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1075U - 밀폐형 휴대폰 보호케이스 - Google Patents

밀폐형 휴대폰 보호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1075U
KR20110001075U KR2020090009713U KR20090009713U KR20110001075U KR 20110001075 U KR20110001075 U KR 20110001075U KR 2020090009713 U KR2020090009713 U KR 2020090009713U KR 20090009713 U KR20090009713 U KR 20090009713U KR 20110001075 U KR20110001075 U KR 2011000107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rubber material
cover
cell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97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승홍
Original Assignee
마승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승홍 filed Critical 마승홍
Priority to KR20200900097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1075U/ko
Publication of KR201100010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107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폰의 충실한 외관 보호를 위해 휴대폰 전체를 감싸주면서도 휴대폰 사용에 필요한 액정디스플레이 판독이나 각종 정보입력수단 및 기능키의 작동이 자유로울 수 있도록 고안된 러버 소재의 밀폐형 휴대폰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일정 패턴의 문양이 표면부에 형성되고 표면부착력과 우수한 투영도를 갖는 연질의 박판형 러버재로 된 보호케이스에 있어서, 전면이 개방되고 장착되는 휴대폰의 카메라 렌즈나 충전단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공간부를 형성하여 마련된 수납형태의 케이스와, 상기 개방된 전면의 내측 테두리와 맞물려져 탈부착이 가능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단턱이 형성된 판 상의 러버재 커버를 구비하여 장착된 휴대폰의 외표면 전면부에 밀착되게 위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밀폐형 보호케이스, 커버, 터치, 윈도우

Description

밀폐형 휴대폰 보호케이스{sealed type protect case of mobile phone}
본 고안은 휴대폰의 충실한 외관 보호를 위해 휴대폰 전체를 감싸주면서도 휴대폰 사용에 필요한 액정디스플레이 판독이나 각종 정보입력수단 및 기능키의 작동이 자유로울 수 있도록 고안된 러버 소재의 밀폐형 휴대폰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외부의 충격이나 이물질의 침투로부터 휴대폰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목적과 함께 사용자의 개성표현수단을 위한 악세사리중 하나로 휴대폰의 외관에 적합하게 제작된 경/연질의 보호케이스가 제시되고 있다.
통상 휴대폰용 보호케이스는 휴대폰의 외관과 동일한 사이즈와 형태로 제작되어 장착시 긴밀하게 밀착되어져야 하므로 종래 가죽이나 섬유재질 소재의 보호케이스는 휴대폰에 대응하는 파우치 형태의 수납함 구조로 이루어져 휴대폰이 수납될 수 있도록 하였고, 폴리카보네이트 등 경질의 하드케이스 소재일 경우에는 합성수지의 탄성력으로 휴대폰의 본체를 긴밀하게 그립핑하여 휴대폰이 장착될 수 있도록 휴대폰 측면에 형성되는 각종 걸림홈에 탄력적으로 끼워지는 형태의 걸림턱이 보호케이스 내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파우치 형태의 수납함 구조는 외관의 품질과 세련미가 현저하게 떨어지고 기능성 또한 불만족스러웠는데, 예컨대 부분적인 들뜸 현상이 발생하는 등 휴대폰과의 부착성이 매우 낮아 외부 이물질의 침투가 용이해짐은 물론 파우치 구조의 특성에 따라 휴대폰의 어느 일면은 반드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해야 하므로 안정적인 휴대폰의 보호적 기능을 수행하기에는 많은 면에서 문제점을 포함하고 있었다.
이와 함께, 경질의 하드케이스 소재의 경우에는 걸림턱에 의한 잦은 탈장착 작업에 따라 휴대폰의 외관에 스크래치 등의 흠집이 발생할 우려가 높았고 또한 반복적인 탈장착시 휴대폰의 걸림홈 부분이 훼손될 여지가 많아 전체적으로 외관에 좋지 못한 영향을 주고 있다.
특히 장착된 보호케이스와 휴대폰 외표면과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를 통해 먼지 등이 유입되어 축적됨으로 장시간 사용시 외관 불량과 사용시의 비위생적인 측면이 지적되곤 하였다.
더욱이 액정디스플레이는 그 시각적인 판독력을 고려하여 그대로 외부에 노출되도록 하거나 혹은 일부 기능키나 단자 등도 필연적으로 노출될 수 밖에 없어 휴대폰 전체에 대한 보호적 기능의 수행은 현실적으로 곤란하였다.
한편, 최근에는 바-타입의 햅틱폰이 출시되어 외부에서의 액정디스플레이에 나타난 각종 아이콘에 대한 터치 동작만으로도 휴대폰의 여러 기능을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되어 있는데, 전술한 보호케이스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터치 작업을 통한 정보의 입/출력 작업을 수행할 수 없다는 치명적인 결함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보호케이스는 장착되는 휴대폰 전체를 간편한 작동으로 부드럽게 감싸주는 밀폐형으로 마련하여 외부의 충격이나 이물질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되거나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하되. 휴대폰 고유의 외관이 그대로 보호케이스를 통해 외부에 나타나게 하므로 휴대폰 자체의 디자인에 대한 특성을 살려주고, 액정디스플레이 및 각종 기능키에 대한 작동도 보호케이스의 외면에서 용이하게 판독되거나 작동될 수 있게 하였는데, 특히 터치형의 정보입력수단을 갖는 휴대폰의 경우에도 보호케이스가 액정디스플레이패널에 밀접하게 위치됨과 동시에 그 소재의 연질성에 의해 외부에서의 터치 정보를 그대로 기기 내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므로 사용자의 만족감을 구현하는 보호케이스 제공을 그 주된 과제로 하고 있다.
상기의 과제를 완수하기 위해 본 고안은 일정 패턴의 문양이 표면부에 형성되고 표면부착력과 우수한 투영도를 갖는 연질의 박판형 러버재로 된 보호케이스에 있어서, 전면이 개방되고 장착되는 휴대폰의 카메라 렌즈나 충전단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공간부를 형성하여 마련된 수납형태의 케이스와, 상기 개방된 전면의 내측 테두리와 맞물려져 탈부착이 가능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단턱이 형성된 판 상의 러버재 커버를 구비하여 장착된 휴대폰의 외표면 전면부에 밀착되게 위치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연질의 러버 소재로 인해 휴대폰과의 탈장착이 매우 간편하면서도 흠집발생의 우려없이 깨끗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높은 투영도로 인해 휴대폰 자체의 색상 및 디자인과 액정디스플레이를 통한 각종 정보의 내용이 외부에서 용이하게 판독될 뿐만 아니라 외표면에 형성된 문양으로 인해 미려함과 세련미를 더할 수 있고, 기능키의 작동과 터치센서 형태의 정보입력도 가능해져 보호케이스 본래의 기능적 수행이 밀폐형으로 인해 더 충실해진다는 유용함도 있으므로 사용자의 만족감 향상에 크게 기여하는 등의 제반 장점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재현을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각각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도시해 보인 것으로, 도 1은 보호케이스와 커버를 분리시킨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이와 같이 결합된 보호케이스의 단면을 보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휴대폰용 보호케이스(10)는 각각 상/하 한 쌍의 보호케이스와 커버로 크게 분리 구분될 수 있으며, 그 어떤 휴대폰과도 그 외표면과 상호간에 밀착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표면부착력이 우수한 연질의 박판형 러버재로 마련된다.
먼저 보호케이스(10)는 휴대폰과의 탈장착시 용이함을 위해 필요로 하는 신축성은 물론이고 장착시 휴대폰의 외관 즉 색상이나 디자인은 물론 각각의 기능키 부분이 그대로 외부에 노출될 수 있는 우수하고도 선명한 투영도 역시 포함하고 있 어야 한다.
특히 시각적인 조형미를 위하여 일정 패턴의 문양을 표면부에 형성시킴도 필요한데, 표면부를 일정한 경사각을 유지한 요철부로 배열 정렬시킬 경우 빛의 난반사 효과를 발현하여 시각적인 아름다움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러버 재질의 보호케이스(10)는 각 기종별/모델별 휴대폰의 외형에 대응할 수 있는 구조로써 통상의 휴대폰 외형을 따라 그 대부분이 직사각형태로 제공되는데, 오직 전면만을 개방시킨 박스형태의 수납형으로 단일 사출과정을 통해 일체형으로 제작된다.
이때 장착되는 휴대폰의 카메라 렌즈나 충전단자 등 필연적으로 외부의 간섭이 없어야 하는 곳은 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동일한 사이즈로 소정의 공간부(12)가 형성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보호케이스(10)의 개방된 전면으로는 이와 대응하는 크기의 박판형태로 판 상의 러버재 커버(20)가 한 쌍으로 마련되는데, 개방된 보호케이스(10) 전면의 내측 테두리(11)를 다소 경질로 가공하면서 내측을 향해 절곡되도록 하고, 이러한 내측 테두리(11)와 맞물려져 손쉽게 탈부착이 가능할 수 있도록 커버(20)의 외주면으로는 소정의 단턱(21)을 형성시켜 외부에서의 결합 및 이탈 작업이 용이해질 수 있게 된다.
첨부된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예시도인바,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보호케이스(10)의 개방된 전면을 통해 이와 대응하는 기종과 모델의 휴대폰을 역시 그 전면이 개방된 보호케이스(10)의 전면에 위치되도록 긴밀하게 내삽 장착시키고, 판 상의 러버재 커버(20)를 내측 테두리(11)에 끼워 결합해 줌으로써 커버(20)는 장착된 휴대폰의 외표면 전면부인 액정디스플레이패널과 기능키 부분에 밀착되게 위치될 수 있는 것이다.
이후 윈도우 기능의 커버(20)를 포함한 보호케이스(10)에 밀폐형태로 휴대폰이 장착된 상태에서 휴대폰의 사용이 필요할 경우에는 액정디스플레이패널과 기능키 부분에 밀착된 커버(20)의 외표면을 통해 터치되는 동작만으로 각종 정보의 입력이 가능해짐은 물론 우수한 투영도를 갖는 박판의 러버재 커버(20)로 인해 액정디스플레이 판독이 용이해진다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써, 보호케이스와 커버를 분리시킨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보호케이스와 커버를 결합시킨 사시도.
도 3은 결합된 보호케이스의 A-A선을 절개해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보호케이스 11 : 내측 테두리
12 : 공간부 20 : 커버
21 : 단턱

Claims (1)

  1. 일정 패턴의 문양이 표면부에 형성되고 표면부착력과 우수한 투영도를 갖는 연질의 박판형 러버재로 된 보호케이스에 있어서,
    전면이 개방되고 장착되는 휴대폰의 카메라 렌즈나 충전단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공간부를 형성하여 마련된 수납형태의 케이스와,
    상기 개방된 전면의 내측 테두리와 맞물려져 탈부착이 가능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단턱이 형성된 판 상의 러버재 커버를 구비하여 장착된 휴대폰의 외표면 전면부에 밀착되게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휴대폰 보호케이스.
KR2020090009713U 2009-07-24 2009-07-24 밀폐형 휴대폰 보호케이스 KR2011000107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9713U KR20110001075U (ko) 2009-07-24 2009-07-24 밀폐형 휴대폰 보호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9713U KR20110001075U (ko) 2009-07-24 2009-07-24 밀폐형 휴대폰 보호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075U true KR20110001075U (ko) 2011-02-01

Family

ID=44206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9713U KR20110001075U (ko) 2009-07-24 2009-07-24 밀폐형 휴대폰 보호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1075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0250B1 (ko) * 2011-02-28 2011-07-19 정성표 휴대단말기용 액정보호 커버체
KR101422133B1 (ko) * 2013-11-14 2014-07-23 주식회사 아이디엘 휴대용 전자기기의 보호케이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0250B1 (ko) * 2011-02-28 2011-07-19 정성표 휴대단말기용 액정보호 커버체
KR101422133B1 (ko) * 2013-11-14 2014-07-23 주식회사 아이디엘 휴대용 전자기기의 보호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0260Y1 (ko) 휴대폰 보호케이스
US7495895B2 (en) Protective cover for device having touch screen
AU2014201391B2 (en) Protective cases for mobil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s
TWI453640B (zh) 蓋體結構及其電子裝置
AU2007294176B2 (en) Enclosure to prevent fluid ingress of a device having a touch screen interface
US8326383B1 (en) Adhesive case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U2016295148A1 (en) Protective enclosure for an electronic device
US10536181B2 (en) Providing a seal for a protective mobile device case
US20120162881A1 (en) Mobile device
KR20090001546U (ko) 분리형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KR101197173B1 (ko) 바타입 휴대기기의 보호케이스
KR200452011Y1 (ko) 휴대 단말기 케이스
JP2019053859A (ja) 電池蓋構造および携帯端末
KR20110001075U (ko) 밀폐형 휴대폰 보호케이스
JP2013211844A (ja) 防水ケース及び防水ケースの製造方法
US20200288833A1 (en) Mobile device cases and case systems with embedded sidewall shock absorber
KR20170063278A (ko) 스마트폰의 외면보호케이스
KR20120104061A (ko)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된 정전식 버튼 케이스
KR101387622B1 (ko) 휴대폰 케이스
KR20110044190A (ko) 칼라가 구비된 지문방지용 화면보호필름 및 투명 수납 케이스
JP2017046087A (ja) 携帯端末ケース
KR20140030523A (ko) 휴대폰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KR200454685Y1 (ko) 휴대폰 케이스
KR20140074413A (ko) 휴대폰 케이스
KR101468989B1 (ko)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