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4038Y1 - 십자형 절첩홈이 구비된 휴대전화 케이스 - Google Patents

십자형 절첩홈이 구비된 휴대전화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4038Y1
KR200474038Y1 KR2020120010473U KR20120010473U KR200474038Y1 KR 200474038 Y1 KR200474038 Y1 KR 200474038Y1 KR 2020120010473 U KR2020120010473 U KR 2020120010473U KR 20120010473 U KR20120010473 U KR 20120010473U KR 200474038 Y1 KR200474038 Y1 KR 2004740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ular phone
camera lens
lid member
mobile phone
cov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04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3204U (ko
Inventor
김진만
Original Assignee
김진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만 filed Critical 김진만
Priority to KR20201200104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4038Y1/ko
Publication of KR201400032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2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40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403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45C2200/15Articles convertible into a stand, e.g. for display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전화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덮개의 후면 일부가 너비방향으로 절첩 됨으로써 휴대전화의 후면에 위치된 카메라렌즈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동시에 덮개부재 상에 카메라렌즈가 노출되도록 관통공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 어떠한 휴대전화에나 범용으로 사용 가능한 십자형 절첩홈이 구비된 휴대전화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십자형 절첩홈이 구비된 휴대전화 케이스는 후면에 카메라렌즈가 구비되는 휴대전화와, 제 1 면은 상기 휴대전화의 후면 일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 1 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 2 면은 회동 여부에 따라 상기 휴대전화 전면의 액정이 개폐되도록 하는 덮개부재와, 상기 덮개부재의 폭 방향 절첩이 가능하도록 상기 덮개부재의 후면에 폭 방향으로 형성되며 절첩 여부에 따라 상기 카메라렌즈가 개폐되도록 하는 제 1 절첩선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십자형 절첩홈이 구비된 휴대전화 케이스{PROTECTION CASE FOR A CELLPHONE}
본 고안은 십자형 절첩홈이 구비된 휴대전화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전화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덮개의 후면 일부가 너비방향으로 절첩 됨으로써 휴대전화의 후면에 위치된 카메라렌즈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동시에 덮개부재 상에 카메라렌즈가 노출되도록 관통공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 어떠한 휴대전화에나 범용으로 사용 가능한 십자형 절첩홈이 구비된 휴대전화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전기전자 기술 발전에 의해 통신장비가 소형화되고 이동통신 기술의 발달에 의해 통신장치의 이동성이 우수해짐에 따라, 현대인은 PDA와 휴대전화 등 통신을 위한 각종 단말기를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최근에는 무선 데이터망의 보급과 함께 스마트폰의 사용이 급증하고 있으며 아울러 고가의 휴대전화의 외형을 충격이나 긁힘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고 편리한 사용을 도모하기 위한 다양한 디자인의 케이스가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전화 케이스는 단말기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면서도, 단말기의 사용이 보다 편리해지도록 보조하며, 단말기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등의 기능을 갖추어야 한다. 초창기의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에는 비닐, 인조가죽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형태가 사용되었으나 소재를 소정형상으로 재단한 후 부착 작업을 해야하는 등 생산 공정이 복잡하여 생산성이 낮은 문제가 있으며, 쉽게 찢어지거나 노후화되어 기능을 수행할 수 없게 되는 등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비닐, 인조가죽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케이스를 장기간 사용하면 땀이나 먼지와 같은 이물질에 의해 케이스의 내외측이 오염되거나 변색되어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므로, 이와 같은 형태의 케이스의 사용을 기피하는 소비자가 많았다.
최근에는 다이어리 형태와 같이 일면은 휴대전화 후면에 고정시키고 타면은 액정을 개폐하며 타면 내측에 카드 수납이 가능한 케이스가 보급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케이스의 경우 통상적으로 휴대전화 후면에 위치된 카메라렌즈가 개방되도록 이에 대응되는 케이스 위치에 관통구가 형성되는바 항시 카메라렌즈가 외부로 노출되게 되어 있다. 따라서 해당 부분에 이물질이 끼거나 오염되어 사진 촬영시 만족스러운 결과물을 얻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고, 뿐만 아니라 휴대전화 모델마다 카메라렌즈의 위치가 상이한바 케이스 역시 모델마다 별도로 생산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십자형 절첩홈이 구비된 휴대전화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전화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덮개의 후면 일부가 너비방향으로 절첩 됨으로써 휴대전화의 후면에 위치된 카메라렌즈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동시에 덮개부재 상에 카메라렌즈가 노출되도록 관통공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 어떠한 휴대전화에나 범용으로 사용 가능한 십자형 절첩홈이 구비된 휴대전화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후면에 카메라렌즈가 구비되는 휴대전화와, 제 1 면은 상기 휴대전화의 후면 일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 1 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 2 면은 회동 여부에 따라 상기 휴대전화 전면의 액정이 개폐되도록 하는 덮개부재와, 상기 덮개부재의 폭 방향 절첩이 가능하도록 상기 덮개부재의 후면에 폭 방향으로 형성되며 절첩 여부에 따라 상기 카메라렌즈가 개폐되도록 하는 제 1 절첩선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십자형 절첩홈이 구비된 휴대전화 케이스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덮개부재의 길이방향 절첩이 가능하도록 상기 덮개부재의 후면에 제 2 절첩선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제 1 절첩선 및 제 2 절첩선을 기준으로 상기 휴대전화와 분리되는 상기 덮개부재 내면에는 반영구적 탈착이 가능한 점착젤부재가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십자형 절첩홈이 구비된 휴대전화 케이스는 십자형 절첩홈이 구비된 휴대전화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전화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덮개의 후면 일부가 너비방향으로 절첩 됨으로써 휴대전화의 후면에 위치된 카메라렌즈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동시에 덮개부재 상에 카메라렌즈가 노출되도록 관통공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 어떠한 휴대전화에나 범용으로 사용 가능한 탁월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십자형 절첩홈이 구비된 휴대전화 케이스의 사시도. (전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십자형 절첩홈이 구비된 휴대전화 케이스의 작동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십자형 절첩홈이 구비된 휴대전화 케이스의 사용상태도.
도 1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십자형 절첩홈이 구비된 휴대전화 케이스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a 및 도 2b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십자형 절첩홈이 구비된 휴대전화 케이스의 작동도가 도시되며, 도 3a 및 도 3b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십자형 절첩홈이 구비된 휴대전화 케이스의 사용상태도가 도시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십자형 절첩홈이 구비된 휴대전화 케이스(1)는 후면에 카메라렌즈(11)가 구비되는 휴대전화(10)와, 제 1 면(21)은 상기 휴대전화(10)의 후면 일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 1 면(21)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 2 면(23)은 회동 여부에 따라 상기 휴대전화(10) 전면의 액정이 개폐되도록 하는 덮개부재(20)와, 상기 덮개부재(20)의 폭 방향 절첩이 가능하도록 상기 덮개부재(20)의 후면에 폭 방향으로 형성되며 절첩 여부에 따라 상기 카메라렌즈(11)가 개폐되도록 하는 제 1 절첩선(30)이 포함된다.
이하에는 도 1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십자형 절첩홈이 구비된 휴대전화 케이스(1)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휴대전화(10)는 종래기술에 따른 다양한 종류의 휴대전화 중 하나인 것으로 하되 본 고안에 따른 십자형 절첩홈이 구비된 휴대전화 케이스(1)가 휴대전화(10) 후면에 구비된 카메라렌즈(11)를 개폐하는 역할을 하는바 후면에 카메라렌즈(11)가 구비된 휴대전화(10)가 사용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추후에 설명될 덮개부재(20) 휴대전화(10)에 그대로 적용될 수도 있지만 휴대전화(10)의 측면과 후면을 감싸는 별도의 케이스가 휴대전화(10)에 장착된 상태로 적용될 수도 있는데 해당 케이스 후면은 휴대전화(10)의 카메라렌즈(11)가 노출될 수 있도록 카메라렌즈(11)에 대응되는 부분이 개방 형성되어야 한다.
한편, 전술한 휴대전화(10)의 외부에는 제 1 면(21)과 제 2 면(23)으로 이루어진 덮개부재(20)가 구비되는데 이 덮개부재(20)는 휴대전화(10)의 외관을 안전하게 보호하고 동시에 추후에 설명될 제 1 절첩선(30) 및 제 2 절첩선(40)을 이용해 휴대전화(10)의 편의성을 높이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덮개부재(20)의 제 1 면(21)은 휴대전화(10)의 후면 일부에 고정되고 제 1 면(21)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 2 면(23)은 회동 여부에 따라 휴대전화(10) 전면의 액정이 개폐되도록 한다.
이때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면(21)의 "a"부분은 휴대전화(10)의 카메라렌즈(11)에 대응되는 부분이지만 카메라렌즈(11)를 보호하고 휴대전화(10)의 종류에 관계없이 범용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별도의 관통구가 형성되지 않는다.
또한 "b"부분은 추후에 설명될 제 1 절첩선(30)과 제 2 절첩선(40) 기준으로 덮개부재(20)가 회동될 시 모두 휴대전화(10)로부터 분리되는 부분으로 "c" 부분과 함께 점착젤부재(22)가 구비되어 덮개부재(20)가 휴대전화(10) 후면으로부터 반영구적으로 탈착될 수 있게 되며 "d"부분은 휴대전화(10)의 후면과 탈부착 불가하게 고정 처리된다. 이때 전술산 점착젤부재(22) 대신 벨크로 테이프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탈부착 수단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제 2 면(23)은 제 1 면(21)으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회동 여부에 따라서 휴대전화(10)의 액정을 보호하게 되는데,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 2 면(23)의 단부에는 임의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 1 면(21)측과 상호 고정되는 별도의 고정수단(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될 수도 있으며, 내면에는 카드 수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덮개부재(20)의 폭 방향으로는 제 1 절첩선(30)이 형성되는데 이 제 1 절첩선(30)은 덮개부재(20)의 폭 방향 절첩이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제 1 절첩선(30)은 그 절첩 여부에 따라서 휴대전화(10) 카메라렌즈(11)를 개폐하게 되며 이를 통해 카메라렌즈(11)가 이물질이나 오염물로부터 보호되도록 하고 아울러 카메라렌즈(11)의 위치가 상이한 다양한 기종의 휴대전화(10)에도 범용으로 사용 가능하게 된다. 절첩시에는 도 3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절첩선(30)을 기준으로 "a", "b" 및 "e" 면이 절첩되면서 카메라렌즈(11)가 개방된다. 이때 제 1 절첩선(30)은 휴대전화(10)의 카메라 렌즈가 통상적으로 그 후면의 상측에 위치되는바 상부로부터 2cm 내지 4cm 정도가 절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양하게 변경 실시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덮개부재(20)의 길이 방향으로는 제 2 절첩선(40)이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 제 2 절첩선(40)은 덮개부재(20)의 길이 방향 절첩이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제 2 절첩선(40)은 절첩여부에 따라서 휴대전화(10)를 지면에 거치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도 3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a" 부분과 "c"부분의 외측 가장자리가 그 내면이 지면에 면접된 제 2 면(23)의 외면에 거치 됨으로써 사용자가 휴대전화(10)의 액정을 편안하게 바라볼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기술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 : 십자형 절첩홈이 구비된 휴대전화 케이스
10 : 휴대전화
11 : 카메라렌즈
20 : 덮개부재
21 : 제 1 면
22 : 점착젤부재
23 : 제 2 면
30 : 제 1 절첩선
40 : 제 2 절첩선

Claims (3)

  1. 후면에 카메라렌즈가 구비되는 휴대전화;
    제 1 면은 상기 휴대전화의 후면 일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 1 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 2 면은 회동 여부에 따라 상기 휴대전화 전면의 액정이 개폐되도록 하는 덮개부재; 및
    상기 덮개부재의 폭 방향 절첩이 가능하도록 상기 덮개부재의 후면에 폭 방향으로 형성되며 절첩 여부에 따라 상기 카메라렌즈가 개폐되도록 하는 제 1 절첩선;이 포함되고,
    상기 덮개부재의 길이방향 절첩이 가능하도록 상기 덮개부재의 후면에 제 2 절첩선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절첩선 및 제 2 절첩선을 기준으로 상기 휴대전화와 분리되는 상기 덮개부재 내면에는 반영구적 탈착이 가능한 점착젤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십자형 절첩홈이 구비된 휴대전화 케이스.
  2. 삭제
  3. 삭제
KR2020120010473U 2012-11-15 2012-11-15 십자형 절첩홈이 구비된 휴대전화 케이스 KR2004740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473U KR200474038Y1 (ko) 2012-11-15 2012-11-15 십자형 절첩홈이 구비된 휴대전화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473U KR200474038Y1 (ko) 2012-11-15 2012-11-15 십자형 절첩홈이 구비된 휴대전화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204U KR20140003204U (ko) 2014-05-30
KR200474038Y1 true KR200474038Y1 (ko) 2014-08-22

Family

ID=52000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0473U KR200474038Y1 (ko) 2012-11-15 2012-11-15 십자형 절첩홈이 구비된 휴대전화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403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7637B1 (ko) * 2015-04-09 2015-08-26 여창기 접이식 멀티 케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3774B1 (ko) * 2018-08-14 2020-02-05 이승영 휴대폰의 전면 및 후면 카메라 커버 부재 및 이를 포함한 휴대폰 케이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7989U (ja) * 2011-03-09 2011-05-26 張明哲 タブレットコンピュータ専用レザーカバー
KR20110010390U (ko) * 2010-04-28 2011-11-03 스위치이지 리미티드 휴대용 소형 전자 기기용 스탠드 및 보호 케이싱의 조합체
KR200457590Y1 (ko) 2011-06-27 2011-12-26 이수연 스탠딩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
KR20120005474U (ko) * 2011-01-20 2012-07-30 주식회사 솔로젠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0390U (ko) * 2010-04-28 2011-11-03 스위치이지 리미티드 휴대용 소형 전자 기기용 스탠드 및 보호 케이싱의 조합체
KR20120005474U (ko) * 2011-01-20 2012-07-30 주식회사 솔로젠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JP3167989U (ja) * 2011-03-09 2011-05-26 張明哲 タブレットコンピュータ専用レザーカバー
KR200457590Y1 (ko) 2011-06-27 2011-12-26 이수연 스탠딩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7637B1 (ko) * 2015-04-09 2015-08-26 여창기 접이식 멀티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204U (ko) 2014-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7885Y1 (ko) 바타입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US20150065206A1 (en) Locking Rim Cell Phone Case
US20140226268A1 (en) Cases for mobile electronic devices for use with auxiliary lenses
KR200468374Y1 (ko) 휴대폰 노출체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US20160183652A1 (en) Case for mobile phones or similar devices
KR20090001546U (ko) 분리형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KR200460260Y1 (ko) 휴대폰 보호케이스
KR200474038Y1 (ko) 십자형 절첩홈이 구비된 휴대전화 케이스
CN209358617U (zh) 防摔钢化手机壳
KR200481246Y1 (ko) 슬라이딩 휴대전화 케이스
KR101591302B1 (ko) 지갑겸용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KR100774333B1 (ko) 휴대 단말기용 접착식 케이스
KR200468398Y1 (ko)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
KR200477277Y1 (ko)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KR200479106Y1 (ko) 다용도 휴대폰 파우치
KR200461845Y1 (ko) 휴대폰의 보호장치
KR101373747B1 (ko) 핸드폰 거치대로도 사용될 수 있는 다용도 핸드폰케이스
KR20130116565A (ko) 접이식 거치대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용 베터리 커버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용 지갑형 케이스
KR20110109668A (ko) 커넥터 커버가 부착된 핸드폰 케이스
KR200369597Y1 (ko) 다기능 핸드폰케이스
CN205987033U (zh) 一种多功能手机保护壳
KR20170001693U (ko) 다용도 휴대폰 케이스
KR200469139Y1 (ko) 휴대 단말기 보호커버
KR200473331Y1 (ko) 절개부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KR20050010075A (ko) 휴대폰 보호용 하부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