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4307U - 휴대폰 보호케이스 - Google Patents

휴대폰 보호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4307U
KR20110004307U KR2020110002988U KR20110002988U KR20110004307U KR 20110004307 U KR20110004307 U KR 20110004307U KR 2020110002988 U KR2020110002988 U KR 2020110002988U KR 20110002988 U KR20110002988 U KR 20110002988U KR 20110004307 U KR20110004307 U KR 2011000430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case body
cover
case
protectiv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29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0260Y1 (ko
Inventor
마승홍
Original Assignee
마승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424151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10004307(U)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마승홍 filed Critical 마승홍
Priority to KR20201100029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0260Y1/ko
Publication of KR201100043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43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02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026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2Interior fittings; Means, e.g. inserts, for holding and packing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 보관이 용이하면서도 휴대폰의 충실한 외관 보호와 사용상의 간편함을 목적으로 제안된 도회적 세련미를 갖는 다이어리 형태의 수납구조 및 개폐방식을 포함하는 휴대폰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마련된 본 고안은 연질의 박판형 러버재로 제작되며, 전면이 개방되고 장착되는 휴대폰의 카메라 렌즈, 충전단자, 기능키 및 이어폰 잭 구멍에 대응하는 각각의 천공부를 형성한 수납형태의 보호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단 일측면을 연장하되, 개방된 상단 전면과의 사이에 형성된 절곡 요홈을 기준으로 자유롭게 접철 개폐되면서 상단 전면을 밀폐할 수 있게 마련된 커버와, 상기 커버가 닫혀진 상태에서 임의로 개방되지 않도록 커버 전면과 케이스 본체 사이에 마련되는 암/수 걸림턱 형상의 체결수단과, 상기 케이스 본체의 이어폰 잭 천공부와 인접하는 부분에 케이스 본체와 끼움 형태로 탈부착되면서 외부로 연장되는 이어폰 마개가 구비된 보호케이스를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폰 보호케이스{Mobile phone case}
본 고안은 휴대 보관이 용이하면서도 휴대폰의 충실한 외관 보호와 사용상의 간편함을 목적으로 제안된 도회적 세련미를 갖는 다이어리 형태의 수납구조 및 개폐방식을 포함하는 휴대폰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외부의 충격이나 이물질의 침투로부터 휴대폰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목적과 함께 미려한 외관 창출과 사용자의 개성표현을 위한 악세사리로 휴대폰의 외관에 적합하게 제작된 경/연질의 보호케이스가 널리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대부분의 휴대폰용 보호케이스는 휴대폰의 외관과 동일한 사이즈와 형태로 제작되어 휴대폰에 긴밀하게 장착되어야 하므로, 가죽이나 섬유 등 연질 소재의 보호케이스일 경우에는 파우치 형태의 수납함 구조를 갖추어 휴대폰이 수납될 수 있도록 하였고, 폴리카보네이트 등 경질의 소재일 경우에는 합성수지의 탄성력으로 휴대폰의 외관 본체를 긴밀하게 잡아주어 휴대폰이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한 구조를 갖추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파우치 형태의 수납함 구조는 외관의 품질과 세련미가 현저하게 떨어지고 즉시적인 휴대폰의 인출과 사용 등에 있어서 사용상의 불만이 끊임없이 제기되었는데, 예컨대 부분적인 들뜸 현상이 발생하는 등 휴대폰과의 부착성이 매우 낮아 외부 이물질의 침투가 용이해짐은 물론이고 파우치 구조의 특성에 따라 휴대폰의 어느 일면은 반드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해야 하므로 안정적인 휴대폰의 보호적 기능을 수행하기에는 많은 면에서 문제점을 포함하고 있다는 것이다.
한편, 경질의 폴리카보네이트 소재 보호케이스의 경우에는 휴대폰과의 탈장착 작업이 결코 쉽지 않았고, 걸림턱에 의한 잦은 탈장착 작업에 따라 휴대폰의 외관에 스크래치 등의 흠집이 발생할 우려가 높음은 물론 반복적인 탈장착시 휴대폰의 걸림홈 부분이 훼손될 여지가 많아 전체적으로 외관에 좋지 못한 영향을 주고 있다.
특히 보호케이스와 휴대폰과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를 통해 외부의 먼지 등이 유입되어 축적됨으로 장시간 사용시 외관 불량과 사용시의 비위생적인 측면이 지적되곤 하였다.
더욱이 휴대폰 정보의 입/출력 작업을 수행하는 액정디스플레이 부분은 그 시각적인 판독력을 고려하여 보호케이스에 장착된 상태에서도 그대로 외부에 노출되도록 하거나 혹은 일부 기능키나 단자 등도 필연적으로 노출될 수 밖에 없어 휴대폰 전체에 대한 보호적 기능의 수행은 현실적으로 곤란하였다.
그러므로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국내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9-9713호로“밀폐형 휴대폰 보호케이스”를 출원하였다.
위 선 출원고안은 신축성이 우수한 연질의 박판형 러버재를 이용하여 휴대폰의 전면부만이 노출되게 수납형태의 케이스를 제작한 후 휴대폰을 긴밀하게 수납 장착시키고, 노출된 휴대폰의 전면부인 액정디스플레이 부분으로는 보호케이스와 탈부착이 가능한 러버재 커버를 마련하여 휴대폰 전체를 감싸주게 한 밀폐형태의 보호케이스를 제안함으로서, 스크래치 발생의 우려와 먼저 유입이라는 폐단을 방지하면서도 그 사용이 간편하고 심미감이 우수한 보호케이스를 제공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 개선에도 불구하고 보호케이스 본체와 커버와의 탈부착이 다소 번거롭고, 경우에 따라 커버의 이탈현상도 발생하는 등 예기치 아니한 문제점이 노출되기 시작하였으며, 무엇보다도 휴대폰의 정보입력작업이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에 밀착되게 위치되는 커버의 외표면에서 이루어지므로 정전압 혹은 감압방식 모두 미세한 터치 정보를 그대로 휴대폰 기기 내부 센서에서 인식할 수 없다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발생되곤 하였다.
이와 함께 보호케이스의 천공부를 통해 외부에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는 이어폰 잭의 구멍으로 각종 외부의 이물질이 자유롭게 유입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수신감도에 좋지못한 영향을 주거나 미관을 해치게 되므로 이에 대한 사용자의 개선책도 끊임없이 제기되는 실정에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보호케이스는 장착되는 휴대폰이 안전하게 수납 및 보관될 수 있도록 하되, 외부에 노출되는 휴대폰 전면부인 액정디스플레이 부분은 케이스 본체에서 일체로 연장되는 수시 개폐방식의 커버에 의해 평소 휴대폰의 전면부가 덮혀진 채 보호되고 있다가 휴대폰 사용시 해당 커버를 일측으로 열어 개방시킨 상태에서 각종 휴대폰의 제 기능 사용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이어폰 잭의 구멍을 밀폐시켜주는 이어폰 마개를 케이스 본체 일단에 탈부착시키는 구조를 갖추게 하므로 정보입력작업의 불편함 해소는 물론 휴대폰 전면부 보호의 기능적 역할까지도 수행할 수 있게 하였고, 이어폰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그 이어폰 잭의 구멍을 간편하게 밀폐시켜주는 등 세련된 형태의 다이어리 개폐 형식을 채택한 보호케이스가 제공됨을 그 주된 과제로 하고 있다.
상기의 과제를 완수하기 위해 본 고안은 연질의 박판형 러버재로 제작되며, 전면이 개방되고 장착되는 휴대폰의 카메라 렌즈, 충전단자, 기능키 및 이어폰 잭 구멍에 대응하는 각각의 천공부를 형성한 수납형태의 보호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단 일측면을 연장하되, 개방된 상단 전면과의 사이에 형성된 절곡 요홈을 기준으로 자유롭게 접철 개폐되면서 상단 전면을 밀폐할 수 있게 마련된 커버와, 상기 커버가 닫혀진 상태에서 임의로 개방되지 않도록 커버 전면과 케이스 본체 사이에 마련되는 암/수 걸림턱 형상의 체결수단과, 상기 케이스 본체의 이어폰 잭 천공부와 인접하는 부분에 케이스 본체와 끼움 형태로 탈부착되면서 외부로 연장되는 이어폰 마개가 구비된 보호케이스 제공을 그 기술적 사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본 고안은 휴대폰이 마치 휴대용 수첩(다이어리 형태) 형태의 외관을 갖는 보호케이스에 수납된 채 보관 및 휴대되다가 사용시에는 간편하게 걸림턱 형태의 체결수단을 해정하고, 접철된 커버를 개방시킨 후(필요에 따라 개방된 커버를 케이스 본체의 후면으로 역 접철시킬 수도 있음) 전면이 노출된 휴대폰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평소 휴대폰의 본체는 물론 접철식 커버에 의해 액정디스플레이 부분도 완벽하게 외부의 충격이나 먼지 등으로부터도 보호될 수 있고, 사용시에는 외부로 노출된 채 사용되므로 각종 정보입력의 오류 발생없이 안전하면서도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게 된다.
또한 탈부착 형태인 이어폰 마개로 인해 외부에 노출되는 이어폰 잭 구멍이 평소에는 안전하게 밀폐될 수 있는데, 상기 이어폰 마개에 여러 형상의 캐릭터 모형물을 형상화시키거나 부착시켜줄 경우 시각적인 조형미를 부여받아 별도의 독립적인 악세사리로도 기능할 수 있게 된다.
이와 함께, 다이어리 형태의 외관이 주는 심플함과 도회적 세련미는 보호케이스의 품격을 높여줄 수 있고, 소재의 변화와 문양의 다채로운 조화를 통해 시각적인 만족감도 높여줄 수 있는 고안으로 그 실시상의 가치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휴대폰용 보호케이스 외관을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보호케이스에서 커버를 개방시킨 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3은 보호케이스 본체에 이어폰 마개가 탈부착됨을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4는 커버가 개방된 보호케이스를 배면에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5는 휴대폰이 수납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용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재현을 위한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시해 보인 것으로, 도면상의 이해를 위해 내부가 투영되지 않는 불투명의 상태를 도시하여 설명하였으나, 소재는 매우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는 것으로, 우수한 투영도를 갖춘 소재이거나 혹은 그 외표면에 다양한 문양을 게재시킨 형태에 무관하게 본 고안의 재현성이 발현되는 데에는 아무런 영향이 없다.
그러나 본 고안의 고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문양의 형성 유무에 상관없이 신축성이 우수한 연질의 박판형 러버재(통상 젤리케이스로 명명됨) 채택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는 제작이나 기능 및 사용상의 유용성이 경질에 비해 우수하다는 특성에 기인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의 외관을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며, 도 2에서는 도 1의 사시도에서 커버를 개방시킨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폰용 보호케이스는 분리된 형태가 아니라 일체화 된 단일의 수납케이스로 주로 직사각의 형태를 유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보호케이스는 휴대폰의 외표면과 상호간에 밀착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표면부착력이 우수한 연질의 박판형 러버재로 마련된다.
보호케이스는 휴대폰과의 탈장착시 용이함을 위해 필요로 하는 신축성은 물론이고 장착시 휴대폰의 외관 즉 색상이나 디자인은 물론 각각의 카메라 렌즈, 충전단자, 기능키 및 이어폰 잭 구멍 등이 그대로 외부에 노출될 수 있는 우수하고도 선명한 투영도와 천공부를 갖도록 함이 더 바람직할 수 있는데, 그러나 이러한 요구 사항에서 투영이라는 조건은 반드시 구비되어야 할 필수적 요소가 아니라 함은 자명하다.
특히 시각적인 조형미를 위하여 일정 패턴의 문양, 예컨대 표면부를 일정한 경사각을 유지한 요철부로 배열 정렬시킬 경우 빛의 난반사 효과를 발현하여 시각적인 아름다움이 더 한층 부여될 수 있다.
이러한 러버 재질의 보호케이스에 있어서, 그 케이스 본체(10)는 휴대폰의 기종별/모델별 외형에 대응할 수 있는 구조로써 통상의 휴대폰 외형(주로 스마트폰)을 따라 그 대부분이 직사각형태로 제공되는데, 오직 전면만을 개방시킨 박스형태의 수납형으로 단일 사출과정을 통해 일체형으로 제작된다.
이때 장착되는 휴대폰의 카메라 렌즈나 충전단자 또는 기능키 및 이어폰 잭 구멍 등 필연적으로 외부의 간섭이 없어야 하는 곳은 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동일한 사이즈로 소정의 천공부(11)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케이스 본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개방된 상단 전면의 일측면으로는 그 측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힌지 역할을 하는 절곡 요홈(12)이 형성된 채 연장된 판 상의 커버(13)가 일체로 마련되어 있는데, 상기 커버(13)는 접철시에 개방된 케이스 본체(10)의 전면이 밀폐될 수 있도록 동일한 크기로 재단되어 전술한 절곡 요홈(12)을 기준으로 수시 개폐될 수 있게 제공된다.
첨부된 도 4는 커버(13)가 개방된 보호케이스를 배면에서 바라본 사시도로서, 케이스 본체(10)와 커버(13)의 구성 관계를 이해해 볼 수 있으며, 도 5의 사용 상태도를 통해 케이스 본체(10)에 휴대폰이 수납된 상태를 확인하여 볼 수 있다.
연질의 박판형 소재는 주로 실리콘이나 우레탄 등으로 절곡 요홈(12)을 기준으로 커버(13)가 장시간 수시 개폐되어도 물성적 특성에 따라 그 내구성에는 아무런 영향이 없는 신뢰성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이러한 커버(13)가 마치 수첩형 다이어리와 같이 닫혀져 내부 휴대폰의 액정디스플레이 부분을 밀폐시키고 있는 평상시에서는 커버(13)가 케이스 본체(10)에서 임의로 열려져 개방되지 않도록 케이스 본체(10)의 일단과 고정될 수 있게 암/수 걸림턱 형태의 끼움방식 체결수단(14)이 상기 커버(13)와 케이스 본체(10)의 전면 모서리 부분에 일체로 형성되게 한다.
물론 필요에 따라 상기 체결수단(14)은 자석이나 벨크로테이프 등으로도 대체될 수 있으며, 휴대 및 사용에 간섭되지 않도록 최소의 외형적 사이즈를 유지함이 요망된다 함은 자명하다.
또한, 첨부된 도 3의 사시도에서와 같이 상기 케이스 본체(10)의 이어폰 잭 구멍과 대응하는 천공부(11)의 인접 부분을 선택하여 케이스 본체(10)와 상호간에 긴밀하게 끼움 형태로 탈부착되면서 장착되는 휴대폰에 간섭을 주지않는 이어폰 마개(15)가 외부로 연장되게 마련되어 있어 이어폰을 사용하지 않는 보관 및 휴대상태에서는 이어폰 잭 구멍이 안전하게 외부로부터 밀폐될 수 있게 한다.
이때 탈부착 형태인 이어폰 마개(15)가 휴대폰 보호케이스의 사용자 시각을 이끄는 포인트물이 될 수 있도록 다양한 색상감을 부여하거나 혹은 여러 형상의 캐릭터 모형물을 형상화하여 일체화 내지는 부착시키므로 시각적인 조형미를 갖는 별도의 독립적인 악세사리로 기능할 수 있도록 배려할 수 도 있다.
10 : 케이스 본체 11 : 천공부
12 : 절곡 요홈 13 : 커버
14 : 체결수단 15 : 이어폰 마개

Claims (1)

  1. 연질의 박판형 러버재로 제작되며, 전면이 개방되고 장착되는 휴대폰의 카메라 렌즈, 충전단자, 기능키 및 이어폰 잭 구멍에 대응하는 각각의 천공부를 형성한 수납형태의 보호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단 일측면을 연장하되, 개방된 상단 전면과의 사이에 형성된 절곡 요홈을 기준으로 자유롭게 접철 개폐되면서 상단 전면을 밀폐할 수 있게 마련된 커버와,
    상기 커버가 닫혀진 상태에서 임의로 개방되지 않도록 커버 전면과 케이스 본체 사이에 마련되는 암/수 걸림턱 형상의 체결수단과,
    상기 케이스 본체의 이어폰 잭 천공부와 인접하는 부분에 케이스 본체와 끼움 형태로 탈부착되면서 외부로 연장되는 이어폰 마개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보호케이스.
KR2020110002988U 2011-04-07 2011-04-07 휴대폰 보호케이스 KR2004602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2988U KR200460260Y1 (ko) 2011-04-07 2011-04-07 휴대폰 보호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2988U KR200460260Y1 (ko) 2011-04-07 2011-04-07 휴대폰 보호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307U true KR20110004307U (ko) 2011-05-02
KR200460260Y1 KR200460260Y1 (ko) 2012-05-15

Family

ID=44241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2988U KR200460260Y1 (ko) 2011-04-07 2011-04-07 휴대폰 보호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0260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12239A2 (ko) * 2011-07-19 2013-01-24 (주)중앙티앤씨 휴대 단말기용 악세서리
KR101229079B1 (ko) * 2011-06-23 2013-02-06 (주)제이엠씨 휴대단말기용 범퍼케이스
WO2013081264A1 (ko) * 2011-11-28 2013-06-06 Kwon Moo-Hyoung 스마트 폰용 카메라 렌즈 모듈
KR200469641Y1 (ko) * 2013-07-03 2013-10-28 맹용주 개구부 마개 일체형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KR101436315B1 (ko) * 2012-10-31 2014-09-03 주식회사 이노웍스 휴대폰 단말기 이중커버
KR200476115Y1 (ko) * 2013-02-18 2015-02-03 (주)하운 터치동작이 가능한 투명커버가 구비된 모바일기기 케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253Y1 (ko) * 2012-09-10 2015-02-12 김재성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KR101417854B1 (ko) 2013-05-15 2014-07-10 주식회사 슈피겐코리아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용 2개 바디 결합 구조의 케이스
KR101585224B1 (ko) * 2013-12-27 2016-01-13 김현석 휴대폰 케이스
KR101673430B1 (ko) 2015-02-03 2016-11-08 윤남운 이동 단말기용 플립커버 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5030U (ko) * 2008-11-06 2010-05-14 사운드웨어 주식회사 무선통신 기능을 내장하는 휴대 단말장치 케이스
KR20110002938U (ko) * 2009-09-16 2011-03-23 박재복 충전용배터리가 내장된 이동통신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9079B1 (ko) * 2011-06-23 2013-02-06 (주)제이엠씨 휴대단말기용 범퍼케이스
WO2013012239A2 (ko) * 2011-07-19 2013-01-24 (주)중앙티앤씨 휴대 단말기용 악세서리
WO2013012239A3 (ko) * 2011-07-19 2013-04-11 (주)중앙티앤씨 휴대 단말기용 악세서리
WO2013081264A1 (ko) * 2011-11-28 2013-06-06 Kwon Moo-Hyoung 스마트 폰용 카메라 렌즈 모듈
KR101436315B1 (ko) * 2012-10-31 2014-09-03 주식회사 이노웍스 휴대폰 단말기 이중커버
KR200476115Y1 (ko) * 2013-02-18 2015-02-03 (주)하운 터치동작이 가능한 투명커버가 구비된 모바일기기 케이스
KR200469641Y1 (ko) * 2013-07-03 2013-10-28 맹용주 개구부 마개 일체형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0260Y1 (ko) 2012-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0260Y1 (ko) 휴대폰 보호케이스
KR200437885Y1 (ko) 바타입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US8326383B1 (en) Adhesive case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20090001546U (ko) 분리형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KR200381964Y1 (ko) 덮개 일부가 슬라이딩 개폐되는 휴대폰 단말기용보호케이스
KR101197173B1 (ko) 바타입 휴대기기의 보호케이스
KR200423887Y1 (ko) 휴대전화 보호케이스
KR101400260B1 (ko) 배터리 교체 도어가 부착된 배터리커버 일체형 휴대폰 케이스
JP3066786U (ja) 携帯機器等の密閉型防水カバ―
JP2017046087A (ja) 携帯端末ケース
KR200457858Y1 (ko) 휴대폰용 보호케이스
KR100774333B1 (ko) 휴대 단말기용 접착식 케이스
KR200478502Y1 (ko) 카메라 보호용 핸드폰 보호케이스
KR101059568B1 (ko) 휴대용 전자기기 방수 케이스 조립 구조체
KR101085472B1 (ko) 바타입 휴대기기의 보호스킨
KR20120104061A (ko)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된 정전식 버튼 케이스
KR20140030523A (ko) 휴대폰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KR101793374B1 (ko) 카메라 여닫이창이 구비된 스마트폰용 크래들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폰용 케이스
WO2005086364A1 (en) Protection cover of slide type cellular phone
KR200406188Y1 (ko) 무선 단말기 케이스
KR200474038Y1 (ko) 십자형 절첩홈이 구비된 휴대전화 케이스
KR20110001075U (ko) 밀폐형 휴대폰 보호케이스
KR200454685Y1 (ko) 휴대폰 케이스
KR101468989B1 (ko)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KR20240068372A (ko) 폴더블 스마트폰용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