 삽입되도록 홈 형상의 거치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거치부는,
    카드 또는 명함의 장(長)측 모서리 부분이 삽입되도록 제1거치홈(310)을 포함하며, 상기 제1거치홈의 내측에 카드 또는 명함의 단(短)측 모서리 부분이 삽입되는 제2거치홈(320)을 더 포함하되,
    상기 케이스부의 후면을 기준으로 설정된 각도만큼 기울기를 갖는 적어도 둘 이상의 거치부가 형성되며, 각각의 거치부는 서로 다른 기울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거치부의 내측에 삽입되도록 돌출리브(410)가 구비되며, 탈착이 가능한 커버부(4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돌출리브의 일측에 카드 또는 명함의 장(長)측 모서리 부분이 삽입되도록 제3거치홈(411)이 형성되고, 상기 제3거치홈의 내측에 카드 또는 명함의 단(短)측 모서리 부분이 삽입되도록 제4거치홈(412)을 더 포함하되,
    상기 케이스부의 후면에 부착되도록 접착부재(4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거치각도 조절이 용이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KR1020190035423A 2019-03-27 2019-03-27 휴대단말기의 거치각도 조절이 용이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KR102064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5423A KR102064505B1 (ko) 2019-03-27 2019-03-27 휴대단말기의 거치각도 조절이 용이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5423A KR102064505B1 (ko) 2019-03-27 2019-03-27 휴대단말기의 거치각도 조절이 용이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0622A Division KR101979822B1 (ko) 2018-05-02 2018-05-02 휴대단말기의 거치가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6704A KR20190126704A (ko) 2019-11-12
KR102064505B1 true KR102064505B1 (ko) 2020-01-09

Family

ID=68577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5423A KR102064505B1 (ko) 2019-03-27 2019-03-27 휴대단말기의 거치각도 조절이 용이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450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320349A1 (en) 2009-06-17 2010-12-23 Necessary Del H Display device stand
KR200476235Y1 (ko) 2013-10-18 2015-02-10 박상률 휴대폰 케이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320349A1 (en) 2009-06-17 2010-12-23 Necessary Del H Display device stand
KR200476235Y1 (ko) 2013-10-18 2015-02-10 박상률 휴대폰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6704A (ko) 2019-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51818B2 (en) Portable computing device case convertible to upright stand
US8459453B2 (en) Carrying case for display apparatus
KR200466058Y1 (ko) 받침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 보호케이스
US20140202890A1 (en) Dual support flap case
US20130176681A1 (en) Portable terminal with support plate
US9755688B1 (en) MemEx cell phone case systems
WO2014163233A1 (ko) 교체형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US11278114B2 (en) Portable reading stand
KR101461004B1 (ko) 측면터치가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
KR20160018306A (ko)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KR102064505B1 (ko) 휴대단말기의 거치각도 조절이 용이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KR102064509B1 (ko) 휴대단말기의 안정적인 거치를 위한 미끄럼방지패드가 구비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KR101591302B1 (ko) 지갑겸용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KR101979822B1 (ko) 휴대단말기의 거치가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US20210052053A1 (en) Cover for a mobile device with a screen and a case having such a cover
KR200472573Y1 (ko) 지갑이 내장된 핸드폰 보호케이스
KR200461377Y1 (ko) 태블릿피씨용 케이스
KR200470736Y1 (ko) 태블릿 피씨용 케이스
KR200487167Y1 (ko) 보호 커버
KR200463461Y1 (ko)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CN215679190U (zh) 一种自带支架的多功能平板电脑保护套
US20200236208A1 (en) Electronic Device Case
TWI723341B (zh) 保護套之支撐結構
KR20160003466U (ko) 휴대폰 케이스
KR200479258Y1 (ko) 휴대단말기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