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3774B1 - 휴대폰의 전면 및 후면 카메라 커버 부재 및 이를 포함한 휴대폰 케이스 - Google Patents

휴대폰의 전면 및 후면 카메라 커버 부재 및 이를 포함한 휴대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3774B1
KR102073774B1 KR1020180094901A KR20180094901A KR102073774B1 KR 102073774 B1 KR102073774 B1 KR 102073774B1 KR 1020180094901 A KR1020180094901 A KR 1020180094901A KR 20180094901 A KR20180094901 A KR 20180094901A KR 102073774 B1 KR102073774 B1 KR 102073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ember
case
cover
mobile phone
cov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4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영
Original Assignee
이승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영 filed Critical 이승영
Priority to KR1020180094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37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3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3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G03B11/04Hoods or caps for eliminating unwanted light from lenses, viewfinders or focusing ai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과 같은 전자기기의 전면 및 후면 카메라를 동시에 커버하고 동시에 노출시킬 수 있는 견고하고 편리한 커버부재 및 이를 수용하는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한다. 커버부재는 케이스에서 상하 이동하거나 소위 "뽁뽁이" 방식으로 전면 및 후면 카메라를 덮을 수 있으므로 사용이 간편하고 상품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휴대폰의 전면 및 후면 카메라 커버 부재 및 이를 포함한 휴대폰 케이스{Cover member for front and rear cameras of cellular phone and case therefo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휴대폰의 전면 및 후면 카메라의 커버 부재 및 이를 포함한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휴대폰의 전면 및 후면 카메라를 동시에 덮도록 개선된 구조의 커버부재와 커버부재가 결합된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에서 전면 카메라는 휴대폰 전면의 상단 부근에서, 예를 들면 중앙에서 왼쪽으로 치우쳐 소구경의 렌즈가 노출된 형태로 설치되고, 후면 카메라는 휴대폰 후면의 상부에서, 중앙에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렌즈가 노출된 형태로 설치된다.
휴대폰의 후면 카메라의 경우 카메라를 이용하지 않을 때는 오염과 훼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또는 도촬의 주위 우려를 불식하거나 불필요한 사진이 촬영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노출된 카메라를 슬라이딩 또는 회동 방식으로 덮는 커버 부재가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 제10-0945086호는 본체케이스의 일측 상부에 상측을 개방하여 제1,2 정지홈을 순차적으로 형성하고, 제2 정지홈의 하측으로 카메라렌즈를 노출시키고, 상하로 작동가능하게 장착되며 배면에는 제1 및 제2 정지홈에 순차적으로 결합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된 판재가 일체로 구비된 렌즈커버를 개시하고 있다.
그런데, 전면 카메라의 경우 통상 어플리케이션에서 카메라의 선택을 반전함으로써 휴대폰의 정면을 향하는 자기 촬영을 위하여 사용되며, 따라서 후면 카메라 못지 않게 사용 빈도도 높고 항상 전면에 노출되어 오염되거나 훼손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과 특허는 휴대폰의 후면카메라를 커버하기 위한 것이며, 전면 카메라를 동시에 커버할 수 있는 구조에 대해서는 개시하고 있지 않으므로 개선의 여지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휴대폰의 전면 및 후면 카메라를 동시에 커버할 수 있는 새로운 기능과 구조를 구비한 커버부재 및 이를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휴대폰의 전면 카메라와 후면 카메라를 동시에 커버하기 위한 커버부재로서, 상기 커버부재는 휴대폰을 덮는 휴대폰 케이스의 상부에 장착되며, 전면 카메라를 덮는 제1커버와 후면 카메라를 덮는 제2커버를 포함하는 커버부재를 제공한다.
상기 커버부재는 상부와, 요홈부가 형성된 중앙부와 하부로 이루어진 본체를 포함하며, 상부의 상면은 손가락으로 누를 수 있도록 케이스 위로 노출되며, 하부의 하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슬림한 바 형상의 제1커버와 제2커버가 연장되며, 상기 소정의 간격은 휴대폰의 측면 두께와 동일하거나 근사한 크기일 수 있다.
상기 제1커버는 케이스의 좌우 중심에서 일측으로 치우친 위치에서 짧게 아래로 연장되며, 제2커버는 케이스의 좌우 중심에서 상대적으로 길게 아래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요홈부는 적어도 3개층의 걸림 구조로 형성되어 커버부재가 상하 방향으로 다단계 위치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이상의 커버부재를 수용하고 상하 이동을 허용할 수 있도록 커버부재가 삽입되는 공간을 내부에 형성한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는 상기 공간 내부 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커버부재와 걸림 결합하는 테두리가 형성될 수 있다.
테두리의 아래에 형성된 상기 공간의 하부를 폐쇄하는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의 중앙에는 제2커버가 통과하는 제2홀이 형성되고, 베이스가 안쪽으로 연장된 선단은 케이스의 측면에 맞닿지 않고 분리되어 제1커버가 통과하는 제1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커버부재는, 전면 카메라를 커버하기 위한 탄력성 있는 제1밴드와 제1밴드의 끝단에 달린 제1압착캡 및 후면 카메라를 커버하기 위한 탄력성 있는 제2밴드와 제2밴드의 끝단에 달린 제2압착캡으로 이루어진, 커버부재를 제공한다.
상기 커버부재는, 제1 및 제2압착캡은 탄력성의 재료로 볼록한 형상으로 제작되며, 손가락으로 정점 부근을 눌렀다 떼면 제1 및 제2압착캡이 수축되면서 포집된 공기가 진공 상태로 변하며, 제1 및 제2압착캡이 원 상태로 팽창하는 경우 진공 압착력에 의하여 휴대폰에서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이상의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휴대폰 케이스로서, 제1 및 제2밴드가 상면에 일체로 매달리도록 성형된,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폰의 전면 및 후면 카메라를 동시에 커버할 수 있는 견고하면서도 편리한 커버부재 및 이를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한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커버 부재는 독립된 아이템으로 제조하여 케이스와 같이 공급되거나 케이스에 일체로 성형할 수 있으므로 대량 제작이 가능하며 원가 절감에도 유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를 구비한 휴대폰의 케이스를, 휴대폰이 없는 상태에서 휴대폰의 후면에서 바라 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를 구비한 휴대폰의 케이스를, 휴대폰에 장착한 상태에서 후면에서 바라 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와 케이스가 결합된 처음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도 4에서 휴대폰의 전면 및 후면 카메라를 덮도록 커버부재를 아래로 더 누른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커버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1)를 구비한 휴대폰의 케이스(100)를, 휴대폰이 없는 상태에서 휴대폰의 후면에서 바라 본 사시도이다.
케이스(100)는 휴대폰을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직사각형 형상의 입체 프레임으로 고무 또는 연성 이나 경성의 합성 수지로 제작된다. 케이스(100)는 기존의 어느 것을 사용해도 좋으나, 커버부재(1)를 수용하도록 상부의 공간이 개방된다.
커버부재(1)는 전면 카메라를 덮는 제1커버(4a)와 후면 카메라를 덮는 제2커버(4b)를 구비한다. 제 1 및 제2커버(4a,4b)의 크기와 위치는 휴대폰의 전면 및 후면 카메라의 설치 위치와 크기에 정합하도록, 예를 들어 제1커버(4a)는 케이스(100)의 좌우 중심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왼쪽에 치우친 위치에서 짧게 아래로 연장되도록 얇은 폭의 커버로 설치되고, 제2커버(4b)는 케이스(100)의 좌우 중심에서 상대적으로 길게 아래로 연장되도록 두터운 폭의 커버로 제작된다. 그러나, 이는 일의적인 것은 아니며 휴대폰의 기종이나 사양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커버부재(1)는 케이스(100)와 독립된 단품으로 공급되어 케이스(100)에 체결되고 분리되지만, 케이스(100)와 일체로 연결된 부품으로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1)를 구비한 휴대폰(H)의 케이스(100)를, 휴대폰(H)에 장착한 상태에서 후면에서 바라 본 사시도이다.
도시한 것과 같이 제1커버(4a)는 전면 카메라(Ca)를, 제2커버(4b)는 후면 커메라(Cb)를 커버하여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불필요한 촬영을 방지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1)의 측단면도이다.
커버부재(1)는 크게 긴 사각형 형상의 상부(20)와, 요홈부가 형성된 중앙부(22)와 하부(24)로 이루어진 본체(2)와, 본체(2)에서 아래로 연장된 제1커버(4a) 및 제2커버(4b)를 구비한다. 상부(20)의 상면(220)은 케이스 위로 노출되며 손가락으로 누르거나 터치할 수 있다. 중앙부(22)는 상부(20)의 하면(222)에 연속하여 형성되며, 예를 들어 제1요홈부(22a), 제2요홈부(22b) 및 제3요홈부(22c)의 3개층의 걸림 구조가 외면에 형성된다. 하부(24)는 상부(20)와 대칭되는 형상으로 상부(20)보다 슬림하게 제작된다. 하부(24)는 평평한 하면(224)으로 종결되며, 하면(224)으로부터 간격(d)을 두고 예를 들면 슬림한 바 형상의 제1커버(4a)와 제2커버(4b)가 연장된다. 제1커버(4a)와 제2커버(4b) 사이의 간격(d)은 휴대폰(H)의 측면 두께와 동일하거나 근사한 크기이다. 휴대폰(H)의 전면에서 보아 전술한 것과 같이 제1커버(4a)와 제2커버(4b)의 좌우 방향 위치는 서로 어긋날 수 있다.
커버부재(1)의 구성을 편의상 구분하여 설명하였으나, 커버부재(1)는 고무 또는 플라스틱으로 일체로 성형되며, 각 부재의 크기나 형상은 일례를 든 것이며, 휴대폰(H) 또는 케이스(100)의 기종과 크기에 맞추어 변경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1)와 케이스(100)가 결합된 처음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케이스(100)는 커버부재(1)를 수용하고 상하 이동을 허용할 수 있도록 제작된다. 케이스(100)의 측면(106)의 상부에는 커버부재(1)가 삽입되는 공간(S) 내부 쪽으로 돌출된 한쌍의 테두리(108)가 형성된다. 테두리(108) 사이의 간격은 요홈부(22a,22b,22c)의 측면 폭보다 미세하게 작게 형성되어 커버부재(1)가 처음 장착될 때 도시한 것과 같이 테두리(108)의 선단이 제3요홈부(22c)의 외면을 탄성력 있게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테두리(108)의 아래에 형성된 공간(S)은 커버부재(1)의 상하 이동을 수용하는 충분한 크기로 제작되며 공간(S)의 높이는 요홈부(22a,22b,22c)의 2 피치(pitch)와 동일하여 커버부재(1)는 요홈부(22a22b,22c)의 위치에 따라 도 4의 최상단 위치와 최하단 위치(도 5 참조) 사이에서 3단계로 이동된다. 공간(S)의 하부는 베이스(110)가 폐쇄하며, 베이스(110)의 중앙에는 제2커버(4b)가 통과하는 제2홀(112)이 형성되고, 베이스(110)가 안쪽으로 연장된 선단은 측면(106)에 맞닿지 않고 분리되어 제1커버(4a)가 통과하는 제1홀(114)이 형성되어 있다.
도 4의 상태는 외부에서 제공된 커버부재(1)의 상면(220)을 손가락으로 눌러 측면(106)에 억지 끼워 넣은 초기 상태로, 테두리(108)가 제3요홈부(22c)와 맞닿고, 커버부재(1)의 하부(24)의 상면이 테두리(108)를 아래에서 지지하며, 제1커버(4a)의 한면이 제1홀(114)에 맞닿고 제2커버(4b)의 외면은 제2홀(112)에 맞닿아 있으므로, 전면 및 후면 카메라(Ca,Cb)가 노출된 상태에서 커버부재(1)는 케이스(100)에서 이탈되거나 위치가 변동되지 않는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사용자는 자유롭게 카메라를 이용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서 휴대폰(H)의 전면 및 후면 카메라(Ca,Cb)를 덮도록 커버부재(1)를 아래로 더 누른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커버부재(1)는, 테두리(108)가 제2요홈부(22b)와 맞닿은 다음, 최종적으로 상면(222)이 제3요홈부(22c)의 상면과 맞닿는 위치까지 눌려지며, 테두리(108)는 제2요홈부(22b)에 안착되고, 하면(224)은 베이스(110)로 지지된다. 제1커버(4a) 및 제2커버(4b)는 제1홀(114)과 제2홀(112)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여 전면 및 후면 카메라(Ca,Cb)를 덮는다.
도 5의 상태에서 다시 카메라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커버부재(1)의 상부(20)를 손으로 쥐고 강제로 상부 이동시켜야 하는데, 이러한 작업을 하지 않는 한 도 5의 폐쇄 상태는 견고하게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본원발명의 커버부재(1)는 전면 및 후면 카메라(Ca,Cb)를 안전하게 보호하면서 불필요한 촬영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커버부재(1)는 다양한 형상과 색상으로 제작되어 소비자의 기호를 충족할 수 있으며, 조립 및 작동이 손가락으로 수행되는 간편한 방식이므로 내구성이 뛰어나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커버부재(1)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커버부재를 전면 카메라를 커버하기 위한 탄력성 있는 제1밴드(62a)와 제1밴드(62a)의 끝단에 달린 제1압착캡(64a)으로, 그리고 후면 카메라를 커버하기 위한 탄력성 있는 제2밴드(62b)와 제2밴드(62b)의 끝단에 달린 제2압착캡(64b)으로 구성한 것이다.
제1 및 제2밴드(62a,62b)는 케이스(100)의 상면(106')에 일체로 매달리도록 성형된다. 제1 및 제2압착캡(64a,64b)은 소위 버블캡 또는 에어캡("뽁뽁이")과 같은 재료로 볼록한 형상으로 제작되며, 손가락으로 정점 부근을 눌렀다 떼면 제1 및 제2압착캡(64a,64b)이 수축되면서 포집된 공기가 진공 상태로 변하며, 제1 및 제2압착캡(64a,64b)이 원 상태로 팽창하여도 진공 압착력에 의하여 휴대폰(H)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휴대폰(H)의 액정이 매끄러운 재질임을 고려하여 제1 및 제2압착캡(64a,64b)이 맞닿는 쪽에는 점성의 접착제를 도포하거나 추가로 접착층을 코팅 성형해도 좋다.
도 6의 실시예의 경우는 커버부재(1)의 성형이 앞선 실시예보다 간단하며, 케이스(100)에 대응하는 구조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손가락에 의한 압착과 분리로 간편히 카메라를 커버하고 이용할 수 있으므로 매우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예시를 든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않으며 본 발명에 대해서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이들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규정된다.
(1): 커버부재 (4a): 제1커버 (4b): 제2커버 (20): 상부 (22): 중앙부 (24): 하부 (64a): 제1압착캡 (64b): 제2압착캡 (100): 케이스 (108): 테두리 (Ca): 전면 카메라 (Cb): 후면 카메라 (H): 휴대폰

Claims (10)

  1. 휴대폰의 전면 카메라와 후면 카메라를 동시에 커버하기 위한 커버부재가 장착되는 휴대폰 케이스로서, 상기 커버부재는 휴대폰을 덮는 휴대폰 케이스의 상부에 장착되며, 전면 카메라를 덮는 제1커버와 후면 카메라를 덮는 제2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커버부재를 수용하고 상하 이동을 허용할 수 있도록 커버부재가 삽입되는 공간을 내부에 형성하고,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는 상기 공간 내부 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커버부재와 걸림 결합하는 테두리가 형성되며,
    테두리의 아래에 형성된 상기 공간의 하부를 폐쇄하는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의 중앙에는 제2커버가 통과하는 제2홀이 형성되고, 베이스가 안쪽으로 연장된 선단은 케이스의 측면에 맞닿지 않고 분리되어 제1커버가 통과하는 제1홀이 형성된 휴대폰 케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부와, 요홈부가 형성된 중앙부와 하부로 이루어진 본체를 포함하며, 상부의 상면은 손가락으로 누를 수 있도록 케이스 위로 노출되며, 하부의 하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슬림한 바 형상의 제1커버와 제2커버가 연장되며, 상기 소정의 간격은 휴대폰의 측면 두께와 동일하거나 근사한 크기인, 휴대폰 케이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는 케이스의 좌우 중심에서 일측으로 치우친 위치에서 짧게 아래로 연장되며, 제2커버는 케이스의 좌우 중심에서 상대적으로 길게 아래로 연장되는, 휴대폰 케이스.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부는 적어도 3개층의 걸림 구조로 형성되어 커버부재가 상하 방향으로 다단계 위치 이동하도록 한, 휴대폰 케이스.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전면 카메라를 커버하기 위한 탄력성 있는 제1밴드와 제1밴드의 끝단에 달린 제1압착캡 및 후면 카메라를 커버하기 위한 탄력성 있는 제2밴드와 제2밴드의 끝단에 달린 제2압착캡으로 이루어진, 휴대폰 케이스.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제1 및 제2압착캡은 탄력성의 재료로 볼록한 형상으로 제작되며, 손가락으로 정점 부근을 눌렀다 떼면 제1 및 제2압착캡이 수축되면서 포집된 공기가 진공 상태로 변하며, 제1 및 제2압착캡이 원 상태로 팽창하는 경우 진공 압착력에 의하여 휴대폰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 휴대폰 케이스.
  10. 삭제
KR1020180094901A 2018-08-14 2018-08-14 휴대폰의 전면 및 후면 카메라 커버 부재 및 이를 포함한 휴대폰 케이스 KR102073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4901A KR102073774B1 (ko) 2018-08-14 2018-08-14 휴대폰의 전면 및 후면 카메라 커버 부재 및 이를 포함한 휴대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4901A KR102073774B1 (ko) 2018-08-14 2018-08-14 휴대폰의 전면 및 후면 카메라 커버 부재 및 이를 포함한 휴대폰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3774B1 true KR102073774B1 (ko) 2020-02-05

Family

ID=69514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4901A KR102073774B1 (ko) 2018-08-14 2018-08-14 휴대폰의 전면 및 후면 카메라 커버 부재 및 이를 포함한 휴대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37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0488A (ko) 2021-09-16 2023-03-23 박준규 휴대전화 카메라 보호 케이스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7659A (ko) * 2003-05-12 2004-11-18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휴대폰용 카메라렌즈 커버장치
KR200381942Y1 (ko) * 2005-01-14 2005-04-15 (주)중앙티앤씨 휴대전화 본체용 커버
KR20140003204U (ko) * 2012-11-15 2014-05-30 김진만 십자형 절첩홈이 구비된 휴대전화 케이스
KR20140074786A (ko) * 2012-12-07 2014-06-18 정철현 스마트폰용 방수커버
US20150311941A1 (en) * 2014-03-04 2015-10-29 Michael Sorrentino Mobile device case with movable camera cover
KR20180026640A (ko) * 2016-09-03 2018-03-13 이승영 사생활 보호용 카메라 커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7659A (ko) * 2003-05-12 2004-11-18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휴대폰용 카메라렌즈 커버장치
KR200381942Y1 (ko) * 2005-01-14 2005-04-15 (주)중앙티앤씨 휴대전화 본체용 커버
KR20140003204U (ko) * 2012-11-15 2014-05-30 김진만 십자형 절첩홈이 구비된 휴대전화 케이스
KR20140074786A (ko) * 2012-12-07 2014-06-18 정철현 스마트폰용 방수커버
US20150311941A1 (en) * 2014-03-04 2015-10-29 Michael Sorrentino Mobile device case with movable camera cover
KR20180026640A (ko) * 2016-09-03 2018-03-13 이승영 사생활 보호용 카메라 커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0488A (ko) 2021-09-16 2023-03-23 박준규 휴대전화 카메라 보호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84035B2 (en) Protective case for mobil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US10750844B2 (en) Protective case for use with device grip
US10694835B2 (en) Protective case for use with device grip
US9756915B2 (en) Case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with movable sensor cover
US9025948B2 (en) Camera protection module for portable device case
US9326587B2 (en) Spring loaded holster for electronic device
TWI633823B (zh) 保護殼
US10835006B2 (en) Protective enclosure for encasing an electronic device
US10827809B2 (en) Protective case for electronic device
US9101188B2 (en) Protective case with integral stand
US7866991B2 (en) Electronic device
US9203173B2 (en) Slidable button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US20220304457A1 (en) Collapsible and extendable device grip
TW201517744A (zh) 殼體結構
US20180034189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20160254835A1 (en) Integrated screen and perimeter protector for an electronic device
KR102073774B1 (ko) 휴대폰의 전면 및 후면 카메라 커버 부재 및 이를 포함한 휴대폰 케이스
US20090262489A1 (en) Electronic device with covering lid for covering insert hole
US10542802B1 (en)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TWM547790U (zh) 可攜式電子設備保護套構造
US20140076599A1 (en) Dust-proof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11329682B2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ith non-touch user interface
KR101317932B1 (ko) 이동 단말기 케이스
KR102067337B1 (ko) 개선된 구조의 스마트폰 뒷면 커버
US20230189970A1 (en) Grip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