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5558B1 - 사진 지갑 - Google Patents

사진 지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5558B1
KR102285558B1 KR1020200106084A KR20200106084A KR102285558B1 KR 102285558 B1 KR102285558 B1 KR 102285558B1 KR 1020200106084 A KR1020200106084 A KR 1020200106084A KR 20200106084 A KR20200106084 A KR 20200106084A KR 102285558 B1 KR102285558 B1 KR 1022855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cover
coupling
opening
cover she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6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익
Original Assignee
이호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호익 filed Critical 이호익
Priority to KR1020200106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55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5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55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7/00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23Arrangement of fasteners with elongated profiles fastened by sliders
    • A45C13/103Arrangement of zip-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76Arrangement of fasteners with a snap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7/00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 A45C2007/0004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convertible into an open planar surface, e.g. a shee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45C2200/05Means for indicating features of the content from outsid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45C2200/10Transparent wall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진 지갑은, 직사각형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 시트, 몸체 시트의 양종단에 각각 연결되고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제 1 커버 시트 및 몸체 시트의 양측단에 각각 연결되고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제 2 커버 시트를 포함하는 몸체; 몸체 시트를 관통하도록 위치되는 고정부; 및 제 1 커버 시트 및 제 2 커버 시트에 위치되어 상호 간에 겹쳐진 제 1 커버 시트 및 제 2 커버 시트를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되, 고정부는 복수 매의 사진을 관통하여 몸체 시트에 회동가능하도록 위치시키고, 결합부는 몸체 시트, 제 1 커버 시트 및 제 2 커버 시트를 상호 간에 겹쳐진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진 지갑{Photo wallet}
본 발명은 사진 지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 매의 사진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사진 지갑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많은 사람들은 디지털 기기를 이용하여 사진을 촬영하고, 이미지 파일의 형태로 보관한다. 하지만, 결혼식, 백일, 돌 등과 같은 특별한 이벤트에 대한 이미지 파일은 사진으로 인화하여 앨범으로 제작한다.
앨범은 사진의 보관 방법에 따라 포켓식 앨범, 자착식 앨범 및 부착식 앨범으로 나뉘어진다. 포켓식 앨범은 사진을 수납할 수 있는 투명한 포켓을 갖고, 투명한 포켓 내부에 사진을 수납하여 보관함으로써 사진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반면에, 포켓의 형성 및 배열 위치에 따라 수납할 사진의 크기 및 배열을 제한한다. 또한, 자착식 앨범은 앨범 내지의 표면에 사진을 점착할 수 있도록 접착제를 도포하여 사진을 원하는 위치에 배열한 후 투명 용지를 이용하여 사진을 붙인 페이지 전체적으로 덮어 보호하도록 하는 방식이고, 부착식 앨범은 자착식 앨범과 유사하게 앨범 내지의 표면에 사진을 붙이는 방식이지만 사진을 일단 붙이면 다시 떼어내는 것을 거의 불가능하다.
하지만, 앨범은 사진을 수납하면서도 책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져 휴대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고, 수납한 사진을 동시에 확인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사진 지갑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 복수 매의 사진을 적층하여 수납하고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 사진 지갑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사진 지갑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복수 매의 사진을 펼쳐서 동시에 확인할 수 있고, 용이하게 다시 적층할 수 있도록 하는 사진 지갑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사진 지갑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진 지갑은, 직사각형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 시트, 몸체 시트의 양종단에 각각 연결되고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제 1 커버 시트 및 몸체 시트의 양측단에 각각 연결되고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제 2 커버 시트를 포함하는 몸체부; 몸체 시트를 관통하도록 위치되는 고정부; 및 제 1 커버 시트 및 제 2 커버 시트에 위치되어 상호 간에 겹쳐진 제 1 커버 시트 및 제 2 커버 시트를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되, 고정부는 복수 매의 사진을 관통하여 몸체 시트에 회동가능하도록 위치시키고, 결합부는 몸체 시트, 제 1 커버 시트 및 제 2 커버 시트를 상호 간에 겹쳐진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몸체 시트의 하단부에는 고정홀이 제 2 커버 시트의 어느 하나 근처에 위치되도록 형성되고, 고정부는, 원형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고정홀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제 1 고정 베이스; 원형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고정 베이스의 중앙으로부터 연장되고 고정홀 내경 이하의 외경을 갖는 고정 몸체; 및 원형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고정홀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고, 고정 몸체에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 2 고정 베이스를 포함하되, 고정 몸체는 복수 매의 사진을 관통한 상태에서 고정홀을 통과하여 제 2 고정 베이스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결합부는, 제 1 커버 시트들의 각각에 위치되는 제 1 결합 몸체; 및 제 2 커버 시트들 중 어느 하나에서 몸체 시트의 측단을 따라 상호 간에 이격되도록 위치되는 복수 개의 제 2 결합 몸체를 포함하되, 제 2 커버 시트들 중 어느 하나가 몸체 시트에 겹쳐진 상태에서, 제 1 커버 시트들의 각각은 제 2 커버 시트들 중 어느 하나에 겹쳐진 제 1 결합 몸체는 제 2 결합 몸체에 대응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 2 커버 시트들 중 다른 하나에서 몸체 시트의 측단을 따라 상호 간에 이격되면서 제 2 결합 몸체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의 결합홀이 형성되고, 제 2 커버 시트들 중 어느 하나가 몸체 시트에 겹쳐진 상태에서, 제 2 커버 시트들 중 다른 하나가 제 2 커버 시트들 중 어느 하나에 겹쳐질 때, 제 2 결합 몸체는 결합홀에 대응되어 삽입되고, 제 1 커버 시트들의 각각은 제 2 커버 시트들 중 어느 하나에 겹쳐지면서 제 1 결합 부재는 제 2 결합 몸체에 대응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 1 결합 몸체는 스냅 단추의 소켓 및 볼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제 2 결합 몸체는 스냅 단추의 소켓 및 볼 중 나머지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몸체부는 투명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사진은 복수 개의 컷을 포함하고, 제 2 커버 시트들의 각각에는 몸체 시트에 위치된 사진의 복수 개의 컷에 대응하도록 복수 개의 커버 개구가 형성되며, 제 2 커버 시트들이 몸체 시트에 겹쳐질 때, 제 2 커버 시트들의 각각에 형성된 커버 개구는 상호 간에 대응하도록 위치되고, 몸체부는, 주름을 갖는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커버 개구에 대응하도록 위치되고, 일종단이 커버 개구의 일종단면에 고정되고, 일종단의 반대편인 타종단이 커버 개구를 따라 이동하여 접히거나 펼쳐져 커버 개구를 개폐 몸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커버 개구의 양측면에는 커버 개구의 개폐 방향을 따라 가이드 홈이 각각 형성되고, 개폐 몸체의 양측면에는 개폐 몸체의 타종단에 인접하도록 가이드 돌기가 각각 형성되며, 가이드 돌기는 가이드 홈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폐 몸체에는 개폐 몸체의 타종단에 인접하도록 개폐 연결 부재가 형성되고, 제 2 커버 시트들이 몸체 시트에 겹쳐지고, 제 2 커버 시트들의 각각에 형성된 커버 개구가 상호 간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때, 상호 간에 대응하면서 겹쳐지는 개폐 몸체의 개폐 연결 부재는 상호 간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사진 지갑은, 고정홀 근처의 몸체 시트와 제 2 커버 시트 사이에 위치되고, 지퍼 형태로 이루어진 개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사진 지갑은 하기와 같은 효과를 가진다.
(1)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면서, 복수 매의 사진이 적층되어 수납되고 용이하게 휴대될 수 있다.
(2) 복수 매의 사진이 펼쳐져 동시에 확인될 수 있고, 용이하게 다시 적층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진 지갑이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사진 지갑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사진 지갑에 사진을 수납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사진 지갑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사진 지갑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 1, 제 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로 표현되는 구성요소는 2개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요소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요소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요소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요소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을 차례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사진 지갑(100)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사진 지갑(100)에 사진(10)을 수납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사진 지갑(100)은 몸체부(101), 고정부(102) 및 결합부(103)를 포함하고, 복수 매의 사진(10)을 회동가능하도록 적층한 상태에서 수납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사진(10)은 길쭉한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지면서 적어도 4개의 컷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01)는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사진(10)을 수용하도록 접힐 수 있다. 여기서, 몸체부(101)는 투명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몸체부(101)는 몸체 시트(111), 제 1 커버 시트(113), 제 2 커버 시트(115)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 시트(111)는 직사각형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몸체 시트(111)는 사진(1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사진(10)보다 큰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몸체 시트(111)의 일측 하단부에는 고정홀(111a)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홀(111a)은 몸체 시트(111)의 하단부에서 구체적으로 후술될 제 2 커버 시트(115) 근처에 위치될 수 있다.
제 1 커버 시트(113)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몸체 시트(111)의 양종단에 연결되어 몸체 시트(111)의 폭방향을 따라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커버 시트(113)는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몸체 시트(111)와 동일면 상에 위치될 수 있으며, 몸체 시트(111)에 겹쳐지도록 회동될 수 있다. 한 쌍의 제 1 커버 시트(113)는 몸체 시트(111)에 겹쳐진 상태에서 상호 간에 이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제 2 커버 시트(115)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몸체 시트(111)의 양측단에 연결되어 몸체 시트(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커버 시트(115)는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몸체 시트(111)와 동일면 상에 위치될 수 있으며, 몸체 시트(111)에 겹쳐지도록 회동될 수 있다. 한 쌍의 제 2 커버 시트(115)는 몸체 시트(111)에 겹쳐진 상태에서 상호 간에 겹쳐지도록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제 2 커버 시트(115) 중 어느 하나에는 몸체 시트(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간에 이격된 한 쌍의 결합홀(115a)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결합홀(115a)은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3개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부(102)는 몸체부(101) 특히, 몸체 시트(111)를 관통하도록 위치되고, 사진(10)을 몸체 시트(111)에 회동가능하도록 위치시킬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102)는 천공된 사진(10)을 통과한 상태에서 고정홀(111a)을 통해 몸체 시트(111)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사진(10)의 천공은 고정홀(111a)의 내경 이하의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102)는 제 1 고정 베이스(121), 고정 몸체(123) 및 제 2 고정 베이스(1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고정 베이스(121)는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고정홀(111a)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다.
고정 몸체(123)는 원형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 1 고정 베이스(121)의 중앙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몸체(123)는 제 1 고정 베이스(121)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고정 몸체(123)의 외경은 제 1 고정 베이스(121)의 외경보다 작고 고정홀(111a)의 내경 이하일 수 있다.
제 2 고정 베이스(125)는 원형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고정홀(111a)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다. 즉, 제 2 고정 베이스(125)는 제 1 고정 베이스(121)에 대응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 고정 베이스(125)는 고정 몸체(123)에 분리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고정 몸체(123)는 제 2 고정 베이스(125)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사진(10)을 관통하고 고정홀(111a)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몸체(123)는 제 2 고정 베이스(125)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 1 고정 베이스(121) 및 제 2 고정 베이스(125)는 사진(10)의 천공된 부분 및 고정홀(111a)보다 큰 외경을 가져, 사진(10) 또는 몸체 시트(111)에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몸체(123)는 사진(10) 및 고정홀(111a)을 통과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사진(10)은 고정부(102)에 의해 몸체 시트(111)에 위치된 상태로 유지되면서, 고정 몸체(123)를 축으로 하여 회동될 수 있다.
결합부(103)는 몸체부(101)의 제 1 커버 시트(113) 및 제 2 커버 시트(115)에 위치되어, 상호 간에 겹쳐진 제 1 커버 시트(113)와 제 2 커버 시트(115)를 결합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진(10)은 몸체 시트(111)에 위치된 상태에서, 접힌 몸체부(101)에 폐쇄된 형태로 수납될 수 있다.
또한, 결합부(103)는 제 1 결합 몸체(131) 및 제 2 결합 몸체(1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결합 몸체(131)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제 1 커버 시트(113)들의 각각에 위치될 수 있다.
제 2 결합 몸체(133)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제 2 커버 시트(115) 중 다른 하나에서 몸체 시트(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간에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제 2 커버 시트(115)가 몸체 시트(111)에서 상호 간에 겹쳐지도록 위치될 때, 제 2 결합 몸체(133)는 결합홀(115a)에 대응하도록 위치되어 결합홀(115a)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커버 시트(113)들의 각각이 몸체 시트(111)에 겹쳐지도록 회동될 때, 제 1 결합 몸체(131)는 결합홀(115a)에 삽입된 제 2 결합 몸체(133)에 대응하면서 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 1 커버 시트(113)들 및 제 2 커버 시트(115)들은 몸체 시트(111)에 겹쳐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고, 사진(10)은 접혀서 폐쇄된 몸체부(101)에 수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제 1 결합 몸체(131) 및 제 2 결합 몸체(133)는 스냅 단추(press stud)로 이루어지도록 상호 간에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결합 몸체(131)는 스냅 단추의 소켓(socket)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 2 결합 몸체(133)는 스냅 단추의 볼(ball)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 1 결합 몸체(131)는 스냅 단추의 볼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 2 결합 몸체(133)는 스냅 단추의 소켓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의 결합부(103)는 스냅 단추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상이한 극성을 갖는 자석을 갖는 제 1 결합 몸체(131) 및 제 2 결합 몸체(133)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사진 지갑(100)은 복수 매의 사진(10)을 적층된 상태로 고정부(102)를 이용하여 시트 형상의 몸체부(101), 특히 몸체 시트(111)에 위치시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몸체부(101)의 제 1 커버 시트(113) 및 제 2 커버 시트(115)는 몸체 시트(111)에 겹쳐진 상태에서 결합부(103)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 매의 사진(10)은 접힌 상태의 몸체부(101)에 수용되어 수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사진 지갑(100)은 시트 형상의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면서 복수 매의 사진을 적층한 상태로 수납할 수 있어,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사진 지갑(100)에서 복수 매의 사진(10)은 적층된 상태로 고정부(102)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 매의 사진(10)은 각각 고정부(102), 특히 고정 몸체(123)를 축으로 하여 회동될 수 있어, 동시에 확인될 수 있도록 펼쳐질 수 있고, 펼쳐진 상태에서 용이하게 다시 적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사진 지갑(100)은 복수 매의 사진(10)을 용이하게 동시에 확인할 수 있고, 적층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사진 지갑(300)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사진 지갑(300)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사진 지갑(300)은 몸체부(301), 고정부(302), 결합부(303) 및 개폐부(304)를 포함하고, 복수 매의 사진(10; 도 2 참조)을 회동가능하도록 적층한 상태에서 수납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사진(10)은 길쭉한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지면서 적어도 4개의 컷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301)는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사진(10)을 수용하도록 접힐 수 있다. 여기서, 몸체부(301)는 투명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몸체부(301)는 몸체 시트(311), 제 1 커버 시트(313), 제 2 커버 시트(315)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 시트(311)는 직사각형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몸체 시트(311)는 사진(1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사진(10)보다 큰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몸체 시트(311)의 일측 하단부에는 고정홀(311a)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홀(311a)은 몸체 시트(311)의 하단부에서 구체적으로 후술될 제 2 커버 시트(315) 근처에 위치될 수 있다.
제 1 커버 시트(313)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몸체 시트(311)의 양종단에 연결되어 몸체 시트(311)의 폭방향을 따라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커버 시트(313)는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몸체 시트(311)와 동일면 상에 위치될 수 있으며, 몸체 시트(311)에 겹치도록 회동될 수 있다. 한 쌍의 제 1 커버 시트(313)는 몸체 시트(311)에 겹쳐진 상태에서 상호 간에 이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제 2 커버 시트(315)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몸체 시트(311)의 양측단에 연결되어 몸체 시트(3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커버 시트(315)는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몸체 시트(311)와 동일면 상에 위치될 수 있으며, 몸체 시트(311)에 겹쳐지도록 회동될 수 있다. 한 쌍의 제 2 커버 시트(315)는 몸체 시트(311)에 겹쳐진 상태에서 상호 간에 겹쳐지도록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제 2 커버 시트(315) 중 어느 하나에는 몸체 시트(3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간에 이격된 한 쌍의 결합홀(315a)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결합홀(315a)은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3개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부(302)는 몸체부(301) 특히, 몸체 시트(311)를 관통하도록 위치되고, 사진(10)을 몸체 시트(311)에 회동가능하도록 위치시킬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302)는 천공된 사진(10)을 통과한 상태에서 고정홀(311a)을 통해 몸체 시트(311)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사진(10)의 천공은 고정홀(311a)의 내경 이하의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302)는 제 1 고정 베이스(321), 고정 몸체(323) 및 제 2 고정 베이스(3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고정 베이스(321)는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고정홀(311a)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다.
고정 몸체(323)는 원형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 1 고정 베이스(321)의 중앙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몸체(323)는 제 1 고정 베이스(321)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고정 몸체(323)의 외경은 제 1 고정 베이스(321)의 외경보다 작고 고정홀(311a)의 내경 이하일 수 있다.
제 2 고정 베이스(325)는 원형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고정홀(311a)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다. 즉, 제 2 고정 베이스(325)는 제 1 고정 베이스(321)에 대응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 고정 베이스(325)는 고정 몸체(323)에 분리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고정 몸체(323)는 제 2 고정 베이스(325)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사진(10)을 관통하고 고정홀(311a)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몸체(323)는 제 2 고정 베이스(325)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 1 고정 베이스(321) 및 제 2 고정 베이스(325)는 사진(10)의 천공된 부분 및 고정홀(311a)보다 큰 외경을 가져, 사진(10) 또는 몸체 시트(311)에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몸체(323)는 사진(10) 및 고정홀(311a)을 통과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사진(10)은 고정부(302)에 의해 몸체 시트(311)에 위치된 상태로 유지되면서, 고정 몸체(323)를 축으로 하여 회동될 수 있다.
결합부(303)는 몸체부(301)의 제 1 커버 시트(313) 및 제 2 커버 시트(315)에 위치되어, 상호 간에 겹쳐진 제 1 커버 시트(313)와 제 2 커버 시트(315)를 결합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진(10)은 몸체 시트(311)에 위치된 상태에서, 접힌 몸체부(301)에 폐쇄된 형태로 수납될 수 있다.
또한, 결합부(303)는 제 1 결합 몸체(331) 및 제 2 결합 몸체(3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결합 몸체(331)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제 1 커버 시트(313)들의 각각에 위치될 수 있다.
제 2 결합 몸체(333)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제 2 커버 시트(315) 중 다른 하나에서 몸체 시트(3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간에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제 2 커버 시트(315)가 몸체 시트(311)에서 상호 간에 겹쳐지도록 위치될 때, 제 2 결합 몸체(333)는 결합홀(315a)에 대응하도록 위치되어 결합홀(315a)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커버 시트(313)들의 각각이 몸체 시트(311)에 겹쳐지도록 회동될 때, 제 1 결합 몸체(331)는 결합홀(315a)에 삽입된 제 2 결합 몸체(333)에 대응하면서 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 1 커버 시트(313)들 및 제 2 커버 시트(315)들은 몸체 시트(311)에 겹쳐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고, 사진(10)은 접혀서 폐쇄된 몸체부(301)에 수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제 1 결합 몸체(331) 및 제 2 결합 몸체(333)는 스냅 단추(press stud)로 이루어지도록 상호 간에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결합 몸체(331)는 스냅 단추의 소켓(socket)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 2 결합 몸체(333)는 스냅 단추의 볼(ball)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 1 결합 몸체(331)는 스냅 단추의 볼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 2 결합 몸체(333)는 스냅 단추의 소켓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의 결합부(303)는 스냅 단추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상이한 극성을 갖는 자석을 갖는 제 1 결합 몸체(331) 및 제 2 결합 몸체(333)를 포함할 수도 있다.
개폐부(304)는 몸체 시트(311)와 제 2 커버 시트(315)들 중 어느 하나에 사이에 위치되고, 지퍼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사진(10)이 접혀서 폐쇄된 몸체부(301)에 수납된 상태로 결합부(303)에 의해 유지될 때, 개폐부(304)는 몸체 시트(311)와 제 2 커버 시트(315)를 개방하고, 사진(10)은 회동되어 몸체 시트(311)와 제 2 커버 시트(315)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 여기서, 개폐부(304)는 고정홀(315a), 즉 고정부(302) 근처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사진 지갑(300)은 복수 매의 사진(10)을 적층된 상태로 고정부(302)를 이용하여 시트 형상의 몸체부(301), 특히 몸체 시트(311)에 위치시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몸체부(301)의 제 1 커버 시트(313) 및 제 2 커버 시트(315)는 몸체 시트(311)에 겹쳐진 상태에서 결합부(303)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 매의 사진(10)은 접힌 상태의 몸체부(301)에 수용되어 수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사진 지갑(300)은 시트 형상의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면서 복수 매의 사진을 적층한 상태로 수납할 수 있어,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사진 지갑(300)에서 복수 매의 사진(10)은 적층된 상태로 고정부(302)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 매의 사진(10)은 각각 고정부(302), 특히 고정 몸체(323)를 축으로 하여 회동될 수 있어, 동시에 확인될 수 있도록 펼쳐질 수 있고, 펼쳐진 상태에서 용이하게 다시 적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사진 지갑(300)은 복수 매의 사진(10)을 용이하게 동시에 확인할 수 있고, 적층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사진 지갑(300)에서 몸체부(301)는 하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 2 커버 시트(315)들의 각각에는 몸체부(301)에 수납될 사진(10)의 복수 개의 컷에 대응하도록 복수 개의 커버 개구(315b)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커버 개구(315b)들은 각각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결합홀(315a) 또는 제 2 결합 몸체(333)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한 쌍의 제 2 커버 시트(315)가 몸체 시트(311)에 겹쳐질 때, 한 쌍의 제 2 커버 시트(315)들의 각각에 형성된 커버 개구(315b)는 상호 간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고, 몸체 시트(311)에 위치된 사진(10)의 컷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커버 개구(315b)에는 개폐 몸체(317)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개폐 몸체(317)는 커버 개구(315)에 대응하도록 위치되고, 주름을 갖는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개폐 몸체(317)의 일종단은 커버 개구(315b)의 일종단면에 고정될 수 있고, 개폐 몸체(317)의 타종단은 커버 개구(315b)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개폐 몸체(317)를 접거나 펼칠 수 있어, 커버 개구(315b)를 개폐할 수 있다.
한편, 커버 개구(315b)의 양측면에는 커버 개구(315b)의 개폐 방향을 따라 가이드 홈(315b')이 각각 형성될 수 있고, 개폐 몸체(317)의 양측면에는 개폐 몸체(317)의 타종단에 인접하도록 가이드 돌기(317')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317')는 가이드 홈(315b')에 삽입되어, 개폐 몸체(317)는 커버 개구(315b)를 견고하게 폐쇄할 수 있고, 용이하게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제 2 커버 시트(315)가 몸체 시트(311)에 겹쳐진 상태에서, 한 쌍의 제 2 커버 시트(315)들의 각각에 형성된 커버 개구(315b)가 상호 간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때, 개폐 몸체(317)는 한 쌍 씩 상호 간에 대응하면서 겹쳐지도록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개폐 몸체(317)에는 개폐 몸체(317)의 타종단에 인접하도록 개폐 연결 부재(317")가 형성될 수 있다. 개폐 몸체(317)가 상호 간에 대응하면서 겹쳐지도록 위치될 때, 각각의 개폐 몸체(317)의 개폐 연결 부재(317")는 상호 간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호 간에 결합되는 개폐 연결 부재(317")는 스냅 단추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호 간에 대응되어 겹쳐진 상태의 개폐 몸체(317)들은 동시에 상호 간에 대응된 개폐 개구(315b)를 개폐할 수 있고, 몸체 시트(311)의 사진(10) 중에서 원하는 컷만 폐쇄하거나 노출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0, 300: 사진 지갑
101, 301: 몸체부
102, 302: 고정부
103, 303: 결합부
304: 개폐부

Claims (10)

  1. 직사각형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 시트, 몸체 시트의 양종단에 각각 연결되고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제 1 커버 시트 및 몸체 시트의 양측단에 각각 연결되고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제 2 커버 시트를 포함하는 몸체부;
    몸체 시트를 관통하도록 위치되는 고정부; 및
    제 1 커버 시트 및 제 2 커버 시트에 위치되어 상호 간에 겹쳐진 제 1 커버 시트 및 제 2 커버 시트를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되,
    고정부는 복수 매의 사진을 관통하여 몸체 시트에 회동가능하도록 위치시키고, 결합부는 몸체 시트, 제 1 커버 시트 및 제 2 커버 시트를 상호 간에 겹쳐진 상태로 유지하며,
    사진은 복수 개의 컷을 포함하고,
    제 2 커버 시트들의 각각에는 몸체 시트에 위치된 사진의 복수 개의 컷에 대응하도록 복수 개의 커버 개구가 형성되며,
    제 2 커버 시트들이 몸체 시트에 겹쳐질 때, 제 2 커버 시트들의 각각에 형성된 커버 개구는 상호 간에 대응하도록 위치되고,
    몸체부는,
    주름을 갖는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커버 개구에 대응하도록 위치되고, 일종단이 커버 개구의 일종단면에 고정되고, 일종단의 반대편인 타종단이 커버 개구를 따라 이동하여 접히거나 펼쳐져 커버 개구를 개폐 몸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지갑.
  2. 제1항에 있어서,
    몸체 시트의 하단부에는 고정홀이 제 2 커버 시트의 어느 하나 근처에 위치되도록 형성되고,
    고정부는,
    원형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고정홀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제 1 고정 베이스;
    원형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고정 베이스의 중앙으로부터 연장되고 고정홀 내경 이하의 외경을 갖는 고정 몸체; 및
    원형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고정홀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고, 고정 몸체에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 2 고정 베이스를 포함하되,
    고정 몸체는 복수 매의 사진을 관통한 상태에서 고정홀을 통과하여 제 2 고정 베이스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지갑.
  3. 제1항에 있어서, 결합부는,
    제 1 커버 시트들의 각각에 위치되는 제 1 결합 몸체; 및
    제 2 커버 시트들 중 어느 하나에서 몸체 시트의 측단을 따라 상호 간에 이격되도록 위치되는 복수 개의 제 2 결합 몸체를 포함하되,
    제 2 커버 시트들 중 어느 하나가 몸체 시트에 겹쳐진 상태에서, 제 1 커버 시트들의 각각은 제 2 커버 시트들 중 어느 하나에 겹쳐진 제 1 결합 몸체는 제 2 결합 몸체에 대응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지갑.
  4. 제3항에 있어서,
    제 2 커버 시트들 중 다른 하나에서 몸체 시트의 측단을 따라 상호 간에 이격되면서 제 2 결합 몸체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의 결합홀이 형성되고,
    제 2 커버 시트들 중 어느 하나가 몸체 시트에 겹쳐진 상태에서, 제 2 커버 시트들 중 다른 하나가 제 2 커버 시트들 중 어느 하나에 겹쳐질 때, 제 2 결합 몸체는 결합홀에 대응되어 삽입되고, 제 1 커버 시트들의 각각은 제 2 커버 시트들 중 어느 하나에 겹쳐지면서 제 1 결합 부재는 제 2 결합 몸체에 대응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지갑.
  5. 제3항에 있어서,
    제 1 결합 몸체는 스냅 단추의 소켓 및 볼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제 2 결합 몸체는 스냅 단추의 소켓 및 볼 중 나머지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지갑.
  6. 제1항에 있어서,
    몸체부는 투명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지갑.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커버 개구의 양측면에는 커버 개구의 개폐 방향을 따라 가이드 홈이 각각 형성되고, 개폐 몸체의 양측면에는 개폐 몸체의 타종단에 인접하도록 가이드 돌기가 각각 형성되며, 가이드 돌기는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지갑.
  9.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개폐 몸체에는 개폐 몸체의 타종단에 인접하도록 개폐 연결 부재가 형성되고,
    제 2 커버 시트들이 몸체 시트에 겹쳐지고, 제 2 커버 시트들의 각각에 형성된 커버 개구가 상호 간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때, 상호 간에 대응하면서 겹쳐지는 개폐 몸체의 개폐 연결 부재는 상호 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지갑.
  10. 사진 지갑에 있어서,
    직사각형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 시트, 몸체 시트의 양종단에 각각 연결되고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제 1 커버 시트 및 몸체 시트의 양측단에 각각 연결되고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제 2 커버 시트를 포함하는 몸체부;
    몸체 시트를 관통하도록 위치되는 고정부; 및
    제 1 커버 시트 및 제 2 커버 시트에 위치되어 상호 간에 겹쳐진 제 1 커버 시트 및 제 2 커버 시트를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되,
    고정부는 복수 매의 사진을 관통하여 몸체 시트에 회동가능하도록 위치시키고, 결합부는 몸체 시트, 제 1 커버 시트 및 제 2 커버 시트를 상호 간에 겹쳐진 상태로 유지하며,
    몸체 시트의 하단부에는 고정홀이 제 2 커버 시트의 어느 하나 근처에 위치되도록 형성되고,
    고정부는,
    원형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고정홀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제 1 고정 베이스;
    원형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고정 베이스의 중앙으로부터 연장되고 고정홀 내경 이하의 외경을 갖는 고정 몸체; 및
    원형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고정홀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고, 고정 몸체에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 2 고정 베이스를 포함하며
    고정 몸체는 복수 매의 사진을 관통한 상태에서 고정홀을 통과하여 제 2 고정 베이스에 결합되고,
    사진 지갑은,
    고정홀 근처의 몸체 시트와 제 2 커버 시트 사이에 위치되고, 지퍼 형태로 이루어진 개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지갑.
KR1020200106084A 2020-08-24 2020-08-24 사진 지갑 KR1022855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6084A KR102285558B1 (ko) 2020-08-24 2020-08-24 사진 지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6084A KR102285558B1 (ko) 2020-08-24 2020-08-24 사진 지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5558B1 true KR102285558B1 (ko) 2021-08-03

Family

ID=77314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6084A KR102285558B1 (ko) 2020-08-24 2020-08-24 사진 지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555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5167A (ko) * 2000-06-28 2001-04-06 윤지현 사진첩 겸용 지갑
KR20010045986A (ko) * 1999-11-09 2001-06-05 김민경 메모 또는 명함 케이스
JP2004034644A (ja) * 2002-07-08 2004-02-05 Chuhyo So はがきの機能を有するピクチャーフレーム
KR20170002089U (ko) * 2015-12-04 2017-06-14 김도엽 전면 부분 개폐가 용이한 투명 액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5986A (ko) * 1999-11-09 2001-06-05 김민경 메모 또는 명함 케이스
KR20010025167A (ko) * 2000-06-28 2001-04-06 윤지현 사진첩 겸용 지갑
JP2004034644A (ja) * 2002-07-08 2004-02-05 Chuhyo So はがきの機能を有するピクチャーフレーム
KR20170002089U (ko) * 2015-12-04 2017-06-14 김도엽 전면 부분 개폐가 용이한 투명 액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1310Y1 (ko)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
US9038979B2 (en) Multifunctional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210148145A1 (en) Link body, folding structure provided with same link body, and separating member used for same folding structure
US9762280B1 (en) Portable mobile phone holders and methods for operating at least two mobile phones
US5048869A (en) Hypertext book attachment
KR102049557B1 (ko) 폴더블 휴대폰용 케이스
KR102285558B1 (ko) 사진 지갑
US20060039745A1 (en) Pocketed storage container
US20050194273A1 (en) Wallet with separable linked accordion pockets for storing planar media elements
JP7304618B2 (ja) 携帯カードケース
JP6897946B2 (ja) アルバム、展示具及びシート状展示物収納ボックス
JPH09315474A (ja) 記録媒体の収納ケース
US20050269224A1 (en) Media storage devices
JP3158651U (ja) ブックカバー
US20070183840A1 (en) Organizer
EP2657807A2 (en) Hold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210060148A (ko) 다이어리 케이스
JP3658750B2 (ja) コンパクトディスク収納体
JP7426222B2 (ja) システム手帳バインダー
JP2503470Y2 (ja) 簡易ホルダ―
JP2018158471A (ja) ブックカバー、ケース
JPS6037734Y2 (ja) 手帳形テ−プカセツトケ−ス
JP2022167211A (ja) スタンド機能付きボード
JP3109060U (ja) 名刺入れ
JP3106507U (ja) スライドインノ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